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392B1 -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392B1
KR100821392B1 KR1020070013258A KR20070013258A KR100821392B1 KR 100821392 B1 KR100821392 B1 KR 100821392B1 KR 1020070013258 A KR1020070013258 A KR 1020070013258A KR 20070013258 A KR20070013258 A KR 20070013258A KR 100821392 B1 KR100821392 B1 KR 100821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pipe
housing
water supply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803A (ko
Inventor
김희순
강보경
전재억
김수광
Original Assignee
김희순
강보경
전재억
김수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순, 강보경, 전재억, 김수광 filed Critical 김희순
Priority to KR1020070013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39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0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pit wells
    • E03B3/11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pit wells in combination with tubes, e.g. perforated, extending horizontally, or upwardly inclined, exterior to the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심정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심정의 상단부에 상부케이싱이 연결되어 있고, 이 심정의 내부에 양수관이 설치되며, 이 양수관의 상단으로부터 양수관헤드에 의해 급수관이 측방으로 접촉 연결되어 지하수를 양수토록 하는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수관의 상단에서 조립 고정되는 T엘보와, 이 T엘보의 일측으로 결합되면서 타단에 패킹이 구비되어 상기 급수관과 연결하는 연결구의 일측으로 밀착되는 토출관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양수관헤드와; 일측이 폐쇄되어 마개부를 이루는 관 형태로 되어 상기 상부케이싱의 내벽에 부착 설치되는 받침대에 얹혀지며, 상기 마개부가 상기 T엘보의 일측으로 끼워져서 고정되고, 타측 내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중간에는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중간에 워엄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나사핀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나사홈에 나사 조립되고 타단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상부케이싱의 내벽에 접촉되도록 된 슬라이딩축과; 상기 하우징의 연결구멍 외측으로 부착 고정되는 'ㄷ'형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외면에 워엄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멍을 통해 슬라이딩축의 워엄부와 치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기어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부케이싱의 내부에서 양수관과 직각을 이루어 연결되는 급수관과의 연결 작업을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여 급수관과 양수관의 헤드의 연 결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탁월한 누수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의해 양수펌프 및 양수관의 조립과 해체시에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지하수 심정, 양수관, 워엄부, 워엄기어, 기어축, 나사핀

Description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Device for pumping pipe coupling of underground water we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수관 결합장치가 적용된 지하수 심정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수관 결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용상태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수관 결합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수관 결합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수관 결합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심정 11 : 상부케이싱
12 : 양수관 13 : 급수관
14 : 연결구 15 : 펌프
16,17 : 받침대 18 : 원주면
20 : 양수관헤드 21 : T엘보
22 : 패킹 23 : 토출관
24 : 하우징 25 : 슬라이딩축
26 : 기어축 27 : 마개부
28 : 연결구멍 29 : 나사홈
30 : 브라켓 32 : 베어링
33 : 사각면취부 40 : 워엄부
41 : 나사핀 42 : 워엄기어
본 발명은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심정의 상측에 연결된 상부케이싱의 내부에서 양수관과 직각을 이루어 연결되는 급수관과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하도록 하면서 연결된 이후에는 완벽한 수밀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차후에 유지보수 단계에서 양수펌프 및 양수관의 조립과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수라 함은 지표면 아래의 지층이나 암석 사이의 빈틈을 채우고 있거나 지하층에서 흐르는 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무분별한 지하수 심정 개발과 그 이후의 심정 관리 소홀로 인하여 생활 하수나 수해 발생시 각종 오염물질이 지하수와 혼합되어 지하수의 수질을 악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하수 심정 주변을 지면보다 높게 한 상 부 보호시설을 설치하여 오염된 지표면으로부터 유입을 차단하거나 덮개 장치를 심정의 입구에 덮어서 지하수 심정 내부로 오염된 물질이 침입 못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개방된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는 단순히 심정 상부에 얹혀있는 상태이므로 관리 소홀로 인하여 대부분 개방된 상태로 있게 방치되어 내부로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지하수가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홍수 재해가 발생 되면심정 주변은 물론 심정 지하수까지 오염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심정 상부를 완전 밀폐형으로 개발하여 오염 물질이 지하수 심정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된 장치가 고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는 심정 내,외부간을 완벽하게 밀폐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다른 문제점들이 내재 되어 있었다.
즉,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로 심정 내,외부 간을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지하수 심정 밀폐 덮개와 지하에 삽입되어 지표면 상단까지 인출된 아웃 케이싱 간을 밀접하게 차폐시키는 점도 중요하지만, 지하수가 직접 흐르게 되는 양수관으로부터 급수관을 어떠한 수밀 구조로 결합시켜는 것에 따라 상부 보호 맨홀의 크기와 구조가 결정되므로 이 또한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밀폐형 심정 덮개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밀폐형 덮개를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상부보호공의 시설 비용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비경적인 문제점이 발생 되었으며, 지하수법에 규정한 상부보호공의 규격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중장비의 사용이 불가피하게 되어 많은 인력과 비용, 그리고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심정이 있는 위치로부터 일측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상부보호공을 별도로 설치하고, 심정의 양수관의 측방으로 지중에 매설된 급수관으로 연결하여 상부보호공과 연결 설치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려 하였다.
따라서, 심정 내부의 양수관은 지상으로 노출시켜 급수관과 연결하지 않고 지중에 수평으로 매설되는 급수관과 상부케이싱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양수관의 헤드가 직각 방향으로 배관 연결되어 구성되므로서 심정 상측에 구비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상부케이싱을 통하여 심정 펌프를 설치하는 경우에 양수관의 상측에 구비된 양수관 헤드와 급수관을 연결하는데 있어서 그 연결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연결 작업이 완벽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접속 부위에서 누수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들도 발생 되었다.
또 다른 것으로서 심정의 유지 보수 과정에서 양수관 펌프의 정비 또는 교체 작업으로 인해 인양하게 되는 경우에는 양수관 및 급수관의 분리 및 재결합 과정에서 작업성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음은 물론, 토출구와 급수구의 결합을 단순히 심정펌프와 양수파이프의 자중에 의해서만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단순 구성으로 되어 있었으므로 유지 보수 이후에도 또 다른 누수의 문제가 야기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 적은 심정의 상측에 연결된 상부케이싱의 내부에서 양수관과 직각을 이루어 연결되는 급수관과의 연결 작업을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연결된 이후에는 완벽한 수밀 구조를 오랜 기간 동안 유지하여 탁월한 누수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차후에 유지보수 단계에서 양수펌프 및 양수관의 조립과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는, 심정의 상단부에 상부케이싱이 연결되어 있고, 이 심정의 내부에 양수관이 설치되며, 이 양수관의 상단으로부터 양수관헤드에 의해 급수관이 측방으로 접촉 연결되어 지하수를 양수토록 하는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수관의 상단에서 조립 고정되는 T엘보와, 이 T엘보의 일측으로 결합되면서 타단에 패킹이 구비되어 상기 급수관과 연결하는 연결구의 일측으로 밀착되는 토출관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양수관헤드와; 일측이 폐쇄되어 마개부를 이루는 관 형태로 되어 상기 상부케이싱의 내벽에 부착 설치되는 받침대에 얹혀지며, 상기 마개부가 상기 T엘보의 일측으로 끼워져서 고정되고, 타측 내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중간에는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중간에 워엄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나사핀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나사홈에 나사 조립되고 타단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상부케이싱의 내벽에 접촉되도록 된 슬라이딩축과; 상기 하우징의 연결구멍 외측으로 부착 고정되는 'ㄷ'형의 브라켓과; 상 기 브라켓에 지지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외면에 워엄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멍을 통해 슬라이딩축의 워엄기어와 치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기어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슬라이딩축의 워엄기어는 상기 기어축의 직경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슬라이딩축의 축 방향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받침대의 윗면은 하우징의 밑면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원주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양수관 헤드를 상부케이싱 내에부에서 장착할 때 받침대 상으로 얹혀주기만 하면 별도의 정합 구조 없이도 안정적이고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수관 결합장치가 적용된 지하수 심정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수관 결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용상태 확대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수관 결합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수관 결합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수관 결합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심정(10)의 양수관 결합장치(100)는 심정(10)의 상측에 연결된 상부케이싱(11)의 내부에서 양수관(12)을 설치함에 있어서 이 양수관(12)과 측방으로 접촉 연결되도록 지중에 매입되어 수평으 로 설치된 급수관(13)과의 연결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정(10)의 상부에는 심정(10) 배관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상부케이싱(11)이 연결되어 있고, 이 심정(10)의 내부에 양수관(12)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양수관(12)의 상단부에는 상부케이싱(11)의 측방으로 급수관(13)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구(14)와 접촉하여 관로를 형성하는 양수관헤드(20)가 구비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펌프(15)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양수관(12) 결합장치는 펌프(15)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선 및 각종 제어회로선이 상부케이싱(11)의 측방으로 구비된 별도의 배관을 통하여 상부보호공 내부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보호공에는 공지의 수량계 및 기동판넬 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양수관(12)의 펌프(15)를 제어하여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케이싱(11)의 내벽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수관(12)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양수관헤드(20)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양수관(12)이 안착되기 위한 한 쌍의 받침대(16),(17)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받침대(16),(17)는 상기 상부케이싱(11) 외부로부터 관통 연결된 연결구(14)에 배관 접속되어 있는 급수관(13)의 중심선 상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양수관헤드(20)의 양단부가 받침대(16),(17)에 얹혀지면 양수관헤드(20)의 관로 중심과 상기 급수관(13)의 관로 중심이 자동적으로 일치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양수관헤드(20)를 상기 받침대(16),(17)에 얹은 상태에서 양수관 헤드(2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상기 연결구(14)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급수관(13)과 양수관(12)이 수밀구조를 유지하면서 간편한 배관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양수관헤드(20)는 양수관(12)의 상단에 조립 고정되는 T엘보(21)와, 이 T엘보(21)의 일측으로 상기 급수관(13)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구(14)의 일측으로 밀착되어 수밀 구조를 유지하면서 접속시키기 위하여 타단부에 패킹(22)을 가진 토출관(2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양수관(12)을 심정(10)의 상부케이싱(11) 내부에 삽입하여 양수관헤드(20)가 상기 받침대(16),(17)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급수관(13) 측으로 밀착하여 토출관(23)을 연결구(14)에 밀착시킴으로서 급수관(13)과 양수관(12)은 수밀 구조를 유지하면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양수관 결합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양수관헤드(20)를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그 토출관(23)을 상기 연결구(14)에 밀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워엄기어 및 워엄 구동 방식의 밀착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양수관헤드(20)의 타측에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24)이 구비되고, 이 하우징(24)의 내측으로는 슬라이딩축(25)이 조립되며, 상기 하우징(24)의 외측에는 상기 슬라이딩축(25)을 수평으로 이동하기 위한 기어축(26)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24) 외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30)에 의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4)은 일측이 폐쇄되어 마개부(27)를 이루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부는 상기 상부케이싱(11)의 내벽에 부착 설치되는 받침대(17)에 얹혀지며, 그 측면 중간에는 연결구멍(28)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16),(17)는 원주면(18)이 형성됨으로써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토출관(23) 및 하우징(24)의 밑면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4)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양수관 헤드(20)를 상부케이싱(11) 내에부에서 장착할 때 받침대(16),(17) 상으로 얹혀주기만 하면 별도의 정합 구조 없이도 안정적으로 손쉽게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개부(27)는 상기 T엘보(21)의 일측으로 끼워져 고정되어 양수관헤드(20)의 일측 개방된 부위를 폐쇄함으로써 양수관(12)의 지하수가 연결구(14) 쪽으로 배출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타측 내부에는 나사홈(29)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부(27)의 외주연은 상기 T엘보(21)의 외측으로 끼워져 그 단부와 상기 T엘보(21)의 외면과 용접 가공 처리되어 T엘보(21)와 하우징(24)이 일체로 조립되므로써 T엘보(21), 토출관(23) 및 하우징(24)이 모두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되어 양수관헤드(20) 전체가 함께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축(25)은 하우징(24)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그 일측이 하우징(24)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상부케이싱(11)의 내벽에 접촉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축(25) 중간에는 상기 연결구멍(2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워엄기어(40)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나사핀(41)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4)의 나사홈(29)에 나사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4)의 연결구멍(28) 외측으로는 상기 브라켓(30)이 부착 고정되는데, 이브라켓(30)은 "ㄷ"형으로 이루어져서 그 상,하단부가 상기 하우징(24)의 외측 상,하면에 용접 가공에 의해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기어축(26)은 상기 브라켓(30)에 지지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그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24)의 연결구멍(28)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축(25)의 워엄기어(40)와 치합되는 워엄부(42)가 형성되어 있어서, 기어축(26)을 회전시켜 워엄부(42)가 회전함에 따라 워엄기어(40)를 가진 슬라이딩축(25)이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기어축(2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0)에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어 상기 워엄부(42) 상,하측으로 베어링(32)으로 지지됨으로써 상기 브라켓(30)에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축(26)의 상단부는 사각면취부(33)가 형성되어 별도의 렌치 공구를 사용하여 상부케이싱(11) 외부에서 기어축(26)을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함께 회전되는 워엄부(42)에 맞물려 구동하는 워엄기어(4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마개부(27) 내측에 나사홈(29)과 나사 조립되어 있는 나사핀(41)이 나사 풀림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슬라이딩축(25)의 이동 거리는 슬라이딩축(25)의 워 엄기어(40)에 대한 기어축(26)의 워엄부(42)의 직경에 연관성이 있게 되는데, 바람직하기로 적정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위해서는 상기 슬라이딩축(25)의 워엄기어(40)의 폭이 기어축(26)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기어축(26)을 회전시키면 이에 맞물려 구동하는 슬라이딩축(25)이 하우징(24) 내부에서 상부케이싱(11) 내측벽으로 이동하게 됨에 슬라이딩축(25)의 단부가 내측벽에 지지됨으로서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에 의해 받침대(16),(17) 상에 얹혀져 있는 양수관헤드(20) 전체가 급수관(13)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그 토출관(23)의 단부가 상기 급수관(13) 측의 연결구(14)에 밀착됨으로써 패킹(22)에 의하여 수밀구조로서 밀착되어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어축(26)과 슬라이딩축(25)은 나사핀(41)과 나사홈(29)에 의한 나사 결합구조 및 워엄부(42)와 워엄기어(40)의 치합에 의한 이중 체결 구조에 의하여 그 밀착 상태를 별도의 잠금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연결구(14)와 토출관(23)의 밀착 상태를 위한 록킹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 양수관(12)과 연결구(14)의 배관 접속을 해제하여 양수관(12) 전체를 인양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기어축(26)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슬라이딩축(25)을 반대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그 밀착된 상태를 해제시켜 줘야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기어축(26)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워엄부(42)와 워엄기어(40)의 맞물림 구동에 의해 나사핀(41)이 나사 잠김 방향으로 함께 회전됨 으로써 슬라이딩축(25)이 상기 하우징(24) 내부로 이동하여 상부케이싱(11)의 내측벽의 지지 상태가 풀리게 됨에 따라 양수관 헤드(20)의 토출관(23)과 연결구(14)의 배관 접속 상태가 분리되면서 양수관(12)을 인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심정(10)의 양수관 결합장치의 작용 및 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수관(12)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면, 심정(10)의 상부 입구로부터 양수관(12)을 삽입한 다음 양수관헤드(20)의 토출관(23)과 하우징(24)의 단부를 받침대(16),(17) 상면에 얹힌다.
그러면 받침대(16),(17)의 원주면(18)에 원통형의 토출관(23)과 하우징(24)의 외면이 자연스럽게 위치됨으로써 별도의 위치 교정 작업 없이 간편하게 안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별도의 렌치 공구를 사용하여 기어축(26)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기어축(26)의 워엄부(42)와 슬라이딩축(25)의 워엄기어(40)가 맞물림 되어 회전됨에 따라 나사홈(29)에 나사 조립되어 있는 나사핀(41)이 함께 나사 풀림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슬라이딩축(25)이 하우징(24) 내부에서 하우징(24) 외측으로 이동하여 돌출하게 된다.
돌출된 슬라이딩축(25)의 단부는 상부케이싱(11) 내측벽에 지지됨과 동시에 그 반작용에 의하여 양수관 헤드(20) 전체가 상기 급수관(13)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구(14) 측으로 밀착된다.
상기 급수관(13) 및 연결구(14)와 양수관 헤드(20)의 관로는 이미 받침 대(16),(17)에 장착된 이후에 그 중심이 일치된 상태이므로 토출관(23)의 단부가 연결구(14)와 접촉되어 밀착되면서 그 패킹(22)에 의해 연결구(14)와 토출관(23)이 완전한 수밀 구조로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관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밀착 상태는 워엄부(42)와 워엄기어(40)의 치합 및 나사핀(41)과 나사홈(29)의 나사 결합에 의한 이중 체결 구조에 의하여 그 밀착 상태가 별도의 잠금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어축(26)을 인위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밀착 상태를 항시 유지하게 됨에 따라 연결 작업 이후에라도 연결구(14)와 토출관(23)의 사이에서 누수가 되는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지하수 심정(10)의 유지 관리를 위하여 양수관(12)을 인양하기 위한 분리 작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어축(26)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워엄부(42) 및 워엄부(41)가 반대로 맞물려 회전됨에 따라 이와 함께 회전되는 나사핀(41)이 잠김 방향으로 회전되어 슬라이딩축(25)이 하우징(24) 내부로 이동하여 원위치 된다.
따라서, 토출관(23)과 연결구(14)는 그 밀착 상태가 해제되어 서로 분리됨으로써 작업자는 양수관(12)을 손쉽게 인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케이싱의 내부에서 양수관과 직각을 이루어 연결되는 급수관과의 연결 작업을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여 급수관과 양수관헤드의 연결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탁월한 누수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의해 양수펌프 및 양수관의 조립과 해체시에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심정의 상단부에 상부케이싱이 연결되어 있고, 이 심정의 내부에 양수관이 설치되며, 이 양수관의 상단으로부터 양수관헤드에 의해 급수관이 측방으로 접촉 연결되어 지하수를 양수토록 하는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수관(12)의 상단에서 조립 고정되는 T엘보(21)와, 이 T엘보(21)의 일측으로 결합되면서 타단에 패킹(22)이 구비되어 상기 급수관(13)과 연결하는 연결구(14)의 일측으로 밀착되는 토출관(23)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양수관헤드(20)와;
    일측이 폐쇄되어 마개부(27)를 이루는 관 형태로 되어 상기 상부케이싱(11)의 내벽에 부착 설치되는 받침대(17)에 얹혀지며, 상기 마개부(27)가 상기 T엘보(21)의 일측으로 끼워져서 고정되고, 타측 내부에는 나사홈(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중간에는 연결구멍(28)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24)과;
    중간에 워엄기어(40)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나사핀(41)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4)의 내부 나사홈(29)에 나사 조립되고 타단이 하우징(24)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상부케이싱(11)의 내벽에 접촉되도록 된 슬라이딩축(25)과;
    상기 하우징(24)의 연결구멍(28) 외측으로 부착 고정되는 'ㄷ'형의 브라켓(30)과;
    상기 브라켓(30)에 지지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외면에 워엄부(42)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멍(28)을 통해 슬라이딩축(25)의 워엄기어(40)와 치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브라켓(3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기어축(26);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축(25)의 워엄기어는 상기 기어축(26)의 직경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7)의 윗면는 하우징(24)의 밑면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원주면(18)을 형성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KR1020070013258A 2007-02-08 2007-02-08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KR100821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258A KR100821392B1 (ko) 2007-02-08 2007-02-08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258A KR100821392B1 (ko) 2007-02-08 2007-02-08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803A KR20070023803A (ko) 2007-02-28
KR100821392B1 true KR100821392B1 (ko) 2008-04-11

Family

ID=41345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258A KR100821392B1 (ko) 2007-02-08 2007-02-08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3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771B1 (ko) 2007-07-23 2008-07-01 황선호 지하수 양수장치
KR100890815B1 (ko) 2007-11-09 2009-03-27 큰산기술 주식회사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391B1 (ko) * 2007-02-08 2008-04-11 김희순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666A (ko) * 2004-06-23 2004-07-19 조희남 지하수 심정의 토출구와 급수구 결합장치
KR100550097B1 (ko) 2005-07-28 2006-02-08 이동헌 관정의 방오,방수장치
KR20060135084A (ko) * 2005-06-24 2006-12-29 조희남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토출구 전진 결합장치
KR20070023802A (ko) * 2007-02-08 2007-02-28 김희순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666A (ko) * 2004-06-23 2004-07-19 조희남 지하수 심정의 토출구와 급수구 결합장치
KR20060135084A (ko) * 2005-06-24 2006-12-29 조희남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토출구 전진 결합장치
KR100550097B1 (ko) 2005-07-28 2006-02-08 이동헌 관정의 방오,방수장치
KR20070023802A (ko) * 2007-02-08 2007-02-28 김희순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771B1 (ko) 2007-07-23 2008-07-01 황선호 지하수 양수장치
KR100890815B1 (ko) 2007-11-09 2009-03-27 큰산기술 주식회사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803A (ko)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097B1 (ko) 관정의 방오,방수장치
KR100821391B1 (ko)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KR100821392B1 (ko)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KR101063950B1 (ko) 지하수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된 지하수계량기 및 수압계 동파방지장치
US6263903B1 (en) Arrangement for underground stop valve
KR200395350Y1 (ko)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토출구 전진 결합장치
KR101138739B1 (ko) 지하수 상부 보호공의 배관 연결장치
KR20060135084A (ko)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토출구 전진 결합장치
KR100997253B1 (ko) 지하수공의 상부 오염방지장치
KR200388001Y1 (ko) 케이블 교체설치가 가능한 밀폐형 상부보호공 장치.
KR20100104443A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관정 보호장치
KR101181865B1 (ko)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101254083B1 (ko) 공동수로가 구비된 연결배관 일체형 지하수 상부 밀폐 장치
KR100643131B1 (ko)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
KR200360999Y1 (ko)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KR20040064666A (ko) 지하수 심정의 토출구와 급수구 결합장치
KR200388000Y1 (ko) 전기신호를 이용한 수도계량기를 내장한 지하수 심정밀폐형 상부보호공 장치.
KR20120021589A (ko) 밀폐식 상부 보호공 장치
KR102200687B1 (ko) 수밀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지하수 관로 연결장치
JP2006125642A (ja) 既設管の流体制御弁接続構造及び不断水式流体制御弁設置工法
WO2006137714A1 (en) A hermetic subsurface water deep well cover equipment
KR100842771B1 (ko) 지하수 양수장치
KR200329458Y1 (ko) 다수개의 급수배관 연결구를 갖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
KR102224651B1 (ko) 지하수 및 지열용 상부 보호공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26401B1 (ko) 지하수공 상부보호 및 토출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