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446B1 -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 Google Patents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5446B1 KR101755446B1 KR1020160028836A KR20160028836A KR101755446B1 KR 101755446 B1 KR101755446 B1 KR 101755446B1 KR 1020160028836 A KR1020160028836 A KR 1020160028836A KR 20160028836 A KR20160028836 A KR 20160028836A KR 101755446 B1 KR101755446 B1 KR 1017554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plate
- outlet
- groundwater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title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5 ground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2—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vertical pipe we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정케이싱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 내부에서 유량계 일체형 유량측정부를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양수관과 출수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며 자동으로 연통되도록 하고,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유지, 보수 등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가 탈부착장치와 일체로 구비되어 종래와 같이 유량계를 별도로 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러움 등을 해소할 수 있는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지하수 관정의 관정케이싱 상단부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양수하도록 수중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관정케이싱에 삽입되는 양수관과 외부토출관의 유로를 서로 연통되게 밀폐 결합시키기 위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있어서, 상기 관정케이싱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과; 상기 상부케이싱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토출관과 연결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양수관의 유로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와 상기 양수관을 연통시키는 출수관과; 상기 양수관에서 배출되는 지하수의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유량계가 일체로 구비되고, 하부로 상기 양수관과 연결되는 입수연결구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입수연결구로 유입된 지하수가 상기 유량계를 거쳐 배출되는 출수연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양수관에서 상기 출수관으로 유로를 연결하도록 탈부착수단을 통해 상기 출수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상부케이싱 내부로 상기 유량측정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출수연결구가 상호 수평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 수밀되게 연통되도록 가이드하는 연결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출수연결구가 상호 맞닿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지하수 관정의 관정케이싱 상단부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양수하도록 수중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관정케이싱에 삽입되는 양수관과 외부토출관의 유로를 서로 연통되게 밀폐 결합시키기 위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있어서, 상기 관정케이싱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과; 상기 상부케이싱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토출관과 연결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양수관의 유로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와 상기 양수관을 연통시키는 출수관과; 상기 양수관에서 배출되는 지하수의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유량계가 일체로 구비되고, 하부로 상기 양수관과 연결되는 입수연결구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입수연결구로 유입된 지하수가 상기 유량계를 거쳐 배출되는 출수연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양수관에서 상기 출수관으로 유로를 연결하도록 탈부착수단을 통해 상기 출수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상부케이싱 내부로 상기 유량측정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출수연결구가 상호 수평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 수밀되게 연통되도록 가이드하는 연결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출수연결구가 상호 맞닿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정케이싱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 내부에서 유량계 일체형 유량측정부를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양수관과 출수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며 자동으로 연통되도록 하고,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유지, 보수 등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가 탈부착장치와 일체로 구비되어 종래와 같이 유량계를 별도로 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러움 등을 해소할 수 있는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수 취수 시설은 지표의 암반을 굴착기로 지하수의 수맥을 관통하기까지 굴착한 후 내부에 수중펌프를 설치하고 수중펌프에 연결된 송수관을 이용하여 지하수를 이송하여 물탱크로 저장한다.
종래에는 지하수의 관정 주변을 지면보다 높게한 상부보호시설을 설치하여 오염된 지표수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덮개 장치를 설치하여 지하수 심정 내부로 오염된 물질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지하수 관정 덮개 장치는 개방된 상태로 있어 평상시에도 벌레 등의 서식지가 되거나 홍수가 났을 경우에는 오염된 지표수가 아무 저항 없이 지하수 관정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일순간에 지하수가 심각하게 오염되어 버릴 수 밖에 없는 상태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개방된 지하수 심정 덮개 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지하수 관정 덮개 장치를 밀폐형으로 하여 근본적으로 오염 유발 물질이 지하수 심정 상부로부터 유입되지 않도록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송배출구 자동 탈부착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그 시공이 매우 까다롭고 수밀성에도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수된 물을 공급하는 수도전에는 수도물의 사용량을 검침하기 위한 수도 미터기가 연결되어지고, 수도전은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깊이 이상 터파기를 한 후 땅속에 묻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도미터기도 땅속에 묻혀야 하나 외부에서 쉽게 검침하기 위하여 수도미터기 보호통을 땅에 묻은 후 상기 수도미터기 보호통 내에 수도미터기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수도미터기는 검침의 편리함을 위하여 땅속에 묻힌 수도전의 깊이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수도미터기와 수도전을 연결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이 필요하고, 상기 입수관 및 출수관을 감싸는 연결배관을 구비하여 수도미터기 보호통 하부에 결합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도미터기 보호통은 수도 미터기의 입수관과 급수관 사이에서 앵글관에 의해 결합되어짐으로써 배관 연결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보호통의 하부에는 배관보온재가 내부에 취부되어진 밑판이 연장 형성되어 입수관과 급수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가운데 위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도미터기 보호통 구조에서는 수도미터기와 보호통 내부 배관의 연결은 미터기와 배관에 형성한 나사에 의해 연결되는데 보온상의 목적으로 미터기의 위치가 보호통 바닥부에 위치하며 그에 따라 좁고 깊은 위치에서 파이프렌치 등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이음부 연결작업을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설치 시공에 따른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수도미터기 등의 유량계 및 그에 연결되는 배관이 일체화되어 단순화되는 결합구조를 갖게 되어 미터기의 교체와 설치 작업성이 용이하도록 하고, 입출수구 관통부의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새로이 제시하여 지하수 침투에 의한 동파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수가 유입되기 위한 입출수구의 위치를 기매설된 관정 케이싱에 쉽게 맞출 수 있는 구성으로 수도관을 굴착하지 않고서도 미터기 및 보호통의 교체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를 국내에 등록특허공보 제10-0981985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등록 된 특허는 입출수구 관통부의 누수를 차단하여 지하수 침투에 의한 동파를 방지할 수 있고, 지하수가 유입되기 위한 입출수구의 위치를 기매설된 관정 케이싱에 쉽게 맞출 수 있도록 하여 미터기 및 보호통의 교체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은 있으나, 최초 설치시의 시공이 매우 까다롭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밀성에도 한계가 드러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유량계(20) 및 입출수케이스(30)가 조립형으로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내구성의 문제와 결합의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즉, 종래의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내부에 다수의 배관을 연결 및 해체하여야 하고 그 과정에서 많은 수의 인력이 소요되었으며 밀폐를 위해 겹겹이 혹은 다수의 자재들이 소요되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정케이싱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 내부에서 유량계 일체형 유량측정부를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양수관과 출수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며 자동으로 연통되도록 하고,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유지, 보수 등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가 탈부착장치와 일체로 구비되어 종래와 같이 유량계를 별도로 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러움과 그에 따른 설치의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는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밀을 위한 패킹재를 최소화 하는 것과 동시에, 양수관과 외부토출관과의 유로 연결을 위한 자동 탈부착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취급 및 보수가 편리하고, 유지 보수에 따른 소모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높은 수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지하수 관정의 관정케이싱 상단부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양수하도록 수중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관정케이싱에 삽입되는 양수관과 외부토출관의 유로를 서로 연통되게 밀폐 결합시키기 위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있어서, 상기 관정케이싱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과; 상기 상부케이싱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토출관과 연결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양수관의 유로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와 상기 양수관을 연통시키는 출수관과; 상기 양수관에서 배출되는 지하수의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유량계가 일체로 구비되고, 하부로 상기 양수관과 연결되는 입수연결구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입수연결구로 유입된 지하수가 상기 유량계를 거쳐 배출되는 출수연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양수관에서 상기 출수관으로 유로를 연결하도록 탈부착수단을 통해 상기 출수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상부케이싱 내부로 상기 유량측정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출수연결구가 상호 수평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 수밀되게 연통되도록 가이드하는 연결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출수연결구가 상호 맞닿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상기 연결부는, 상기 출수관의 상기 출수연결구 외측으로 수직한 판 형상을 이루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 출수구판과, 상기 유량측정부의 상기 유입구 외측으로 수직한 판 형상을 이루어 상기 안착판과 상호 측면으로 맞닿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하단부가 삽입 가이드되고 상기 안착판의 전후면 양측이 지지되도록 안착되는 삽입채널과, 상기 출수구판의 상단부로 개구되게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안착판의 상부측 전방에서 소정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안착판이 상기 삽입채널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출수연결구의 중심이 상호 수평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에 가이드되며 안착되는 걸림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채널을 이루도록 상기 출수구판의 전방으로 소정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방지지판과, 상기 전방지지판과 상기 출수구판이 상호 이격 지지되도록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조임 및 풀림에 의해 상기 전방지지판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제1 가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전방지지판과 상기 제1 가압너트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상기 걸림구는, 상기 안착판에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 통과되어 길게 연장되고 말단부에 소정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구경이 확장되도록 소정의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후단부에 걸림 지지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안착판으로부터 상기 걸림구가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걸림구의 몸체부로부터 조여지는 경우 상기 출수구판과 상기 안착판을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가압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양수관과 출수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며 자동으로 연통되도록 하고,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유지, 보수 등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가 탈부착장치와 일체로 구비되어 종래와 같이 유량계를 별도로 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높은 수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밀을 위한 패킹재를 최소화 상태로 양수관과 외부토출관과의 유로 연결을 위한 자동 탈부착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취급 및 보수가 편리하고, 주기적으로 교체가 요구되는 소모성 부품의 구입에 따른 소모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을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탈부착수단의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탈부착수단의 가압부의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탈부착수단의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탈부착수단의 가압부의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이하에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이라 한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을 도시한 단면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탈부착수단의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탈부착수단의 가압부의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지하수 관정의 관정케이싱(C) 상단부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양수하도록 수중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관정케이싱(C)에 삽입되는 양수관(P1)과 외부토출관(P2)의 유로를 서로 연통되게 밀폐 결합시키기 위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있어서, 상부케이싱(10), 출수관(20), 유량측정부(30), 탈부착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싱(10)은 상부가 개구되는 중형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연결플랜지(10a)가 형성되어 상기 관정케이싱(C)과 연통되게 상기 관정케이싱(C)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싱(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덮개(10b)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상부케이싱(10) 내부로 이물질 등이 투입되지 않도록 밀폐된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싱(10)은 상부 일측 내부에서 측벽을 관통하는 전선인출구(11)가 구비되어 상기 양수관(P1)에 연결되는 수중펌프(M) 등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싱(10)에는 오수차단 공기변(12)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오수차단 공기변(12)은 상기 수중펌프(M)의 작동에 따라 지하수 관정의 수위가 변동되는 경우, 그 내부로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홍수 등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싱(10)이 침수되는 경우 지하수 관정의 내부로 오염된 지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상기 오수차단 공기변(12)은 상기 상부케이싱(10)의 상단부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케이싱(10) 내부에서 지표면 상부로 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출수관(20)은 상기 상부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케이싱(10) 내부 일측에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출수관(20)은 지하수를 외부로 양수하도록 지상으로 연장되는 상기 외부토출관(P2)과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싱(10) 측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토출구(21)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상기 양수관(P1)의 유로와 연통되는 유입구(22)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21)와 상기 양수관(P1)을 상호 연통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출수관(20)에는 상기 외부토출관(P2)으로부터 지하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슬리브 체크밸브(23)가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슬리브 체크밸브(23)는 상기 양수관(P1)에서 상기 출수관(20) 내부로 양수된 지하수가 상기 외부토출관(P2)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 지하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와, 지하수를 완전히 차단하기 위한 스톱 밸브 두 가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종래에는 파이프관에 체크 밸브 및 스톱 밸브를 각각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넓은 면적의 설치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그로 인해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밸브를 설치 또는 보수하기가 까다로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상기 슬리브 체크밸브(23)는 상술한 바와 같은 체크 밸브 및 스톱 밸브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츨수관(20)은 상기 양수관(P1)에서 상기 출수관(20) 내부로 양수된 지하수를 지상으로 급수할 수 있는 급수관(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24)은 하단부가 상기 출수관(20) 내측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지표면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상단부 주변에는 개폐밸브(24a)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지하수가 상기 급수관(24)을 통해 지상으로 급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출수관(20)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상기 급수관(24)을 통해 유사시 비상급수를 할 수 있으며, 지하수 오염도나 수질 등급을 평가하기 위한 수도검침 시 지하수를 외부로 쉽게 채수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유량측정부(30)는 상기 양수관(P1)에서 상기 출수관으로 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탈부착수단(40)을 통해 상기 출수관(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유량측정부(30)는 장비 또는 인력을 통해 지상에서 상기 상부케이싱(10) 내부공간으로 수직 이동시키며 상기 출수관(20)과 자동으로 밀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량측정부(30)는 상기 양수관에서 배출되는 지하수의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유량계(31)가 일체로 구비된 것이 특징인 것으로, 상기 유량계(31)는 상기 양수관(P1)에서 배출되어 상기 출수관(20)으로 이동하는 지하수의 유량을 계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량측정부(30)는 하부로 상기 양수관(P1)과 연결되는 입수연결구(3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입수연결구(32)로 유입된 지하수가 상기 유량계(31)를 거쳐 배출되는 출수연결구(33)가 형성된다.
이때,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유량측정부(30)는 상기 입수연결구(32)에서 상기 출수연결구(33)로 이어지는 유로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컴팩트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유량측정부(30) 내부에서 하부로 유입된 지하수가 일측 방향으로 올라와 타측 방향으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유통을 위한 동선을 최소화하여 상기 상부케이싱(10)의 협소한 공간 내부에서의 상기 유량측정부(30)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량측정부(30)는 상기 입수연결구(31) 및 상기 출수연결구(33) 사이에 상기 유량계(33)를 설치하여 지하수가 그 내부를 통과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유량계(33)가 일체로 구비되어 종래와 같이 유량계를 별도로 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후술되는 상기 탈부착수단(40)을 통해 상기 출수관(20)에 자동으로 간편하게 밀폐 결합되어 상기 양수관(P1)에서 상기 출수관(20)으로 유로를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량측정부(30)는 내부를 통과하는 지하수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는 수압계나, 지하수로 인해 관 내부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수격방지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양측의 상부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연장된 인양고리(34)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케이싱(10) 내부에서 상기 유량측정부(30)를 상기 출수관(20)에 결합하기 위해 승하강시키는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상기 양수관(P1)에서 상기 외부토출관(P2)으로 흐르는 지하수의 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유량측정부(30)가 상기 출수관(20)에 밀폐 결합되게 하는 탈부착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탈부착수단(40)은 연결부(41) 및 가압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41)는 출수구판(411)과, 안착판(412)과, 삽입채널(413)과, 가이드홈(414)과, 걸림구(415)와, 패킹부재(416)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1)는 상기 출수관(20)에 상기 유량측정부(30)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싱(10) 내부 상부측에서 상기 유량측정부(30)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유입구(22)와 상기 출수연결구(33)가 상호 수평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 수밀되게 연통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출수구판(411)은 상기 출수연결구(33) 주변 즉, 외측 사방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수직한 판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출수관(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판(412)은 상기 유입구(22)의 외측 사방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수직한 판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유량측정부(3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채널(413)은 상기 안착판(412)의 하단부가 삽입 가이드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출수관(20)의 상기 출수구판(411) 전방에 소정 이격되게 설치된 전후이동판(421)에 의해 소정의 내부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싱(10) 내부에서 상기 유량측정부(30)가 상기 출수관(20)에 근접하여 하강하는 경우 상기 안착판(412)의 하단부가 삽입 가이드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홈(414)은 상기 안착판(412)의 상단부로 개구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 형성된 것으로, 후술되는 상기 걸림구(415)가 가이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414)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414) 방향으로 상기 걸림구(415)가 슬라이딩 유도되도록 소정 경사면을 이루는 경사유도부(414a)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구(415)는 상기 안착판(412)의 상부측 전방에서 소정 돌출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케이싱(10) 내부에서 상기 유량측정부(30)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출수관(20)의 출수구판(411)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414)을 따라 끼워지며 상기 출수구판(411)과 상기 안착판(412)이 상호 수직하게 맞닿은 상태로 결합된다.
즉, 상기 걸림구(415)는 상기 안착판(412)의 하단부가 상기 삽입채널(413)에 삽입되도록 수직 하강하는 경우, 상기 출수관(20)의 유입구(22)와 상기 유량측정부(30)의 출수연결구(33) 중심이 상호 수평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홈(414)에 가이드되며 안착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구(415)는 상기 안착판(412)에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된 삽입공(412a)에 삽입 통과되어 길게 연장되고 말단부에 소정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415a)와, 상기 몸체부(415a)의 선단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구경이 확장되도록 소정의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414)의 후단부에 걸림 지지되는 헤드부(415b)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41)는 상기 출수구판(411)과 상기 안착판(412)이 상호 맞닿은 상태로 수밀되게 밀폐시키는 패킹부재(416)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패킹부재(416)는 상기 안착판(412)의 전면에서 상기 입수연결구(32)의 외측 즉,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움푹한 원형 홈을 이루는 패킹홈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측정부(30)는 상기 상부케이싱(10) 내부에서 하강하며 상기 안착판(412)의 하단부가 상기 삽입채널(413)에 삽입되도록 한 경우, 상기 걸림구(415)가 상기 경사유도부(414a)를 따라 슬라이딩 유도되며 상기 가이드홈(414)을 따라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판(412)은 상기 출수구판(411)과 상호간에 자동으로 탈부착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안착판(412)은 상기 출수구판(411)과 상호 맞닿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패킹부재(416)에 의해 상기 유입구(22) 및 상기 출수연결구(33) 사이에 수밀이 유지된다.
상기 가압부(42)는 상기 연결부(41)에 의해 상기 유입구(22)와 상기 출수연결구(33)가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밀폐력을 높이도록 상기 유입구(22)와 상기 출수연결구(33) 상호간에 맞닿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부(42)는 전방지지판(421)과, 제1 가압너트(422)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판(421)은 상기 연결부(41)의 삽입채널(413)을 이루도록 상기 출수구판(411)의 전방으로 소정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삽입채널(413)은 상기 안착판(412)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안착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에 상기 전방지지판(421)에는 상기 안착판(412)이 상기 삽입채널(413)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유량측정부(30)의 원통형 관의 외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판(411) 전방으로 소정 이격되게 양단이 상기 출수구판(411)에 볼트(421a)가 나사 체결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1 가압너트(422)는 상기 전방지지판(421)과 상기 출수구판(411)이 상호 이격 지지되도록 상기 전방지지판(421)의 양단으로 나사 체결되는 상기 볼트(421a)의 타측에 결합되어 조임 및 풀림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작업자는 별도의 작업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압너트(422)를 조이는 경우 상기 전방지지판을 전진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안착판(412)이 상기 삽입채널(413) 내부에 안착된 경우 상기 출수구판(411)과 상기 전방지지판(421) 사이에서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416)는 상기 출수구판(411)의 유입구(22)와 상기 안착판(412)의 출수연결구(33)를 상호 수밀되게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출수구판(411)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가압너트(422)의 조임 및 풀림을 통해 상기 전방지지판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작업은 상기 유량측정부(30)가 상기 출수관(20)에 결합되기 이전에 작업자가 지상에서 미리 선행작업할 수 있는 것이고, 이에 상기 유량측정부(30)의 안착판(412)이 상기 출수구판(411)의 전방의 상기 삽입채널(413)에 안착시키는 작업에 의해 상기 출수관(20) 및 상기 유량측정부(30)의 밀폐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42)는 상기 전방지지판(421)과 상기 제1 가압너트(422)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4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체(423)는 상기 전방지지판(421)을 상기 출수구판(411)에 나사 체결하는 볼트(421a)와 상기 제1 가압너트(42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가압너트(422)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압축 및 인장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출수구판(411)은 상기 제1 가압너트(422)의 조임 및 풀림 작동에 따라 적정 탄성을 갖게 되고, 상기 안착판(412)이 상기 삽입채널(413)로 삽입되는 경우 일시적인 후퇴가 가능하게 되어 상기 출수구판(411)과 상기 안착판(412)의 밀착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출수구판(411)과 상기 안착판(412)이 상호 밀착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압너트(422)를 최대한 전진 이동시킨 경우 상기 탄성체(423)는 압축이 최대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판(412)이 상기 출수구판(411)과 상기 전방지지판(421) 사이에서 상기 출수구판(411)에 밀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체(42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423)가 구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제1 가압너트(422)에 의해 상기 출수구판(411)과 상기 안착판(412)의 밀폐 결합이 충분히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상기 가압부(42)는 제2 가압너트(4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415)는 상기 몸체부(415a)와, 헤드부(415b)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제2 가압너트(424)는 상기 안착판(412)으로부터 상기 걸림구(415)가 지지 즉, 체결되도록 상기 몸체부(415a)의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는 구성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가압너트(424)는 상기 걸림구(415)의 몸체부로부터 조여지는 경우 상기 출수구판(411)과 상기 안착판(412)을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걸림구(415)의 헤드부(415b)에 형성된 테이퍼면이 즉, 경사면이 상기 출수구판(411)의 후단부를 전방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압너트(424)가 상기 안착판(412)을 후방으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가압너트(424)의 조임 및 풀림 작업은 상기의 제1 가압너트(422)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유량측정부(30)가 상기 출수관(20)에 결합되기 이전에 작업자가 지상에서 미리 선행작업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본 발명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상기 유량측정부(30)의 안착판(412)이 수직한 방향으로 하강하며 상기 출수구판(411)의 전방의 상기 삽입채널(413)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하는 경우 상기 걸림구(415)가 상기 가이드홈(414)에 자동으로 간편하게 안착되며 상기 출수구판(411)과 상기 안착판(412) 각각의 상단부를 상호 밀착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상기 출수구판(411)과 상기 안착판(412)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상호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출수관(20) 및 상기 유량측정부(30)의 밀폐 결합이 매우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41)는 상기의 일실시예에서와 다른 형태의 걸림구(415')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구(415')는 상기 안착판(412)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소정 돌출되도록 대략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구(415')는 상기 안착판(412)의 전방에서 상기 가이드홈(414)을 따라 끼워질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판(411)의 단면 폭만큼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415a')이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구(415')는 상기 안착판(412)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415a')이 상기 가이드홈(414)을 따라 끼워진 경우 상기 출수구판(411)의 상단부가 상기 걸림홈(415a') 부분에 지지되며 상기 출수구판(411)과 상기 안착판(412)이 상호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림구(415')는 상기 걸림홈(415a')이 형성된 부분 내측 단부에 소정 경사면을 이루는 가이드경사면(415b')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경사면(415b')은 상기 걸림구(415')의 걸림홈(415a')이 상기 가이드홈(414)을 따라 상기 출수구판(411)의 상단부에 끼움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홈(414)의 개구된 입구 부분에서 상기 걸림구(415')의 전단부가 상기 출수구판(411)의 후단부에 맞닿으며 삽입 가이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걸림홈(415a') 내부로 상기 출수구판(411)의 상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구(415')는 상기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출수구판(411) 전방의 상기 삽입채널(413)에 상기 안착판(412)이 안착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걸림구(415')가 상기 가이드홈(414)에 자동으로 간편하게 안착되며 상기 출수구판(411)과 상기 안착판(412) 각각의 상단부를 상호 밀착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상부케이싱 20 출수관
21 토출구 22 유입구
30 유량측정부 31 유량계
32 입수연결구 33 출수연결구
40 탈부착수단 41 연결부
411 출수구판 412 안착판
413 삽입채널 414 가이드홈
415 걸림구 416 패킹부재
42 가압부 421 전방지지판
422 제1 가압너트 423 탄성체
424 제2 가압너트 C 관정케이싱
P1 양수관 P2 외부토출관
21 토출구 22 유입구
30 유량측정부 31 유량계
32 입수연결구 33 출수연결구
40 탈부착수단 41 연결부
411 출수구판 412 안착판
413 삽입채널 414 가이드홈
415 걸림구 416 패킹부재
42 가압부 421 전방지지판
422 제1 가압너트 423 탄성체
424 제2 가압너트 C 관정케이싱
P1 양수관 P2 외부토출관
Claims (5)
- 지하수 관정의 관정케이싱 상단부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양수하도록 수중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관정케이싱에 삽입되는 양수관과 외부토출관의 유로를 서로 연통되게 밀폐 결합시키기 위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있어서,
상기 관정케이싱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과; 상기 상부케이싱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토출관과 연결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양수관의 유로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와 상기 양수관을 연통시키는 출수관과; 상기 양수관에서 배출되는 지하수의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유량계가 일체로 구비되고 하부로 상기 양수관과 연결되는 입수연결구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입수연결구로 유입된 지하수가 상기 유량계를 거쳐 배출되는 출수연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양수관에서 상기 출수관으로 유로를 연결하도록 탈부착수단을 통해 상기 출수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상부케이싱 내부로 상기 유량측정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출수연결구가 상호 수평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 수밀되게 연통되도록 가이드하는 연결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출수연결구가 상호 맞닿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출수관의 상기 출수연결구 외측으로 수직한 판 형상을 이루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 출수구판과, 상기 유량측정부의 상기 유입구 외측으로 수직한 판 형상을 이루어 상기 출수구판과 상호 측면으로 맞닿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하단부가 삽입 가이드되고 상기 안착판의 전후면 양측이 지지되도록 안착되는 삽입채널과, 상기 출수구판의 상단부로 개구되게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안착판의 상부측 전방에서 소정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안착판이 상기 삽입채널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출수연결구의 중심이 상호 수평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에 가이드되며 안착되는 걸림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채널을 이루도록 상기 출수구판의 전방으로 소정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방지지판과, 상기 전방지지판과 상기 출수구판이 상호 이격 지지되도록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조임 및 풀림에 의해 상기 전방지지판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제1 가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전방지지판과 상기 제1 가압너트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안착판에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 통과되어 길게 연장되고 말단부에 소정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구경이 확장되도록 소정의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후단부에 걸림 지지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안착판으로부터 상기 걸림구가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걸림구의 몸체부로부터 조여지는 경우 상기 출수구판과 상기 안착판을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가압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8836A KR101755446B1 (ko) | 2016-03-10 | 2016-03-10 |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8836A KR101755446B1 (ko) | 2016-03-10 | 2016-03-10 |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5446B1 true KR101755446B1 (ko) | 2017-07-10 |
Family
ID=5935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8836A KR101755446B1 (ko) | 2016-03-10 | 2016-03-10 |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544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3141B1 (ko) * | 2018-04-13 | 2018-11-28 | 주식회사 천지테크 | 지하수 관정 보호 장치 |
KR102101437B1 (ko) | 2019-09-27 | 2020-04-16 | 주식회사 인포월드 | 지하수 급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하수 양수 장치 |
CN112304382A (zh) * | 2020-09-23 | 2021-02-02 | 广东韶钢工程技术有限公司 | 毕托巴流量计的固定装置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25984A (ja) * | 2005-02-17 | 2006-08-31 | Takemura Seisakusho:Kk | 量水器の接続装置 |
KR101254083B1 (ko) * | 2012-09-21 | 2013-04-23 | 주식회사 남도 | 공동수로가 구비된 연결배관 일체형 지하수 상부 밀폐 장치 |
-
2016
- 2016-03-10 KR KR1020160028836A patent/KR1017554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25984A (ja) * | 2005-02-17 | 2006-08-31 | Takemura Seisakusho:Kk | 量水器の接続装置 |
KR101254083B1 (ko) * | 2012-09-21 | 2013-04-23 | 주식회사 남도 | 공동수로가 구비된 연결배관 일체형 지하수 상부 밀폐 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3141B1 (ko) * | 2018-04-13 | 2018-11-28 | 주식회사 천지테크 | 지하수 관정 보호 장치 |
KR102101437B1 (ko) | 2019-09-27 | 2020-04-16 | 주식회사 인포월드 | 지하수 급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하수 양수 장치 |
CN112304382A (zh) * | 2020-09-23 | 2021-02-02 | 广东韶钢工程技术有限公司 | 毕托巴流量计的固定装置及其使用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5446B1 (ko) |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 |
KR100981985B1 (ko) |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 | |
KR100976774B1 (ko) | 지하수 보호 관정 | |
KR101063950B1 (ko) | 지하수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된 지하수계량기 및 수압계 동파방지장치 | |
KR102342342B1 (ko) | 에어써징 연결구 일체형 지하수 상부 보호공 | |
US8413675B2 (en) | Yard hydrant made easy | |
KR101041191B1 (ko) | 지하수 송수관 동결시 수중모터펌프 및 지하수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된 양수장치 구성품 보호장치 | |
KR100789695B1 (ko) | 수밀성이 향상된 수도미터기 일체형 관정용 방오, 방수장치 | |
KR101903469B1 (ko) | 지하수 관정의 탈부착식 상부 보호공 조합체 | |
KR100948594B1 (ko) |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송배출구 자동 탈부착 장치 | |
KR102368134B1 (ko) | 제수밸브 및 체크밸브 일체형 사수방지 소화전 시스템 | |
KR100897440B1 (ko) | 지하수 심정의 토출구와 급수구 결합장치 | |
KR101426016B1 (ko) |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송배출구 탈부착 장치 | |
KR100633777B1 (ko) | 시공이 용이한 관정용 방오, 방수장치 | |
KR20100104443A (ko) | 유지 보수가 용이한 관정 보호장치 | |
KR100997253B1 (ko) | 지하수공의 상부 오염방지장치 | |
KR101254083B1 (ko) | 공동수로가 구비된 연결배관 일체형 지하수 상부 밀폐 장치 | |
KR100371520B1 (ko) |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 |
KR101320409B1 (ko) | 지하수 상부보호공에 설치된 관정시설물의 동파방지를 위한 잔류수 자동배수장치 | |
KR101568902B1 (ko) |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 |
KR101138739B1 (ko) | 지하수 상부 보호공의 배관 연결장치 | |
KR101194158B1 (ko) | 상수도용 부동전 | |
KR100821392B1 (ko) |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 |
KR100621149B1 (ko) | 수중 모터펌프의 설치공법 | |
KR101923141B1 (ko) | 지하수 관정 보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