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0959A -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0959A
KR20110110959A KR1020100030275A KR20100030275A KR20110110959A KR 20110110959 A KR20110110959 A KR 20110110959A KR 1020100030275 A KR1020100030275 A KR 1020100030275A KR 20100030275 A KR20100030275 A KR 20100030275A KR 20110110959 A KR20110110959 A KR 20110110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water
pipe
sluice
sew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 진 정
Original Assignee
(주)이엠엔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엠엔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이엠엔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3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0959A/ko
Publication of KR20110110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03F9/002Cleaning sewer pipes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 내부의 퇴적물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가 흐르는 하수관; 상기 하수관의 일 측 단부가 개방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된 맨홀; 상기 하수관의 일 측 단부에 설치된 수문틀; 상기 맨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관의 단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수문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수문; 상기 수문을 하수관 측으로 항상 가압하여 상기 수문이 하수관의 일 측 단부를 밀폐하도록 하는 수문가압장치; 상기 수문틀에 상기 수문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수문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수관 내부에 하수를 채운 후 상기 수문을 개방할 때 일시에 배출되는 하수의 빠른 유속을 이용하여 하수관 내의 퇴적물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FLUSH DRAINAGE PIPE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하수관 내부의 퇴적물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 내부에 하수를 채운 후 수문을 개방할 때 일시에 배출되는 하수의 빠른 유속을 이용하여 하수관 내의 퇴적물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은 도시의 하수처리를 위해서 지하에 설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하수관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1)은 맨홀(2)과 상호 연결되도록 지하(G)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류에서 유입된 하수는 하수관을 따라 하류로 이동한다. 이때 하수에 포함된 진흙, 모래 또는 각종 쓰레기는 하수를 따라 이동하다가 하수의 유속이 떨어지는 곳에 퇴적된다. 따라서 하수의 유량이 감소하거나 하수관의 구배가 작을 경우 하수관(1)의 바닥에 많은 양의 퇴적물이 쌓이게 된다.
하수관(1) 내부에 쌓여 있는 퇴적물은 부패되어 악취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강우 시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주변지역에 침수를 입힐 수 있다. 따라서 하수관 내의 퇴적물을 주기적으로 준설해야만 한다.
종래에는 하수관(1) 내부의 퇴적물을 준설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맨홀(2)을 통해 하수관 내부에 들어가 퍼내거나 별도의 준설장비를 하수관 내부에 투입하여 제거하게 된다. 최근에는 원격으로 제어하는 다양한 형태의 준설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작업자가 하수관(1) 내부에 들어가서 준설하는 경우에는 퇴적물(S)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에 의해 작업자의 건강이 해롭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통적인 수동식 준설장비는 작업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원격 준설장비는 준설이 편리한 장점은 있으나 준설장비를 하수관에 투입할 때만 준설이 가능하므로 준설 주기가 길어질 경우 하수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준설장비를 하수관 내부에 투입함 없이도 하수관 바닥면에 퇴적된 퇴적물 및 찌꺼기를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수의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수문을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퇴적물이 제거되어 항상 청결한 하수관을 유지할 수 있는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는 하수가 흐르는 하수관; 상기 하수관의 일 측 단부가 개방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된 맨홀; 상기 하수관의 일 측 단부에 설치된 수문틀; 상기 맨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관의 단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수문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수문; 상기 수문을 하수관 측으로 항상 가압하여 상기 수문이 하수관의 일 측 단부를 밀폐하도록 하는 수문가압장치; 상기 수문틀에 상기 수문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수문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수관 내부에 하수를 채운 후 상기 수문을 개방할 때 일시에 배출되는 하수의 빠른 유속을 이용하여 하수관 내의 퇴적물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의 타 측 상부에는 상기 하수관 내부에 채워진 하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수문잠금장치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수문을 개폐시킨다.
또한, 상기 하수관의 일 측 단부에 설치되는 수문에는 상기 하수관 내부에 채워진 하수의 수압을 감지하는 수압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수문잠금장치는 상기 수압센서에서 감지된 수압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수문을 개폐시킨다.
상기 맨홀 내부에는 상기 수문틀과 상기 수문을 고정하기 위한 사각 틀 형상의 고정프레임이 더 설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맨홀의 크기에 따라 고정프레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길이조절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에 의하면 하수관 내부에 채워지는 하수의 수위에 따라 수문이 자동으로 개폐되고 수문이 개방될 때 일시에 배출되는 하수의 빠른 유속에 의해 퇴적물이 하수와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준설장비를 하수관 내부에 투입할 필요 없이 주기적으로 준설작업이 이루어져 항상 하수관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하수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의 수문의 구성을 도시한 조립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표현된 구성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과장되거나 부분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10)의 구성 및 하수 배출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10)는 하수가 흐르는 하수관(100)과, 하수관(100)의 일 측 단부에 구비되는 맨홀(200)과, 상기 맨홀(200) 내부에 설치되며 하수의 흐름을 단속하여 하수관(100) 내부에 퇴적된 퇴적물(S)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문조립체(300)를 포함한다.
하수관(100)은 지하에 설치되어 하수가 강이나 하수처리장으로 흘러가도록 한다. 하수관(100)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하수관(100)은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100)은 상류에 비해 수문조립체(300) 측의 바닥면(110)의 높이가 더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하수관(100)의 경사각이 충분히 크거나 하수관(100)에 흐르는 하수의 유량이 큰 경우에는 하수관(100) 내부에 퇴적물이 쌓이지 않는다. 그러나 하수관의 구배가 충분하지 않거나 하수 양이 적을 경우 하수관(100) 내부에 퇴적물이 많이 쌓이게 된다.
통상 소정 길이의 하수관(100)은 일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하수관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수관(100)에는 맨홀(200)이 설치된다. 맨홀(200)은 외부로부터 하수관(100) 내부에 작업자가 진입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통상 맨홀(200)에는 지상에 설치되는 맨홀뚜껑(210)과, 사각형상의 맨홀박스(220)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맨홀박스(220)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하수관(100)의 일 측 단부가 설치되는 수직 벽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립체(300)는, 상기 맨홀박스(220)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수의 흐름을 단속한다. 상기 수문조립체(3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100)의 일 측 단부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하수가 하수관(100) 내에 정체되어 있도록 하고,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될 경우에는 하수의 수압에 의해 순간적으로 개방되어 하수와 함께 퇴적물(S)이 하수관(100)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의 수위가 낮거나 하수의 수압이 낮은 경우에는 수문조립체(300)는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수문조립체(300)가 닫힌 상태는 하수관(100) 내부에 하수가 점차로 채워지게 된다. 하수관(100)이 경사져 있으므로 하수의 수위는 수문조립체(300) 측에서부터 만수위가 되고 점차 하수관(100)의 상류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가 일정시간 유지되면 하수관(100) 상류의 하수(W)의 수위가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하수관(100) 내부에 채워진 하수는 수문조립체(300)를 하류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수관(100) 상류의 하수(W)의 수위가 설정된 높이에 이르게 되면 수문조립체(300)를 가압하는 수압은 최대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하수관(100)의 상류에 하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를 설치하거나 상기 수문조립체(300)에 하수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수압센서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수문조립체(300)는 상기 수위센서나 수압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와 수압에 따라 작동한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조립체(300)가 열려서 하수관(100)이 개방되면 수문조립체(300)를 가압하던 하수가 순간적으로 하수관(100)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하수관(100) 바닥에 쌓여 있던 퇴적물(S)도 하수와 함께 떠밀려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문조립체(300)의 구성 및 작동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문조립체(300)는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개폐되어 하수관(100) 내부의 하수와 퇴적물(S)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수문조립체(300)는 맨홀박스(220) 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80)과, 고정프레임(380)에 결합되어 하수관(100)의 일 측 단부에 설치되는 수문틀(310)과, 수문틀(3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문(320)과, 상기 수문틀(310)과 수문(320) 사이에 설치되어 수문(32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330)와, 수문틀(310)과 수문(320) 사이에 설치되어 수위센서(360)의 감지결과에 따라 수문(320)을 잠그거나 해제하는 수문잠금부(340)와, 수문(320)을 항상 하수관(100)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수관(100)의 일 측 단부를 밀폐시키는 동시에 상기 수문(320)이 개방될 경우에는 일정시간동안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댐핑기능을 갖는 수문가압장치(350)와, 하수관(100) 내부의 하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수문잠금부(340)로 제공하는 수위센서(360)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380)은 하수관(100)의 단부에 설치된 수문틀(310)과 상기 수문틀(3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수문(320)을 맨홀박스(220)의 내측 수직벽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수문틀(310)과 수문(320)은 하수관(100)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하수관(100)에 수문틀(310)과 수문(320)을 고정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380)을 맨홀박스(220)에 설치하고 이 고정프레임(380)에 수문틀(310)과 수문(320)을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 고정프레임(380)은 대략 맨홀박스(22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가로 및 세로의 직선 바 또는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고정프레임(380)은 맨홀박스(220)의 크기에 대응되게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고정프레임(380)은 단부에 길이조절부(38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80)은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맨홀(200) 내부에 설치하거나 분해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고정프레임(380)은 맨홀박스(220) 내에 단단히 고정되어 수문(320)이 하수의 수압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수문틀(310)은 고정프레임(380)에 결합되어 수문(320)이 안정적으로 개폐되도록 지지한다. 수문틀(310)은 하수관(100)의 형상과 동일하게 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하수의 수압에 의해 하수관(1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수관(100)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문틀(310)과 하수관(100)의 내주면 사이에는 실링패드가 설치되어 하수가 새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수문틀(310)과 고정프레임(380) 사이에는 복수의 보조틀(311)이 구비되어 수문틀(310)이 안정적으로 수문(320)을 지지하도록 한다.
수문(320)는 수문틀(3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수문(320)는 힌지(330)에 의해 수문틀(3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의해 수문(32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틀(310)을 커버하여 하수관(100)을 폐쇄하는 위치와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틀(310)에 대해 회동하여 하수관(100)을 개방하는 위치 간을 이동한다.
수문(320)의 외측 판면에는 힌지(330)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321)와, 수문가압장치(350)와 결합되는 가압장치결합부(353)와, 수문잠금부(34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잠금결합부(325)가 구비된다.
수문잠금부(340)는 수문틀(310)의 일 측에 구비되어 수문결합부(325)와 함께 수위센서(3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수문틀(310)에 수문(320)을 잠그거나 해제하여 수문(320)이 개폐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문잠금부(340)는 수위센서(3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기적으로 수문(320)을 개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문잠금부(340)는 수위센서(360)의 전기신호에 따라 수문결합부(325)를 고정시키거나 해방하여 수문(320)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문잠금부(340)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액츄에이터 또는 솔레노이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수문잠금부(340)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수문을 개폐하는 공지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수문가압장치(350)는 수문(320)이 개방될 때 하수와 퇴적물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수문(320)이 완전히 개방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문가압장치(350)는 상기 수문(320)이 90° 이상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문가압장치(350)는 하수가 완전히 배출될 때까지 수문(320)이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댐핑기능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하수관(100)과 내부의 하수가 대부분 배출되어 수압이 낮아진 경우에도 수문(320)이 90° 이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하수의 수압에 의해서 수문(3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댐핑기능의 시간은 하수의 양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다. 또한 상기 댐핑기능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수문가압장치(350)는 상기 수문(320)을 하수관(100)쪽으로 가압하여 수문(320)을 수문틀(310)에 결합시킨다. 상기 수문가압장치(350)는 수문잠금부(340)에 수문결합부(325)가 결합할 수 있도록 충분한 힘으로 가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문가압장치(350)는 일 단부는 고정프레임(380)에 구비된 가압장치지지대(351)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수문(320)의 가압장치결합부(323)에 결합된다. 상기 수문가압장치(350)는 복수의 링크절과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또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수문가압장치(350)는 수문(320)이 개방될 때 유압실린더의 유압 또는 공압을 압축하고 이 압축된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수문(320)을 가압한다. 즉, 상기 수문잠금부(340)에 의해 수문(320)이 개방되면, 상기 수문(320)은 하수의 수압에 의해 신속하게 개방된다. 그리고 하수관(100) 내부에 채워져 있던 하수가 배출되면, 상기 수문가압장치(350)는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의 복원력 또는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수문(320)이 수문틀(310)로 복귀하도록 한다. 수문(320)이 수문틀(310)로 복귀하면 수문잠금부(340)는 전기적으로 수문(320)이 잠금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수위센서(360)는 하수관(100) 내부에 모여 있는 하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문개폐제어부(380)로 알려준다. 수위센서(360)에서 감지한 수위에 따라 수문개폐제어부(380)는 수문(320)를 개폐한다. 수위센서(360)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어셈블리(3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하수의 수위에 따라 신호를 수문개페부(340)로 발신한다. 여기서, 수위센서(360)는 하수관(100) 내부에 직접 설치되거나 지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위센서(360)는 하수관(100) 내부에 있는 하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수압센서는 수문(320)을 가압하는 하수의 수압을 감지한다. 하수의 수위를 감지할 경우 수위센서(360)는 수문(320)이 설치된 하수관(100)의 단부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상류에 설치된다. 상기 수위센서(360)는 하수관(100)의 수위를 감지하여 기준높이 이상일 경우 수문개폐제어부(380)로 신호를 발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위센서(360)는 초음파센서로서, 하수관(100)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수위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수문잠금부(340)는 수신센서가 신호를 수신하면 전기적으로 수문이 개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문잠금부(340)에는 수위센서(360)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위센서(360)에는 전기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가 구비된다.
한편, 수문(320)를 가압하는 하수의 수압을 감지하는 경우 도시되지 않은 수압센서는 수문(320) 내측 판면에 설치되어 수압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하수의 수압이 기준압력 이상으로 올라가면 수문잠금부(340)로 신호를 발신하거나 상기 수문잠금부(340)를 물리적으로 작동시켜 잠금결합부(325)가 해제되도록 한다.
수문잠금부(340)와 수위센서(360)는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거나, 지상에 설치된 솔라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수문조립체(300)는 모듈의 형태로 일체로 구비되며, 각 맨홀박스의 크기에 맞게 구비되어 간편하게 맨홀박스 내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고정프레임(380)의 크기를 변경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맨홀박스 내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10)의 동작과정을 도2a 내지 도3b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수문(320)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틀(310)에 결합된 폐쇄위치일 경우, 하수관(100)을 통해 유입된 하수는 수문(320)에 의해 흐름이 차단되어 하수관(100) 내부에 채워진다. 시간이 지나면서 하수관(100) 내부에 모인 하수의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이 되면 수위센서(360)는 수문잠금부(340)로 신호를 발신한다.
신호를 수신한 수문잠금부(340)는 개폐결합부(325)를 수문잠금부(340)로부터 분리하여 수문(320)를 수문틀(310)로부터 분리한다. 수문(320)가 수문틀(310)로부터 분리되면 하수의 수압에 의해 수문(320)이 신속하게 개방되고 내부의 하수는 빠른 속도로 하수관(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하수관 내부에 퇴적된 퇴적물(S)도 하수의 유동압력에 의해 쓸려서 하수관(100) 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수문잠금부(340)가 수문(320)를 개방하기 전에 경고음을 울리거나 또는 경고등을 발광하여 맨홀박스(220) 내부의 작업자에게 수문(320)이 개방될 것을 알린다. 그리고 작업자가 대피할 수 있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수문(320)이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맨홀박스(220)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수문(32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조작박스 또는 조작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수관(100) 내부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도 작업자의 임의로 수문(320)을 개방하거나, 수위가 초과된 경우에도 수문(320)이 개방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박스나 조작버튼은 리모트컨트롤러 등에 의해 원격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문조립체는 하수관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며 하수와 퇴적물이 수문의 개방에 의해 순간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은 하수관의 내부에 별도의 준설장비를 투입하지 않고도 주기적으로 하수관 내부의 퇴적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수관 내부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는 원형의 하수관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사각형의 하수관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한 개의 하수관 내에 복수개의 수문조립체가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수문이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직육면 틀형상의 고정프레임이 개시되어 있으나 다른 형태로도 수문틀과 수문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하수관조립체 100 : 하수관
110 : 바닥면 200 : 맨홀
210 : 맨홀뚜껑 220 : 맨홀박스
300 : 수문조립체 310 : 수문틀
311 : 보조틀 320 : 수문
321 : 힌지결합부 323 : 가압장치결합부
325 : 잠금결합부 330 : 힌지
340 : 수문잠금부 350 : 수문가압장치
351 : 가압장치지지대 353 : 수문결합부
360 : 수위센서 380 : 고정프레임
381 : 길이조정부

Claims (5)

  1. 하수가 흐르는 하수관;
    상기 하수관의 일 측 단부가 개방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된 맨홀;
    상기 하수관의 일 측 단부에 설치된 수문틀;
    상기 맨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관의 단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수문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수문;
    상기 수문을 하수관 측으로 항상 가압하여 상기 수문이 하수관의 일 측 단부를 밀폐하도록 하는 수문가압장치;
    상기 수문틀에 상기 수문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수문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수관 내부에 하수를 채운 후 상기 수문을 개방할 때 일시에 배출되는 하수의 빠른 유속을 이용하여 하수관 내의 퇴적물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의 타 측 상부에는 상기 하수관 내부에 채워진 하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수문잠금장치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수문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의 일 측 단부에 설치되는 수문에는 상기 하수관 내부에 채워진 하수의 수압을 감지하는 수압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수문잠금장치는 상기 수압센서에서 감지된 수압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수문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내부에는 상기 수문틀과 상기 수문을 고정하기 위한 6면 틀 형상의 고정프레임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맨홀의 크기에 따라 고정프레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길이조절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
KR1020100030275A 2010-04-02 2010-04-02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 KR20110110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275A KR20110110959A (ko) 2010-04-02 2010-04-02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275A KR20110110959A (ko) 2010-04-02 2010-04-02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959A true KR20110110959A (ko) 2011-10-10

Family

ID=4502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275A KR20110110959A (ko) 2010-04-02 2010-04-02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095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345A (ko) * 2014-05-09 2015-11-18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KR20160098717A (ko) 2015-02-11 2016-08-19 이기호 배수관 세척장치
CN109208747A (zh) * 2017-10-23 2019-01-15 广东省建筑设计研究院 一种河涌黑臭水体截流井装置及基于该装置的截流方法
CN110904999A (zh) * 2019-11-30 2020-03-24 四川鸥鹏建筑工程公司 便于清理的综合管廊排水系统
CN116625465A (zh) * 2023-07-24 2023-08-22 青岛彬源科技有限公司 浮标式海洋水位观测平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345A (ko) * 2014-05-09 2015-11-18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KR20160098717A (ko) 2015-02-11 2016-08-19 이기호 배수관 세척장치
CN109208747A (zh) * 2017-10-23 2019-01-15 广东省建筑设计研究院 一种河涌黑臭水体截流井装置及基于该装置的截流方法
CN109208747B (zh) * 2017-10-23 2024-01-12 广东省建筑设计研究院 一种基于河涌黑臭水体截流井装置的截流方法
CN110904999A (zh) * 2019-11-30 2020-03-24 四川鸥鹏建筑工程公司 便于清理的综合管廊排水系统
CN110904999B (zh) * 2019-11-30 2021-04-09 四川鸥鹏建筑工程公司 便于清理的综合管廊排水系统
CN116625465A (zh) * 2023-07-24 2023-08-22 青岛彬源科技有限公司 浮标式海洋水位观测平台
CN116625465B (zh) * 2023-07-24 2023-10-13 青岛彬源科技有限公司 浮标式海洋水位观测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0959A (ko)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
CA2929096C (en) Closed flow sewer system
KR101390111B1 (ko) 수위 및 수질측정 겸용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IES20080166A2 (en) A storm water management system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1369130B1 (ko) 일체형 점검구을 갖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JP2009108534A (ja) 雨水貯留施設、および雨水貯留施設の監視・管理システム
KR1010897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20080112531A (ko) 빗물 저장 탱크
KR101293371B1 (ko) 개폐부재를 이용한 응축수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스이송장치
KR100801678B1 (ko) 하수도용 저류조 세척장치
KR101828079B1 (ko)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
KR101604535B1 (ko) 하수관로 물막이 구조
KR101283922B1 (ko) 악취 차단부가 구비된 빗물받이
US20140261735A1 (en) Automatic vacuum sewerage solids cleaning systems and methods
KR101580044B1 (ko) 하수관로 물막이 공법
KR102073933B1 (ko)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JP3648663B2 (ja) 廃棄物処分施設
KR101926744B1 (ko)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KR101007104B1 (ko) 무동력 하수관거 자동 세척장치
KR100731679B1 (ko) 하수관거 세척장치
KR101902614B1 (ko)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101568018B1 (ko) 터널형 빗물 저류침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37200B1 (ko) 환경정화용 제방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