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902B1 -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 Google Patents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902B1
KR101568902B1 KR1020130088319A KR20130088319A KR101568902B1 KR 101568902 B1 KR101568902 B1 KR 101568902B1 KR 1020130088319 A KR1020130088319 A KR 1020130088319A KR 20130088319 A KR20130088319 A KR 20130088319A KR 101568902 B1 KR101568902 B1 KR 101568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head
tube hea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612A (ko
Inventor
조희남
Original Assignee
조희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남 filed Critical 조희남
Priority to KR102013008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902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02Surface sealing or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관한 것으로, 좁은 케이싱 직경 내부에서도 나사조임을 통한 토출관 헤드와 급수관의 기계적 결합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뛰어나고 소구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지하수 심정의 지상측 입구에 설치되는 상하 개방형의 보호공 본체와; 상기 보호공 본체의 상측을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보호공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저부는 양수관 연결부를 통해 양수관과 연결되고 상기 양수관 연결부의 둘레부에 형성된 관형의 급수부를 통해 급수관과 연결되는 토출관 헤드와; 상기 보호공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토출관 헤드의 일측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전방 가이드와; 상기 보호공 본체의 내주면에서 상기 토출관 헤드의 급수부와 반대쪽 내주면에 형성되는 후방 가이드와; 상기 토출관 헤드를 상기 급수관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보호공 본체와 토출관 헤드 및 급수관 사이를 수밀하게 조성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토출관 헤드와 상기 후방 가이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관 헤드를 상기 급수관쪽으로 압박 지지하는 것으로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기 토출관 헤드와 상기 후방 가이드에 각각 지지되는 압박봉 하우징, 상기 압박봉 하우징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이 상기 후방 가이드에 지지되면서 전방이 상기 토출관 헤드를 상기 급수관쪽으로 압박하는 압박봉, 상기 압박봉을 강제로 상기 토출관 헤드의 압박 방향으로 지지하는 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DEEP WELL COVER DEVICE}
본 발명은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좁은 케이싱 직경 내부에서도 나사조임을 통한 토출관 헤드와 급수관의 기계적 결합이 가능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수 양수장치는, 예컨대, 지표의 암반을 소정 굵기의 굴착기로 수맥 이하의 깊이까지 굴착한 다음 지표수(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파이프형 외부케이싱을 굴착공에 삽입하거나 또는 이와 함께 콘크리트액을 외부케이싱 외측에 주입하여 외부케이싱을 지중에 고착하는 그라우팅공법을 사용하고, 다수의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서 된 양수파이프를 심정(深井)까지 연장설치하며 상기 양수파이프의 하단에는 심정용 수중모우터펌프를 장착하고 소정위치에 장착된 상하 레벨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지하수를 퍼올리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지하다시피 지하수(地下水, groundwater)라 함은 지하의 지층이나 암석사이의 빈틈을 채우고 있거나 흐르는 지하수를 말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각종 오염물질이 지하수와 혼합되어 지하수의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더구나 지하수 심정 덮개 장치가 지금까지는 개방된 상태로 있어 평상시에도 벌레의 서석지로 사용되거나 홍수가 났을 경우에는 오염된 지표수가 아무 저항 없이 지하수 심정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하수도화 하여 일순간에 지하수가 심각하게 오염되어 버릴 수 밖에 없는 상태로 되어 있었다.
그동안 본 발명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하수 심정의 상부를 완전하게 밀폐할 수 있는 여러 발명과 고안을 통해 지하수 심정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발전 향상시키면서도 지표로부터의 제반 오염물질의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술과 방법, 그리고 제품을 개발, 공급하여 왔다.
완전한 밀폐성이 확보된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로 특허 제0330508호(지하수 진공양수장치)와 특허 제0330508호(지하수 심정의 첨수방지장치) 및 실용신안등록 제0105323호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조립식 후렌지), 실용신안등록 제0176973호(지하수 양수장치), 실용신안등록 제0219401호(연결배관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지하수심정 밀폐덮개장치), 실용신안등록 제0176308호(지하수 심정밀폐덮개) 및 실용신안등록 제 0294642호(지하수 심정용 덮개)등의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밀폐식 상부 보호공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측 개구부에 다수의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를 밀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져 양수시설을 보호한다. 상부 보호공의 케이스에는 양수공급관과 동력케이블의 연결(인출)을 위한 포트가 각각 갖추어진다.
종래 개발된 밀폐식 상부 보호공 기술의 현장 적용 과정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직경 250mm 내외의 공간에서 손을 이용하여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의 양수파이프와 연결된 토출구와 밀폐식 상부보호공 외부의 급수파이프와 연결된 급수구를 높은 압력에서도 누수없이 강하게 결합시키는 것이었다. 실용신안등록 제0369260호(실용신안등록명칭; 지하수 심정의 토출구와 급수구 결합장치)에서 본 발명인은 나사조임방식을 이용하여 쐐기를 양수헤드의 돌설부에 압박시켜 토출구를 급수구에 결합시키는 장치를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이 고안은 수량계를 반드시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인은 특허출원 제10-2005-0076696호(특허명칭 ; 급수관 포켓을 형성한 지하수 심정 밀페식 상부보호공 장치)를 통해 포켓을 형성한 밀폐식 상부보호공을 발명하여 수량계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관 구성과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으나 이 경우 배관의 연결은 캠락카프링(일명 호스카프링) 방식을 채택하도록 함으로써 결합과정에서 토출구와 급수구 결합면을 기준으로 하여 결합과 해지시 20mm이상의 전,후진 이격거리를 반드시 필요로 하였으며 이로 인해 양수파이프의 상단에는 토출구의 자유로운 전, 후진을 위한 굴신을 돕기 위해 주름관을 필히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이들의 구성을 위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내부 크기를 크게 해야만 하고 결과적으로 장치의 설치공간을 넓게 해야만 하는 문제와 장치 구성 요소가 늘어남으로써 관리의 불편성이 있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 나사조임 방식은 케이싱 내부에 받침판을 설치하여 받침판 상부에서 토출구 헤드가 슬라이딩 하여 토출구와 급수구가 결합되도록 구조가 이루어져 장치의 복잡성과 조작과정에서의 수중펌프의 하중으로 인한 슬라이딩 기능저하 및 내부 구경이 최소한 250mm 이상을 확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경제성이 낮다.
일부 제품의 경우 나사조임 등을 이용한 기계적 결합이 아닌 수중펌프와 양수파이프 자중에 의한 토출구와 급수구를 결합하는 기술이 있으나, 이는 운전 중 수충격 작용 등에 의한 수밀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150mm 내외의 케이싱 내부에서도 기계적 나사결합을 통해 높은 수밀성을 확보하면서도 경제적인 장치구성이 가능한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0643131호 등록특허 제10-0772820호 등록특허 제10-0890815호 등록특허 제10-0897440호 등록특허 제10-0984185호 등록특허 제10-099725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좁은 케이싱 직경 내부에서도 나사조임을 통한 토출관 헤드와 급수관의 기계적 결합이 가능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지하수 심정의 지상측 입구에 설치되는 상하 개방형의 보호공 본체와; 상기 보호공 본체의 상측을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보호공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저부는 양수관 연결부를 통해 양수관과 연결되고 상기 양수관 연결부의 둘레부에 형성된 관형의 급수부를 통해 급수관과 연결되는 토출관 헤드와; 상기 보호공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토출관 헤드의 일측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전방 가이드와; 상기 보호공 본체의 내주면에서 상기 토출관 헤드의 급수부와 반대쪽 내주면에 형성되는 후방 가이드와; 상기 토출관 헤드를 상기 급수관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보호공 본체와 토출관 헤드 및 급수관 사이를 수밀하게 조성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토출관 헤드와 상기 후방 가이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관 헤드를 상기 급수관쪽으로 압박 지지하는 것으로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기 토출관 헤드와 상기 후방 가이드에 각각 지지되는 압박봉 하우징, 상기 압박봉 하우징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이 상기 후방 가이드에 지지되면서 전방이 상기 토출관 헤드를 상기 급수관쪽으로 압박하는 압박봉, 상기 압박봉을 강제로 상기 토출관 헤드의 압박 방향으로 지지하는 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의하면, 쐐기 조정볼트의 나사 조임과 압박봉의 압박을 통해 토출관 헤드가 직선 이동하여 급수관과 수밀성을 유지하면서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양수시설의 설치와 해체가 매우 단순하므로 시공과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소구경 케이싱 내부에서도 장치구성이 가능하게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지하수의 누수를 지속적으로 차단 유지가 가능함으로써 지하수의 원활한 확보 및 지하수의 오염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적용된 전방 가이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적용된 후방 가이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적용된 압박봉 하우징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적용된 압박봉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적용된 가압수단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적용된 쐐기의 작동을 보이기 위한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적용된 쐐기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적용된 차압수량 측정기의 확대도.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지하수 심정(1)의 지표면측[심정(1)의 지상측 입구]에 설치되는 상하 개방형의 보호공 본체(10)와; 보호공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며 양수관(2)과 급수관(3)을 연결하는 토출관 헤드(20)와; 토출관 헤드(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급수관(2)과의 사이를 수밀하게 조성하기 위한 가압수단(50)으로 구성된다.
보호공 본체(10)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된 통 구조이며 저부는 심정(1) 벽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케이싱(4)에 관이음(플랜지 이음 등)되고 상부는 덮개(1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보호공 본체(10)의 내부에는 토출관 헤드(20)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전방 가이드(30)[토출관 헤드(20)의 전방측[급수부(22)측]을 직접 지지], 후방 가이드(40)[가압수단을 매개로 하여 토출관 헤드(20)를 간접 지지]가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전방 가이드(30)는 보호공 본체(10)의 내벽면에 지지되는 전방 가이드 본체(31), 전방 가이드 본체(31)의 저부에 돌출 형성되며 토출관 헤드(20)의 급수부(22)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받침턱(32), 전방 가이드 본체(31)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보호공 본체(10)에 형성되는 구멍을 관통하며 급수관(3)과 연결되는 급수관 연결부(33)로 구성된다.
전방 가이드(30)는 토출관 헤드(20)를 고정하는 기능보다는 토출관 헤드(20)와 급수관(3)을 수밀하게 연결하며 받침턱(32)을 통해 토출관 헤드(20)를 지지하는 것을 주기능으로 하며,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받침턱(32)에 상하가 연통하도록 가이드홀(3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34)에는 토출관 헤드(20)의 급수부(22)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턱(22a)이 삽입 지지된다. 가이드홀(34)은 토출관 헤드(20)의 급수부(22)와 전방 가이드(30) 사이에서 이물질을 배출하는 기능도 겸할 수 있다. 이물질의 배출은 상부에서 세척수를 분사시켜 가이드홀(34)을 통해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이 되도록 하였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토출관 헤드(20)는 토출관 헤드(20)를 통해 급수되는 지하수의 채수가 가능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토출관 헤드(20)는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며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채수포트(23)가 구비된다. 채수포트(23)는 평상시에는 폐쇄되고 채수시에만 개방되도록 막음 캡(24)이 적용된다. 막음 캡(24)은 채수포트(23)에 나사 체결 등으로 결합된다.
지하수의 채수시 막음 캡(24)을 채수포트(23)에서 분리한 후 채수용 밸브 등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채수할 수 있다.
또는 막음 캡(24)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채수가 가능하도록 막음 캡(24)에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는 채수홀을 형성하고 상기 채수홀을 아이볼트(25)로 폐쇄하여 사용하다가, 지하수의 채수시 아이볼트(25) 대신 채수용 밸브를 설치하여 지하수를 채수할 수도 있다. 물론 운전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한 압력계(미도시)나 각종 센서등을 위부하여 운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하겠다.
전방 가이드(30)의 전방 가이드 본체(31)와 토출관 헤드(20)의 급수부(22)의 선단면이 맞닿는 곳에는 수밀성 확보를 위한 지수재로서 예컨대 오링(35)이 설치된다.
도 1, 3, 4에 도시된 것처럼, 후방 가이드(40)는 보호공 본체(10)의 내벽면에 지지되는 후방 가이드 본체(41), 후방 가이드 본체(41)의 저부에 안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가압수단(50)의 압박봉 하우징(51)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받침턱(42), 후방 가이드 본체(41)의 내측 벽면에 가압수단(50)의 압박봉 하우징(51)을 저부로 누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압박봉 하우징(51)이 수압 등에 의해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후퇴가이드(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방 가이드(40)와 가압수단(50)의 압박봉 하우징(51)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받침턱(42)에 상하로 연통하는 가이드홀(4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44)에는 압박봉 하우징(51)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턱(51a)이 삽입 지지된다. 가이드홀(44)은 후방 가이드(40)와 압박봉 하우징(51) 사이에서 이물질을 배출하는 기능도 겸할 수 있다.
토출관 헤드(20)는 양수관(4)을 통해 양수되는 지하수를 급수관(3)으로 유도 이송하는 것이며, 양수관(4)과 연결(플랜지 이음 등)되는 양수관 연결부(21), 양수관 연결부(21)의 둘레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방 가이드(30)의 급수관 연결부(33)에 연결되는 관형의 급수부(22)로 구성된다.
토출관 헤드(20)의 양수관 연결부(21)는 편심 배치되어 작은 직경의 보호공 본체(10) 내부에서도 쐐기(53)와 쐐기 조정볼트(55)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의 토출관 헤드(20)는 전방 가이드(30)와 상기 가압수단을 통해 설치 및 급수관(3)과 수밀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압수단(50)은, 토출관 헤드(20)와 후방 가이드(40) 사이에 설치되어 토출관 헤드(20)를 급수관쪽으로 압박 지지하는 것으로, 길이방향의 양측이 토출관 헤드(20)와 후방 가이드(40)에 각각 지지[일측은 토출관 헤드(20)에 지지되고, 타측은 후방 가이드(40)의 받침턱(42)의 상부에 지지]되는 압박봉 하우징(51), 압박봉 하우징(51)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이 후방 가이드(40)에 지지되면서 전방이 토출관 헤드(20)를 급수관(3)쪽으로 압박하는 압박봉(52), 압박봉(52)을 강제로 토출관 헤드(20)의 압박 방향으로 지지하는 쐐기(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압박봉 하우징(51)은 예컨대 상부가 개방되면서 바닥부에 배출공(51c)이 구비된 하우징 본체(51a), 하우징 본체(51a)의 상부를 덮어(체결구 등으로 체결 고정) 밀폐하는 하우징 덮개(51b)로 구성될 수 있다. 배출공(51c)은 보호공 본체(10) 내부에 채워진 지하수가 압박봉 하우징(51) 내부에 채워지지 않도록 지하수와 이물질을 배출한다.
압박봉(52)은 압박봉 하우징(51) 내부에 전후진[전진 : 토출관 헤드(20)를 급수관(3)쪽으로 미는 방향, 후진 : 토출관 헤드(20)가 급수관(3) 반대쪽으로 밀리는 방향] 가능하게 장착되며, 후방 가이드(40)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토출관 헤드(20)를 급수관(3)쪽으로 지지한다.
압박봉(52)은 쐐기(53)에 의해 전후진하며, 쐐기(53)가 하강하면 토출관 헤드(20)와 압박봉(52)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쐐기(53)가 상승하면 토출관 헤드(20)와 압박봉(52)이 서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압박봉(52)의 단면에는 쐐기(53)의 승강에 의해 전후진 가능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대체적으로 압박봉(52)의 전후진에 따라 압박봉 하우징(51)과 일체화된 토출관 헤드(20)의 전후진 거리는 약 3밀리미터 내외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이 이동거리는 전방 가이드(30)와 후방 가이드(40)에 각각 구성된 받침턱(32),(42)의 상면에서 슬라이딩형태로 달성되며 무해성 그리스를 도포하여 동작의 윤활을 가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예를 들어 토출관 헤드(20)의 해체시 압박봉(52)의 리턴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압박봉(52)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 예컨대 코일스프링(54)이 적용된다. 코일스프링(54)은 압박봉(52)의 둘레부에 2개 이상이 설치되며, 예를 들어 압박봉 하우징(51)의 내부에 스프링 장착홈을 형성하고 압박봉(52)의 둘레부에 스프링 지지턱을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 장착홈과 상기 스프링 지지턱의 사이에 코일스프링(54)을 설치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물론 스프링 설치 간극이 협소하거나 구조의 단순성을 확보하기 위해 코일스프링(54) 대신 판스프링(미도시)으로 대체 설치가 가능하며 스프링의 설치 개소수나 설치 위치등의 선택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운용가능한 기술내용이라 할 것이다.
압박봉 하우징(51)은 토출관 헤드(20)에 둘레부 중에서 급수부(22)의 반대쪽에 대칭으로 일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토출관 헤드(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토출관 헤드(20)와 압박봉 하우징(51)은 토출관 헤드(20)의 급수부(22)와 압박봉 하우징(51)이 좌우 대칭인 늑골 구조로서 견고한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과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쐐기(53)는 압박봉 하우징(5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을 통해 토출관 헤드(20)와 압박봉(52)이 벌어지도록 하고 상승을 통해 토출관 헤드(20)와 압박봉(52)이 코일스프링(54)에 의해 모아지도록 하고, 이러한 기능에 맞춰 둘레부에 경사면(53a)이 형성되며, 예를 들어 원추형, 경사판형 등이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론, 압박봉(52)과 토출관 헤드(20)에는 쐐기(53)의 경사면(53a)과 대응하는 경사면(52a,20a)이 형성된다.
특히 후방 가이드(40)에 접촉되는 압박봉(52)의 선단부는 반구형태 또는 원추형태의 경우 토출관 헤드(20)에 가해지는 압박력이 한쪽으로 편심되어 분산되지 않고 중심방향에서 균일하게 분배되는 특징을 구현할 수도 있다.
쐐기(53)는 쐐기 조정볼트(55)에 의해 승강한다.
쐐기 조정볼트(55)는 저부가 쐐기(53)와 연결되어 구성되며 둘레부의 나사선을 통해 압박봉 하우징(51)에 형성된 너트에 나사 체결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쐐기(53)를 하강 또는 상승시킨다.
쐐기(53)를 통해 토출관 헤드(20)를 수밀하게 설치한 후 토출관 헤드(20)를 포함하는 자재들의 유지보수나 교체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면 토출관 헤드(20)의 잠금이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 9에서처럼, 잠금구(56)를 매개로 하여 쐐기 조정볼트(55)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함으로써 토출관 헤드(20)의 설치 상태를 유지한다. 잠금구(56)는 압박봉 하우징(51)에 지지되면서 쐐기 조정볼트(55)의 머리에 끼워져 쐐기 조정볼트(55)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쐐기 조정볼트(55)의 머리에 끼움 결합되는 잠금 캡(56a), 잠금 캡(56a)과 연결되면서 압박봉 하우징(51)에 지지되는 하우징 지지부(56b)로 구성된다. 하우징 지지부(56b)는 잠금 캡(56a)의 일측에 연결되면서 힌지를 통해 압박봉 하우징(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방법, 잠금 캡(56a)의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압박봉 하우징(51)의 양측에 끼움 결합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토출관 헤드(20)의 급수부(22)를 통과하는 수량을 측정하는 차압수량 측정기(60)(도 1, 도 3, 도 10 참고)를 포함한다.
먼저 차압수량 측정기(60)를 위하여 급수부(22)의 내부에는 오리피스(22b)가 형성된다.
오리피스(22b)를 중심으로 하여 급수부(22)의 양측에는 각각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제1,2압력관 포트(61,62)가 형성된다.
차압센서(65)는 고압측 튜브(63)와 저압측 튜브(64)를 통해 제1,2압력관 포트(61,62)와 연결되어, 고압측 튜브(14)와 저압측 튜브(15)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통해 차압을 검출한다.
또한 급수부(22)를 통해 지하수가 흐르는 경우에만 차압센서(65)가 작동하도록 급수부(22) 내에서 지하수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수센서(66)가 적용된다.
컨트롤러(67)는 유수센서(66)에 의한 유수 감지값과 차압센서(65)로부터 검출된 값을 근거로 하여 유량을 연산한다.
컨트롤러(67)에 의해 연산된 지하수의 수량은 디스플레이(68)를 통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68)는 관리자가 보호공 본체(10)의 덮개(11)를 열지 않고 외부에서 지하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보호공 본체(10)의 덮개(11)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11)에는 투명의 점검창이 형성되고 상기 점검창의 안쪽에 디스플레이(68)가 설치될 수 있다.
1 : 심정, 2 : 양수관
3 : 급수관, 4 : 케이싱
10 : 보호공 본체, 11 : 덮개
20 : 토출관 헤드, 30 : 전방 가이드
40 : 후방 가이드, 50 : 가압수단
51 : 압박봉 하우징, 52 : 압박봉
53 : 쐐기, 54 : 쐐기 조정볼트
60 : 차압수량 측정기,

Claims (11)

  1. 지하수 심정의 지상측 입구에 설치되며 상측의 개방부가 덮개(11)로 밀폐되는 상하 개방형의 보호공 본체(10)와;
    상기 보호공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저부는 양수관 연결부(21)를 통해 양수관(2)과 연결되고 상기 양수관 연결부의 둘레부에 형성된 관형의 급수부(22)를 통해 급수관(3)과 연결되는 토출관 헤드(20)와;
    상기 보호공 본체의 내벽면에 지지되는 전방 가이드 본체(31), 상기 전방 가이드 본체의 저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토출관 헤드의 급수부(22)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받침턱(32), 상기 전방 가이드 본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호공 본체에 형성되는 구멍을 관통하여 급수관과 연결되는 급수관 연결부(33)로 이루어져 상기 토출관 헤드의 일측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전방 가이드(30)와;
    상기 보호공 본체의 내벽면에 지지되는 후방 가이드 본체(41), 상기 후방 가이드 본체의 저부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턱(42)으로 이루어지는 후방 가이드(40)와;
    상기 토출관 헤드와 상기 후방 가이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관 헤드를 상기 급수관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보호공 본체와 토출관 헤드 및 급수관 사이를 수밀하게 조성하는 가압수단(50)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길이방향의 일측이 상기 토출관 헤드에 지지되는 한편 타측이 상기 후방 가이드의 받침턱(42)의 상부에 지지되는 압박봉 하우징(51), 상기 압박봉 하우징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이 상기 후방 가이드에 지지되면서 전방이 상기 토출관 헤드를 상기 급수관쪽으로 압박하는 압박봉(52), 상기 압박봉을 강제로 상기 토출관 헤드의 압박 방향으로 지지하는 쐐기(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상기 압박봉과 토출관 헤드에 형성된 가이드면의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박봉 하우징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쐐기 조정볼트(55)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압박봉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토출관 헤드를 상기 급수관쪽으로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3. 청구항 2에 있어서, 쐐기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압박봉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압박봉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쐐기 조정볼트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박봉 하우징은 상부가 개방되면서 바닥부에 배출공이 구비된 하우징 본체(51a), 상기 하우징 본체(51a)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는 하우징 덮개(51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 헤드와 상기 압박봉 하우징은 상기 토출관 헤드의 급수부와 상기 압박봉 하우징이 좌우 대칭인 늑골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가이드는, 상기 후방 가이드 본체의 내측 벽면에 상기 압박봉을 저부로 누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후퇴가이드(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에 설치되어 급수량을 연산 검출하는 차압수량 측정기(60)를 포함하고,
    상기 차압수량 측정기는, 상기 토출관 헤드의 급수부(22) 내부에 형성되는 오리피스(22b), 상기 오리피스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급수부(22)의 양측에 각각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2압력관 포트(61,62), 상기 제1,2압력관 포트와 각각 고압측 튜브(63)와 저압측 튜브(64)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압측 튜브와 저압측 튜브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통해 차압을 검출하는 차압센서(65), 상기 토출관 헤드의 급수부(22) 내에서 지하수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수센서(66)와; 상기 유수센서에 의한 유수 감지값과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검출된 값을 근거로 하여 유량을 연산하는 컨트롤러(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가이드(30)는, 상기 받침턱(32)에 상하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토출관 헤드의 급수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턱(22a)이 삽입 지지되는 가이드홀(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가이드(40)는, 상기 받침턱(42)에 상하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압박봉 하우징(51)의 저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턱(51a)이 삽입 지지되는 가이드홀(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KR1020130088319A 2013-07-25 2013-07-25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KR101568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319A KR101568902B1 (ko) 2013-07-25 2013-07-25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319A KR101568902B1 (ko) 2013-07-25 2013-07-25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612A KR20150012612A (ko) 2015-02-04
KR101568902B1 true KR101568902B1 (ko) 2015-11-12

Family

ID=52488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319A KR101568902B1 (ko) 2013-07-25 2013-07-25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437B1 (ko) 2019-09-27 2020-04-16 주식회사 인포월드 지하수 급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하수 양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651B1 (ko) * 2019-04-10 2021-03-05 조희남 지하수 및 지열용 상부 보호공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999Y1 (ko) 2004-06-14 2004-09-07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KR100821391B1 (ko) 2007-02-08 2008-04-11 김희순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KR100997253B1 (ko) 2007-12-12 2010-11-29 조은섭 지하수공의 상부 오염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999Y1 (ko) 2004-06-14 2004-09-07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KR100821391B1 (ko) 2007-02-08 2008-04-11 김희순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KR100997253B1 (ko) 2007-12-12 2010-11-29 조은섭 지하수공의 상부 오염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437B1 (ko) 2019-09-27 2020-04-16 주식회사 인포월드 지하수 급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하수 양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612A (ko)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12184A (zh) 一种预制泵站
KR101568902B1 (ko)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KR100976774B1 (ko) 지하수 보호 관정
KR100977056B1 (ko) 지하수 오염 방지용 관정 보호와 지하수 소독 및 펌프 무선 제어장치
KR101903469B1 (ko) 지하수 관정의 탈부착식 상부 보호공 조합체
KR100997253B1 (ko) 지하수공의 상부 오염방지장치
KR100897440B1 (ko) 지하수 심정의 토출구와 급수구 결합장치
CN206945079U (zh) 一种新型地下水位监测仪
KR100821391B1 (ko)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KR101755446B1 (ko) 탈부착장치가 구비된 유량계 일체형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ITPN950018A1 (it) Sistema di controllo per foglio costituente barriera impermeabilizzante
KR200395350Y1 (ko)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토출구 전진 결합장치
CN209457975U (zh) 一种山区公路隧道洞内消防供水系统
KR200360999Y1 (ko)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KR101138739B1 (ko) 지하수 상부 보호공의 배관 연결장치
KR101439362B1 (ko) 일체형 수중가압펌프장치
KR20060135084A (ko)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토출구 전진 결합장치
CN214660127U (zh) 一种石油钻井井口防溢管钻井液液位智能检测装置
CN109339150A (zh) 一种无塔自动供水真空管井
KR200423715Y1 (ko) 지하수 관정 패커
KR101204055B1 (ko)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및 취수 시설
KR101795667B1 (ko) 물 넘침 방지가 가능한 게오힐 개방형 지열 지중열교환기 시스템
KR200408786Y1 (ko) 채수가 용이한 양수장치용 밀폐식 상부 보호공
KR20010097325A (ko)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와 그 제작방법
KR102072114B1 (ko) 수질관측 지하수 상부보호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