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133B1 -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133B1
KR101681133B1 KR1020140069135A KR20140069135A KR101681133B1 KR 101681133 B1 KR101681133 B1 KR 101681133B1 KR 1020140069135 A KR1020140069135 A KR 1020140069135A KR 20140069135 A KR20140069135 A KR 20140069135A KR 101681133 B1 KR101681133 B1 KR 101681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ter
fixed
plat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930A (ko
Inventor
전유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전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전유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4006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133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22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2201/00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수터널 내부에서 직접 구조물을 제작 설치하지 않고, 수문과 취수터널을 연결하는 연결관의 내부를 직접 막아 취수터널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막으면서 수문을 교체 후에는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여 취수터널 내부에 간단하고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한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며, 취수터널(1)과 수문을 연결하는 연결관(2)의 내부에 차단어셈블리(50)가 설치되어 연결관(20)의 내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차단어셈블리(50)는 지지구조물(10)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관(40)으로 연결되며, 지지구조물(10)은 취수터널(1) 내부에 설치되어 수평서포트바(20)와 수직서포트바(30)로 취수터널(1)의 벽면을 압착하여 지지되고, 지지관(40)에는 배수밸브(45)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 A blocking device for repairing a sluice gate of an intake tower }
본 발명은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취수터널 내부에서 직접 구조물을 제작 설치하지 않고, 수문과 취수터널을 연결하는 연결관의 내부를 직접 막아 취수터널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막으면서 수문을 교체 후에는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여 취수터널 내부에 간단하고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한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수탑은 강이나 하천의 이용수심이 큰 각종 저수지나 댐 등지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운데가 빈 원통형의 건물로 구비되며 외벽에는 높이에 따라 여러 단의 취수공(取水孔)을 두고 이 취수공에는 수문을 설치하여 적당한 수심으로부터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취수탑의 수문은 노후화되거나 고장이 나면 교체를 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취수탑의 수문을 교체하기 위해 잠수부들이 물속에 들어가서 별도의 대형 물막이장치를 수문이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 방법은 상기 물막이장치를 취수탑의 외벽에 고정하여 취수탑에 설치된 전체 수문을 감싸도록 한 다음에 수문을 열어 상기 물막이장치의 내에 있는 물을 취수탑의 내부와 취수터널(일명 '복통'이라고도 함)을 통해 배출시키고, 물이 배출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물막이장치의 내부로 들어가 수문을 교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수문의 교체가 완료되면 수문을 폐쇄한 후에 잠수부가 물속으로 들어가 취수탑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는 대형의 물막이장치를 해체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작업자가 대형의 구조물인 물막이장치를 취수탑의 외벽에 설치 및 해체하기 위해서는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중장비가 사용되는 등 물막이장치와 같은 대형 구조물을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우면서 동시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형 구조물인 물막이장치와 취수탑의 외벽 사이의 밀착부위에는 방수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 밀착부위를 완전하게 방수시키기는 매우 어렵고 이 또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문은 상당히 중량의 장치이므로 작업자가 물이 빠진 물막이장치와 취수탑의 내부에서 이를 이동시키거나 취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08년 특허출원 제 0039411호에서, 취수탑의 외벽에 별도의 대형 물막이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수문의 교체가 원활하면서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수문 교체에 사용되는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최소화되도록 하고 수문의 교체 작업 시에 작업자가 수문의 이동 및 취급이 매우 용이해지도록 하는 취수탑의 수문 교체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 기술에서 취수터널의 입구를 손쉽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취수탑의 수문 교체에 사용되는 차수장치가 구비되고, 취수터널의 입구에 설치되는 차수벽을 통해 작업자가 취수탑 및 취수터널로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취수탑의 수문 교체에 사용되는 차수장치가 공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차수장치는 취수터널의 입구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차수판과, 취수터널의 입구 둘레에 대응하여 상기 차수판의 전면둘레에 부착되는 고무패킹과, 상기 차수판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차수판을 지지하는 판지지부를 갖는 차수벽과; 상기 차수벽의 배면과 취수탑의 내부면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차수벽을 지지하는 다수의 벽지지대와; 취수탑의 내부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벽지지대에 교차되게 설치되어 상기 벽지지대를 지지하는 다수의 교차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차수장치는 취수터널의 입구에 밀착되도록 차수판이 구비되고, 차수판 뒤의 공간을 판지지부로 지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차수판이 취수터널 입구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공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재의 절단과 길이 맞춤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차수장치 수문이 제대로 설치되고 닫혔는지, 물을 빼는 과정에서는 알 수 없어서 사고 발생이나 기타 문제 발생의 우려가 있다.
또한 취수터널로 자재를 이송하여 취수터널 내에서 절단 및 용접이나 볼팅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취수터널 입구에 전체적으로 차수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취수탑의 수문과 취수터널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막아 저수된 물이 수문교체 중에 취수터널로 물이 빠지지 않게 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결관을 막을 때 연결관으로부터의 수압을 견딜 수 있게 차수판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취수터널내에서 용접 등의 차수장치의 제작을 하지 않고, 이미 제작된 장치를 취수터널 내에 설치를 하면 차수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취수탑의 수문 교체에 사용되는 차수장치에 있어서,
취수터널(1)과 수문을 연결하는 연결관(2)의 내부에 차단어셈블리(50)가 설치되어 연결관(20)의 내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차단어셈블리(50)는 지지구조물(10)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관(40)으로 연결되며, 지지구조물(10)은 취수터널(1) 내부에 설치되어 수평서포트바(20)와 수직서포트바(30)로 취수터널(1)의 벽면을 압착하여 지지되고, 지지관(40)에는 배수밸브(45)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단어셈블리(50)는 관체고정판(60), 고정브라켓(70), 걸림판(80), 고무링(90), 고무판(100)으로 구성되어 지지관(40)의 일단과 고정되고, 고정브라켓(70)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에 용접면(71)과 결합면(72)이 서로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다수개의 고정브라켓(70)의 용접면(71)은 연결관(2)의 내경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걸림판(80)은 연결관(2)의 내경을 막도록 형성된 원판체(81)의 가운데에 중앙홀(82)이 형성되고, 원판체(81)는 고정브라켓(70)의 결합면(72)에 볼트(73)로 고정되며, 고무링(90)은 연결관(2)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걸림판(80)의 수문 쪽 면에 위치되며, 고무판(100)은 고무 재질의 원판체가 연결관(2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연결관(20) 내에서 수문 방향으로 오무려져 설치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걸림판(80)의 중앙홀(82)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관체고정판(60)은 다수개의 고정브라켓(70)의 결합면(72) 단부들로 이루어진 원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원판체(61)가 형성되고, 원판체(61)는 결림판(80)과 고무판(100)을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볼트(110)로 걸림판(80)과 고무판(100)에 고정되며, 원판체(61)의 일측에 홀(62)이 형성되고, 홀(62)은 지지관(4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지지관(40)의 일측 플랜지(43)와 원판체(61)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지지관(40)의 타단과 고정되는 지지구조물(10)은 전방수직프레임(11) 한쌍과 후방수직프레임(12) 한쌍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프레임(13)과 하부프레임(14)이 고정되어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쌍의 전방수직프레임(11) 사이에 지지프레임(15)이 고정되며, 지지프레임(15)에 고정원판(16)이 고정되고, 고정원판(16)에 다수의 볼트부(16-1)이 형성되어 지지관(40)의 플랜지(42)와 체결되어 고정되며, 일측면을 이루는 전방수직프레임(11)과 후방수직프레임(12)에 다수의 벽면지지바(17)가 형성되고, 타측면을 이루는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에 다수의 받침턱(18)이 형성되며, 받침턱(18)에 수평서포트바(20)의 일단이 올려져 길이조절되면서 취수터널(1)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다수의 수직서포트바(30)는 상단에 지지바(31)가 구비되어 취수터널(1)의 천정벽면에 압착되어 지지구조물(10)과 천정벽면을 압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을 제공한다.
또한 관체고정판(60)의 홀(62)은 배수가 용이하도록 아래로 편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취수터널 입구에 전체적으로 차수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차수를 위한 자재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좁은 취수터널 내에서 용접 등의 차수장치 제작 작업을 하지 않게 되어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취수탑의 수문과 취수터널을 연결하는 연결관의 내부에서 차단어셈블리로 막아 저수된 물이 수문교체 중에 취수터널로 물이 빠지지 않게 하고, 차단어셈블리와 연결된 지지관에 설치되는 배수밸브로 수문과 차단어셈블리 사이에서 차있는 물을 배수할 수 있고, 배수밸브에서 압력을 체크하여 수문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는지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구조물이 취수터널의 천정과 양쪽 측면 벽에 압착되어 고정되므로 후방에 지지되는 벽면이 없더라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결관의 내부를 막아서 물이 취수터널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물을 차단하기 용이하고, 다시 제거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의 차단어셈블리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의 차단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의 차단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취수탑의 수문을 교체할 때 수문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취수터널에서 차단하고, 수문을 교체할 수 있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에서, 취수터널(1)과 수문을 연결하는 연결관(2)의 내부에 차단어셈블리(50)가 설치되어 연결관(20)의 내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차단어셈블리(50)는 지지구조물(10)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관(40)으로 연결되며, 지지구조물(10)은 취수터널(1) 내부에 설치되어 수평서포트바(20)와 수직서포트바(30)로 취수터널(1)의 벽면을 압착하여 지지되고, 지지관(40)에는 배수밸브(45)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주요구성으로 한다.
차단어셈블리(50)는 취수터널(1)의 연결관(2)의 단부 인접한 내측에 설치하여 연결관(2)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차단어셈블리(50)는 관체고정판(60), 고정브라켓(70), 걸림판(80), 고무링(90), 고무판(100)으로 구성되어 지지관(40)의 일단과 고정된다.
이러한 차단어셈블리(50)의 구성중 고정브라켓(70)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에 용접면(71)과 결합면(72)이 서로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다수개의 고정브라켓(70)의 용접면(71)은 연결관(2)의 내경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고정브라켓(70)의 용접면(71)을 용접으로 연결관(2)의 내경에 고정하고, 이러한 고정브라켓(70)은 연결관(2)의 내경에 원을 이루도록 다수개를 일정 간격으로 용접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70)의 결합면(72)에 걸리도록 걸림판(80)을 형성하는데, 걸림판(80)은 연결관(2)의 내경을 막도록 원판체(81)로 형성된다. 원판체(81)의 외경은 연결관(2)의 내경보다 크면 안되고, 연결관(2)의 내경을 거의 막을 수 있을 정도의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이는 연결관(2)의 내경보다 크면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삽입되어 막을 수 있을 정도의 유격을 가지고 형성하고, 이러한 걸림판(80)을 잡아주도록 고정브라켓(70)이 형성되는 것이다.
걸림판(80)의 원판체(81) 가운데에 중앙홀(82)이 형성되고, 원판체(81)는 고정브라켓(70)의 결합면(72)에 볼트(73)로 고정된다.
고정브라켓(70)이 용접으로 연결관(2)에 고정되면 고정브라켓(70)들 사이의 틈으로 눕혀서 수문 쪽 방향으로 삽입한 후 바로 세우면 고정브라켓(70)의 결합면(72)에 닿아 지지된다.
그 전에 먼저 고무판(100)을 먼저 연결관(2) 내부로 고정브라켓(70)을 지나도록 삽입한다.
고무링(90)은 연결관(2)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걸림판(80)의 수문 쪽 면에 위치하여 고무판(100)의 단부가 수문 쪽 방향을 향하여 항상 밀리도록 작용한다.
고무판(100)은 고무 재질의 원판체가 연결관(2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연결관(20) 내에서 수문 방향으로 오무려져 설치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걸림판(80)의 중앙홀(82)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고무판(100)은 수문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연결관(2) 내부로 들어올때 물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단부가 오무려져 연결관(2) 내경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수압에 의하여 밀릴 때 고무판(100)은 더욱 연결관(2)에 밀착하게 된다. 완전히 밀려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링(90)이 받쳐주게 된다.
관체고정판(60)은 용접으로 고정된 다수개의 고정브라켓(70) 결합면(72) 단부들로 이루어진 원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원판체(61)가 형성된다. 즉 원판체(61)는 용접된 고정브라켓(70)의 가장 내측단인 결합면(72) 단부를 연결하여 이루어진 원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관체고정판(60)의 원판체(61)는 결림판(80)과 고무판(100)을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볼트(110)로 걸림판(80)과 고무판(100)에 고정되고, 원판체(61)의 일측에 홀(62)이 형성된다. 이때 홀(62)은 배수가 용이하도록 아래로 편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62)은 지지관(4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지지관(40)의 일측 플랜지(43)와 원판체(61)가 플랜지고정볼트(44)로 고정된다.
걸림판(80)이 볼트(73)에 의해 고정브라켓(7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걸림판(80)을 사이에 두고 걸림판(80)의 중앙홀(82) 인접한 단부에 관체고정판(60)과 고무판(100)이 체결볼트(110)로 고정되는 것이다.
지지관(40)의 타단과 고정되는 지지구조물(10)은 전방수직프레임(11) 한쌍과 후방수직프레임(12) 한쌍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프레임(13)과 하부프레임(14)이 고정되어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구조물(10)은 양측부의 일측에 벽면지지바(17)가 형성되고, 타측에 수평서포트바(20)가 설치되어 취수터널(1)의 벽면을 압착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즉 지지구조물(10)의 일측면을 이루는 전방수직프레임(11)과 후방수직프레임(12)에 다수의 벽면지지바(17)가 형성되고, 타측면을 이루는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에 다수의 받침턱(18)이 형성되며, 받침턱(18)에 수평서포트바(20)의 일단이 올려져 길이조절되면서 취수터널(1)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한쌍의 전방수직프레임(11) 사이에 지지프레임(15)이 고정되고, 지지프레임(15)에 고정원판(16)이 고정되며, 고정원판(16)에 다수의 볼트부(16-1)가 형성되어 지지관(40)의 플랜지(42)와 체결되어 고정된다.
지지관(40)은 관체(41) 양단에 각각 플랜지(42)(43)가 형성되고, 일측 플랜지(42)는 고정원판(16)의 볼트부(16-1)와 체결되어 고정되며, 타측 플랜지(43)는 관체고정판(60)에 고정된다. 또한 지지관(40)의 관체(41) 일측에 하나 아상의 배수밸브(45)가 형성되고, 배수밸브(45)를 통하여 연결관(2)에 차있는 물을 빼낼 수 있다.
수문을 교체하여 수문을 닫은 상태에서 수문을 통해 물이 더 이상 들어오지 않는지 배수밸브(45)의 압력을 측정하면 알 수 있다.
다수의 수직서포트바(30)는 상단에 지지바(31)가 구비되어 취수터널(1)의 천정벽면에 압착되어 지지구조물(10)과 천정벽면을 압착하여 밀착되게 하여 지지구조물(10)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지지구조물(10)과 취수터널(1)의 벽면 사이에 수평서포트바(20)가 다수개 설치되고, 지지구조물(10)과 취수터널(1)의 천정 사이에 다수의 수직서포트바(30)가 설치되어 수평서포트바(20)와 수직서포트바(30)를 늘리거나 줄이는 등의 길이조절 조작으로 지지구조물(10)과 취수터널(1)의 벽면과 천정 방향으로 압착되어 고정된다.
수문을 교체한 후, 지지구조물(10)을 고정한 수평서포트바(20)와 수직서포트바(30)를 줄여 해제하고, 고정원판(16)과 지지관(40)의 플랜지(42)를 분리한다.
관체고정판(60)과 플랜지(43)를 분리하고, 관체고정판(60)과 고무판(100)을 걸림판(80)에서 분리하며, 관체고정판(60)과 고정브라켓(70)을 분리한다.
용접된 고정브라켓(70)은 절단하여 제거한다.
1 : 취수터널 2 : 연결관
10 : 지지구조물 11 : 전방수직프레임
12 : 후방수직프레임 13 : 상부프레임
14 : 하부프레임 15 : 지지프레임
16 : 고정원판 16-1 : 볼트부
17 : 벽면지지바 18 : 받침턱
20 : 수평서포트바 30 : 수직서포트바
31 : 지지바 40 : 지지관
41 : 관체 42, 43 : 플랜지
44 : 플랜지고정볼트 45 : 배수밸브
50 : 차단어셈블리 60 : 관체고정판
61 : 원판체 62 : 홀
70 : 고정브라켓 71 : 용접면
72 : 결합면 73 : 볼트
80 : 걸림판 81 : 원판체
82 : 중앙홀 90 : 고무링
100 : 고무판 110 : 체결볼트

Claims (4)

  1. 삭제
  2. 취수터널(1)과 수문을 연결하는 연결관(2)의 내부에 차단어셈블리(50)가 설치되어 연결관(20)의 내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차단어셈블리(50)는 지지구조물(10)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관(40)으로 연결되며, 지지구조물(10)은 취수터널(1) 내부에 설치되어 수평서포트바(20)와 수직서포트바(30)로 취수터널(1)의 벽면을 압착하여 지지되고, 지지관(40)에는 배수밸브(45)가 형성되어 구성된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에 있어서,
    차단어셈블리(50)는 관체고정판(60), 고정브라켓(70), 걸림판(80), 고무링(90), 고무판(100)으로 구성되어 지지관(40)의 일단과 고정되고,
    고정브라켓(70)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에 용접면(71)과 결합면(72)이 서로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다수개의 고정브라켓(70)의 용접면(71)은 연결관(2)의 내경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걸림판(80)은 연결관(2)의 내경을 막도록 형성된 원판체(81)의 가운데에 중앙홀(82)이 형성되고, 원판체(81)는 고정브라켓(70)의 결합면(72)에 볼트(73)로 고정되며,
    고무링(90)은 연결관(2)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걸림판(80)의 수문 쪽 면에 위치되며,
    고무판(100)은 고무 재질의 원판체가 연결관(2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연결관(20) 내에서 수문 방향으로 오무려져 설치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걸림판(80)의 중앙홀(82)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관체고정판(60)은 다수개의 고정브라켓(70)의 결합면(72) 단부들로 이루어진 원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원판체(61)가 형성되고, 원판체(61)는 결림판(80)과 고무판(100)을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볼트(110)로 걸림판(80)과 고무판(100)에 고정되며, 원판체(61)의 일측에 홀(62)이 형성되고, 홀(62)은 지지관(4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지지관(40)의 일측 플랜지(43)와 원판체(61)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관(40)의 타단과 고정되는 지지구조물(10)은 전방수직프레임(11) 한쌍과 후방수직프레임(12) 한쌍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프레임(13)과 하부프레임(14)이 고정되어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쌍의 전방수직프레임(11) 사이에 지지프레임(15)이 고정되며, 지지프레임(15)에 고정원판(16)이 고정되고, 고정원판(16)에 다수의 볼트부(16-1)이 형성되어 지지관(40)의 플랜지(42)와 체결되어 고정되며, 일측면을 이루는 전방수직프레임(11)과 후방수직프레임(12)에 다수의 벽면지지바(17)가 형성되고, 타측면을 이루는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에 다수의 받침턱(18)이 형성되며, 받침턱(18)에 수평서포트바(20)의 일단이 올려져 길이조절되면서 취수터널(1)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다수의 수직서포트바(30)는 상단에 지지바(31)가 구비되어 취수터널(1)의 천정벽면에 압착되어 지지구조물(10)과 천정벽면을 압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관체고정판(60)의 홀(62)은 배수가 용이하도록 아래로 편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KR1020140069135A 2014-06-09 2014-06-09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KR101681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135A KR101681133B1 (ko) 2014-06-09 2014-06-09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135A KR101681133B1 (ko) 2014-06-09 2014-06-09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930A KR20150140930A (ko) 2015-12-17
KR101681133B1 true KR101681133B1 (ko) 2016-11-30

Family

ID=5508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135A KR101681133B1 (ko) 2014-06-09 2014-06-09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351B1 (ko) 2017-06-14 2018-10-04 홍석범 수문교체용 차수장치 및 차수장치를 이용한 수문 교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10B1 (ko) * 2007-12-12 2008-05-02 (주)창민기술단 상하수도 공사의 피씨 암거 임시물막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10B1 (ko) * 2007-12-12 2008-05-02 (주)창민기술단 상하수도 공사의 피씨 암거 임시물막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351B1 (ko) 2017-06-14 2018-10-04 홍석범 수문교체용 차수장치 및 차수장치를 이용한 수문 교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930A (ko)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97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토목구조물용 유압식 승하강 수문장치
KR20160013364A (ko) 인양식 수문장치
CN103939142A (zh) 水压可控式隧道排水系统及其水压控制装置
KR101681133B1 (ko) 연결관을 차단하는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KR20130045091A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1255641B1 (ko) 이중 집수구조를 갖는 우수배출장치
JP2009287365A (ja) 溜池の堤体における複合型底樋
KR101842859B1 (ko) 바이패스용 개구부를 가진 차집관거 물막이벽, 및 이를 이용한 차수 및 물돌리기 공법
KR20130000080A (ko)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
KR101604535B1 (ko) 하수관로 물막이 구조
CN203835453U (zh) 水压可控式隧道排水系统及其水压控制装置
KR101681132B1 (ko)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를 이용한 수문교체 방법
KR101755446B1 (ko)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KR101681127B1 (ko)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KR20110110959A (ko)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
KR100948594B1 (ko)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송배출구 자동 탈부착 장치
KR101682110B1 (ko) 수직형 취수탑의 수문을 대신하는 보수용 차단장치
FR2745325A1 (fr) Dispositif pneumatique de protection contre les inondations a usages divers
KR101580044B1 (ko) 하수관로 물막이 공법
KR101626278B1 (ko) 구배조절이 용이한 제수변보호통
KR100987759B1 (ko) 취수탑의 수문 교체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차수장치
KR101893351B1 (ko) 수문교체용 차수장치 및 차수장치를 이용한 수문 교체방법
KR20180057428A (ko) 역류방지용 덮개 및 이를 구비한 역류방지장치
FR3058749B1 (fr) Procede de realisation d'une goulotte pour bassin a debordement
KR101285928B1 (ko)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