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349A -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349A
KR20160013349A KR1020140094184A KR20140094184A KR20160013349A KR 20160013349 A KR20160013349 A KR 20160013349A KR 1020140094184 A KR1020140094184 A KR 1020140094184A KR 20140094184 A KR20140094184 A KR 20140094184A KR 20160013349 A KR20160013349 A KR 20160013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dam
edge
roll
wear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700B1 (ko
Inventor
권오성
박철민
황석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94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700B1/ko
Priority to US14/803,353 priority patent/US9649684B2/en
Priority to CN201510438048.5A priority patent/CN105382223B/zh
Publication of KR20160013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8Casting surfaces
    • B22D11/066Side d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은 회전하는 롤과, 상기 롤의 측면에 밀착되는 에지댐에 의해 용강풀을 형성하고, 상기 용강풀에 용강을 공급하여 주편을 연속 주조하는 주조단계;와, 주조 중에 상기 에지댐의 마모량을 고려하여 상기 에지댐을 상승시키는 에지댐 상승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Twin roll strip casting method}
본 발명은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조롤의 측면에 배치되는 에지댐을 이용하여 에지 품질이 우수한 박판을 제조할 수 있도록 제안된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호 맞물리는 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하는 한 쌍의 내부 수냉식 롤(1a,1b) 사이에 주입 노즐(미도시)을 통해 용강(7)을 공급하고 주편(5)을 인출하여, 두께 10mm 이하의 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때, 한 쌍의 롤(1a,1b)의 양측 단부에는 용강(7)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한 쌍의 에지댐(10)이 설치된다. 에지댐(10)은 한 쌍의 롤(1a,1b) 사이에 담기는 용강(7)이 상기 롤의 측면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롤의 측면에 배치되는 가압장치의 일종으로서, 주조시 일정한 배면 압력에 의해 상기 롤의 측면과 밀착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롤(1a,1b)을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한 쌍의 롤과 에지댐(10) 사이에 형성된 용강풀에 용강(7)을 공급하고, 그 용강을 한 쌍의 롤 사이에 형성되는 닙(nip)부로 인출하여 주편(5)을 연속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의 에지댐에서 한 쌍의 롤(1a,1b)과 실제 접촉하여 마모가 일어나는 부분은 마모가 잘 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이는, 한 쌍의 롤(1a,1b)의 회전에 따라 점차 마모되어 진다. 즉, 한 쌍의 롤(1a,1b)이 회전하면서 에지댐의 특정부분을 파고들도록 구성됨으로써 용강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진 에지댐의 특정부분은 통상 보론 나이트라이드(BN)가 혼합된 복합 내화물로 제공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댐에서 마모가 잘 되도록 구성되는 특정부분인 보강부(12)는 한 쌍의 롤의 돌출된 측면이 접촉하여 회전하는 부분이 된다. 이때, 한 쌍의 롤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부분을 편의상 주조 롤의 측면프레임(2)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상기 측면프레임(2)과 보강부(12)는 상호 밀착되게 구성되며, 주로 내화재질로 제공되는 보강부(12)는 상호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의 측면 프레임(2)과 계속적인 마찰을 하면서 점차 마모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된 측면프레임(2)과 계속적인 접촉과 마찰로 인해 점차 마모되는 보강부(12) 영역은 마모되지 않은 보강부(12)의 영역보다 움푹 패이게 되면서, 마모되지 않은 보강부(12)의 영역은 상기 마모된 보강부(12)의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롤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렇게 되면, 롤의 측면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된 에지댐 보강부(12)가 용강풀에 존재하는 용강을 롤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는, 생산되는 박판의 폭이 의도하지 않게 줄어드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에지댐 보강부(12)의 마모에 의해 박판의 폭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의 박판 주조 공정에서는 주조 진행에 따라 에지댐(10)을 상승시키게 되는데, 에지댐을 상승시키는 방법에 따라, 제품의 표면 상태가 달라 질 수 있어 에지댐 상승 작업은 제품의 품질과 직결되는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KR 0605705 B1(2006.07.20.등록)
본 발명은 주편의 에지 터짐현상을 방지하여 에지 품질이 우수한 박판을 생산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특히, 주조중 에지댐의 상승높이 제어를 통한 주편의 에지 터짐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이로써, 생산되는 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전에 불량을 방지함으로써 생산비, 재료비 및 인건비를 절감토록 하고, 나아가, 쌍롤식 박판 주조 공정의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는 회전하는 롤과, 상기 롤의 측면에 밀착되는 에지댐에 의해 용강풀을 형성하고, 상기 용강풀에 용강을 공급하여 주편을 연속 주조하는 주조단계;와, 주조 중에 상기 에지댐의 마모량을 고려하여 상기 에지댐을 상승시키는 에지댐 상승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지댐 상승단계는, 상기 에지댐의 마모량에 대한 상기 에지댐의 상승높이의 비를 에지댐 상승비로 하고, 상기 에지댐 상승비에 의해 상기 에지댐을 상승시키되, 상기 에지댐 상승비는 가변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지댐 상승비는, 상기 에지댐의 마모량이 전환 값 미만일 때의 값인 제1상승비와, 상기 에지댐의 마모량이 전환 값 이상일 때의 값인 제2상승비로 제공되며, 상기 제1상승비는 상기 제2상승비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환 값은, 10mm~25mm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상승비는, 상기 제1상승비의 1.1배 내지 1.5배의 범위 내의 값일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에지댐 상승비의 가변으로 인하여 상기 에지댐이 상기 롤과 접촉되는 면에 형성된 마모경사면이 연속적으로 변화되게 상기 에지댐 상승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에지댐 상승비의 가변으로 인하여 상기 에지댐이 상기 롤과 접촉되는 면에 형성된 마모경사면의 경사가 선형으로 형성되게 상기 에지댐 상승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적인 설비없이 에지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에지 품질이 우수한 박판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편의 에지부 탈락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에지부의 불량을 제거하는데 소모되는 재료비, 가공비,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어 생산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에지부 불량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에지부의 불량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의 간소화 또는 생략이 가능하여 공정 전체의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쌍롤식 박판 주조 공정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통상의 쌍롤식 박판 주조 공정에서의 에지댐 상승 개념도이다.
도 3은 통상의 쌍롤식 박판 주조 공정에서의 스컬 발생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통상의 쌍롤식 박판 주조 공정에서 스컬 혼입으로 인한 에지 터짐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통상의 쌍롤식 박판 주조 공정에서 에지댐 상승시의 에지댐과 주조 롤의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통상의 쌍롤식 박판 주조 공정에서 에지댐 마모량에 따른 에지 터짐 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에지댐 상승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에지댐 상승시의 에지댐과 주조 롤의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특정 구성요소가 추가, 변경, 삭제된 다른 형태로도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쌍롤식 박판 주조 공정에서 에지댐의 보강부(12)와 롤의 측면프레임(2)과의 반복적인 마찰 및 마모는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용강이 롤의 양측 단부로 이탈되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효과를 창출하는 에지댐(10)은 빠르게 회전하는 주조 롤의 양 측면을 가압하며 접촉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롤의 측면프레임(2)과 에지댐의 보강부(12)는 주조 진행에 따라 상호 마모될 수밖에 없는데, 에지댐의 보강부(12)가 마모되는 양만큼을 적절히 보상해 주지 않으면 이는 박판의 폭을 감소시키면서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에지댐 보강부(12)와 용강의 상호 간섭으로 인하여 박판의 폭이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하지 위해, 주조시 일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에지댐(10)을 일정부분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면, 롤의 측면프레임(2)과의 반복적인 접촉과 마찰로 인해 마모된 보강부(12)의 영역은 롤의 측면프레임(2)으로부터 일정거리 상승하게 되고, 보강부(12)의 마모되지 않은 영역이 롤의 측면프레임(2)에 새로이 접촉하게 되면서, 박판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지댐의 마모량에 따른 에지댐의 상승높이의 비를 가리켜 에지댐 상승비로 나타낼 수 있고, 예를 들어, 에지댐의 마모량이 1mm일 때 에지댐을 1mm 상승시켰다면 상기 상승비는 1이 된다. 다만, 상승비는 에지댐의 재질, 두께, 마모량에 따라 다르게 운영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고온의 용강(7)은 수냉식인 한 쌍의 롤(1a,1b)에 접촉하면서 열손실이 발생하고, 일부 응고될 수 있는데 이를 스컬이라 한다.
아울러, 수냉식인 한 쌍의 롤(1a,1b)에 접촉하는 에지댐(10)의 표면 역시 열손실이 발생하면서 냉각되는 효과가 발생하는데, 이때, 상기 발생한 스컬이 에지댐(10)의 표면에서 성장과 탈락을 반복하게 된다.
도 3는 이러한 스컬의 발생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스컬은 한 쌍의 롤(1a,1b)과 에지댐(10)의 가동면에 대하여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각각 에지 스컬(8a), 탕면 스컬(8b), 하부 스컬(8c)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에지 스컬(8a)은 주조 중 에지댐(10)의 표면에서 성장과 탈락을 반복하면서 주편(5)의 에지부에 혼입되기도 한다. 그리고, 주편(5)의 에지부에 혼입된 경우 편측 에지핀을 유발하여 한 쌍의 롤(1a,1b) 사이의 닙(nip) 포인트 통과 시,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에지 탈락부(9)를 발생시키고 결국 주편(5)의 에지 터짐현상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스컬의 에지부 혼입 및 이로 인한 에지 터짐현상은 생산되는 박판의 에지부 불량의 직접적인 원인일 뿐만 아니라, 에지 품질이 우수한 박판 생산을 저해하는 결정적 요소이기도 하다.
게다가, 주조중 마모에 의해 상승되는 에지댐(10)에 의해 상기 스컬이 발생하기 유리한 조건이 형성되기 때문에, 에지댐(10) 상승시 다수의 스컬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고, 발생된 스컬이 주편의 에지부로 인입되는 가능성 또한 높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수냉되는 한 쌍의 롤(1a,1b)에 의해 열손실이 발생한 일부 용강이 응고되어 발생하는 에지 스컬(8a), 탕면 스컬(8b), 하부 스컬(8c)들 중에서 에지 스컬(8a)의 주편 에지부로의 인입은 에지댐(10)의 상승과 관련이 있다.
주조가 진행됨에 따라 한 쌍의 롤(1a,1b)과, 에지댐의 보강부(12)는 상호 점차 마모되어 가면서 마모깊이가 증가되는데, 이때, 에지댐(10)을 상승시킬 경우, 에지댐의 보강부(12)에는 마모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선술한 것과 같이, 에지댐(10)을 상승시킬 경우에는 상기 에지댐에 대하여 한 쌍의 롤(1a,1b)의 궤적은 하향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데, 바로 이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하강거리(3)와 하부하강거리(4)는 상호 차이를 갖게 된다.
다시 말해, 에지댐이 상승하게 되면, 실제 롤의 궤적은 상기 에지댐으로부터 일정거리 하향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롤의 측면프레임(2)은 각각 롤의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다른 하강거리를 갖는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에지댐(10)의 상승으로 인하여 롤의 측면프레임(2)이 에지댐 보강부(12)와 최초 접하던 원위치에서 일정거리 하강하는 효과가 발생된다고 할 때, 상부하강거리(3)가 하부하강거리(4)에 비해 큰 값을 갖게 된다.
도 5의 (a)에는 상부하강거리(3)가 발생하는 지점에서의 에지댐 보강부(12)와 롤의 측면프레임(2)의 단면이 도식화되어 있다. 여기서, 각도 α는 에지댐 보강부(12)에 형성되는 마모경사면으로부터 롤의 측면프레임(2)까지의 각도이다.
도 5의 (b)에는 하부하강거리(4)가 발생하는 지점에서의 에지댐 보강부(12)와 롤의 측면프레임(2)의 단면이 도식화되어 있다. 여기서, 각도 β는 에지댐 보강부(12)에 형성되는 마모경사면으로부터 롤의 측면프레임(2)까지의 각도이다.
여기서 각도 α와, 각도 β를 비교하여 보면, 상부하강거리(3)에 형성되는 각도 α가 하부하강거리(4)에 형성되는 각도 β에 비해 큰 값을 갖는데, 이것은 바로 상부하강거리(3)가 하부하강거리(4)에 비해 큰 값을 갖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상부와 하부의 궤적변화의 차이가 마모경사면의 차이 즉, 각도 α와, 각도 β의 차이를 유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조가 점차 진행됨에 따라, 에지댐(10)의 마모경사면의 각도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작아지게 된다. 또한, 롤의 측면프레임(2)과 에지댐 보강부(12) 마모에 의해 형성된 마모경사면 사이 즉, 각도 α와, 각도 β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구조상 온도저하가 발생 되면서, 스컬 형성에 유리한 조건이 구현되는 것이다.
특히, 스컬은 에지댐(10)의 마모가 점차 진행되면서, 마모경사면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각도 α와, 각도 β가 작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마모경사면 사이 공간의 온도저하로 인한 스컬의 발생을 억제하고, 스컬의 주편 에지부로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복수개의 롤(1a,1b)과, 상기 복수개의 롤의 측면에 밀착되는 에지댐(10)에 의해 용강풀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용강풀에 용강을 공급하여 주편(5)을 연속 주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에지댐의 마모량에 대한 상기 에지댐의 상승높이의 비를 에지댐 상승비로 하고, 주조 진행에 따라 서로 다른 상승비에 의해 상기 에지댐을 상승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에지댐(10)들의 마모량에 따른 상기 에지댐들의 상승높이의 비를 에지댐 상승비로 하고, 일정한 에지댐 상승비에 의해 상기 에지댐들을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되, 상기 에지댐들의 마모량이 전환 값 이상인 시점부터는 상기 상승비는 가변되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에지댐의 마모량이 1mm 일 때, 에지댐의 상승높이를 1mm로 했다면 에지댐 상승비는 1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에지댐 상승비는 에지댐의 두께, 재질, 강종의 종류 등 주조 조건의 변화에 따라 변경 적용 가능한 것이므로 에지댐 상승비에 대한 절대적인 기준을 두지는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핵심은, 상기 에지댐 상승비는 에지댐(10)들의 마모량이 전환 값에 다다르기 이전까지는 동일하게 유지되다가, 전환 값에 이른 이상부터는 가변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전환 값은 10mm~25mm 사이의 값 일 수 있는데, 이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에지댐의 마모량이 15mm를 기준으로 하여, 그 이하일 경우에는 기울기가 완만하다가, 그 이상일 경우에는 기울기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에지 터짐 크기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에지댐의 마모량의 값이 15mm 라고 하더라도 에지댐 마모량의 값이 10mm~25mm의 범위인 (d)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에지 불량은 추후 트리밍 공정에 의해 절단되는 영역에 포함되기 때문에, 상기 전환 값은 10mm~25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지댐(10)들의 마모량이 10mm~25mm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는 에지댐 상승비를 변화시키되, 25mm 이상의 값을 나타낼 때부터는 에지댐 상승비를 증가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에지댐 상승비를 증가시킨다는 것은 궁극적으로 에지댐(10)을 마모량에 비해 더욱 많이 들어올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에지댐(10)을 마모량에 비해 보다 많이 들어올림으로써,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하강거리(3)와 하부하강거리(4)가 에지댐 상승비 1일 때보다 더욱 큰 값을 갖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에지 터짐 현상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하부하강거리(4)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선술한 것처럼 스컬이 발생하기 보다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는 하부에서의 각도 β를 증가시키기 위해서이다. 도 8의 (a),(b) 및 (c)에 도식화된 에지댐 보강부(12)와 롤(1a)의 측면프레임(2)의 단면을 참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의 (a),(b) 및 (c)에서는 하부하강거리(4)에서의 에지댐과 롤의 단면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a)는 주조 중반에 롤(1a)의 측면프레임(2)과 에지댐 보강부(12)가 상호 어느정도 마모되면서 마모경사면이 생기고, 각도 β가 형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각도 β가 작다는 것은 에지댐 보강부(12)와 측면프레임(2) 사이의 공간이 좁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각도 β가 여전히 작음에도 불구하고, 주조 진행에 따라 마모깊이는 점차 깊어진다면 각도 β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되는 용강(7)의 양은 매우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수냉되는 한쌍의 롤(1a,1b)에 의에 의한 열손실이 더욱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고, 용강(7)은 쉽게 응고되어 스컬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8의 (c)와 같이 기존의 전환점(30)을 새로운 전환점(30')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스컬이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는 환경을 개선한 것이다.
먼저, 도 8의 (b)는 주조 중반의 에지댐의 보강부(12)와 롤의 측면프레임(2)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기술에 의해 주조 진행에 따른 에지댐(10)의 마모량과 관계없이 일정한 에지댐 상승비로 에지댐(10)을 들어올린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반면 도 8의 (c)는 주조 중반의 에지댐의 보강부(12)와 롤의 측면프레임(2)의 단면상태를 나타내되, 에지댐(10)의 마모량이 14~16mm 이상인 경우 에지댐 상승비를 증가시켜 들어올린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에지댐 마모량이 14~16mm 이상일 때, 동일한 에지댐 상승비로 에지댐을 들어올릴 경우, 마모가 시작되는 전환점(30)은 도 8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은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반면, 에지댐 마모량이 14~16mm 이상일 때, 에지댐 상승비를 증가시켜서 에지댐(10)을 더욱 많이 상승시킨 경우, 마모가 시작되는 전환점(30')은 동일한 에지댐 상승비를 주었을 때의 전환점(30) 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에지댐 상승비를 증가시킬 경우에는 하부하강거리(4)에서의 에지댐 보강부(12)와 롤(1a)의 측면프레임(2) 사이의 각도 β를 보다 큰 값을 갖도록 하여 각도 β'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에지댐 보강부(12)와 롤(1a)의 측면프레임(2) 사이에는 보다 넓은 공간이 확보되게 된다.
따라서, 보다 넓게 형성된 공간에는 보다 많은 양의 용강이 침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용강의 열손실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면서, 스컬의 발생 또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에지댐의 마모량이 14~16mm 이상일 경우부터는, 에지댐 상승비를 증가시킴으로써 각도 β를 각도 β'로 증가시키고, 에지댐 보강부(12)에 형성되는 마모경사면의 단면 형상에 변화를 주어 스컬 발생에 용이한 조건이 형성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주조 후반 마모경사면 단면의 각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용강 유입을 증가시키고, 마모경사면의 온도 보상효과를 창출하도록 하는 원리이다.
다만, 통상의 에지댐 상승비는 1.5를 초과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응고쉘이 만나는 닙(nip) 포인트의 위치보다 에지댐(10)의 하단부 밀폐위치가 상승되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에지댐(10)이 한계위치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용강의 실링기능을 하지 못하고, 주조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 될 수도 있다.
이는 다시 말하면, 에지댐 상승비의 최대 한계 값은 에지댐 최대 상승높이에 의해 제한될 수 있는데, 여기서, 에지댐 최대 상승높이는 곧, 에지댐(10)이 닙(nip) 포인트 이상의 위치까지 상승되어 용강 실링 기능을 잃기 직전의 높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에지댐 마모량이 10mm~25mm 의 범위를 벗어나서, 에지댐 마모량이 25mm가 되는 순간부터는 에지댐 상승비를 증가시키되, 상기 에지댐 상승비의 범위는 통상 1.1~1.5의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안정적일 수 있다.
또한, 에지댐 마모량이 25mm 이상일 때 적용되는 에지댐 상승비인 제2상승비는, 에지댐(10) 보강부(12)에 형성되는 마모경사면의 경사를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는데, 다만 제2상승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마모경사면과 롤의 측면프레임(2)까지의 각도는 제1상승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마모경사면과 롤의 측면프레임(2)까지의 각도보다 증가 된다.
아울러, 제2상승비에 의해 마모경사면의 경사가 비선형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마모경사면 상에서 적어도 한 지점에서는 경사가 변형되는 변형포인트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상기 변형포인트는 첨부된 도 8의 (c)에서의 전환점(30)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지댐 상승비의 가변으로 인하여 상기 에지댐이 상기 롤과 접촉되는 면에 형성된 마모경사면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에지댐 상승비를 변화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마모경사면이 연속적으로 변한다는 것의 의미는, 마모경사면은 미분이 가능하도록 전체 구간에 걸쳐 연속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에지댐 상승비의 가변으로 인하여 상기 에지댐이 상기 롤과 접촉되는 면에 형성된 마모경사면의 경사가 선형으로 형성되게 상기 에지댐 상승비를 변화시킬 수도 있는데, 이는, 마모경사면이 미분이 가능하도록 연속으로 구비되되, 그것이 비선형이 아닌 선형인 형태(예를 들면, 선형 미분)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a,1b : 롤 2 : 측면프레임
3 : 상부하강거리 4 : 하부하강거리
5 : 주편 7 : 용강
10 : 에지댐 11 : 본체
12 : 보강부 30,30' : 전환점

Claims (7)

  1. 회전하는 롤과, 상기 롤의 측면에 밀착되는 에지댐에 의해 용강풀을 형성하고, 상기 용강풀에 용강을 공급하여 주편을 연속 주조하는 주조단계;
    주조 중에 상기 에지댐의 마모량을 고려하여 상기 에지댐을 상승시키는 에지댐 상승단계;
    를 포함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댐 상승단계는,
    상기 에지댐의 마모량에 대한 상기 에지댐의 상승높이의 비를 에지댐 상승비로 하고, 상기 에지댐 상승비에 의해 상기 에지댐을 상승시키되, 상기 에지댐 상승비는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댐 상승비는,
    상기 에지댐의 마모량이 전환 값 미만일 때의 값인 제1상승비와,
    상기 에지댐의 마모량이 전환 값 이상일 때의 값인 제2상승비로 제공되며,
    상기 제1상승비는 상기 제2상승비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값은,
    10mm~25mm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승비는,
    상기 제1상승비의 1.1배 내지 1.5배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댐 상승비의 가변으로 인하여 상기 에지댐이 상기 롤과 접촉되는 면에 형성된 마모경사면이 연속적으로 변화되게 상기 에지댐 상승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댐 상승비의 가변으로 인하여 상기 에지댐이 상기 롤과 접촉되는 면에 형성된 마모경사면의 경사가 선형으로 형성되게 상기 에지댐 상승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KR1020140094184A 2014-07-24 2014-07-24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KR101620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84A KR101620700B1 (ko) 2014-07-24 2014-07-24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US14/803,353 US9649684B2 (en) 2014-07-24 2015-07-20 Twin roll strip casting method
CN201510438048.5A CN105382223B (zh) 2014-07-24 2015-07-23 双辊带铸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84A KR101620700B1 (ko) 2014-07-24 2014-07-24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349A true KR20160013349A (ko) 2016-02-04
KR101620700B1 KR101620700B1 (ko) 2016-05-13

Family

ID=5516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184A KR101620700B1 (ko) 2014-07-24 2014-07-24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49684B2 (ko)
KR (1) KR101620700B1 (ko)
CN (1) CN1053822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116859A1 (it) * 2016-11-18 2018-05-18 Danieli Off Mecc Dispositivo di colata continua per bramme sottili
CN106815831B (zh) * 2016-12-21 2020-04-10 南昌青橙视界科技有限公司 一种钢丝绳磨损的检测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13516A (en) 1995-09-05 2002-03-30 Nippon Steel Corp Thin cast strip formed of molten steel,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cooling drum for thin cast strip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KR100605705B1 (ko) 2001-08-28 2006-08-01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주조기용 침지노즐의 용강공급 제어방법
KR100798029B1 (ko) * 2006-12-29 2008-01-28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박판 주조기의 에지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944437B1 (ko) 2007-09-05 2010-02-25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
KR100977783B1 (ko) 2007-09-28 2010-08-24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형 박판 제조공정에서 주편 스트립의 에지형상 제어장치 및 방법
CN101543878A (zh) 2008-03-28 2009-09-30 凌长仁 一种双辊轧机旋转式侧封方法
KR20100063916A (ko) 2008-12-04 2010-06-14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박판주조기의 에지댐 제어방법
KR101360660B1 (ko) 2011-12-27 2014-02-07 주식회사 포스코 에지 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700B1 (ko) 2016-05-13
US9649684B2 (en) 2017-05-16
US20160023268A1 (en) 2016-01-28
CN105382223A (zh) 2016-03-09
CN105382223B (zh)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66125B (zh) 连铸坯翘头消除方法
KR101610200B1 (ko) 가장자리 부분의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스트립 캐스팅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US9254520B2 (en) Process engineering measures in a continuous casting machine at the start of casting, at the end of casting and when producing a transitional piece
KR101620700B1 (ko)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CN102470427B (zh) 用于水平铸造金属带的装置和方法
JP2015107522A (ja) 連続鋳造用鋳型及び鋼の連続鋳造方法
JP6365604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4337565B2 (ja) 鋼のスラブ連続鋳造方法
KR20190029757A (ko) 강의 연속 주조 방법
CN113649538B (zh) 板坯连铸机基于钢水温度控制的自动变渣线系统
JP5018441B2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込終了後の鋳片の引抜方法
KR100642779B1 (ko) 냉간압조용 강의 연속 주조 방법
KR20160013292A (ko)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주조롤
JPH038863B2 (ko)
JP7269465B2 (ja) 双ドラム式連続鋳造装置および双ドラム式連続鋳造方法
KR101186586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기
KR101186578B1 (ko) 쌍롤 박판 주조기의 에지댐 구조
KR101159612B1 (ko) 침지 노즐 조립체 제작용 모르타르 및 그를 이용한 침지 노즐 조립체 제작 방법
CN114364471B (zh) 用于连续浇铸金属产品的结晶器以及相应的浇铸方法
KR100605697B1 (ko) 쌍롤박판주조기에서 양호한 박판의 제조방법과 이에이용되는 박판주조기의 증기블로어 장치
KR20120072497A (ko) 에지 품질이 우수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트립 제조용 쌍롤식 박판 주조기 및 그 주조 방법
KR101408227B1 (ko) 연속주조장치 및 연속주조방법
KR101044759B1 (ko) 쌍롤식 박판주조 공정에서의 주조방법
KR100939875B1 (ko) 브레이크 아웃 방지를 위한 연속 주조 방법
JP2024047886A (ja) 連続鋳造用鋳型及び連続鋳造用鋳型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