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622A -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622A
KR20160013622A KR1020140095626A KR20140095626A KR20160013622A KR 20160013622 A KR20160013622 A KR 20160013622A KR 1020140095626 A KR1020140095626 A KR 1020140095626A KR 20140095626 A KR20140095626 A KR 20140095626A KR 20160013622 A KR20160013622 A KR 20160013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xed
intake tower
plate
wate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2110B1 (ko
Inventor
전유석
Original Assignee
전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유석 filed Critical 전유석
Priority to KR1020140095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110B1/ko
Publication of KR2016001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4Free-flow canals or flumes; Int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수탑의 취수구를 직접 막아 수류를 차단하면서 수문보수가 가능하고 수문을 제거한 후에 제거된 수문을 대신하여 수문 역할을 하게 되는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며, 취수탑(1)의 취수구(3)에 고정플레이트(10)가 취수탑(1) 내측에서 고정되되 고정플레이트(10)에 삽입관부(12)가 형성되어 취수구(3)에 삽입되어 취수탑(1)의 내벽면에 고정되고, 고정플레이트(10)와 취수탑(1)의 벽면 사이에 피형가스켓(10)이 설치되며, 고정플레이트(10)에 게이트밸브(30)가 연결되어 설치되되 삽입관부(12)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게이트밸브(30)에 티형관(40)이 고정되되 게이트밸브(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티형관(40)이 고정되고, 티형관(40)의 단부인 막힘단(44)이 서포터(60)에 의하여 지지판(50)에 지지되되 지지판(50)의 판체(51)는 취수탑(1)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 { A blocking device for replacing a sluice gate of a vertical intake tower }
본 발명은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취수탑의 취수구를 직접 막아 수류를 차단하면서 수문보수가 가능하고 수문을 제거한 후에 제거된 수문을 대신하여 수문 역할을 하게 되는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수탑은 강이나 하천의 이용수심이 큰 각종 저수지나 댐 등지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운데가 빈 원통형의 건물로 구비되며 외벽에는 높이에 따라 여러 단의 취수공(取水孔)을 두고 이 취수공에는 수문을 설치하여 적당한 수심으로부터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취수탑의 수문은 노후화되거나 고장이 나면 교체를 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취수탑의 수문을 교체하기 위해 잠수부들이 물속에 들어가서 별도의 대형 물막이장치를 수문이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 방법은 상기 물막이장치를 취수탑의 외벽에 고정하여 취수탑에 설치된 전체 수문을 감싸도록 한 다음에 수문을 열어 상기 물막이장치의 내에 있는 물을 취수탑의 내부와 취수터널(일명 '복통'이라고도 함)을 통해 배출시키고, 물이 배출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물막이장치의 내부로 들어가 수문을 교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수문의 교체가 완료되면 수문을 폐쇄한 후에 잠수부가 물속으로 들어가 취수탑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는 대형의 물막이장치를 해체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작업자가 대형의 구조물인 물막이장치를 취수탑의 외벽에 설치 및 해체하기 위해서는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중장비가 사용되는 등 물막이장치와 같은 대형 구조물을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우면서 동시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형 구조물인 물막이장치와 취수탑의 외벽 사이의 밀착부위에는 방수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 밀착부위를 완전하게 방수시키기는 매우 어렵고 이 또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문은 상당히 중량의 장치이므로 작업자가 물이 빠진 물막이장치와 취수탑의 내부에서 이를 이동시키거나 취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08년 특허출원 제 0039411호에서, 취수탑의 외벽에 별도의 대형 물막이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수문의 교체가 원활하면서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수문 교체에 사용되는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최소화되도록 하고 수문의 교체 작업 시에 작업자가 수문의 이동 및 취급이 매우 용이해지도록 하는 취수탑의 수문 교체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 기술에서 취수터널의 입구를 손쉽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취수탑의 수문 교체에 사용되는 차수장치가 구비되고, 취수터널의 입구에 설치되는 차수벽을 통해 작업자가 취수탑 및 취수터널로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취수탑의 수문 교체에 사용되는 차수장치가 공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차수장치는 취수터널의 입구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차수판과, 취수터널의 입구 둘레에 대응하여 상기 차수판의 전면둘레에 부착되는 고무패킹과, 상기 차수판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차수판을 지지하는 판지지부를 갖는 차수벽과; 상기 차수벽의 배면과 취수탑의 내부면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차수벽을 지지하는 다수의 벽지지대와; 취수탑의 내부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벽지지대에 교차되게 설치되어 상기 벽지지대를 지지하는 다수의 교차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차수장치는 취수터널의 입구에 밀착되도록 차수판이 구비되고, 차수판 뒤의 공간을 판지지부로 지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차수판이 취수터널 입구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공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재의 절단과 길이 맞춤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차수장치 수문이 제대로 설치되고 닫혔는지, 물을 빼는 과정에서는 알 수 없어서 사고 발생이나 기타 문제 발생의 우려가 있다.
또한 취수터널로 자재를 이송하여 취수터널 내에서 절단 및 용접이나 볼팅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문을 교체하고 나면 취수터널을 막았던 차수장치를 다시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수문을 교체하는 작업 중에는 물을 취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고장난 수문을 교체한 후에 별도의 수문을 설치하지 않고 차수를 위해 설치하였던 구조물을 수문으로 대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일단 차수구조물을 설치한 후에는 수문을 제거하거나 보수하는 동안에도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취수탑의 수문 교체에 사용되는 차수장치에 있어서, 취수탑(1)의 취수구(3)에 고정플레이트(10)가 취수탑(1) 내측에서 고정되되 고정플레이트(10)에 삽입관부(12)가 형성되어 취수구(3)에 삽입되어 취수탑(1)의 내벽면에 고정되고, 고정플레이트(10)와 취수탑(1)의 벽면 사이에 피형가스켓(10)이 설치되며, 고정플레이트(10)에 게이트밸브(30)가 연결되어 설치되되 삽입관부(12)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게이트밸브(30)에 티형관(40)이 고정되되 게이트밸브(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티형관(40)이 고정되고, 티형관(40)의 단부인 막힘단(44)이 서포터(60)에 의하여 지지판(50)에 지지되되 지지판(50)의 판체(51)는 취수탑(1)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플레이트(10)는 취수탑(1)의 내경 벽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판체(11)가 형성되고, 판체(11)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중공의 삽입관부(12)가 형성되되 삽입관부(12)의 후단에 플랜지(12-1)가 형성되며, 피형가스켓(20)은 단면이 P형상으로 눌림부(22)와 고정부(21)가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부(21)는 고정플레이트(10)의 판체(11) 둘레를 따라 고정되며, 눌림부(22)는 취수탑(1)의 내경 벽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게이트밸브(30)의 몸체(31) 전후를 관통하도록 유입구(32)와 배출구(33)가 형성되고, 유입구(32)와 배출구(33) 사이가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밸브로드(34)가 형성되며, 밸브로드(34)는 연장로드(34-1)에 연결되어 취수탑(1)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35)와 연결되고, 티형관(40)은 수평관부(41)와 수직관부(42)가 T형상으로 형성되고, 수평관부(41)의 일단에 둘레에 플랜지(43)가 형성되어 게이트밸브(30)의 배출구(33) 플랜지(33-1)와 결합되며, 수평관부(41)의 타단은 막혀 있는 막힘단(44)으로 이루어지고, 수직관부(42)의 하단을 통해 취수된 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10)의 판체(11) 후면에 다수개의 격벽(13)이 형성되어 판체(11)의 오무려진 부분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취수탑의 취수구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에 게이트밸브를 고정하고, 게이트밸브 조작을 통한 물의 유입 여부를 선택하게 하여 일단 차수구조물을 설치한 후에는 수문을 제거하거나 보수하는 동안에도 물을 취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장난 수문을 교체한 후에 별도의 수문을 설치하지 않고 차수를 위해 설치하였던 구조물을 수문으로 대신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수문 설치 비용과 시간이 절감되고 차수 구조물의 해체 시간이 절감되므로 빠른 시간내에 수문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취수탑의 서로 마주보는 벽면을 서포터로 압착하게 되므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으며, 취수탑 상부에서 손잡이로 간편하게 게이트밸브를 열어 취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의 고정플레이트와 피형가스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의 티형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취수구(3)를 개폐할 수 있는 수단을 취수탑(1)의 취수구(3)에 직접 설치하고, 기존의 수문(2)은 제거하여 고장난 수문을 보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수문(2)을 제거한 후에는 수문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취수탑(1)의 취수구(3)로 부터 물을 유입시키되 게이트밸브(3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플레이트(10)가 구비되고, 취수탑(1)의 취수구(3)에 고정플레이트(10)가 취수탑(1) 내측에서 고정된다.
고정플레이트(10)의 판체(11)에 원통형 관체 형상의 삽입관부(12)가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10)의 전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취수구(3)에 삽입되어 취수탑(1)의 내벽면에 고정된다.
고정플레이트(10)는 취수탑(1)의 내경 벽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판체(11)가 형성되고, 판체(11)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중공의 삽입관부(12)가 형성되되 삽입관부(12)의 후단에 플랜지(12-1)가 형성된다. 삽입관부(12)의 플랜지(12-1)는 게이트밸브(30)의 일측과 고정되어 삽입관부(12)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고정플레이트(10)의 판체(11) 후면에는 다수개의 격벽(13)이 형성되어 판체(11)의 오무려진 부분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플레이트(10)와 취수탑(1)의 벽면 사이에 피형가스켓(10)이 설치되어 취수구(3)와 삽입관부(12)의 외경 사이 틈을 통해 스며든 물이 취수탑(1) 내부로 들어오지 않도록 취수탑(1) 벽면과 고정플레이트(10) 사이를 밀봉시켜준다.
피형가스켓(20)은 단면이 P형상으로 눌림부(22)와 고정부(21)가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부(21)는 고정플레이트(10)의 판체(11) 둘레를 따라 볼트 등으로 고정되며, 눌림부(22)는 취수탑(1)의 내경 벽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눌림부(22)는 내부가 비어 있는 반원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있어서, 취수탑(1)의 내벽면에 밀착되면 눌려져 벽면과 고정플레이트(10) 사이의 틈을 메워주게 된다.
게이트밸브(30)는 취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차단하거나 취수탑 내로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게이트밸브를 사용하면 된다. 단지 본 발명에서 게이트밸브(30)는 몸체(31) 전후를 관통하도록 유입구(32)와 배출구(33)가 형성되고, 유입구(32)와 배출구(33)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밸브로드(34)가 형성된다.
밸브로드(34)는 연장로드(34-1)에 연결되어 취수탑(1)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35)와 연결되고, 손잡이(35)를 작동시켜 게이트밸브(30)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유입구(32)와 배출구(33)의 각각 단부에 플랜지(32-1)(33-1)가 형성되어 유입구(32)의 플랜지(32-1)는 고정플레이트(10)의 삽입관부(12)에 형성된 플랜지(12-1)와 체결되어 고정되고, 배출구(33)의 플랜지(33-1)는 티형관(40)의 플랜지(43)와 체결되어 고정된다.
게이트밸브(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고정된 티형관(40)은 수평관부(41)와 수직관부(42)가 T형상으로 형성되고, 수평관부(41)의 일단에 둘레에 플랜지(43)가 형성되어 게이트밸브(30)의 배출구(33) 플랜지(33-1)와 결함된다.
그리고 수평관부(41)의 타단은 막혀 있는 막힘단(44)으로 이루어지고, 막힘단(44)이 서포터(60)에 의하여 지지판(50)에 지지되되 지지판(50)의 판체(51)는 취수탑(1)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티형관(40)의 수직관부(42)의 하단을 통해 취수된 물이 배출된다.
취수탑(1)의 수문(2)이 고장나서 보수하거나, 취수탑(1)의 수문을 만들려고 할 때, 본 발명의 구성을 사용하면 간편하게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할 수 있다.
취수구(3)에 고정플레이트(10)의 삽입관부(12) 일단을 삽입한 후 볼트로 판체(11)를 취수탑(1)의 내벽면에 고정하고, 고정플레이트(10)의 삽입관부(12) 타단을 게이트밸브(30)에 고정하며, 게이트밸브(30)에 티형관(40)을 고정하여 물이 하방으로 흐르도록 방향을 전환하여 줄 뿐만 아니라 서포터(60)로 취수탑(1) 벽면과 티형관(40)의 막힘단(44)을 압박하여 지지하여 준다.
취수탑(1) 상부에서 손잡이(35)를 돌리면, 게이트밸브(30)가 열려 취수구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티형관(40)의 수직관부(42)를 통해 물이 공급된다.
본 발명은 수문을 보수하기 위한 공사일 경우 수문을 보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하여 취수탑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문을 완전히 제거하고 별도의 수문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수문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문을 보수하는 작업 중에도 물을 보내거나 물을 막는 작업을 할 수 있어 유용하다.
1 : 취수탑 2 : 수문
3 : 취수구 10 : 고정플레이트
11 : 판체 12 : 삽입관부
12-1 : 플랜지 13 : 격벽
20 : 피형가스켓 21 : 고정부
22 : 눌림부 30 : 게이트밸브
31 : 몸체 32 : 유입구
33 : 배출구 32-1, 33-1 : 플랜지
34 : 밸브로드 40 : 티형관
41 : 수평관부 42 : 수직관부
43 : 플랜지 44 : 막힘단
50 : 지지판 51 : 판체
60 : 서포터

Claims (3)

  1. 취수탑의 수문 교체에 사용되는 차수장치에 있어서,
    취수탑(1)의 취수구(3)에 고정플레이트(10)가 취수탑(1) 내측에서 고정되되 고정플레이트(10)에 삽입관부(12)가 형성되어 취수구(3)에 삽입되어 취수탑(1)의 내벽면에 고정되고,
    고정플레이트(10)와 취수탑(1)의 벽면 사이에 피형가스켓(10)이 설치되며,
    고정플레이트(10)에 게이트밸브(30)가 연결되어 설치되되 삽입관부(12)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게이트밸브(30)에 티형관(40)이 고정되되 게이트밸브(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티형관(40)이 고정되고,
    티형관(40)의 단부인 막힘단(44)이 서포터(60)에 의하여 지지판(50)에 지지되되 지지판(50)의 판체(51)는 취수탑(1)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플레이트(10)는 취수탑(1)의 내경 벽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판체(11)가 형성되고, 판체(11)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중공의 삽입관부(12)가 형성되되 삽입관부(12)의 후단에 플랜지(12-1)가 형성되며,
    피형가스켓(20)은 단면이 P형상으로 눌림부(22)와 고정부(21)가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부(21)는 고정플레이트(10)의 판체(11) 둘레를 따라 고정되며, 눌림부(22)는 취수탑(1)의 내경 벽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게이트밸브(30)의 몸체(31) 전후를 관통하도록 유입구(32)와 배출구(33)가 형성되고, 유입구(32)와 배출구(33)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밸브로드(34)가 형성되며, 밸브로드(34)는 연장로드(34-1)에 연결되어 취수탑(1)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35)와 연결되고,
    티형관(40)은 수평관부(41)와 수직관부(42)가 T형상으로 형성되고, 수평관부(41)의 일단에 둘레에 플랜지(43)가 형성되어 게이트밸브(30)의 배출구(33) 플랜지(33-1)와 결합되며, 수평관부(41)의 타단은 막혀 있는 막힘단(44)으로 이루어지고, 수직관부(42)의 하단을 통해 취수된 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고정플레이트(10)의 판체(11) 후면에 다수개의 격벽(13)이 형성되어 판체(11)의 오무려진 부분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

KR1020140095626A 2014-07-28 2014-07-28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 KR101682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626A KR101682110B1 (ko) 2014-07-28 2014-07-28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626A KR101682110B1 (ko) 2014-07-28 2014-07-28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622A true KR20160013622A (ko) 2016-02-05
KR101682110B1 KR101682110B1 (ko) 2016-12-02

Family

ID=55353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626A KR101682110B1 (ko) 2014-07-28 2014-07-28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1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115Y1 (ko) * 1995-01-04 1999-04-01 박일렬 취수탑의 취수개폐장치
KR20130104157A (ko) * 2012-03-13 2013-09-25 임동휘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115Y1 (ko) * 1995-01-04 1999-04-01 박일렬 취수탑의 취수개폐장치
KR20130104157A (ko) * 2012-03-13 2013-09-25 임동휘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110B1 (ko) 2016-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55218B (zh) 浮渣自动收集系统
KR101682110B1 (ko)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
JP2009287365A (ja) 溜池の堤体における複合型底樋
KR101360172B1 (ko) 맨홀 차오름식 물돌리기 방법 및 물돌리기 장치
JP7097253B2 (ja) 貯水装置、及び排水システム
CN208857972U (zh) 预埋件
KR101681127B1 (ko)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CN102089483A (zh) 用于从管道分流流动的液体的方法和装置
KR101681132B1 (ko)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를 이용한 수문교체 방법
KR101681133B1 (ko)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KR101893351B1 (ko) 수문교체용 차수장치 및 차수장치를 이용한 수문 교체방법
JP2017524082A (ja) 無動力逆流防止装置
JP7097927B2 (ja) 貯水装置、及び排水システム
KR20150130200A (ko) 하수관로 물막이 구조
KR200471036Y1 (ko) 조작핸들을 구비한 정호 내부 세척용 정호 막음 장치
KR20090113605A (ko) 취수탑의 수문 교체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차수장치
KR101580044B1 (ko) 하수관로 물막이 공법
KR101752289B1 (ko) 압송장치를 이용한 물돌리기 시스템
KR101992425B1 (ko) 카트리지형 발전수차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1729735B1 (ko)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용 수위상승장치
CN210768803U (zh) 用于盾构机的盾尾中管片的泥沙集纳装置
JP7282956B2 (ja) 貯水装置、及び排水システム
CN208894800U (zh) 一种龙门式混凝土浇注机的残料清洗装置
KR102215233B1 (ko) 지상용 수도관 세척 장치
CN210887157U (zh) 一种压力管道进人孔的封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