KR20150006326A -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326A
KR20150006326A KR1020130147410A KR20130147410A KR20150006326A KR 20150006326 A KR20150006326 A KR 20150006326A KR 1020130147410 A KR1020130147410 A KR 1020130147410A KR 20130147410 A KR20130147410 A KR 20130147410A KR 20150006326 A KR20150006326 A KR 20150006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torage device
light
unit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종현
이성민
김종락
손영환
이재선
유길선
박정열
조상희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0613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05661A1/ko
Publication of KR20150006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15Preserv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out heating effect

Abstract

보관 케이스(case)의 저장물이 수납될 수납 공간의 유해 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광촉매층에 자외선광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부, 및 수납 공간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보관 장치{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보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물의 안정성 및 저장성을 개선한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채소나 과일과 같은 원예산물을 저장 보관할 때, 저장 기간 동안 채소나 과일로부터 발생되는 에틸렌 가스(ethylene gas)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및 저장성을 열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에틸렌은 야채 또는 과일이 숙성되면서 발생되는 가스의 일종으로, 과일 및 야채의 노화를 촉진하는 노화 촉진 호르몬으로 작용하며, 강화 피드백(positive feedback) 과정을 통해 에틸렌의 발생량이 급증할 수 있다. 야채 및 과일의 보관 과정에서 에틸렌 가스를 통제하지 못할 경우 과채류의 과성숙 또는 노화가 촉진될 수 있다. 채소나 과일과 같은 원예산물을 냉장고에 저장 보관하는 경우, 에틸렌의 노화 및 부패 작용을 회피하기 위해 과일이나 야채류를 함께 보관하지 않고 구분하여 보관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채소나 과일과 같은 원예산물을 세척하더라도 잔류 농약에 대한 위험성이 존재할 수 있고, 원예산물의 표면에 잔류할 수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virus)에 의한 부패, 오염 및 저장성의 감소가 우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예산물과 같은 저장물을 저장 보관할 때, 에틸렌 분해 또는 잔류 농약의 분해, 살균 기능으로 저장물의 신선도 또는 저장성을 개선할 수 있는 보관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저장물이 수납될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 케이스(case); 상기 수납 공간의 유해 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광촉매층에 자외선광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부; 및 상기 수납 공간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은, 신선도 유지 기능 또는 숙성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보관 장치 유닛을 포함하는 보관 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보관 장치 유닛은 저장물이 수납될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 케이스(case); 상기 수납 공간의 유해 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광촉매층에 자외선광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부; 상기 수납 공간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외부 수납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은, 신선도 유지 기능 또는 숙성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보관 장치 유닛; 및 상기 보관 장치 유닛과 결합하는 외부 수납 장치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보관 장치 유닛은 저장물이 수납될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 케이스(case); 상기 수납 공간의 유해 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광촉매층에 자외선광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부; 및 상기 수납 공간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예산물과 같은 저장물을 저장 보관할 때, 에틸렌 분해 또는 잔류 농약의 분해, 살균 기능으로 저장물의 신선도 또는 저장성을 개선할 수 있는 보관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보관 장치의 공기 정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보관 장치를 I-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보관 장치의 숙성부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보관 장치를 Ⅱ-Ⅱ’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의 보관 몸체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르는 보관 장치의 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10 실시 예에 따르는 보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보관 장치 및 이와 체결되는 단위 모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재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기재는 부재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부재 자체를 한정하거나 특정한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부재의 "상"에 위치하거나 "상부" 또는 "하부", "측면"에 위치한다는 기재는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지 그 부재에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사이 계면에 다른 부재가 더 도입되는 특정한 경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설치되어 있다"의 기재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중간에 다른 별도의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연결 관계 또는 접속 관계를 구성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 패널(control panel)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10)는 보관 케이스(case: 110, 130), 공기 정화부(200) 및 광조사부(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관 케이스(110, 130)는 냉장고의 야채칸이나 또는 아이스박스(ice box)와 같이 저장물을 보관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보관 케이스(110, 130)는 저장물이 수납될 수납 공간(139)을 제공하는 보관 몸체(130)와 보관 몸체(130)에 대응되는 덮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관 몸체(130)는 일면이 열린 박스 형태일 수 있으며, 덮개부(110)는 보관 몸체(130)의 열린 일면에 대응되어 수납 공간(139)을 차폐하게 구성될 수 있다. 덮개부(110)는 보관 몸체(130)와 체결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덮개부(110)는 힌지와 같은 연결부재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보관 몸체(130)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부(110)는 상기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보관 몸체(130)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장고의 야채칸으로 보관 장치(10)가 이용될 경우, 보관 몸체(130)는 서랍 형태의 수납부를 제공할 수 있고, 덮개부(110)는 보관 몸체(130)의 상단 부분을 가려 차폐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10)와 보관 몸체(130)는 투명한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이스 박스로 보관 장치(10)가 이용될 경우, 덮개부(110)가 수납 공간(139)을 밀폐하는 형태로 보관 몸체(13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10)와 보관 몸체(130)는 단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이스박스 이외에도 저장물을 보관하는 다양한 용기 형태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10)는 변형되거나 이용될 수 있다.
보관 몸체(130) 내의 수납 공간(139)은 칸막이(131)에 의해 분할되어 제1수납 공간(133)과 제2수납 공간(135)이 독립적으로 별도로 저장물을 저장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칸막이(131)에 의해 수납 공간(139)이 분할될 경우, 저장물의 종류 또는 양에 따라 공간 효율을 증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물은 고체 물품 또는 유체 물품일 수 있으며, 채소나 과일과 같이 신선도를 요구하는 원예산물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보관 장치(10)의 공기 정화부(200)는, 수납 공간(139)에 보관된 저장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유해 가스를 포함하는 공기를 정화하도록 도입될 수 있다. 저장물이 채소나 과일과 같은 원예산물일 경우, 저장 시간이 지나며 에틸렌과 같은 저장성 또는 신선도에 유해한 유해 가스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유해 가스를 정화하여 정화된 공기를 수납 공간(139) 내에 순환시키도록 공기 정화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정화부(200)는, 도 2 및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10)의 하면에 수납 공간(139)에 대향되게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정화부(200)는 덮개부(110)에 부착된 정화부 케이스(case: 210) 및 정화부 케이스(210) 하단에 설치되어 수납 공간(139)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또는 유해 가스를 흡입하는 수단인 흡입 팬(fan: 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 팬(230)은 제1수납 공간(133)과 제2수납 공간(135) 내부의 공기를 함께 흡입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정화부 케이스(210)는 내부로 흡입된 공기 흐름이 지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실린더(cylinder) 또는 다각형 통 또는 원통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흡입 팬(230)은 수납 공간(139) 내의 공기를 정화부 케이스(210) 내부로 흡입하는 수단으로 도입되어, 공기를 아래에서 위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흡입 팬(230) 상측으로 광촉매층(290)이 설치될 수 있다. 광촉매층(290)에 자외선광을 조사하기 위해 제1발광 다이오드(LED: 27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발광 다이오드(270)는 광촉매층(290)에 광촉매 반응을 유도하는 자외선광(UV)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며, 자외선광이 조사될 면적을 고려하여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발광 다이오드(270)는 광촉매층(290)과 흡입 팬(250) 사이에 공기 흐름 경로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발광 다이오드(27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흐름 방해하지 않도록 공기 흐름 통로(251)를 제공하는 지지 프레임(supporting frame: 250)에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50)은 공기 흐름 통로(251)를 다수 개 제공하는 원형 격자 형태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1발광 다이오드(270)는 광촉매층(290)에 광촉매 반응을 유도하는 자외선광(UV)으로 200㎚ 내지 400㎚ 파장대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발광 다이오드(270)의 파장이 400nm보다 긴 경우, 광촉매층(290)의 광촉매 자체가 가지는 밴드갭 에너지(band gap energy)보다 작은 에너지의 광이 발생되므로 광촉매를 활성화시킬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제1발광 다이오드(270)의 파장이 200nm보다 짧은 경우, 광촉매를 활성화시키는 에너지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발광 다이오드(270)는 근자외선(NUV) 발광 다이오드 또는 심자외선(DUV)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광촉매층(290)은 광촉매 매질로서 광촉매 반응이 제공하는 물질, 예컨대, 티타늄산화물(TiO2),실리콘산화물(SiO2),텅스텐산화물(WO3)또는 지르코늄산화물(ZnO)을 포함하는 층이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촉매층(290)은 티타늄산화물(TiO2)을 포함하는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촉매층(290)은 메탈폼(metal foam)이나 다공성 금속재와 같이 공기 흐름이 유통될 수 있는 재질에 코팅된 층으로 도입될 수 있다.
광촉매층(290)에 자외선광이 조사되어 활성화되며, 자외선광이 조사된 표면에서 광촉매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광촉매 반응을 통해 저장 중인 과일 또는 채소와 같은 원예산물을 포함하는 저장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에틸렌을 이산화탄소(CO2)가스로 분해할 수 있다. 에틸렌은 식물 노화 호르몬이어서 노화를 가속하는 물질이므로, 에틸렌을 분해 제거함으로써 저장물의 노화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생성물인 이산화탄소가 누적되면 저장물의 호흡을 억제하여 노화를 지연시킴으로써 저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광촉매 반응을 통해 수납 공간(139) 내에 발생될 수 있는 이취 또는 악취 물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유해균을 살균하여 저장 공간의 안정성을 높여주고 청결함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광촉매층(290)에 광촉매 자체가 가지는 밴드갭 에너지보다 큰 에너지의 자외선광이 조사되면 광촉매 표면에 전자가 발생할 수 있다. 발생된 전자는 수분에 포함된 수소 분자와 반응하여 수산기(OH-radical)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수산기는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다른 기체와 반응할 수 있고, 산화력이 뛰어나 유기물을 분해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TiO2 광촉매가 활성화 될 경우, 공기 중의 수분(H2O)하에서 에틸렌 가스는 광산화 분해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수소 가스(H2)를 부산물로 발생시키는 광분해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 반응으로 에틸렌 가스가 제거되고, 저장에 유용한 이산화탄소 가스가 수납 공간(139)에 제공될 수 있다.
광촉매층(290)의 실질적인 코팅(coating) 두께는 대략 10㎛ 내지 30㎛일 수 있다. 만일, 광촉매층(290)의 실질적인 코팅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에틸렌 가스를 충분히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고, 광촉매층(290)의 내구성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광촉매층(290)의 두께가 30㎛를 상회하는 경우, 에틸렌 가스와 만나는 면적은 일정한 데, 광촉매층의 두께를 늘리는 것이므로 경제성이 작아질 수 있다. 광촉매층(290) 상에 흡착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착제는 활성탄, 금속담지 활성탄, 과산화망간칼리(KMnO4) 또는 제올라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흡착제는 보관 물품에서 발생하는 악취 등을 탈취하는 데 유용한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2를 도 1과 함께 다시 참조하면, 광촉매층(290)에서의 광분해 반응에 의해 에틸렌 가스가 제거된 정화된 공기는, 하부의 흡입 팬(230)에 의해 구동된 공기 흐름을 타고 상측에 구비된 배기구(211)를 통해 수납 공간(139)로 회송될 수 있다. 배기구(211)는 정화부 케이스(210)를 관통하여 내외를 연결하는 관통구 형태로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수납 공간(139) 내의 공기는 공기 정화부(200) 내로 흡입되고 광촉매 반응으로 에틸렌 제거 또는 살균, 탈취 등으로 정화되어 다시 수납 공간(139) 내로 이송되게 순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공간(139) 내에는 에틸렌이 제거되고 탈취된 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 공급될 수 있어, 수납 공간(139) 내에 저장된 저장물, 예컨대, 채소 또는 과일은 신선한 생태로 보다 긴 시간 동안 저장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10)는 수납 공간(139)에 기능성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조사부(300)는 덮개부(110)의 하면에 수납 공간(139)에 대향되게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덮개부(110)의 하면 중앙부에 공기 정화부(200)가 설치되고, 그 주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수 개 분산된 형태로 다수 개의 광조사부(3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덮개부(110)의 네 귀퉁이 가장자리 부분에 광조사부(300)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광조사부(300)는 수납 공간(139)에 수납된 저장물의 안정성 및 저장성을 개선하는 기능성 광을 조사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광조사부(300)는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310, 330, 350)들을 일렬 또는 원형으로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약 200㎚ 내지 280㎚ 파장대인 UV-C 영역의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2발광 다이오드(310)와, 약 280㎚ 내지 400㎚ 파장대인 UV-A 영역 또는 UV-B 영역의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3발광 다이오드(330)와, 약 400㎚ 내지 700㎚ 파장대인 가시광 영역의 광을 조사하는 제4발광 다이오드(350)들을 포함하여 광조사부(300)가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서로 다른 3 종류의 발광 다이오드(LED)들을 하나의 세트(set)로 묶어 개개의 광조사부(3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발광 다이오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약 1nm 내지 35 nm의 범위의 반치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을 가질 수 있다. 이로서, 요청되는 파장 대역의 기능성 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2발광 다이오드(310)는 약 200㎚ 내지 280㎚ 파장대인 UV-C 영역의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직접적인 조사에 의한 살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직접적인 조사에 의해 잔류 농약 성분을 분해하여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안정성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저장물인 채소나 과일은 세척에 의해서도 잔류 농약이 검출될 수 있는 데, 이러한 잔류 농약을 제거함으로써 잔류 농약에 의한 위험성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3발광 다이오드(330)는 280㎚ 내지 400㎚ 파장대인 UV-A 영역 또는 UV-B 영역의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방어 기제(defense mechanism)을 통한 원예산물의 기능성 물질 증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즉, UV-A 영역 또는 UV-B 영역의 자외선광을 채소나 과일에 조사함으로써, 원예산물이 2차 대사 산물을 배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2차 대사 산물은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하는 기능성 증진 물질일 수 있다. 제3 발광다이오드(330)는 일 예로서, UV-A 영역의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 다이오드, UV-B 영역의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이들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4발광 다이오드(350)는 400㎚ 내지 700㎚ 파장대를 포함하는 가시광을 직접적으로 조사하여, 원예산물의 광합성을 유도, 원예산물의 호흡을 억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저장산물의 소모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물의 신선도를 보다 길게 유지할 수 있어 저장성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광조사부(300)는 덮개부(110) 상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수납 공간(139)이 제1수납 공간(133) 및 제2 수납공간(135)과 같이 복수개로 분할된 경우, 각각의 광조사부(300)가 분할된 수납 공간별로 별도로 작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조사부(300) 내의 제2 내지 제4 발광 다이오드(310, 330, 350)도 각각 별도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과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보관 장치(10)의 공기 정화부(200) 및 광조사부(300)의 동작은 제어 패널(control panel: 4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 패널(410)은 보관 장치(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보관 장치(10)가 냉장고와 같은 주장치에 부속되는 경우, 상기 주장치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패널(410)은 전원부(430)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되는 공기 정화부(200) 및 광조사(300)의 동작을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이러한 동작을 모드(mode)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패널(410)은 마이콤과 같은 연산 기능을 수행하는 연산부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 터치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은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패널(410)은,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공간 효율을 위해 수납 공간(도 1의 139)는 제1수납 공간(133)과 제2수납 공간(135)을 포함하는 다수의 분할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어 패널(410)은 분할된 좌측의 제1수납 공간(133)을 선택하는 "좌" 표시 모드와 우측의 제2수납 공간(135)을 선택하는 "우" 표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패널(410)은 "탈취/신선도" 모드를 선택하게 표시할 수 있고, 이는 공기 정화부(200)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기능성/신선도" 모드는 UV광 및 가시광의 조사를 조절하기 위해 광조사부(300)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탈취/신선도" 모드의 "온(On)"은 공기 정화부(200)의 24 시간 가동을 제공할 수 있고, "오프(Off)"는 공기 정화부(200)의 가동 중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온/오프(On/off)" 모드는 1시간 간격으로 온 및 오프(on/off)가 교대로 바뀌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동작 모드를 제공하는 세 버튼 중 임의의 한 버튼에 불이 들어오면 나머지 두 개는 꺼지는 구조로, 예컨대 냉장고의 야채칸으로 이용되는 보관 장치(10) 내에 저장하고 있는 원예산물의 양에 따라 가동 패턴을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다.
"기능성/신선도" 모드의 "좌" 및 "우" 모드는 칸막이(도 1의 131)에 의해 분리된 공간의 "좌측"과 "우측"을 의미하며, "채소"모드는 가시광을 조사하는 제4발광 다이오드(도 1의 350)의 온/오프(on/off)를 조절하고, "과일" 모드는 제2 및 제3발광 다이오드(310, 330)의 온/오프(on/off)를 조절하여 야채칸에 저장하는 원예산물의 종류에 맞게 공급하는 빛의 종류를 조절할 수 있다. "채소" 및 "과일" 모드들의 개별 구동으로 터치(touch) 선택에 따라 온/오프(on/off)가 결정될 수 있다.
제어 패널(410)의 모드 선택에 따라 전원부(430)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공기 정화부(200)나 광조사부(300)가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보관 장치(10)가 냉장고의 야채칸 등에 적용될 경우, 전원부(430)는 냉장고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보관 장치(10)가 아이스박스나 기타 이동할 수 있는 보관 용기나 또는 상온에서 보관하는 장치로 이용될 경우, 전원부(430)는 별도의 전원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태양 전지를 더 포함하는 전원부(430)를 설치하여, 태양 전지로 전력을 공급하게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공기 정화부(200) 및 광조사부(300)를 구성하므로, 보관 장치(10)의 동작 전력 소모를 유효하게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보관 장치(10)의 공기 정화부(200) 및 광조사부(300)의 온오프 동작은 덮개부(110)와 보관 몸체(130)의 결합 및 분리 상태의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구체적인 예로서, 덮개부(110)과 보관 몸체(130)가 서로 결합한 경우, 공기 정화부(200) 또는 광조사부(300)가 가동되어, 상술한 신선도 유지 및 저장성 향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덮개부(110)과 보관 몸체(130)가 서로 분리되어, 보관 몸체(130)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공기 정화부(200) 또는 광조사부(300)의 가동이 중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보관 장치(10)의 동작 전력 소모를 유효하게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관 장치(20)는 보관 케이스(110, 130), 공기 정화부(201) 및 광조사부(30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정화부(201)는 보관 케이스(110, 13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정화부(201)는 보관 케이스(110, 130)의 외측 측면의 후면에 부착되고, 보관 케이스(110, 130) 내부의 수납 공간(139)와 바이패스(bypass: 20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203)는 수납 공간(139)의 공기를 외부의 공기 정화부(201)로 전송하고, 정화된 공기를 다시 수납 공간(139)으로 전달하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바이패스(203)는 수납 공간(139)과 공기 정화부(201)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패스(203)를 이용하여 공기 정화부(201)를 보관 케이스(110, 130) 외측에 설치할 경우, 공기 정화부(201)의 설치 위치에 대한 자유도를 증가하여 전체 장치의 디자인(design)을 보다 자유롭게 도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관 장치(30)의 보관 케이스(111, 131)는 냉장고(40)의 야채칸과 같은 수납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관 케이스(111, 131)의 보관 몸체(131)는,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수납 공간(도 1의 139)을 제공하고, 덮개부(131)는 공기 정화부(200) 및 광조사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제어 패널(410)은 냉장고(40)의 외장 디스플레이(display)에 설치되거나 또는 야채칸의 손잡이 부분에 터치 방식의 LED 콘트롤러(controller)로 설치될 수 있다. 냉장고(40)에 야채나 과일을 보관하는 경우가 보다 일반적이므로, 보관 장치(30)는 냉장고(40)의 야채칸과 같은 수납칸을 구성하는 데 적용될 경우, 보다 더 안전하고 보다 오랫동안 야채 또는 과일과 같은 원예산물을 보관 저장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 예들에 있어서는 보관 장치(30)의 공기 정화부 및 광조사부의 온오프 동작은 덮개부(111)와 보관 몸체(131)의 결합 및 분리 상태의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구체적인 예로서, 덮개부(111)과 보관 몸체(131)가 서로 결합한 경우, 상기 공기 정화부 또는 광조사부가 가동되어, 상술한 신선도 유지 및 저장성 향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덮개부(111)과 보관 몸체(131)가 서로 분리되어, 보관 몸체(131)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공기 정화부 또는 상기 광조사부의 가동이 중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보관 장치(30)의 동작 전력 소모를 유효하게 줄일 수 있다.
또다른 몇몇 실시 예들에 있어서는, 도 7에서와 같이, 냉장고(40)의 수납 공간 내에 보관 장치(30)가 정확하게 안착된 경우, 보관 장치(30)의 공기 정화부 및 광조사부가 가동되어, 상술한 신선도 유지 및 저장성 향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냉장고(40)의 수납 공간으로부터 보관 장치(30)가 이탈한 경우에는 상기 공기 정화부 또는 상기 광조사부의 가동이 중지될 수 있다. 즉, 수납 공간으로부터 보관 장치(30)가 이탈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보관 장치(30)로부터 저장물을 인출하거나 새로운 저장물을 도입하는 경우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보관 장치(30)의 동작 전력 소모를 유효하게 줄일 수 있다.
또다른 몇몇 실시 예들에 있어서는, 도 7에서와 같이, 냉장고(40)의 도어가 열린 경우, 보관 장치(30)의 공기 정화부 및 광조사부가 가동이 중지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냉장고(40)의 도어가 닫힌 경우, 보관 장치(30)의 상기 공기 정화부 및 광조사부가 가동되어, 상술한 신선도 유지 및 저장성 향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보관 장치(30)의 동작 전력 소모를 유효하게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보관 장치의 공기 정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보관 장치(50)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보관 장치(10)와 비교하여, 공기 정화부(500) 내부에 추가로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10) 및 보관 몸체(130)내에 추가로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를 포함한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10)는 광촉매층(29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정화부(500)의 배기구(211)와 인접한 상벽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10)는 일 예로서, 약 200㎚ 내지 280㎚ 파장대인 UV-C 영역의 자외선광을 제공할 수 있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10)는 광촉매층(290)을 향해 상술한 파장의 자외선광을 제공하여, 유동하는 공기 내의 미생물에 대한 살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은 보관 몸체(130)의 측벽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는 일 예로서, 약 200㎚ 내지 280㎚ 파장대인 UV-C 영역의 자외선광을 수납 공간 내에 제공하여, 광조사부(300)의 제2 발광다이오드(310)와 함께 저장물에 대한 살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는 측벽부의 높이를 따라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몸체(130)의 측벽부에 있어서, 하단부와 상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센서(미도시)에 의해 저장물의 양이 감지될 수 있으며, 특정 높이 이상으로 저장물이 저장될 경우, 하단부 및 상단부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가 모두 발광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특정 높이 이하로 저장물이 저장될 경우, 하부단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만 발광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를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송 수단에 실장하여, 저장물의 저장된 높이에 따라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가 이동하면서 상술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 공간 내에 보관되는 저장물은 일 예로서, 과일 채소와 같은 청과물일 수 있는데, 이러한 저장물이 부패하는 원인 중 하나는 곰팡이, 세균과 같은 미생물이 작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미생물의 유입 경로는 일 예로서, 청과물에 미생물이 포함되어 유입되는 경우, 또는 저장 공간이 개방될 때 공기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보관 몸체(130)의 측벽부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가 광조사부(300)의 제2 발광다이오드(310)와 협력하여, 저장물의 표면에 대한 살균 작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정화부(200) 내에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10)가 살균용 자외선을 방출함으로써, 공기 내 미생물에 대한 살균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에 의한 살균 작용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제어 패널(410)의 기능성/신선도 모드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측면 살균 모드로서, 제어 패널(410)의 제어를 받도록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관 장치(60)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보관 장치(10)와 비교하여, 보관 몸체(130) 내에 추가로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620)를 포함한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6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몸체(130)의 측벽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620)는 일 예로서, 280㎚ 내지 400㎚ 파장대인 UV-A 영역 또는 UV-B 영역의 자외선광을 방출할 수 있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620)는 광조사부(300)의 제3 발광다이오드(330)과 협력하여, 방어 기제(defense mechanism)을 통한 원예산물의 기능성 물질 증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즉, UV-A 영역 또는 UV-B 영역의 자외선광을 채소나 과일에 조사함으로써, 원예산물이 2차 대사 산물을 배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2차 대사 산물은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하는 기능성 증진 물질일 수 있다. 일 예로서, UV-A 영역의 자외선광의 경우 딸기와 같은 과실의 방어 기재를 자극하여, 기능성 물질을 발현할 수 있고, UV-B 영역의 자외선광의 경우, 버섯류와 같은 상물의 방어 기재를 자극하여, 기능성 물질을 발현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620)에 의한 기능성 물질 발현 기능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제어 패널(410)의 기능성/신선도 모드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측면 기능성 증진 모드로서, 제어 패널(410)의 제어를 받도록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보관 장치(70)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보관 장치(10)와 비교하여, 공기 정화기(700) 내에 추가로 배치되는 유기물 제공 장치(710)를 포함한다.
유기물 제공 장치(710)는 일 예로서, 액상의 유기물을 광촉매층(290)을 향해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제1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7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층(290)이 활성화되고, 상기 액상의 유기물을 광촉매 반응에 의해 분해함으로서, 이산화탄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이산화탄소는 배기구(211)를 통해 배출되어, 수납 공간(139) 내로 제공될 수 있다. 반응 생성물인 이산화탄소는 저장물의 호흡을 억제하여 노화를 지연시킴으로써 저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기물 제공 장치(7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이산화탄소 센서가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는 수납 공간(139)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이에 대응하여 유기물 제공 장치(710)가 제공해야할 유기물의 양을 결정하고, 유기물 제공 장치(710)의 구동을 지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조사부(300)의 제4발광 다이오드(350)가 400㎚ 내지 700㎚ 파장대를 포함하는 가시광을 제공함으로써, 원예산물의 광합성을 유도하고, 원예산물의 호흡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4발광 다이오드(350)의 원예산물의 광합성 유도기능 및 원예산물의 호흡 억제기능, 공기 정화부(200)의 에틸렌 분해 및 이산화탄소 생성기능에 부가하여, 유기물을 직접 제공하는 유기물 제공 장치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저장물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의 유기물 제공 장치(710)는 제2 내지 제5 실시예의 공기 정화부(200, 500) 내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유기물 제공 장치(710)에 의한 저장성 향상 기능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제어 패널(410)의 탈취/신선도 모드 또는 기능성/신선도 모드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기능성 증진 모드로서, 제어 패널(410)의 제어를 받도록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보관 장치를 I-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보관 장치(80)는 연결수단에 의해 회전하여 접히도록 접합된 덮개부(110)와 보관 몸체(130)를 포함한다. 또한, 보관 장치(80)는 보관 몸체(130) 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85)를 포함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수납공간(133)과 제2 수납공간(135)을 분할하는 칸막이(131)의 측벽부 또는 보관 몸체(130)의 측벽부에는 습도 센서(1210)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칸막이(131)의 측벽부 또는 보관 몸체(130)의 측벽부에는 습기 토출구(860)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정화부(200) 내부에는 습기 유입구(810)가 배치될 수 있다.
습도조절부(85)는 덮개부(110) 내부에 배치되는 제습 유로(820), 몸체부(800) 내에 배치되는 냉각판(830) 및 가습부(840), 보관 몸체(130) 내부에 배치되는 가습 유로(850) 및 습기 토출구(8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장 공간 내의 저장물의 신선도 감소의 생리적 원인 중 하나는, 외부 공기와의 습도 차이에 의해 저장물이 수분을 손실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의 보관 장치(80)는 습도조절부(85)를 통해, 저장물이 충분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습도 센서(1210)를 통해, 수납 공간(133, 135) 별로 내부의 습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습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 습도와 비교하여, 측정된 습도가 상기 기준 습도보다 낮을 시에 수납 공간(133, 135) 내에 습기를 제공한다. 즉, 가습부(840)를 구동하여 습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습기를 가습 유로(820) 및 습기 토출구(860)를 통해 수납 공간(133, 135) 내부로 제공한다. 가습부(840)의 구동방식은 일 예로서, 초음파 방식, 자연가습 방식등 다양한 공기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측정된 습도가 상기 기준 습도보다 높을 시에, 수납 공간(133, 135)으로부터 습기를 제거한다. 즉, 공기 정화부(200) 내의 흡입팬(290)을 가동시켜, 수납 공간(133, 135) 내의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를 공기 정화부(200) 내부로 흡입한 후에, 습기 유입구(810)를 개방하여, 상기 공기가 제습 유로(820)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습기 유입구(810)는 공기 정화 작용이 진행될 경우에는 폐쇄되고, 습기 제거를 위한 기능이 수행될 때만 개방될 수 있다. 제습 유로(820)를 따라 이동된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는 냉각판(830)에 의해 냉각된 후, 응결되어 몸체부(800) 내부의 저장소(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상술한 습도조절부(85)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6의 보관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 6의 경우, 유기물 제공 장치(710)가 가동하지 않을 경우에만, 습도조절부(85)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유기물 제공 장치(710)가 제공하는 액상 유기물이 습도조절부(85)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술한 습도조절부(85)의 기능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제어 패널(410)의 탈취/신선도 모드 또는 기능성/신선도 모드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기능성 증진 모드로서, 제어 패널(410)의 제어를 받도록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보관 장치의 숙성부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보관 장치를 Ⅱ-Ⅱ’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보관 장치(90)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보관 장치(10)와 비교하여, 보관 몸체(130) 내에 숙성부(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숙성부(137)는 제1 수납 공간(133) 또는 제2 수납 공간(135)과 차별되는 별도의 수납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숙성부(137)의 수납 공간 상부에는 숙성부 덮개(1410)가 배치될 수 있다. 숙성부 덮개(1410)는 개구(1420)을 구비하며, 차단구조물(1430)은 개구(14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차단구조물(1430)은 숙성부 덮개(14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슬라이딩과 같은 방법으로 이동하도록 숙성부 덮개(1410)에 설치되어, 개구(14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작용할 수 있다.
도 14를 다시 참조하면, 숙성부(137)는 칸막이(1510, 1520, 1530, 1540)에 의해, 제1 수납 공간(133) 및 제2 수납 공간(135)과 분리될 수 있다. 칸막이(1510, 1520, 1530, 1540) 각각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복수의 개구(1520)가 배치될 수 있다. 칸막이(1510, 1520, 1530, 1540) 각각에 결합되는 차단구조물(미도시)에 의해, 개구(1520)가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구조물은 일 예로서, 숙성부 덮개(1410)의 차단구조물(14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차단구조물에 의해, 개구(1420, 1520)가 폐쇄됨으로써, 숙성부(137)는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숙성부(137)의 측벽부에는 숙성촉진물질제공장치(1440)가 배치될 수 있다. 숙성촉진물질제공장치(1440)는 일 예로서, 에틸렌과 같은 숙성용 물질을 분사 등의 방법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청과물과 같은 저장물에 대하여 인위적으로 숙성을 촉진하는 수납 공간인 숙성부(137)를 구비할 수 있다. 신선도 및 저장성을 유지하는 모드에서는 숙성부 덮개(1410)의 개구(1420)를 열어놓고,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에서의 저장 장치의 구동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저장물의 신선도를 높일 수 있다.
사용자가 인위적인 숙성을 원할 경우, 저장물을 숙성부(137)에 수용한 후에, 숙성부 덮개(1410)의 개구(1420)를 폐쇄한 상태에서 숙성부(137)의 수납공간을 밀폐한다. 그리고, 숙성촉진물질제공장치(1440)가 에틸렌과 같은 숙성용 물질을 숙성부(137) 내부로 제공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에틸렌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가 숙성부(137)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숙성부(137)의 형태와 관련하여, 도면 상에서는 칸막이(1510, 1520, 1530, 1540)와 보관 몸체(130)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 경계선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도시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숙성부(137)의 형태는 삼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숙성부(137)의 배치와 관련하여서도, 보관 몸체(130) 내부에서, 제1 수납 공간(133) 및 제2 수납 공간(135) 등 다른 수납 공간과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숙성부(137)의 기능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제어 패널(410)에 의해 별도 제어되도록,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의 보관 몸체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르는 보관 장치의 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보관 장치(100)의 보관 몸체(130)는 칸막이(131)의 측벽부 또는 보관 몸체(130)의 측벽부에 온도센서부(1710), 냉각부(1720) 및 가열부(1730)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보관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보관 장치(100)는 온도센서부(1710)에서 측정한 보관 몸체(130) 내부의 온도에 근거하여, 냉각부(1720) 및 가열부(1730)에 각각 냉각 또는 가열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보관 장치(100)의 덮개부(110)는 내부에, 온도센서부(1710), 냉각부(1720) 및 가열부(1730)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보관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관 장치(100)는 온도센서부(1710), 냉각부(1720) 및 가열부(173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부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보관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냉장고 등과 같은 냉각 장치에 부속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냉각과 같은 온도 제어를 통해, 저장물의 방어 기재를 추가적으로 자극하여, 원예산물의 기능성 물질 생산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르게는 보관장치(100)는 냉장고 등과 같이 냉각 기능을 갖춘 주장치 내에 배치되어, 상기 주장치의 냉각 기능과 상기 보관장치(100)의 냉각 기능이 함께 구현되도록 동작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온도센서부(1710), 냉각부(1720) 및 가열부(1730)에 의한 온도 제어 기능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제어 패널(410)의 탈취/신선도 모드 또는 기능성/신선도 모드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기능성 증진 모드로서, 제어 패널(410)의 제어를 받도록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르는 보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보관 시스템(2000)은 보관 장치(2100) 및 수납 장치(2200)을 포함한다. 보관 장치(2100)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 내지 제9 실시 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 장치(2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중복을 배제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보관 장치(2100)는 수납 장치(2200)와의 연결을 위한 결합부(2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결합부(2110)은 보관 장치(2100)을 수납 장치(2200)에 안착시키는 제1 안착부(2111), 수납 장치(2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연결부(2112), 또는 수납 장치(2200)와 전기적 신호를 교환하는 제어신호연결부(2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보관 장치(2100)는 상술한 구성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제1 안착부(2111)는 수납 장치(2200)의 제2 안착부(2211)와 협력하여, 보관 장치(2100)를 수납 장치(2200)의 소정의 영역 내에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안착부(2111)와 제2 안착부(2211)는 돌기부와 홈부와 같이, 체결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보관 장치(2100)가 제1 안착부(2111)와 제2 안착부(2211)를 이용하여 수납 장치(2200)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2112)는 수납 장치(2200)의 전원제공부(2212)와 연결되어, 수납 장치(2200)로부터, 공기정화부(200, 500), 광조사부(300) 등과 같이, 수납 장치(2200) 내에서 구동되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어신호연결부(2113)은 수납 장치(2200)의 신호연결부(2213)과 연결되어, 수납 장치(2200)의 제어부와 보관 장치(2100)의 신선도 유지 기능 또는 숙성 제어 기능의 가동과 관련되는 제어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수납 장치(2200)는 보관 장치(2100)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장치로서, 그 자체로 각종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일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단순 저장장치일 수도 있다. 수납 장치(2200)는 상술한 제2 안착부(2211), 전원제공부(2212), 신호연결부(2213) 등을 포함하는 체결결합부(22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수납 장치(2200)는 복수의 보관 장치(2100)를 수납할 수 있으며, 복수의 보관 장치(2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보관 장치(2100)가 수납 장치(2200)에 제공될 때, 보관 장치(2100)는 일종의 보관 유닛에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실시 예 내지 제9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를 준비하여, 수납 장치(2200)에 결합시킴으로써, 각종 저장물에 대한 탈취, 살균, 숙성 또는 신선도 유지 등 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수납 장치(2200)는 일 예로서, 냉장고, 아이스박스, 식품저장고, 활어회저장고, 차량저장고, 상품진열대 등 다양한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수납 장치(2200)가 냉장고인 경우, 냉장고가 보관 장치(21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상술한 결합체결부(2210)를 구비하는 한, 사용자는 수납 장치(2200)와 결합할 수 있는 보관 장치(2100)를 별도로 구매하여 수납 장치(2200)와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용도에 따라,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 내지 제9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의 보관 장치(2100)를 선택하여 구입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보관 장치 및 이와 체결되는 단위 모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보관 장치(2300)는 제1 실시 예 내지 제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보관 장치일 수 있다.
보관 장치(2300)의 덮개부(110)에 있어서, 광조사부(300)는 모듈의 형태로 덮개부(110)의 제1 수용부(370) 내에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다. 광조사부(300)는 상기 모듈의 제1 결합부(372)를 제1 수용부(370) 내의 제2 결합부(374)와 연결함으로써, 보관 장치(2300)로부터 광조사부(300)의 발광다이오드(310, 330, 35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원 및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면, 광조사부(300)의 모듈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310, 330, 350)가 패키지의 형태로서, 몸체부(371)와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310, 330, 350)의 제1체결부(371a)가 몸체부(371)의 제2체결부(371b)와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정화부(200, 500)도 모듈의 형태로 덮개부(110)의 제2 수용부(380) 내에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다. 공기정화부(200, 500)는 상기 모듈의 제1 결합부(382)를 제2 수용부(380) 내의 제2 결합부(384)와 연결함으로써, 보관 장치(2300)로부터 공기정화부 내의 발광다이오드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또는 제6 실시예의 경우에서, 보관 몸체(130)의 측벽부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 620)는 패키지의 형태로, 보관 몸체(130)의 제3 수용부(390) 내에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 620)은 상기 패키지의 제1 결합부(392)를 제3 수용부(390)의 제2 결합부(394)와 연결함으로써, 보관 장치(2300)로부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 62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 예의 보관 장치(2300)에서는, 광조사부(300), 공기 정화부(200, 500) 및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 620)을 모듈 또는 패키지의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보관 장치(2300)와 탈부착이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보관 장치(2300)의 각 수용부(370, 380, 390)와의 기술 규격을 만족하는 다양한 종류의 광조사부(300), 공기 정화부(200, 500) 및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 620)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선택하여, 보관 장치(2300)에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조사부(300), 공기 정화부(200, 500) 및 자외선 발광다이오드(520, 620) 중 어느 하나의 수명이 종료되거나, 수리가 필요한 경우, 보관 장치(2300)를 새로 구입할 필요없이, 해당 구성요소의 모듈 또는 패키지만을 교체함으로써 보관 장치(2300)를 정상 상태로 보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 형태들을 도면들을 예시하며 설명하지만, 이는 본 출원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세밀하게 제시된 형상으로 본 출원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한정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은 일 예로서, 냉장고, 아이스박스, 식품저장고, 활어회저장고, 차량저장고, 상품진열대와 같이, 저장물의 보관이 필요한 곳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은 냉각된 상태로 보관이 필요한 응용예 뿐만 아니라, 상온 또는 승온 상태에서 보관되는 다양한 응용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널리 적용될 수 있다.
110, 111: 보관 몸체, 130, 131: 덮개부,
200: 공기 정화부, 300: 광조사부.

Claims (33)

  1. 저장물이 수납될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 케이스(case);
    상기 수납 공간의 유해 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광촉매층에 자외선광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부; 및
    상기 수납 공간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상기 광촉매층으로 상기 유해 가스를 흡입하는 흡입 팬(fan); 및
    상기 유해 가스가 정화된 공기를 상기 수납부로 돌려주는 배기구를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상기 광촉매층과 상기 흡입 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를 지지하고 상기 흡입된 유해 가스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지지 프레임(supporting frame)을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상기 보관 케이스(case)의 덮개부의 하면에 상기 수납 공간에 대향되게 설치된 보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상기 보관 케이스(case)의 측면 또는 후면에 바이패스(bypass)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보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는
    상기 광촉매층에 200㎚ 내지 400㎚ 파장대의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보관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공기 중의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200㎚ 내지 280㎚ 파장대, 320㎚ 내지 400㎚ 파장대 및 400㎚ 내지 700㎚ 파장대들을 포함하는 일 군의 파장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200㎚ 내지 280㎚ 파장대, 320㎚ 내지 400㎚ 파장대 및 400㎚ 내지 700㎚ 파장대의 광을 각각 조사하는 서로 다른 세 종류의 발광 다이오드(LED)들을 포함하는 보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보관 케이스(case)의 덮개부의 하면에 상기 수납 공간에 대향되게 다수 개 설치되는 보관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 또는 상기 광조사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태양 전지부를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 및 상기 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 패널(control panel)을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케이스는
    보관 몸체의 측벽에 배치되고, 200㎚ 내지 280㎚ 파장대 및 320㎚ 내지 400㎚ 파장대의 자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방출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에 대한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의 일부분에 대해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어 배치되고,
    숙성촉진물질제공장치가 제공하는 숙성용 물질에 의해 저장물의 숙성을 촉진하는 숙성부를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장치의 보관 몸체 또는 덮개부에 배치되고,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센서, 냉각부, 가열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 및 상기 공기정화부 중 적어도 하나는 모듈의 형태로 상기 보관 케이스의 일면에 탈부착 가능한
    보관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패키지의 형태로 상기 광조사부의 몸체부에 탈부착가능한
    보관 장치.
  19. 신선도 유지 기능 또는 숙성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보관 장치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보관 장치 유닛은
    저장물이 수납될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 케이스(case);
    상기 수납 공간의 유해 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광촉매층에 자외선광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부;
    상기 수납 공간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외부 수납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보관 장치 유닛을 상기 외부 수납 장치에 안착시키는 안착부;
    상기 외부 수납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연결부; 및
    상기 외부 수납 장치와 전기적 신호를 교환하는 제어신호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수납 장치는
    냉장고, 아이스박스, 식품저장고, 활어회저장고, 차량저장고 및 상품진열대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는
    상기 광촉매층에 200㎚ 내지 400㎚ 파장대의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보관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200㎚ 내지 280㎚ 파장대, 320㎚ 내지 400㎚ 파장대 및 400㎚ 내지 700㎚ 파장대들을 포함하는 일 군의 파장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200㎚ 내지 280㎚ 파장대, 320㎚ 내지 400㎚ 파장대 및 400㎚ 내지 700㎚ 파장대의 광을 각각 조사하는 서로 다른 세 종류의 발광 다이오드(LED)들을 포함하는 보관 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케이스는
    보관 몸체의 측벽에 배치되고, 200㎚ 내지 280㎚ 파장대 및 320㎚ 내지 400㎚ 파장대의 자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방출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패키지의 형태로 상기 광조사부의 몸체부에 탈부착가능한
    보관 장치.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 및 상기 공기정화부 중 적어도 하나는 모듈의 형태로 상기 보관 케이스의 일면에 탈부착 가능한
    보관 장치.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에 대한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의 일부분에 대해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어 배치되고,
    숙성촉진물질제공장치가 제공하는 숙성용 물질에 의해 저장물의 숙성을 촉진하는 숙성부를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3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장치의 보관 몸체 또는 덮개부에 배치되고,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센서, 냉각부, 가열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31. 신선도 유지 기능 또는 숙성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보관 장치 유닛; 및
    상기 보관 장치 유닛과 결합하는 외부 수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 장치 유닛은
    저장물이 수납될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 케이스(case);
    상기 수납 공간의 유해 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광촉매층에 자외선광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부; 및
    상기 수납 공간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장치 유닛은 상기 외부 수납 장치와 연결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보관 장치 유닛을 상기 외부 장치에 안착시키는 안착부;
    상기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연결부; 및
    상기 외부 저장장치와 전기적 신호를 교환하는 제어신호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수납 장치는
    냉장고, 아이스박스, 식품저장고, 활어회저장고, 차량저장고 및 상품진열대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KR1020130147410A 2013-07-08 2013-11-29 보관 장치 KR20150006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6130 WO2015005661A1 (ko) 2013-07-08 2014-07-08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984 2013-07-08
KR1020130079984 2013-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326A true KR20150006326A (ko) 2015-01-16

Family

ID=5256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410A KR20150006326A (ko) 2013-07-08 2013-11-29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632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606A (ko) * 2015-03-30 2016-10-10 이승원 저장 용기
WO2017003205A1 (ko) * 2015-06-30 2017-01-0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정화 선도유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16762A1 (ko) * 2016-07-18 2018-01-25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보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US10081649B2 (en) 2016-03-25 2018-09-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irst row transition metal amino borohydrides
KR20190076625A (ko) * 2017-12-22 2019-07-02 김봉재 살균장치
KR20190099516A (ko) * 2016-12-28 2019-08-27 티유비아이티에이케이 상자 내 공기 조성 변경으로 신선도가 연장된 상태로 생산물을 보관할 수 있는 야채 상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606A (ko) * 2015-03-30 2016-10-10 이승원 저장 용기
WO2017003205A1 (ko) * 2015-06-30 2017-01-0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정화 선도유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503977A (zh) * 2015-06-30 2020-08-07 首尔伟傲世有限公司 空气净化保鲜装置及其控制方法
US10933157B2 (en) 2015-06-30 2021-03-02 Seoul Viosys Co., Ltd.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and freshness mainten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11503977B (zh) * 2015-06-30 2022-08-26 首尔伟傲世有限公司 空气净化保鲜装置及其控制方法
US10081649B2 (en) 2016-03-25 2018-09-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irst row transition metal amino borohydrides
WO2018016762A1 (ko) * 2016-07-18 2018-01-25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보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KR20190099516A (ko) * 2016-12-28 2019-08-27 티유비아이티에이케이 상자 내 공기 조성 변경으로 신선도가 연장된 상태로 생산물을 보관할 수 있는 야채 상자
KR20190076625A (ko) * 2017-12-22 2019-07-02 김봉재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6326A (ko) 보관 장치
CN111503977B (zh) 空气净化保鲜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025424B1 (ko) 다기능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KR20150014815A (ko) 공기 정화 모듈을 구비하는 저장 장치
CN105148313A (zh) 用于冰箱的杀菌除臭装置和冰箱
KR20130121506A (ko) 다용도 보관 장치
WO2010051735A1 (zh) 冷藏集装箱空气洁净设备
JP7051100B2 (ja) 光触媒装置
CN203564577U (zh) 一种空气循环净化装置
KR101575560B1 (ko) 신선도유지 및 살균 기능을 구비한 에어 탈취기
US11771795B2 (en) Air purification module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20150050022A (ko) 냉장고용 신선도 유지 장치
WO2015005661A1 (ko) 보관 장치
CN2768782Y (zh) 大风量多室紫外消毒臭氧装置
JP2012026708A (ja) 冷蔵庫
KR20130081687A (ko) 오존 및 프리라디칼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거 시스템
JP6752488B2 (ja) 殺菌装置及び殺菌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4285245B2 (ja) 冷蔵庫
KR20170037736A (ko) 선도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50014817A (ko) 탈취살균장치를 구비하는 주방 기기
EP3721912B1 (en) Deodorization device
JP2009030917A (ja) 直冷式冷蔵庫および除菌装置
JP2009030922A (ja) 直冷式冷蔵庫
KR101346603B1 (ko) Uv led를 적용한 살균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60017411A (ko) 청과물 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