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643A -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643A
KR20160016643A KR1020150107263A KR20150107263A KR20160016643A KR 20160016643 A KR20160016643 A KR 20160016643A KR 1020150107263 A KR1020150107263 A KR 1020150107263A KR 20150107263 A KR20150107263 A KR 20150107263A KR 20160016643 A KR20160016643 A KR 20160016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dental
conditioning composition
composition
dental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3213B1 (ko
Inventor
가즈야 시노
아키히로 나가후지
신고 다테이시
다이스케 하라
요시유키 조게츠
Original Assignee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16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40Pri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20Protective coatings for natural or artificial teeth, e.g. sealings, dye coatings or varni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30Compositions for temporarily or permanently fixing teeth or palates, e.g. primers for dental adhe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치면에 대한 과탈회를 억제하면서,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함유되는 중합 촉매가 치면 상에 잔존함으로써,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의 중합 활성을 향상시키고, 치면에 대한 치과용 재료의 접착성을 높이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중합 촉매와 산성 화합물과 물과 증점재를 함유하는 겔 성상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로서, 그 pH (수소 이온 지수) 가 0.1 ∼ 0.9 의 범위 내인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Description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DENTAL CONDITION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교정 재료, 소와열구 봉쇄 재료, 수복 재료, 치관 재료, 보철 재료, 지대 축조 재료, 근관 재료 등의 치과용 재료를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에 의해 치면에 접착할 때에 있어서,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을 적용하기 전의 치면 처리에 사용하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교정 재료, 소와열구 봉쇄 재료 등을 접착하는 경우의 피착 대상이 되는 미연삭 에나멜질, 혹은 수복 재료, 치관 재료, 보철 재료, 지대 축조 재료, 근관 재료 등을 접착하는 경우의 피착 대상이 되는 와동 형성 후의 에나멜질 및 상아질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의해 처리된 치면 (미연삭 에나멜질, 또는 와동 형성 후의 에나멜질 및 상아질) 은 탈회에 의한 데미지가 적고, 접착 성능이 향상되도록 고기능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교정 재료, 소와열구 봉쇄 재료 등의 치과용 재료를 미연삭 에나멜질에 접착시키는 경우에는, 산에칭재를 미연삭 에나멜질에 대해 도포·수세·건조시키고, 산처리를 실시한 에나멜질면에 대하여 치과용 재료를 압접 혹은 전색시키는 접착 술식이 실시되어 왔다. 산에칭재를 사용한 이 접착 술식에서는, 산에칭재에 의한 에나멜질의 탈회에 의해 조조면이 형성되고, 치과용 재료의 침투 및 경화에 기초하는 매크로한 기계적 끼워 맞춤에 의해 접착 성능이 발현된다. 산에칭재는, 일반적으로 액체이므로, 도포 공정에 있어서의 양호한 작업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산에칭재는, 유동성이 높기 때문에, 목적 부위 이외로도 유동되어, 침투된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산에칭재가 목적 부위 이외로 유동된 경우에 있어서는, 탈회 부분의 노출에 의한 2 차 충치의 유발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또한, 산에칭재를 와동 형성 후의 상아질에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상아질 중의 유기 성분 (콜라겐) 이 변성되거나, 에어 건조시에 콜라겐이 수축되어 접착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도 지적되고 있다.
산에칭재에 의한 산처리 후,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을 적용하여 치면과 치과용 재료를 접착시키는 종래법 외에, 최근, 산에칭재에 의한 산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의 적용에 의해 치면과 치과용 재료를 접착시키는 접착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에 사용하는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은, 산성기를 분자 내에 갖는 접착성 모노머 (이하:산성 모노머) 를 배합함으로써, 치면을 탈회하는 산처리와, 모노머를 침투시키는 프라이머 처리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처리와 프라이머 처리를 동시에 실시하는 셀프 에칭 기능을 갖는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셀프 에칭 기능을 갖는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과도한 에나멜질의 탈회나 상아질의 콜라겐 변성 등의 문제점이 없고, 조작도 간편한 점에서 많은 제품군이 출시되게 되었다.
최근, 환자나 치과의에 있어서의 예방 의식의 향상에 의해 치과 의원에서의 치면으로의 불소 도포나, 가정 내에서의 양치질시에는 불소 배합 치약재가 사용되게 되어, 치면의 내산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확인된다. 이와 같이 치면의 내산성이 향상된 경우에 있어서는, 셀프 에칭 기능을 갖는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의 적용만으로는 접착 강도의 저하가 염려되고 있다. 특히 미연삭 에나멜질을 피착 대상으로 하는 소와열구 봉쇄 재료나 교정 재료에서는, 셀프 에칭 기능을 갖는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의 적용만으로는 탈회 작용이 불충분하게 되어 접착성의 저하가 심각한 문제가 된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서, 산성도를 낮춤으로써 탈회에 의한 치면으로의 데미지를 저감시킨 산에칭재가 이하에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유기 카르복실산 및 인산철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치과용 전처리제에 의해, 와동 형성 후의 상아질 표면에 있는 덴티널 플라그를 부분적으로 남기고, 치수로의 자극을 저감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분자량이 1000 ∼ 500000 인 고분자 화합물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체로 하는 용매에 용해시켜 구성되는 치과용 산처리제에 의해, 와동 형성 후의 상아질로의 과도의 탈회를 억제하여 치수 위해성을 저감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에서는 산성도를 약하게 하면서 상아질로의 데미지를 저감시키고 있지만, 미연삭 에나멜질 혹은 와동 형성 후의 에나멜질로의 접착성이 불충분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인산염을 용해시켜 함유하는 pH 가 3 이하인 산성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치과용 전처리제에 의해, 탈회 후의 상아질 표층의 콜라겐의 변성을 억제하여, 콜라겐 수축에 의한 접착 저해를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상아질로의 침투성이 높은 저점성의 산성 수용액을 사용하는 점에서, 탈회 부위가 상아질 표층에 국한되지 않고 심부에 도달하며, 그 결과, 치수 등으로의 위해 작용이 발생되기 쉽다는 과제가 있었다.
한편, 산에칭재에 중합 촉매를 첨가함으로써, 산처리 후에 사용하는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의 중합 반응을 촉진시키면서, 에나멜질 및 상아질에 대해 높은 접착 강도를 획득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4 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4 의 발명도 특허문헌 3 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상아질로의 침투성이 높은 저점성의 처리제이므로, 탈회 부위가 상아질 표층에 국한되지 않고 심부에 도달하며, 그 결과, 치수 등으로의 위해 작용이 발생되기 쉽다는 과제가 있었다. 동일하게 에나멜질에 대해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과도하게 탈회하기 쉬워지는 문제도 확인되었다. 또, 특허문헌 4 의 발명에 있어서는, 사용하는 중합 촉매의 종류에 의해, 상아질 또는 에나멜질 중 어느 것에 대한 접착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생겨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6311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468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81611호 일본 특허공보 350518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소하고, 치면에 대한 과탈회를 억제하면서,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함유되는 중합 촉매가 치면 상에 잔존함으로써,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의 중합 활성을 향상시키고, 치면에 대한 치과용 재료의 접착성을 높이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중합 촉매와 산성 화합물과 물과 증점재를 함유하는 겔 성상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로서, 그 pH (수소 이온 지수) 가 0.1 ∼ 0.9 의 범위 내인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의해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치면으로의 과탈회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또,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과 같이, pH 가 낮고 산성도가 높은 경우에 있어서도, 그 조성물이 겔 성상임으로써, 목적 부위의 표층에 그 조성물을 유지할 수 있고, 치면에 대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의 침투를 표층에 국한시킬 수 있으므로, 치수 등으로의 위해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잡한 형태의 와동 내부의 치면이라도, 본 발명에 관련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목적 부위 이외로 산성 조성물이 유동 및 침투하는 것에 의한 2 차 충치의 유발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목적으로 하는 부위의 충분한 탈회를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이 겔 성상을 나타냄에 따라, 미연삭 에나멜질 등에 시린지 등을 사용하여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도 우수하다.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에 중합 촉매를 첨가함으로써,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수세·제거 후에 있어서도, 치면이나 와동 표면에 있어서의 하이드록시어퍼타이트 및 콜라겐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치면이나 와동 표면에 중합 촉매가 잔존하는 것, 및 잔존한 중합 촉매에 의해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의 중합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또,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중합 촉매에 바르비투르산을 사용함으로써, 상아질 또는 에나멜질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보다 양호한 접착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적 부위 이외로 조성물이 유동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고, 치면에 대한 과탈회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충분한 탈회 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함유되는 중합 촉매가 치면 상에 잔존함으로써,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의 중합 활성을 향상시키고, 치면에 대한 치과용 재료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자 등에 의해, 치면에 대한 과탈회를 억제하면서,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함유되는 중합 촉매가 치면 상에 잔존함으로써,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의 중합 활성을 향상시키고, 치면에 대한 치과용 재료의 접착성을 높이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원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의해 내산성이 향상된 불소화한 에나멜질에 대해서는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상아질에 대해서는 상아질 중의 유기 성분 (콜라겐) 이 변성되는 것, 및 에어 건조시에 콜라겐이 수축되어 접착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발명에 의해, 상아질 및 에나멜질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우수한 접착 강도를 나타내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이 제공되고, 본원 발명은 에나멜질과 상아질을 동시에 처리하는 치면 처리제로서 적절하다.
도 1 은 #1200 번 에나멜질 연마면을 나타낸다.
도 2 는 실시예 1 에 기재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의한 에나멜질 처리면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있어서의 각 성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산성 화합물은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이외에, 또한 물에 용해시켜 산성을 나타내는 것이면 전혀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산성 화합물이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인 경우에는 공존하는 중합 촉매와 어떠한 반응이 일어나, 여러 가지 문제, 예를 들어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의 중합 반응, 중합 촉매의 활성 억제, 조성물의 성상 변화에 의한 보존 안정성의 저하 등이 발생한다.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산성 화합물을 예시하면, 인산, 염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펜탄산, 헥산산, 헵탄산, 옥탄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하이드록시벤조산, 트리하이드록시벤조산, 벤젠카르복실산 및 프탈산, 그리고 폴리아크릴산, 폴리이타콘산, 폴리말레산 등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산성 화합물을 단독 혹은 2 종 이상 조합하여 배합해도 된다.
산성 화합물은 사용하는 화합물에 따라 산성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그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pH 가 0.1 ∼ 0.9 의 범위 내가 되도록 배합할 필요가 있다.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pH 는 바람직하게는 0.1 ∼ 0.5 이다.
이들 범위로 pH 값을 가짐으로써 불소 도포 등에 의해 내산성이 향상된 미연삭 에나멜질에 대한 충분한 접착성이 얻어지고, 미연삭 에나멜질의 과탈회나 콜라겐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상아질로의 충분한 접착성을 나타내고, 치수로의 위해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pH 의 측정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이미 알려진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이온 교환수로 10 배 희석시키고, 이 희석액의 pH 를 유리 전극식 수소 이온 농도 지시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측정한 pH 로부터 1.0 을 뺀 값을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pH 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콜로이달 실리카,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증점재를 배합하여 겔 성상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증점재의 배합량은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100 질량% 에 대하여 2 ∼ 20 질량%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 ∼ 15 질량%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10 질량% 의 범위이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증점재를 배합시킴으로써,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점성이 저하되지 않고, 치면에 대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침투성이 적정하게 유지되고, 과도한 탈회를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에나멜질의 과탈회나 콜라겐의 변성에 의한 상아질로의 접착성 저하, 치수로의 위해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보틀 및 시린지 등의 용기로부터 직접 도포할 수 있는 점성을 가지게 된다. 또, 수세시에 있어서도,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치면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점도를 나타내므로, 우수한 조작성을 나타낸다. 또한, 치면에 대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침투가 충분히 진행되고, 효과적으로 탈회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점성은 유동 거리에 의해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점성이 상승하면 유동 거리는 저하되고, 점성이 저하되면 유동 거리는 증가하는 관계에 있다.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유동 거리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고, 0 ∼ 5 ㎜ 의 범위이면 전혀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 ∼ 3 ㎜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2 ㎜ 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유동 거리는 0.1 ∼ 3 ㎜ 의 범위여도 된다.
이와 같은 범위로 유동 거리를 나타내는 경우,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은 충분한 점성을 갖고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정되는 겔 성상을 갖는 것이 된다. 또, 겔 성상을 가짐으로써, 목적 부위의 표층에 그 조성물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치면에 대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의 침투를 표층에 국한시킬 수 있으므로, 에나멜질의 과탈회를 방지하고, 에나멜질에 대한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아질에 대해서는 상아질 중의 유기 성분 (콜라겐) 이 변성되는 것, 및 에어 건조시에 콜라겐이 수축하여 접착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상아질로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치수 등으로의 위해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복잡한 형태의 와동 내부의 치면이라도, 본 발명에 관련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목적 부위 이외로 산성 조성물이 유동 및 침투하는 것에 의한 2 차 충치의 유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은, 겔 성상이면서도, 예를 들어 시린지 등을 사용하여 도포할 수 있는 점성을 갖고, 또한, 도포 후에는 치아의 표면에 정치할 수 있는 점성을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은 틱소트로피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중합 촉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라디칼 발생제가 전혀 제한 없이 사용된다. 중합 촉매의 종류로는 화학 중합 촉매, 광 중합 촉매로 대별되지만, 중합 양식에 관계 없이 어느 것이라도 단독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화학 중합 촉매로는, 유기 과산화물/아민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아민 화합물/술핀산염, 유기 과산화물/아민 화합물/바르비투르산, 또는 유기 과산화물/아민 화합물/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레독스형의 중합 촉매계, 산소나 물과 반응하여 중합을 개시하는 유기 붕소 화합물류, 과붕산염류, 과망간산염류, 과 황산염류 등의 중합 촉매계를 들 수 있다.
유기 과산화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벤조일퍼옥사이드, 파라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아세틸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퍼옥사이드,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2,5-디메틸헥산, 2,5-디하이드로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퍼옥시벤조에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아민 화합물로는, 아민기가 아릴기에 결합한 제 2 급 또는 제 3 급 아민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N,N-디메틸-p-톨루이딘, N,N-디메틸아닐린, N-β-하이드록시에틸-아닐린, N,N-디(β-하이드록시에틸)-아닐린, N,N-디(β-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 N-메틸-아닐린, N-메틸-p-톨루이딘 등을 들 수 있다.
술핀산염류로서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벤젠술핀산나트륨, 벤젠술핀산리튬, p-톨루엔술핀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보레이트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트리알킬페닐붕소, 트리알킬(p-클로로페닐)붕소(알킬기는 n-부틸기, n-옥틸기, n-도데실기 등) 의 나트륨염, 리튬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테트라부틸암모늄염, 테트라메틸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붕소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트리피닐보란, 트리부틸보란, 트리부틸보란 부분 산화물 등이, 과붕산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과붕산나트륨 등이, 과망간산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과망간산암모늄, 과망간산갈륨, 과망간산나트륨 등이, 과황산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바르비투르산류로서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바르비투르산, 1,3-디메틸바르비투르산, 1,3-디페닐바르비투르산, 1,5-디메틸바르비투르산, 5-부틸바르비투르산, 5-에틸바르비투르산, 5-이소프로필바르비투르산, 5-시클로헥실바르비투르산, 1,3,5-트리메틸바르비투르산, 1,3-디메틸-5-에틸바르비투르산, 1,3-디메틸-n-부틸바르비투르산, 1,3-디메틸-5-이소부틸바르비투르산, 1,3-디메틸-5-tert-부틸바르비투르산, 1,3-디메틸-5-시클로펜틸바르비투르산, 1,3-디메틸-5-시클로헥실바르비투르산, 1,3-디메틸-5-페닐바르비투르산, 1-시클로헥실-5-에틸바르비투르산, 1-벤질-5-페닐바르비투르산, 티오바르비투르산류 및 N-시클로헥실-5-프로필바르비투르산, 그리고 이들의 염 (특히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5-부틸바르비투르산나트륨, 1,3,5-트리메틸바르비투르산나트륨, 1,3,5-트리메틸바르비투르산칼슘, 및 1-시클로헥실-5-에틸바르비투르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광 중합 촉매로는, 광 증감제만의 계로 이루어지는 것 또는 광 증감제/광 중합 촉진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광 중합 촉매로서 사용할 수 있는 광 증감제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벤질, 캠퍼퀴논, α-나프틸, 아세토나프센, p,p'-디메톡시벤질, p,p'-디클로로벤질아세틸, 펜탄디온, 1,2-페난트렌퀴논, 1,4-페난트렌퀴논, 3,4-페난트렌퀴논, 9,10-페난트렌퀴논, 나프토퀴논 등의 α-디케톤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등의 벤조인알킬에테르류,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메톡시티오크산톤, 2-하이드록시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의 티오크산톤류, 벤조페논, 아세토인벤조페논, p-클로로벤조페논, p-메톡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류,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아실포스핀옥사이드류, 2-벤질-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2-벤질-디에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프로파논-1 등의 α-아미노아세토페논류, 벤질디메틸케탈, 벤질디에틸케탈, 벤질(2-메톡시에틸케탈) 등의 케탈류,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비스[2,6-디플루오로-3-(1-피롤릴)페닐]-티탄,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비스(펜탄플루오로페닐)-티탄,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비스(2,3,5,6-테트라플루오로-4-디실록시페닐)-티탄 등의 티타노센류 등을 들 수 있다.
광 중합 촉매로서 사용할 수 있는 광 중합 촉진제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N,N-디메틸아닐린, N,N-디에틸아닐린, N,N-디-n-부틸아닐린, N,N-디벤질아닐린, N,N-디메틸-p-톨루이딘, N,N-디메틸-m-톨루이딘, N,N-디에틸-p-톨루이딘, p-브로모-N,N-디메틸아닐린, m-클로로-N,N-디메틸아닐린, p-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p-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p-디메틸아미노벤조산,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아미노에스테르, N,N-디메틸안트라닐산메틸에스테르, N,N-디하이드록시에틸아닐린, N,N-디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 p-디메틸아미노페닐알코올, p-디메틸아미노스티렌, N,N-디메틸-3,5-자일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α-나프틸아민, N,N-디메틸-β-나프틸아민, 트리부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리에틸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N-에틸디에탄올아민, N,N-디메틸헥실아민, N,N-디메틸도데실아민, N,N-디메틸스테아릴아민,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2,2'-(n-부틸이미노)디에탄올 등의 제 3 급 아민류, N-페닐글리신 등의 제 2 급 아민류, 5-부틸바르비투르산, 1-벤질-5-페닐바르비트르, 1,3,5-트리메틸바르비투르산, 1,3,5-트리메틸바르비투르산나트륨, 1,3,5-트리메틸바르비투르산칼슘산 등의 바르비투르산류, 디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옥틸주석디버사테이트, 디옥틸주석비스(메르캅토아세트산이소옥틸에스테르)염, 테트라메틸-1,3-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 등의 주석 화합물류, 라우릴알데히드, 테레프탈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 화합물류, 도데실메르캅탄, 2-메르탑토벤조옥사졸, 1-데칸티올, 티오살리실산 등의 함황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 촉매 중에서도,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수세에 의해 제거한 후에 있어서도, 치면이나 와동 표면에 있어서의 하이드록시어퍼타이트나 콜라겐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그들 표면에 잔존하기 쉽고, 또 치과용 접착 조성물과의 중합 반응에 기여하는 관점에서 하기의 일반식 [1] 로 나타낼 수 있는 바르비투르산 또는 그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부틸바르비투르산, 1,3,5-트리메틸바르비투르산, 1-시클로헥실-5-에틸바르비투르산 및 1-벤질-5-페닐바르비투르산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식 중, R1, R2 및 R3 은 동일 혹은 상이해도 되고, 각각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시클로헥실기 등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지방족, 방향족, 지환식 또는 복소 고리형 잔기 혹은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사용하는 중합 촉매의 배합량은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100 질량% 에 대하여 0.1 ∼ 25 질량%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2 ∼ 10 질량%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2.0 질량% 의 범위이다. 이와 같은 범위에 중합 촉매의 배합을 가짐으로써, 양호한 접착성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물은 의료용 성분으로서 임상상 수용되고,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성분 그리고 접착 효과에 유해한 불순물을 본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면 하등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류수 (또는 정제수) 또는 이온 교환수 (또는 탈이온수) 가 바람직하다. 물의 배합량은 중합 촉매 및 산성 화합물의 합계 배합량의 100 질량% 로부터 뺀 양이고, 배합량은 10 ∼ 98 질량% 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20 ∼ 70 질량%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60 질량% 의 범위이다. 물의 배합량이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므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점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치면에 대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침투성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탈회가 과도하게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에나멜질의 과탈회나 콜라겐의 변성에 의한 상아질로의 접착성 저하, 치수로의 위해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불소 도포 등에 의해 내산성이 향상된 미연삭 에나멜질에 대한 접착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착색재를 배합할 수도 있다. 착색재의 종류 및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치면 도포시에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존재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또한 수세시에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이 치면 상에 남아 있지 않은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무기 착색제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황연, 아연납, 바륨황 등의 크롬산염;감청 등의 페로시안화물;은주), 카드뮴황, 황화아연, 안티몬백, 카드뮴 레드 등의 황화물;황산바륨, 황산아연, 황산스트론튬 등의 황산염;아연화, 티탄백, 벵갈라, 철흑, 산화크롬 등의 산화물;수산화알루미늄 등의 수산화물;규산칼슘, 군청 등의 규산염;카본 블랙, 그래파이트 등의 탄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착색재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나프톨 그린 B, 나프톨 그린 Y 등의 니트로소계 안료;나프톨 S, 리톨 퍼스트 옐로우 2G 등의 니트로계 안료, 퍼머넌트 레드 4R, 브릴리언트 퍼스트 스칼렛, 한자 옐로우, 벤지딘 옐로우 등의 불용성 아조계 안료;리톨 레드, 레이크 레드 C, 레이크 레드 D 등의 난용성 아조계 안료;브릴리언트 카민 6B, 퍼머넌트 레드 F5R, 피그먼트 스칼렛 3B, 보르도 10B 등의 가용성 아조계 안료;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스카이 블루 등의 프탈로시아닌계 안료;로다민 레이크, 말라카이트 그린 레이크, 메틸 바이올렛 레이크 등의 염기성 염료계 안료;피콕 블루 레이크, 에오신 레이크, 퀴놀린 옐로우 레이크 등의 산성 염료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또,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는, 불소 서방성 재료, 변색 방지제, 항균재, 그 밖의 종래 공지된 첨가제 등의 성분을 필요에 따라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재 조성물의 포장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 팩 및 2 팩 포장 형태, 또는 그 이외의 형태 모두 가능하고, 용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조제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접착 시험용 포매 에나멜질 (내산성이 향상된 에나멜질) 의 제작
도살 후, 발거한 우치 하악 영구치 중절치를 24 시간 이내에 냉동 보존한 것을 해동 후, 치근부의 제거 및 치관부의 절단을 실시하여 우치 세편을 제작하고, 그 우치 세편을 에폭시 수지로 포매를 실시하였다. 그 포매 우치를 주수하, #600 번의 내수 연마지로 에나멜질을 노출시켰다.
그 후, 에나멜질을 노출시킨 포매 우치를 불화나트륨 수용액 (불소 농도 1000 ppm) 에 1 개월 침지시키고, 내산성이 향상된 에나멜질을 제작하였다.
(2) 접착 시험용 포매 상아질의 제작
우치 에나멜질과 마찬가지로 절단·포매한 우치를 주수하, #600 번의 내수 연마지로 상아질을 노출시켰다.
(3) 접착 시험
내산성이 향상된 에나멜질 및 상아질을 건조시켰다. 이 노출시킨 에나멜질 또는 상아질에 직경 4 ㎜ 의 구멍이 뚫린 양면 테이프를 붙여 접착면을 규정하였다. 그 규정한 접착면에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치면 컨디셔닝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30 초 후, 수세·건조를 실시하였다. 그 후, 셀프 에칭 기능을 갖는 치과용 접착 조성물인 뷰티 본드 멀티를 사용하여 메이커 지시대로의 방법으로 접착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그 접착 처리한 면에 플라스틱 몰드 (내경 4 ㎜, 높이 2 ㎜) 를 고정시키고, 광 중합형 콤퍼짓 레진 (뷰티필 II, 주식회사 쇼후 제조) 을 그 몰드 내부에 충전하고, 광 중합 조사기 (그립라이트 II, 주식회사 쇼후 제조) 를 사용하여 20 초간 광 조사를 실시하여 경화시켰다. 경화 후, 몰드를 제거하고, 그것을 접착 시험체로 하였다. 이 접착 시험체를 37 ℃ 증류수 중에 24 시간 침지 후, 인스트론 만능 시험기 (인스트론 5567, 인스트론사 제조) 를 사용하여 크로스 헤드 스피드 1 ㎜/분으로 전단 접착 강도에 의한 치질 접착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체수는 6 개로 하고 그 평균값을 접착 강도로 하였다. 또한, 비교예 1 은 치면 컨디셔닝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뷰티 본드 멀티에 의한 접착 조작 및 뷰티필 II 에 의한 충전 조작을 실시하였다.
(4) 유동성 시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0.03 g 을 유리판 상에 정치하였다. 그 후, 30 초간 유리판을 수직으로 하였다. 30 초 후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이 유동한 유동 거리를 측정하였다.
(5) 처리면의 관찰
도살 후, 발거한 우치 하악 영구치 중절치를 24 시간 이내에 냉동 보존한 것을 해동 후, 치근부의 제거 및 치관부의 절단을 실시하여 우치 세편을 제작하고, 그 우치 세편을 에폭시 수지로 포매를 실시한다. 그 포매 우치를 주수하, #600 번의 내수 연마지로 에나멜질을 노출시키고, #1200 번에 있어서 최종 연마를 실시하였다.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사용하여 30 초간 처리하고, 수세 및 건조를 실시하였다. 처리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으로 표면 관찰을 실시하였다.
(6)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pH 의 측정 방법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이온 교환수로 10 배 희석시키고, 이 희석액의 pH 를 유리 전극식 수소 이온 농도 지시계 (pH METERF-22, 호리바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측정한 pH 로부터 1.0 을 뺀 값을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pH로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성분명 및 그 약호를 이하에 나타낸다.
PAA : 폴리아크릴산
TMBA : 1,3,5-트리메틸바르비투르산
CPBA : N-시클로헥실-5-프로필바르비투르산
#200 : AEROSIL (등록상표) 200
표 1 에 있어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사용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조성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표 2 에 있어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10 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은 pH 의 범위가 0.1 ∼ 0.9 에 있고, 내산성이 향상된 에나멜질에 대해서도 양호한 탈회 작용을 나타내고, 에나멜질에 대한 접착 강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그들의 유동 거리가 0 ∼ 1.8 ㎜ 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이 상아질의 심부에까지 침투하여 콜라겐 섬유를 변성하지 않고, 또, 에어 건조시에 콜라겐이 수축되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상아질에 대한 양호한 접착 강도가 확인되었다. 또, 실시예 1 ∼ 10 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첨가된 중합 촉매의 효과에 의해,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의한 산처리 후에 사용한 뷰티 본드 멀티의 중합 활성이 향상되고, 특히 상아질에 대한 접착 강도가 향상되었다.
한편, 표 2 의 비교예 1 은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고, 뷰티 본드 멀티만을 사용하여 접착 시험을 실시한 결과이다. 불소화 처리에 의해 내산성이 향상된 에나멜질에 대해서는 접착 강도가 부족하고,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고 뷰티 본드 멀티만을 적용한 경우, 내산성이 향상된 에나멜질에 대해 충분한 탈회 작용이 얻어지지 않는 것이 분명해졌다.
비교예 2 및 3 에서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배합한 산성 화합물의 배합량이 적고, 그들의 pH 가 1.0 이상이었다. 이 영향에 의해 탈회 작용이 부족하여 내산성이 향상된 에나멜질에 대한 접착 강도가 저하되었다. 그 반대로, 비교예 4 는 산성 화합물의 배합량이 많아 pH 가 0.1 을 하회하였다. 그 결과, 내산성이 향상된 에나멜에 대한 접착 강도는 높기는 하지만, 상아질에 대해 과도한 탈회를 일으켜 상아질로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었다.
비교예 5 는 증점재를 배합하지 않기 때문에, 점성이 저하되어 유동 거리가 9.5 ㎜ 였다. 이 점으로부터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상아질에 대한 침투가 촉진되어, 심부까지 탈회가 미친다는 점에서 상아질에 대한 접착 강도가 저하된 것으로 생각된다.
비교예 6 은 증점재를 과잉으로 배합했기 때문에,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점성이 상승하여 성상이 고체가 되었다. 이 때문에, 시린지나 보틀 용기로부터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토출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또한, 치면에 대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침투가 저하됨으로써 에나멜질에 대한 접착 강도가 저하되었다.
비교예 7 은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중합 촉매를 배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의한 산처리 후에 사용한 뷰티 본드 멀티의 중합 활성이 향상되지 못하고, 상아질에 대한 접착 강도가 저하되었다.
비교예 8 의 조성물은 고체이기 때문에, 비교예 6 과 마찬가지로 시린지나 보틀 용기로부터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토출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또한, 치면에 대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침투가 저하됨으로써 에나멜질에 대한 접착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비교예 9 는 증점제를 배합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점성이 저하되고, 목적으로 하는 부분으로 처리할 때의 조작성이 나쁘다. 또, 비교예 5 와 마찬가지로 상아질의 심부까지 탈회되어, 접착 강도가 저하되었다.
비교예 10 의 조성물은 겔상이지만, pH 가 0.05 였다. 접착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상아질의 탈회가 진행되어, 상아질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었다.
비교예 11 의 조성물은 겔상이지만, pH 가 2.7 이었다. 접착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불소화한 에나멜질에 대한 탈회력이 부족하여, 접착 강도가 저하되었다.
(SEM 관찰)
도 1 에 #1200 번 에나멜질 연마면을, 도 2 에 실시예 1 에 기재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의한 에나멜질 처리면을 나타낸다. 도 2 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의한 에나멜질 처리면은, 접착 불량의 원인이 되는 스미어층을 제거하면서, 탈회가 치질 표층에만 한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교정 재료, 소와열구 봉쇄 재료, 수복 재료, 치관 재료, 보철 재료, 지대 축조 재료, 근관 재료 등의 치과용 재료를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에 의해 치면에 접착할 때에 있어서, 치과용 접착성 조성물을 적용하기 전의 치면 처리에 사용하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이 제공된다.

Claims (6)

  1. 중합 촉매와 산성 화합물과 물과 증점재를 함유하는 겔 성상의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로서, 그 pH (수소 이온 지수) 가 0.1 ∼ 0.9 의 범위 내인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산성 화합물이 인산, 염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펜탄산, 헥산산, 헵탄산, 옥탄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하이드록시벤조산, 트리하이드록시벤조산, 벤젠카르복실산 및 프탈산, 그리고 폴리아크릴산, 폴리이타콘산, 폴리말레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 촉매가 바르비투르산 또는 그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착색재를 배합하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유동 거리가 0 ∼ 2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점재의 배합량이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100 질량% 에 대하여 2 ∼ 20 질량% 의 범위인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KR1020150107263A 2014-08-01 2015-07-29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KR102363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58169A JP6282557B2 (ja) 2014-08-01 2014-08-01 歯科用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JPJP-P-2014-158169 2014-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643A true KR20160016643A (ko) 2016-02-15
KR102363213B1 KR102363213B1 (ko) 2022-02-14

Family

ID=53758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263A KR102363213B1 (ko) 2014-08-01 2015-07-29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68943B2 (ko)
EP (1) EP2979678A1 (ko)
JP (1) JP6282557B2 (ko)
KR (1) KR102363213B1 (ko)
CN (1) CN105310888B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182A (ko) 1973-05-16 1975-01-20
JPH05163111A (ja) 1991-12-19 1993-06-29 Tokuyama Soda Co Ltd 歯科用前処理剤
JPH05246817A (ja) 1992-03-03 1993-09-24 Mitsubishi Rayon Co Ltd 歯科用酸処理剤
US5707611A (en) * 1994-04-08 1998-01-13 Kabushiki Kaisha Shofu Tooth surface treating agent
JPH1081611A (ja) 1996-09-06 1998-03-31 San Medical Kk 歯科用前処理剤
JPH11180814A (ja) * 1997-12-24 1999-07-06 Gc:Kk 歯質接着剤セット
KR20060015287A (ko) * 2003-05-23 2006-02-16 울트라덴트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얇은 가요성 장벽층 및 내골격 치료 또는 접착 조성물을포함하는 구강 치료 장치
US20070009449A1 (en) * 2005-02-25 2007-01-11 Kanca John A Iii Dental gel etchants
KR20090082348A (ko) * 2006-10-30 2009-07-30 산메디카루 가부시키가이샤 치과용 셀프 에칭 프라이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21578A1 (de) * 1988-06-25 1989-12-28 Bayer Ag Fluessigkeit zur konditionierung von zahn- oder knochensubstanz
US5258067A (en) 1988-06-25 1993-11-02 Bayer Aktiengesellschaft Liquid for conditioning tooth or bone substance
US6537563B2 (en) * 2000-05-11 2003-03-25 Jeneric/Pentron, Inc. Dental acid etch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AU2010201886A1 (en) * 2010-05-11 2011-12-01 Gc Corporation Method of tooth surface treatment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182A (ko) 1973-05-16 1975-01-20
JPH05163111A (ja) 1991-12-19 1993-06-29 Tokuyama Soda Co Ltd 歯科用前処理剤
JPH05246817A (ja) 1992-03-03 1993-09-24 Mitsubishi Rayon Co Ltd 歯科用酸処理剤
US5707611A (en) * 1994-04-08 1998-01-13 Kabushiki Kaisha Shofu Tooth surface treating agent
JPH1081611A (ja) 1996-09-06 1998-03-31 San Medical Kk 歯科用前処理剤
JPH11180814A (ja) * 1997-12-24 1999-07-06 Gc:Kk 歯質接着剤セット
KR20060015287A (ko) * 2003-05-23 2006-02-16 울트라덴트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얇은 가요성 장벽층 및 내골격 치료 또는 접착 조성물을포함하는 구강 치료 장치
US20070009449A1 (en) * 2005-02-25 2007-01-11 Kanca John A Iii Dental gel etchants
KR20090082348A (ko) * 2006-10-30 2009-07-30 산메디카루 가부시키가이샤 치과용 셀프 에칭 프라이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9678A1 (en) 2016-02-03
JP2016034921A (ja) 2016-03-17
US9668943B2 (en) 2017-06-06
KR102363213B1 (ko) 2022-02-14
CN105310888A (zh) 2016-02-10
CN105310888B (zh) 2019-05-21
JP6282557B2 (ja) 2018-02-21
US20160030294A1 (en)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p et al. Influence of eugenol-containing temporary restorations on bond strength of composite to dentin
US7226960B2 (en) Self-etching primer adhesive and method of use therefor
US20060084717A1 (en) Dental self-etch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JPH11180814A (ja) 歯質接着剤セット
JP2002514204A (ja) 粘着性、抗菌性および/または修復的象牙質刺激歯科用組成物およびこれらの組成物の生成および使用方法
EP3606493A1 (en) Dental ce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JP5191486B2 (ja) 反応硬化性接着性組成物および歯科用接着材キット
JP3449755B2 (ja) 接着剤セット
JPH10114615A (ja) 歯科用または外科用接着性組成物
JP2006225350A (ja) 部分再修復歯科治療用の接着剤組成物
US20020019456A1 (en) Self-etching primer and method of use therefor
Garcia et al. Effect of activation mode of dual-cured resin cements and low-viscosity composite liners on bond strength to dentin
EP2949310B1 (en) Dental temporary sealing material comprising an ion sustained-release glass
KR20160016643A (ko) 치과용 컨디셔닝 조성물
US8987345B2 (en) Dental bonding agent and coating agent
Uno et al. In vitro sealing performance of two one-step adhesive systems in cervical cavities.
JPS61275205A (ja) 歯牙表面処理剤
JPH06122608A (ja) 歯科用接着プライマー及び象牙質前処理剤
JP5611644B2 (ja) 歯科用接着性組成物およびキット
JPH1077205A (ja) 歯科用接着剤セット
KR102585562B1 (ko) 치과용 임시 레진 시멘트 조성물
US20240139075A1 (en) Dental material compositions for cleansing, etching, and identifying residual caries & their methods of use
Suresh et al. Bonding System for Restorative Materials–A Review
JP2017057195A (ja) レジン硬化体に接着可能な歯科用プライマー組成物
US10206857B2 (en) Dental primer composition having adhesive property to resin cured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