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999Y1 -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 Google Patents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999Y1
KR200360999Y1 KR20-2004-0016661U KR20040016661U KR200360999Y1 KR 200360999 Y1 KR200360999 Y1 KR 200360999Y1 KR 20040016661 U KR20040016661 U KR 20040016661U KR 200360999 Y1 KR200360999 Y1 KR 200360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ed
improved structure
lower inclined
cover device
core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20-2004-0016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9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99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2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vertical pipe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6Component parts of w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내주면에 각각 상부경사내면과 하부경사내면이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고, 이 상,하부경사내면의 사이에 수직으로 급수구가 형성된 밀폐하우징(30); 상기 밀폐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부경사내면과 일치되게 각각 외주면에 상부경사외면과 하부경사외면이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에는 수직 수평으로 토출구가 형성되고, 이 토출구의 끝단에는 플러그체결공과 배관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양수헤드(50); 상기 양수헤드의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의 구멍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날개부가 형성된 균등누름편(60); 상기 밀폐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에 조임볼트체결공이 형성된 덮개커버(10); 상부는 상기 조임볼트체결공에 체결되고, 하부는 나사봉이 균등누름편의 구멍을 통과하여 너트와 결합되는 조임볼트(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하부 경사내면이 형성된 밀폐하우징과 상,하부 경사외면이 형성된 양수헤드를 상호 밀착 조립 설치함으로 인해 수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높은 운전수압에서도 누수없이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조립의 단순화로 인해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a hermetic subsurface water deep well cover equipment}
본 고안은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부 경사내면이 형성된 밀폐하우징과 상,하부 경사외면이 형성된 양수헤드를 상호 밀착 조립 설치함으로 인해 수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높은 운전수압에서도 누수없이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조립의 단순화로 인해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이 본인이 선출원한 종래의 특허 및 실용신안을 더욱 보완하여 출원하게 된 것임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주지하다시피 지하수(地下水,groundwater)라 함은 지하의 지층이나 암석사이의 빈틈을 채우고 있거나 흐르는 물을 말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각종 오염물질이 지하수와 혼합되어 지하수의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더구나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가 지금까지는 개방된 상태로 있어 평상시에도 벌레의 서식지로 사용되거나 홍수가 났을 경우에는 오염된 지표수가 아무 저항 없이 지하수 심정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하수도화 하여 일순간에 지하수가 심각하게 오염되어버릴 수 밖에 없는 상태로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밀폐형 심정 덮개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밀폐형 덮개를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완전한 밀폐성이 확보된지하수 심정 덮개장치가 출원 및 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도 지하수 심정펌프를 인양하게 될 경우 지상에 설치된 양수파이프를 함께 분리하게 되고, 이러한 분리과정과 재 결합과정에서 전문 배관기술자가 필요하게 되는 사유로 인해 고비용이 들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통상의 지하수 심정 펌프는 높은 운전 수압이 존재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완벽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됨으로 인해 누수의 우려가 높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하부 경사내면이 형성된 밀폐하우징과 상,하부 경사외면이 형성된 양수헤드를 상호 밀착 조립 설치함으로 인해 수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특히 제2목적은 덮개커버의 조임볼트를 조여 하강시키면 균등누름편이 양수헤드 전체를 균일하게 하강시킴에 따라 양수헤드와 밀폐하우징과의 사이가 긴밀히 밀착됨으로 인해 밀폐성과 수밀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상기한 작용에 의해 높은 운전수압에서도 누수없이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제4목적은 조립의 단순화로 인해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제5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에 있어서, 내주면에 각각 상부경사내면과 하부경사내면이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고, 이 상,하부경사내면의 사이에 수직으로 급수구가 형성된 밀폐하우징; 상기 밀폐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부경사내면과 일치되게 각각 외주면에 상부경사외면과 하부경사외면이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에는 수직 수평으로 토출구가 형성되고, 이 토출구의 끝단에는 플러그체결공과 배관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양수헤드; 상기 양수헤드의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의 구멍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날개부가 형성된 균등누름편; 상기 밀폐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에 조임볼트체결공이 형성된 덮개커버; 상부는 상기 조임볼트체결공에 체결되고, 하부는 나사봉이 균등누름편의 구멍을 통과하여 너트와 결합되는 조임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적용된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적용된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의 요부
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볼탑밸브 2: 수위측정관
10: 덮개커버 20: 조임볼트
21: 나사봉 30: 밀폐하우징
31, 32: 상,하부경사내면 40: 동력전선방수케이스
41: 주입공 42: 캡
43: 동력케이블 44: 수위선
50: 양수헤드 52: 플러그
54: 단턱부 55, 56: 상,하부경사외면
57: 오링 58: 토출구
60: 균등누름편 61: 날개부
본 고안에 적용된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는 도 1,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내주면에 각각 상부경사내면(31)과 하부경사내면(32)이 직경이 다르게 즉, 상부경사내면(31)보다 하부경사내면(32)이 좁게 형성되고, 이 상,하부경사내면(31)(32)의 사이에 수직으로 급수구(33)가 형성된 밀폐하우징(30)이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밀폐하우징의 내부에 양수헤드(50)가 설치되되, 이 양수헤드(50)는 상,하부경사내면(31)(32)과 일치되게 각각 외주면에 상부경사외면(55)과 하부경사외면(56)이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에는 수직 수평으로 토출구(58)가 형성되고, 이 토출구(58)의 끝단에는 플러그체결공(51)과 배관체결공(59)이 각각 형성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양수헤드(50)의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의 구멍(62)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날개부(61)가 형성된 균등누름편(60)이 구비된다.
더 나아가서 본 고안은 상기 밀폐하우징(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에 조임볼트체결공(13)이 형성된 덮개커버(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커버(10)에는 수위측정관마개볼트(12)가 체결되게 마개볼트체결공(14)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마개볼트체결공(14)의 하단에는 수위측정관(2)이 삽입되는 가이드관(11)이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는 상기 조임볼트체결공(13)에 체결되고, 하부는 나사봉(21)이 균등누름편(60)의 구멍(62)을 통과하여 너트(22)와 결합되는 조임볼트(2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밀폐하우징(30)의 하부 일측에 동력케이블(43)과 수위선(44)을 동력콘트롤판넬(도면상에는 미 도시함)에 연결하기 위해 동력전선방수케이스(40)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전선방수케이스(40)는, 상부에 주입공(41)이 형성되는 동시에 일측 끝단에는 캡(42)이 설치되며, 내부에는 밀폐제(46)와 이 밀폐제(46)의 양 끝단에 방수제(4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동력전선방수케이스(40)는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양수헤드(50)에 형성된 구멍의 상부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밀폐제(46)는 고무, 스펀지, 연질합성수지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방수제(45)는 우레탄, 실리콘, 에폭시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재질 이외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밀폐하우징(30)에 형성된 상,하부경사내면(31)(3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57)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은 상기 양수헤드(50)에 형성된 상,하부경사외면(55)(56)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57)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양수헤드(50)의 중앙에 형성된 플러그체결공(51)에 플러그(52)가 더 체결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더하여 본 고안은 상기 양수헤드(50)의 상부 주연부는 단턱부(54)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하부경사내면(31)(32)과 상,하부경사외면(55)(56)이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수평면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1은 볼탑밸브로, 이 볼탑밸브(1)의 형태는 도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태에 부력 볼을 설치하는 방법과 일반적ㅇ로 물탱크 설비분야에서 통용되는 볼탑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상 미 설명부호 3은 양수파이프이고, 34는 급수배관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지하수 심정에 오염된 지표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그라우팅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그라우팅 차수벽이 형성되어지게 하면서 지표면 상부까지 인출된 외부케이싱 상단에 대체적으로 심정덮개의 하단면이 위치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밀폐형 덮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외부케이싱의 끝단부에 가공된 후렌지를 용접 또는 접합하여 평탄면을 형성하게 하고, 그 상부에 고무팩킹을 올려놓은뒤 밀폐형 덮개를 고정하게 된다. 물론 지하수 심정펌프나 양수파이프의 자중에 의해 그 밀폐성을 확보할 수도 있으나 올려진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결합을 취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양수헤드에 두 개의 경사외면을 형성한 다음 이 양수헤드를 이와 동일한 경사면을 갖는 밀폐하우징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후 밀폐 하우징의 상부를 차폐하는 덮개커버에 조임볼트를 구성하여 양수헤드를 압착함으로써 밀폐하우징의 두 개의 경사면과 양수헤드의 두개의 경사면이 각각 오링을 사이에 두고 압착됨으로써 수밀성을 확보하게 하고, 양수헤드의 토출구와 밀폐하우징에 형성한 급수구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지하수 관정의 내,외부가 차폐되면서 적은 비용과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밀폐형 심정덮개장치가 설치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하우징(30)의 내부에 양수헤드(50)를 삽입 설치하게 되면 상기 양수헤드(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하경사외면(55)(56)이 밀폐하우징(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하경사내면(31)(32)에 맞닿게 조립 설치된다. 이때 상기 양수헤드(50)의 상부에는 균등누름편(60)이 설치되어 상기 양수헤드(50)를 밀폐하우징(30)의 내주면에 긴밀히 밀착시키게 된다.
즉, 덮개커버(10)의 중앙에 체결된 조임볼트(20)를 조여 하강시키게 되면 이의 하단에 조립 설치된 균등누름편(60)도 하강하면서 상기 양수헤드(50)를 눌러 밀폐하우징(30)에 밀착시켜 밀폐성과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하여 본 고안은 상기 상,하부경사내면(31)(32) 또는 상,하부경사외면(55)(56)에 형성된 오링(57)이 상기 양수헤드(50)의 하강에 따라 눌려지게 됨으로 더욱 밀폐 및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이때 조임볼트(20)를 회전시켜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균등누름편(60)은 회전되지 않게 된다. 즉, 조임볼트(20)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봉(21)이 하단에만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너트(22)와 결합됨으로 인해 조임볼트(20)을 회전시켜도 균등누름편(60)은 회전되지 않고 하강만 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양수헤드(50)의 상부 주연부에 형성된 단턱부(54)에 균등누름편(60)의 날개부(61) 끝단이 위치하게 됨으로 양수헤드(50) 전체를 균일하게 하강시키게 됨은 물론 이 단턱부(54)가 형성됨으로 인해 너트(22)가 상기 양수헤드(5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조임볼트(20)로 양수헤드(50)의 중심을 누를 수 있으나, 오링(57)이 있는 가장 자리를 균일하게 압박하기 위해서 양수헤드(50)의 주연부에 단턱부(54)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반대로 상기 균등누름편(60)을 상기한 작동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조임볼트(20)와 이와 연결된 균등누름편(60)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밀폐하우징(30)의 내부에 긴밀히 밀착된 양수헤드(50)는 단순히 밀폐하우징(30)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양수헤드(50)의 플러그체결공(51)에 체결된 플러그(52)를 분리하고 급수배관(도면상 미 도시함)을 연결하여 외부로비상급수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은 수평 토출구(58)와 급수구(33)가 일치된 상태에서 토출구(58)의 끝단에 형성된 배관체결공(59)에 급수배관(34)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동력케이블(43)과 수위선(44)은 동력콘트롤판넬(도면상 미 도시함)에 연결하기 위하여 동력전선방수케이스(40)를 밀폐하우징(30)의 외부로 인출하게 되는데, 이때 외부의 물이 밀폐 하우징(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처리하여야 한다. 즉, 통상 동력전선방수케이스(40)는 양수헤드(50) 상부에 위치하게 할 수도 있고, 양수헤드(50) 하부에 위치하게 할 수도 있으나 그 구조는 동일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선방수케이스(40)는 원통형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동력케이블(43)에 밀폐제(46)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우레탄이나 에폭시등 방수제(45)를 주입공(41)을 통해 빈 공간에 충진함으로써 밀실하게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하부 경사내면이 형성된 밀폐하우징과 상,하부 경사외면이 형성된 양수헤드를 상호 밀착 조립 설치함으로 인해 수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특히 덮개커버의 조임볼트를 조여 하강시키면 균등누름편이 양수헤드 전체를 균일하게 하강시킴에 따라 양수헤드와 밀폐하우징과의 사이가 긴밀히 밀착됨으로 인해 밀폐성과 수밀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한 작용에 의해 높은 운전수압에서도 누수없이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조립의 단순화로 인해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0)

  1.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에 있어서,
    내주면에 각각 상부경사내면과 하부경사내면이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고, 이 상,하부경사내면의 사이에 수직으로 급수구가 형성된 밀폐하우징(30);
    상기 밀폐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부경사내면과 일치되게 각각 외주면에 상부경사외면과 하부경사외면이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에는 수직 수평으로 토출구가 형성되고, 이 토출구의 끝단에는 플러그체결공과 배관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양수헤드(50);
    상기 양수헤드의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의 구멍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날개부가 형성된 균등누름편(60);
    상기 밀폐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에 조임볼트체결공이 형성된 덮개커버(10);
    상부는 상기 조임볼트체결공에 체결되고, 하부는 나사봉이 균등누름편의 구멍을 통과하여 너트와 결합되는 조임볼트(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2.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하우징의 하부 일측에는 동력케이블과 수위선을 동력콘트롤판넬에 연결하기 위해 동력전선방수케이스(4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3. 제 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선방수케이스는, 상부에 주입공이 형성되는 동시에 일측 끝단에는 캡이 설치되며, 내부에는 밀폐제(46)와 이 밀폐제의 양 끝단에 방수제(4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4. 제 3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제는 고무, 스펀지, 연질합성수지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5. 제 3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제는 우레탄, 실리콘, 에폭시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6.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하우징에 형성된 상,하부경사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57)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7.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양수헤드에 형성된 상,하부경사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57)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8.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양수헤드의 중앙에 형성된 플러그체결공에는 플러그(52)가 더 체결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9.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양수헤드의 상부 주연부는 단턱부(54)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10.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경사내면과 상,하부경사외면은 수평면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KR20-2004-0016661U 2004-06-14 2004-06-14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360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61U KR200360999Y1 (ko) 2004-06-14 2004-06-14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61U KR200360999Y1 (ko) 2004-06-14 2004-06-14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999Y1 true KR200360999Y1 (ko) 2004-09-07

Family

ID=4943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661U Expired - Lifetime KR200360999Y1 (ko) 2004-06-14 2004-06-14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999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777B1 (ko) 2006-07-07 2006-10-16 이동헌 시공이 용이한 관정용 방오, 방수장치
KR100699909B1 (ko) 2007-01-08 2007-03-28 이동헌 수밀성이 향상된 관정용 방오, 방수장치
KR100895651B1 (ko) 2008-12-16 2009-05-07 청호 주식회사 지하수 심정 밀폐장치
KR100948594B1 (ko) 2009-05-25 2010-03-23 주식회사 남도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송배출구 자동 탈부착 장치
KR101057144B1 (ko) 2008-06-20 2011-08-17 주식회사 지지케이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
KR101092656B1 (ko) * 2007-10-16 2011-12-13 주식회사 남도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
KR101568902B1 (ko) 2013-07-25 2015-11-12 조희남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KR101643350B1 (ko) * 2015-11-09 2016-07-27 이은희 상수 가압 펌프유닛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777B1 (ko) 2006-07-07 2006-10-16 이동헌 시공이 용이한 관정용 방오, 방수장치
KR100699909B1 (ko) 2007-01-08 2007-03-28 이동헌 수밀성이 향상된 관정용 방오, 방수장치
KR101092656B1 (ko) * 2007-10-16 2011-12-13 주식회사 남도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
KR101057144B1 (ko) 2008-06-20 2011-08-17 주식회사 지지케이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
KR100895651B1 (ko) 2008-12-16 2009-05-07 청호 주식회사 지하수 심정 밀폐장치
KR100948594B1 (ko) 2009-05-25 2010-03-23 주식회사 남도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송배출구 자동 탈부착 장치
KR101568902B1 (ko) 2013-07-25 2015-11-12 조희남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KR101643350B1 (ko) * 2015-11-09 2016-07-27 이은희 상수 가압 펌프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0999Y1 (ko)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CN106785646A (zh) 一种穿舱电缆的耐压密封结构
US4457448A (en) Gasketless well casing cap
KR101903469B1 (ko) 지하수 관정의 탈부착식 상부 보호공 조합체
CN102345315B (zh) 一种多功能进水阀
CN104596803B (zh) 一种深水淤泥取样器
CN107152075A (zh) 用于城市路面排水的防臭、防溢地漏
CN207891776U (zh) 一种地磁车辆检测器的双腔体双螺纹防水结构
KR101601200B1 (ko) 손잡이와 간편 탈착구조를 갖는 지하수 상부 보호공장치
KR100997253B1 (ko) 지하수공의 상부 오염방지장치
KR100897440B1 (ko) 지하수 심정의 토출구와 급수구 결합장치
CN108593533B (zh) 模拟固井水泥环在地层中腐蚀过程的实验装置及实验方法
KR200388001Y1 (ko) 케이블 교체설치가 가능한 밀폐형 상부보호공 장치.
KR101568902B1 (ko)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KR20050066921A (ko) 밀폐형 심정 덮개장치.
KR200304092Y1 (ko) 노출형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
KR200329458Y1 (ko) 다수개의 급수배관 연결구를 갖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
KR100447821B1 (ko)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 장치
KR200388000Y1 (ko) 전기신호를 이용한 수도계량기를 내장한 지하수 심정밀폐형 상부보호공 장치.
CN111287685B (zh) 一种井口作业防护装置及防护方法
CN210959096U (zh) 车位检测器壳体
CN109972642B (zh) 一种桶式结构排水装置及安装方法
KR200327296Y1 (ko) 테이퍼진 내경을 이용한 밀폐덮개 하부받침
US3875999A (en) Well capping assembly
CN219974463U (zh) 一种高密封的油田开采多通道连接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61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8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6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1018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4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