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157A -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157A
KR20130104157A KR1020120025404A KR20120025404A KR20130104157A KR 20130104157 A KR20130104157 A KR 20130104157A KR 1020120025404 A KR1020120025404 A KR 1020120025404A KR 20120025404 A KR20120025404 A KR 20120025404A KR 20130104157 A KR20130104157 A KR 20130104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support
intake tower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휘
Original Assignee
임동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휘 filed Critical 임동휘
Priority to KR102012002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4157A/ko
Publication of KR2013010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2Restraining of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장치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취수탑 벽체부, 및 외부로부터 용수가 상기 중공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취수탑 벽체부에 마련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취수탑의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물막이부; 및 상기 중공부에 마련되고, 상기 물막이부를 용수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상기 취수탑 벽체부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공사비를 줄이고 신속하게 취수탑의 수문을 보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REPAIRING APPARATUS OF INTAKE TOWER AND REPAI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취수탑의 수문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는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수탑은 강, 하천, 저수지나 댐 등지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운데가 빈 원통형의 건물로 구비되며 벽면에는 높이에 따라 여러 단의 취수공이 형성되고, 이 취수공을 개폐하는 수문이 설치되어 있어, 적당한 수심으로부터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취수탑의 수문은 노후화되거나 고장이 나면 교체 등의 보수를 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취수탑(100)의 수문(101)을 교체하기 위해 잠수부들이 물속에 들어가서 별도의 대형 물막이장치(200)를 수문에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 방법은 상기 물막이장치(200)를 취수탑(100)의 외벽에 고정하여 취수탑(100)에 설치된 전체 수문(101)을 감싸도록 한 다음에 수문(101)을 열어 상기 물막이장치(200)의 내에 있는 물을 취수탑(100)의 내부와 취수터널(102)을 통해 배출시키고, 물이 배출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물막이장치(200)의 내부로 들어가 수문(101)을 교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수문(101)의 교체가 완료되면 수문(101)을 폐쇄한 후에 잠수부가 물속으로 들어가 취수탑(100)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는 대형의 물막이장치(200)를 해체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작업자가 대형의 구조물인 물막이장치를 취수탑의 외벽에 설치 및 해체하기 위해서는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중장비가 사용되는 등 물막이장치와 같은 대형 구조물을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우면서 동시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형 구조물인 물막이장치와 취수탑의 외벽 사이의 밀착부위에는 방수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 밀착부위를 완전하게 방수시키기는 매우 어렵고 이 또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문은 상당히 중량의 장치이므로 작업자가 물이 빠진 물막이장치와 취수탑의 내부에서 이를 이동시키거나 취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신속하게 취수탑의 수문을 보수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긴급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취수탑 벽체부, 및 외부로부터 용수가 상기 중공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취수탑 벽체부에 마련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취수탑의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물막이부; 및 상기 중공부에 마련되고, 상기 물막이부를 용수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상기 취수탑 벽체부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의 보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제 1 단부는 상기 물막이부에 접촉되고 제 2 단부는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취수탑 벽체부의 제 1 내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물막이부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취수탑 벽체부에 지지하는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바의 상기 제 2 단부와 상기 취수탑 벽체부의 상기 제 1 내측면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지지바의 상기 제 2 단부를 상기 취수탑 벽체부의 상기 제 1 내측면에 지지시키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신장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신장 가능한 유압식 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물막이부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취수탑 벽체부의 상기 개구부 주변의 제 2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막이부는 상기 취수탑 벽체부의 상기 개구부 주변의 제 2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차수플레이트와, 상기 제 2 내측면과 상기 차수플레이트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 재질의 수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취수탑 벽체부, 외부로부터 용수가 상기 중공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취수탑 벽체부에 마련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수문을 구비하는 취수탑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물막이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에 마련되고, 상기 물막이부를 용수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상기 취수탑 벽체부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취수탑 벽체부의 외부에서 상기 수문에 대하여 소정의 작업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물막이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의 보수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은 취수탑 내부에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개구부를 폐쇄하여 수문을 교체 등 보수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긴급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취수탑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a 내지 6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 또는 균등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실시예에 대해서는 생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장치(1)는 내부에 중공부(12)를 갖는 취수탑 벽체부(10), 및 외부로부터 용수가 중공부(12)로 유입되도록 취수탑 벽체부(10)에 마련된 개구부(20)를 구비한다.
취수탑 벽체부(10)는 저수지 등의 취수원의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고, 원기둥 모양, 사각기둥 모양 기타 공지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취수탑 벽체부(10)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인 중공부(12)는 취수이 수문(100)이 개방됨에 따라 취수탑 벽체부(10) 외부의 용수가 개구부(20)를 통하여 유입된 후 취수탑 벽체부(1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취수터널(미도시)로 떨어져 내려가는 통로 역할을 한다.
개구부(20)는 취수탑 벽체부(10)의 소정 높이에 취수탑 벽체부(10)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수문(100)이 개방되면 저수지의 용수가 중공부(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개구부(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취수탑 벽체부(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개구부(20)의 모양은 원형, 사각형, 기타 용수가 유입될 수 있는 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장치(1)는 중공부(12)에서 개구부(20)를 커버하도록 마련되어 개구부(20)를 폐쇄하는 물막이부(30)와; 중공부(12)에 마련되고, 물막이부(30)를 용수가 개구부(20)를 통해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 1 방향(A)으로 취수탑 벽체부(10)에 지지하는 지지부(40)를 구비한다.
물막이부(30)는 중공부(12)에 위치하여, 즉 취수탑 벽체부(10)의 내측 공간, 즉 중공부(12)에 위치하여 개구부(20)를 중공부(12)에서 커버한다. 이에 따라 물막이부(30)는 개구부(20)를 폐쇄하여 외부의 용수가 중공부(12) 안으로 유입하지 못하도록 한다. 물막이부(30)는 개구부(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구부(20)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도록 개구부(20)의 개구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막이부(30)는 수문(100)이 완전 개방되더라도 개구부(20)가 위치하는 수심의 수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40)는 물막이부(3O)와 마찬가지로 중공부(12)에 위치하며, 물막이부(30)가 개구부(20)를 폐쇄하여 외부의 용수가 개구부(20)를 통하여 유입되지 않도록 제 1 방향(A)으로 물막이부(30)를 취수탑 벽체부(10)에 지지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A)은 용수가 개구부(2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것이며, 물막이부(30)가 개구부(20)를 폐쇄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지지부(40)는 수문(100)이 완전 개방되어 개구부(20)가 위치하는 수심의 수압으로 외부의 용수가 물막이부(30)를 제 1 방향(A)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외부의 용수가 중공부(12)로 유입되지 않게 물막이부(30)가 개구부(20)를 충분히 폐쇄할 수 있도록 물막이부(30)를 취수탑 벽체부(10)에 지지시킬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40)는 물막이부(30)를 취수탑 벽체부(10)에 지지시킬 수 있는 한 단수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복수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물막이부(30)와 지지부(4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부(40)는 제 1 단부(43)와 제 2 단부(44)를 구비한 지지바(42)로 마련된다. 제 1 단부(43)는 물막이부(30)에 접촉되고 제 2 단부(44)는 중공부(12) 내에서 개구부(20)와 대향하는 취수탑 벽체부(10)의 제 1 내측면(14)에 접촉됨으로써 지지바(42)는 물막이부(30)를 제 1 방향(A)으로 취수탑 벽체부(10)에 지지시킨다.
제 1 내측면(14)은 취수탑 벽체부(10)의 내측면 중 개구부(20)와 마주보는 측의 내측면을 의미하고, 제 2 내측면(16)은 취수탑 벽체부(10)의 내측면 중 개구부(20)가 마련된 위치 주변의 내측면을 의미하며, 제 1 내측면(14)와 제 2 내측면(16)은 서로 마주본다.
제 1 내측면(14)에 제 2 단부(44)가 접촉 지지됨에 따라 지지바(42)는 취수탑 벽체부(10)에 지지되고 이에 따라 지지바(42)는 물막이부(30)를 취수탑 벽체부(10)의 제 2 내측면(16)에 지지시킨다.
지지바(42)는 개구부(20)를 통하여 유입되는 용수압을 견딜 수 있는 강도이면 스틸, 합금, 목재, 기타 어떠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면 형상 또한 원형, 다각형 기타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0)는 지지바(42)의 제 2 단부(44)와 취수탑 벽체부(10)의 제 1 내측면(14) 사이에 개재하여 지지바(42)의 제 2 단부(44)를 취수탑 벽체부(10)의 제 1 내측면(14)에 지지시키는 지지플레이트(46)를 더 구비한다.
지지플레이트(46)는 지지바(42)와 취수탑 벽체부(10) 사이에 마련되어 지지바(42)의 제 2 단부(44)가 취수탑 벽체부(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지지플레이트(46)는 지지바(42)의 제 2 단부(44)에 집중되는 수압을 분산시켜 취수탑 벽체부(10)에 전달함으로써 지지바(42)가 물막이부(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플레이트(46)는 수압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의 것이라면 강재, 목재 기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면적은 지지바(42)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나 같아도 상관 없으며, 그 형상은 사각형, 원형 기타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장치(1)에서는 지지바(42)와 지지플레이트(46)가 별도의 부재로 각각 마련되어 있으나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부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장치(1)는 지지플레이트(46)를 구비하고 있으나, 지지플레이트(46)는 생략될 수도 있다. 지지플레이트(46)가 생략되는 경우 지지바(42)의 제 2 단부(44)가 직접 취수탑 벽체부(10)의 제 1 내측면(14)에 접촉되어 지지바(42)가 취수탑 벽체부(10)에 지지된다.
물막이부(30)는 취수탑 벽체부(10)의 개구부(20) 주변의 제 2 내측면(16)에 접촉되도록 개구부(20)를 커버하는 차수플레이트(32)와, 제 2 내측면(16)과 차수플레이트(32)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 재질의 수밀플레이트(34)를 구비한다.
차수플레이트(32)는 개구부(20)를 폐쇄하여 외부의 용수가 개구부(20)를 통하여 중공부(1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수플레이트(32)는 개구부(20)의 개구 면적을 덮을 수 있도록 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수플레이트(32)는 유입되는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지닌 철재, 합금, 목재 기타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수밀플레이트(34)는 차수플레이트(32)의 측면 중 제 2 내측면(16)에 접촉되는 측에 마련된다. 수밀플레이트(34)는 차수플레이트(32)가 개구부(20)를 효과적으로 폐쇄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고무 기타 탄성 재질로 마련된다. 수밀플레이트(34)는 개구부(20)의 개구 면적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밀플레이트(34)와 차수플레이트(32)는 각각 형성되어 접촉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수탑의 보수장치(1)에서는 수밀플레이트(34)가 마련되어 있으나, 생략될 수도 있다. 차수플레이트(32)가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마련되어 수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수탑의 보수장치(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수문(100)의 노후, 부식, 손상, 부실 시공 기타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수문(100)이 닫힌 상태에서도 외부의 용수가 개구부(20)를 통해 중공부(12)로 유입되는 경우, 즉 누수(B)가 발생하는 경우, 중공부(12)에서 개구부(20)를 폐쇄함으로써 수문(100)을 저비용으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교체 또는 수리, 보강 등 보수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장치(1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장치(1a)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탑의 보수장치(1a)는 제 1 방향(A)으로 신장 가능한 지지바(42a)를 구비한다. 지지바(42a)는 제 1 내측면(14)과 제 2 내측면(16) 사이의 간격 보다 짧은 상태로 중공부(12)에 마련된 후 그 길이방향, 즉 제 1 방향(A)과 그 반대 방향인(A')으로 신장됨에 따라 제 1 단부(43a)는 물막이부(30)에 접촉되고 제 2 단부(44a)는 지지플레이트(46)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지지바(42a)는 보다 효과적으로 중공부(12)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물막이부(30)를 제 1 방향(A)으로 취수탑 벽체부(10)에 지지시켜 개구부(20)를 폐쇄할 수 있게 한다.
지지바(42a)는 제 1 방향(A)으로 신장 가능한 유압식 잭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압식 잭은 수압을 견딜 수 있는 신장력을 가진 것이라면 공지의 유압식 잭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바(42a)는 유압식 잭 이 외에도 1 회전 마다 피치(pitch)만큼 신축되는 나사식 잭, 기타 다른 공지의 신장 가능한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장치(1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장치(1b)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탑의 보수장치(1b)에서 지지부(40b)는 물막이부(30)를 제 1 방향(A)으로 관통하여 취수탑 벽체부(10)의 개구부 주변의 제 2 내측면(16)에 결합되는 지지스크류(48)로 마련된다.
지지스크류(48)는 물막이부(30)를 제 1 방향(A)으로 관통하여 그 단부가 제 2 내측면(16)에 지지됨에 따라 물막이부(30)를 안정적으로 취수탑 벽체부(10)에 지지지시킨다.
지지스크류(48)는 수압을 견딜 수 있는 지지력을 가지는 것이라면 나사, 못, 핀 기타 다른 결합 수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내지 6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a는 누수가 발생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6b는 중공부(12)에 작업자(C)가 들어간 상태를 도시하며, 도 6c는 작업자(C)가 중공부(12)에서 물막이부(30)와 지지부(40)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6d는 잠수부(C')가 수문(100)을 보수하기 위하여 탈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6e는 잠수부(C')가 보새로운 또는 보수된 수문(100')을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6f는 중공부(12)에 설치된 물막이부(30)와 지지부(40)를 철거하여 보수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방법은 내부에 중공부(12)를 갖는 취수탑 벽체부(10), 외부로부터 용수가 중공부(12)로 유입되도록 취수탑 벽체부(10)에 마련된 개구부(20), 및 개구부(20)를 개폐하는 수문(100)을 구비하는 취수탑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중공부(12)에서 개구부(20)를 커버하도록 마련되어 개구부(20)를 폐쇄하는 물막이부(30)를 설치하는 단계(S10); 중공부(12)에 마련되고, 물막이부(30)를 용수가 개구부(20)를 통해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 1 방향(A)으로 취수탑 벽체부(10)에 지지하는 지지부(40)를 설치하는 단계(S20); 취수탑 벽체부(10)의 외부에서 수문(100)에 대하여 소정의 작업을 하는 단계(S30); 및 지지부(40) 및 물막이부(30)를 제거하는 단계(S40)를 구비한다.
단계 S1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후, 부식, 손상, 부실 시공 기타 원인으로 인하여 수문(100)이 완전 폐쇄되어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누수(B)가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C)가 중공부(12)에 들어가 물막이부(30)와 지지부(40)를 설치하여 개구부(20)를 폐쇄한다.
단계 S2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6d 및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수부(C')가 취수탑 벽체부(10) 외부에서 보수 대상이 되는 수문(100)을 취수탑 벽체부(10)로부터 탈착한 후(참조부호 D 참조) 새로운 수문(100') 또는 보수한 수문(100')을 취수탑 벽체부(10)에 장착한다(참조부호 D'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방법에서는 수문이 취수탑 벽체부(10)로부터 탈착 및 장착되고 있으나, 수문은 취수탑 벽체부(10)로부터 착탈되지 않고 부착된 상태에서 보수될 수도 있다.
단계 S3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중공부(12)에서 설치된 물막이부(30)와 지지부(40)를 제거하여 취수탑에 대한 작업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의 보수방법에 의하면, 수문 누수에 대한 보수 등 기타 수문에 대하여 소정을 작업을 하여야 할 경우 작업 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저수지의 물을 빼거나 외부에 가물막이를 하거나 기타 다른 장치를 설치할 필요도 없이, 저비용으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안전적으로 소정을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1, 1a, 1b : 취수탑의 보수장치 10 : 취수탑 벽체부
12 : 중공부 14 : 제 1 내측면
16 : 제 2 내측면 20 : 개구부
30 : 물막이부 32 : 차부플레이트
34 : 수밀플레이트 40, 40a, 40b : 지지부
42, 42a : 지지바 43, 43a : 제 1 단부
44, 44a : 제 2 단부 46 : 지지플레이트
48 : 지지스크류

Claims (8)

  1.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취수탑 벽체부, 및 외부로부터 용수가 상기 중공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취수탑 벽체부에 마련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취수탑의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물막이부; 및
    상기 중공부에 마련되고, 상기 물막이부를 용수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상기 취수탑 벽체부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의 보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제 1 단부는 상기 물막이부에 접촉되고 제 2 단부는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취수탑 벽체부의 제 1 내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물막이부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취수탑 벽체부에 지지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의 보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바의 상기 제 2 단부와 상기 취수탑 벽체부의 상기 제 1 내측면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지지바의 상기 제 2 단부를 상기 취수탑 벽체부의 상기 제 1 내측면에 지지시키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의 보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신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의 보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신장 가능한 유압식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의 보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물막이부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취수탑 벽체부의 상기 개구부 주변의 제 2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의 보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부는
    상기 취수탑 벽체부의 상기 개구부 주변의 제 2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차수플레이트와,
    상기 제 2 내측면과 상기 차수플레이트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 재질의 수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의 보수장치.
  8.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취수탑 벽체부, 외부로부터 용수가 상기 중공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취수탑 벽체부에 마련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수문을 구비하는 취수탑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물막이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에 마련되고, 상기 물막이부를 용수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상기 취수탑 벽체부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취수탑 벽체부의 외부에서 상기 수문에 대하여 소정의 작업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물막이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의 보수방법.
KR1020120025404A 2012-03-13 2012-03-13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 KR20130104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404A KR20130104157A (ko) 2012-03-13 2012-03-13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404A KR20130104157A (ko) 2012-03-13 2012-03-13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157A true KR20130104157A (ko) 2013-09-25

Family

ID=4945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404A KR20130104157A (ko) 2012-03-13 2012-03-13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41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22A (ko) * 2014-07-28 2016-02-05 전유석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22A (ko) * 2014-07-28 2016-02-05 전유석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815B1 (ko) 승강식 홍수방지용 벽체 구조물
DE102013011901A1 (de) Hochwasserschutz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Nachrüsten
KR20130104157A (ko) 취수탑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
KR100818248B1 (ko) 수중구조물용 조립식 임시 물막이장치와 이를 이용한수중구조물 방식 및 보수 보강공법
KR20110006178A (ko) 케이슨 하단 차수 시스템
CN110258516B (zh) 一种地下连续墙槽段接缝处渗漏水检测与修复设备及方法
KR20060027476A (ko) 콘크리트 물탱크의 배수시스템
KR100948594B1 (ko)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송배출구 자동 탈부착 장치
KR20100121206A (ko) 맨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CN105672373A (zh) 沉管隧道水密门检漏装置
JP6250108B2 (ja) 雨水貯留槽の設置方法
CN213805750U (zh) 一种一体化截流井
CN212200511U (zh) 一种深基坑堵漏装置
KR101681132B1 (ko)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를 이용한 수문교체 방법
KR20090113605A (ko) 취수탑의 수문 교체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차수장치
KR101222484B1 (ko) 취수탑 보수공사용 문틀
JP5898915B2 (ja) ダム堤体の仮締切構造
KR101271130B1 (ko) 배수구 밀폐장치
KR101378879B1 (ko) 취수탑 수문 수중교체와 유지보수용 가물막이
KR101681127B1 (ko)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JP5014202B2 (ja) 仮締切作業函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5853646B2 (ja) ダム堤体の仮締切構造
CN214461288U (zh) 一种烟气道预留洞口封堵装置
KR20110019564A (ko) 데크 포스트의 가스켓 구조물
KR100941084B1 (ko) 수중 케이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막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