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437B1 -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437B1
KR100944437B1 KR1020070089778A KR20070089778A KR100944437B1 KR 100944437 B1 KR100944437 B1 KR 100944437B1 KR 1020070089778 A KR1020070089778 A KR 1020070089778A KR 20070089778 A KR20070089778 A KR 20070089778A KR 100944437 B1 KR100944437 B1 KR 100944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roll
casting
thin plat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874A (ko
Inventor
박철민
임지우
정성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089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4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2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for vertic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7Rolls;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에 있어서; 쌍롤식 박판주조기를 이용한 박판 주조시, 트리밍양을 고려하여 박판의 크라운을 박판의 에지로부터 50mm 지점을 기준으로 90㎛ 이하로 유지하는 제1단계와; 주조롤 표면에 주어지는 초기 주조롤 크라운은 주조롤 에지로부터 50mm 지점까지의 크라운 양과, 주조롤 중앙부에서부터 에지 50mm 지점까지의 크라운 양의 비를 1:1.2로 유지하도록 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에 의해, 보다 양호한 박판 에지형상을 얻을 수 있고, 나아가 박판의 폭방향 크라운도 압연 품질이 양호한 결과를 얻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박판주조, 스테인레스, 주조롤, 크라운

Description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ROLL CROWN FORMING METHOD OF TWIN ROLL TYPE STRIP CASTER}
본 발명은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을 제어하여 폭방향으로 균일한 응고와 제품화가 가능한 박판을 주조할 수 있도록 한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판을 연속주조하는 이 기술에서 용융금속은 냉각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두개의 주조 롤 사이에 노즐을 통하여 주입되고, 응고되어 응고쉘이 형성되며, 롤 닢에서 압하됨으로써 박판이 생성된다.
예컨대, 도 1의 도시와 같이, 냉각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두개의 주조롤(3) 사이에 턴디쉬(1)에 수강된 용융금속(4)이 노즐(2)을 통하여 주입되고, 응고되어 응고쉘이 형성되며, 롤 닢에서 압하되면서 박판(7)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주조롤(3)의 단부에는 세라믹으로 구성된 에지댐(5)이 있어, 단부로의 용강 유출을 막으며, 주조된 박판은 압연기(10)를 거쳐 10~40% 열간압연되어 코일링된다.
여기에서, 주조롤(3)은 내부에 냉각수 홀이 있어 이곳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롤을 냉각시키고, 또한 구리 등과 같이 열전달이 양호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으며, 표면에는 내마모를 위한 니켈 등과 같은 것이 코팅이 되어 있고, 코팅층은 강의 응고를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숏 브라스트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무방향 조도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쌍롤식 박판주조기를 이용하여 박판(7)을 제조하는데 있어, 폭방향으로의 응고 균일화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박판(7)의 폭방향 에지측은 응고가 충분하지 못하여, 응고쉘 중앙에 액상이 잔류하여 생산된 박판(7)의 표면이 부풀어 오르는 벌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박판의 폭방향 에지측은 응고속도가 늦기 때문에 최종 생산된 박판(7)의 내부 미세조직에서 자성을 띠는 델타페라이트가 다량 잔류하여 최종 냉연된 박판(7)을 성형할 때 성형성에 나쁜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이러한 박판(7) 폭방향 에지측의 응고를 양호하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초기 주조롤(3)의 크라운(Crown) 양의 적절성에 따라 박판(7)의 크라운이 제품으로 나갈 수 있는지 여부가 판명된다.
이때, 크라운이란 주조롤(3) 표면의 오목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조롤(3)의 정 에지부에서와 정 중앙부에서의 주조롤(3)의 오목양 차이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러한 크라운은 일반적으로 60±20㎛ 정도로 규격화 되어 있고, 좀더 박물일 경우에는 40㎛ 이하로 규격화되어 있다.
따라서, 쌍롤형 주조기에서 이것을 맞추기 위해서는 압연전 박판(7)의 크라운을 90㎛ 이하로 생산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90㎛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초기 주조롤의 크라운을 대폭 줄인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문제가 생겨 앞에서 언급한 폭방향 응고불균일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박판의 에지나 혹은 박판의 중앙부에 벌징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유럽특허 EP-0788854에는 주조롤 표면에 네가티브 크라운을 부여하여, 박판 폭방향 에지의 박판 두께를 줄여줌으로써 벌징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네가티브 크라운을 사용할 경우 박판 폭방향 에지부의 벌징을 줄일 수는 있지만 생산되는 박판의 폭방향 두께 편차가 크거나 또는 생산되는 박판의 폭방향 형상이 압연하기에 적당하지 않아서 압연후 생산된 박판에 웨이브가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다른 기술로, 국내 특허출원 제2004-0113440호에는 폭방향 에지부 벌징을 줄이는데 촛점을 두고 폭방향 두께분포 및 크라운이 압연시에 문제가 없는 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또한 정작 실제품을 완성시킬 수 있는 두께를 생산할 수 있는 범위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주조롤의 롤 크라운을 적절하게 제어함은 물론 주조롤 의 냉각을 두께별로 냉가수량에 따라 조절되게 하여 주조롤의 팽창을 달리함으로써 양호한 박판 에지 형상을 갖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폭방향 박판의 크라운도 압연 품질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에 있어서; 쌍롤식 박판주조기를 이용한 박판 주조시, 트리밍양을 고려하여 박판의 크라운을 박판의 에지로부터 50mm 지점을 기준으로 90㎛ 이하로 유지하는 제1단계와; 주조롤 표면에 주어지는 초기 주조롤 크라운은 주조롤 에지로부터 50mm 지점까지의 크라운 양과, 주조롤 중앙부에서부터 에지 50mm 지점까지의 크라운 양의 비를 1:1.2로 유지하도록 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박판의 크라운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주조롤의 냉각을 두께별로 냉각수량을 달리하여 냉각시키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에 의해, 보다 양호한 박판 에지형상을 얻을 수 있고, 나아가 박판의 폭방향 크라운도 압연 품질이 양호한 결과를 얻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쌍롤식 박판 주조공정에서 주조롤 표면에 형성된 크라운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한 박판의 두께에 따른 주조롤의 팽창량 관계를 보인 실험결과 그래프이며,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에지 불량일 때의 박판 폭방향으로의 크라운 형상을 보인 예시적인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에지 양호일 때의 박판 폭방향으로의 크라운 형상을 보인 예시적인 그래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박판 크라운의 양호품과 불량품의 비교 그래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주조롤(3)의 표면에는 오목한 형태로 크라운(20)이 부여된다.
이때, 상기 크라운(20)은 수평면으로부터 오목하게 요입된 센터부의 깊이를 마이크로미터(㎛)로 표기한 것을 기본 길이로 하며, "C50"이란 주조롤의 폭 중앙과 주조롤의 에지로부터 50mm 떨어진 지점까지의 오목정도로 정의하기로 하며, 또한 "E50"이란 주조롤의 에지와 에지로부터 50mm 떨어진 지점에서의 오목정도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크라운(20)은 주조롤(3) 제작 후 주조롤(3)의 구리 표면에 직접 부여할 수도 있고, 또는 내마모 코팅을 처리한 후 그 위에 주조롤(3) 크라운(20)을 부여할 수도 있다.
아울러, 쌍롤식 박판 주조기 직후에 있는 열간압연기(도 1의 '10')를 통과하여 냉간압연에 투입되어 최종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박판 주조 직후 열간압연기(10) 전단에서 박판 폭방향으로의 박판 크라운은 90㎛를 넘지 않아야 한다.
이는 냉간압연을 60%로 할 경우 최종 냉간 압연재의 크라운을 60㎛ 이하로 하기 위해서이며, 또한, 최종 냉간압연재를 사용하여 제품을 생산할 경우 폭방향 두께 편차로 인한 가공재의 품질 문제가 생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이러한 주조 직후 박판의 크라운은 [식 1]과 같이 주조시의 주조롤 크라운(20)의 양과, 주조되는 박판(도 1의 '7')의 두께 및 주조롤(3)의 열팽창량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즉,
주조 박판의 크라운량(C50)=주조롤의 크라운량-주조롤의 열팽창량ㆍㆍ[식 1]
의 관계를 갖게 된다.
이때, 주조롤의 열팽창량은 도 3의 그래프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주조 두께에 따라 비례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는 바, 이는 주조 두께가 작을수록 롤의 흡열량이 증가하여 롤의 온도가 증가하고, 열팽창을 많이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주조 두께 3mm를 경계로 팽창하는 기울기가 달라진다.
그러므로, 주조되는 박판의 크라운량을 일정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두께별 주조롤(3)의 크라운(20)을 달리 관리하여 3mm 이상/이하의 두께에서 조업변수인 냉각수량을 조절하여 박판을 생산하는 방법을 차별화해야 한다.
그리고, 에지 벌징 등이 없는 양호한 박판 에지 품질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크라운을 지닌 주조롤(3)을 이용하여 실험을 한 결과, 하기한 표 1에서와 같이 E50:C50의 비율(즉, 크라운의 깊이(㎛)의 비율)이 최소 1:1.2 이상이 되어 야 박판 에지 벌징 없이, 에지 품질이 양호해짐을 확인하였다.
롤번호 E50 E100 E150 E200 E250
A 165 253 283 291 293
B 153 191 227 249 264
C 103 141 177 201 218
D 78 116 152 175 190
E 103 135 164 189 198
F 103 127 150 170 178
G 90 119 146 169 174
롤번호 C50 C100 C150 C200 C250
A 138 50 20 12 10
B 167 129 93 71 56
C 182 144 108 84 67
D 172 134 98 75 60
E 127 95 66 41 32
F 108 83 60 41 32
G 106 77 50 27 22
(이때, 상기 표에 쓰여진 수치의 단위는 ㎛이다)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롤번호 "G"는 본 발명의 범위에 드는 주조롤의 크라운 부여 방식으로서, 이 주조롤을 사용하여 주조한 경우, 생산된 박판은 압연 가능한 크라운의 크기를 지니면서 박판 에지도 양호하게 주조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아울러, E50:C50의 비율이 1:1 정도인 주조롤 크라운에서의 박판 형상도 확인해 본 결과 도 4와 같이 확인되었는 바, 에지를 보면 두껍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에지 벌징으로 인해 두껍게 나타나는 것이다.
반면, 도 5를 보면 E50:C50의 비율이 1:1.2 이상의 주조롤로 주조한 경우를 나타낸 것인데, 에지 상태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E50:C50의 비율이 1:1.2 보다 훨씬 크게 되면 에지 품질은 양호해지나 제품 출시 가능한 박판 크라운을 만족할 수 없으므로 제품의 가치가 매우 떨어진다.
이는 도 6에서 확인되듯이, 비율이 큰 것과 1:1.2 수준으로 맞춘 것의 크라운의 경우 명확한 차이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E50:C50의 비율이 1:1.2 수준으로 맞추는 것이 박판 크라운 입장에서는 매우 좋은 조건이 됨을 최종 확인하였다.
결국, 주조롤의 크라운은 E50:C50의 비율로 맞추어야 하고, 두께별로 주조롤의 냉각을 달리해야 제품으로 출시가능한 박판 크라운을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에지가 양호하고, 압연 품질도 양호한 박판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쌍롤식 박판주조기를 통한 주조공정을 보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쌍롤식 박판 주조공정에서 주조롤 표면에 형성된 크라운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한 박판의 두께에 따른 주조롤의 팽창량 관계를 보인 실험결과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에지 불량일 때의 박판 폭방향으로의 크라운 형상을 보인 예시적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에지 양호일 때의 박판 폭방향으로의 크라운 형상을 보인 예시적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박판 크라운의 양호품과 불량품의 비교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턴디쉬 2....노즐
3....주조롤 4....용융금속
5....에지댐 7....박판
10....열간압연기 20....크라운

Claims (2)

  1.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에 있어서;
    쌍롤식 박판주조기를 이용한 박판 주조시, 트리밍양을 고려하여 박판의 크라운을 박판의 에지로부터 50mm 지점을 기준으로 90㎛ 이하로 유지하는 제1단계와;
    주조롤 표면에 주어지는 초기 주조롤 크라운은 주조롤 에지로부터 50mm 지점까지의 크라운 양과, 주조롤 중앙부에서부터 에지 50mm 지점까지의 크라운 양의 비를 1:1.2로 유지하도록 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박판의 크라운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주조롤의 냉각을 두께별로 냉각수량을 달리하여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
KR1020070089778A 2007-09-05 2007-09-05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 KR100944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778A KR100944437B1 (ko) 2007-09-05 2007-09-05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778A KR100944437B1 (ko) 2007-09-05 2007-09-05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874A KR20090024874A (ko) 2009-03-10
KR100944437B1 true KR100944437B1 (ko) 2010-02-25

Family

ID=4069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778A KR100944437B1 (ko) 2007-09-05 2007-09-05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4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261B1 (ko) * 2014-08-08 2016-05-2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107B1 (ko) * 2010-12-24 2013-01-17 주식회사 포스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열연박판 제조장치 및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열연박판의 제조방법
KR101286205B1 (ko) * 2010-12-24 2013-07-15 주식회사 포스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박판 주조용 쌍롤식 박판 주조기 및 쌍롤식 박판 주조기에 의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박판을 주조하는 방법
KR101482461B1 (ko) 2013-12-20 2015-01-13 주식회사 포스코 에지 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박판의 제조방법
KR101620700B1 (ko) 2014-07-24 2016-05-13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7652A (ja) * 1989-05-20 1990-12-20 Nippon Steel Corp 薄物連続鋳造におけるクラウン制御方法
JPH0788599A (ja) * 1993-09-27 1995-04-04 Nippon Steel Corp 双ロール式連続鋳造機の鋳造ロールの形状制御方法
JPH09103845A (ja) * 1995-10-06 1997-04-22 Nippon Steel Corp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薄肉鋳片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74637A (ko) * 2004-12-28 2006-07-03 주식회사 포스코 양호한 주편을 생산하기 위한 쌍롤식 박판 주조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7652A (ja) * 1989-05-20 1990-12-20 Nippon Steel Corp 薄物連続鋳造におけるクラウン制御方法
JPH0788599A (ja) * 1993-09-27 1995-04-04 Nippon Steel Corp 双ロール式連続鋳造機の鋳造ロールの形状制御方法
JPH09103845A (ja) * 1995-10-06 1997-04-22 Nippon Steel Corp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薄肉鋳片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74637A (ko) * 2004-12-28 2006-07-03 주식회사 포스코 양호한 주편을 생산하기 위한 쌍롤식 박판 주조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261B1 (ko) * 2014-08-08 2016-05-2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874A (ko) 200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437B1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크라운 형성방법
CN105714253B (zh) 大尺寸、细晶钼钽合金溅射靶材的制备方法
KR100215728B1 (ko) 용강으로 형성된 박 주조 스트립과, 그 제조 방법 및 박 주조 스트립 연주기용 냉각 드럼
KR950014485B1 (ko) 품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얇은 주조스트립 및 냉연스트립과 시이트의 제조방법 및 얇은 주조스트립
KR101403175B1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쌍롤식 박판 주조방법
JPH0327843A (ja) 連続鋳造薄肉鋳片の幅方向均一急速冷却方法
JPH09327753A (ja) 薄肉鋳片連続鋳造装置の冷却ドラム
KR101119959B1 (ko) 양호한 주편을 생산하기 위한 쌍롤식 박판 주조롤
KR100770341B1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용 주조롤 및 그 제조방법
JPH01218743A (ja) 金属薄帯連続鋳造用冷却ドラム
KR101243202B1 (ko) 쌍롤식 박판주조 공정에서 주조롤 크라운 조정 방법
JPS6384701A (ja) 凹凸模様を有する金属薄板帯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
KR101353762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공정에서의 표면 품질 제어방법
KR101482461B1 (ko) 에지 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박판의 제조방법
KR100711793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주조롤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주물편
KR100650600B1 (ko) 쌍롤식 박판주조공정의 용강온도 유지방법
JPH01218744A (ja) ツインドラム式連続鋳造機
KR100737123B1 (ko) 주편 단변부에서의 벌징 저감을 위한 연속주조용 주형
KR100770336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공정에서 주조롤의 열평형 도달 시간 단축방법
KR100406375B1 (ko) 쌍롤식 박판주조법에서의 주편 제조방법
JPS6376740A (ja) 凹凸模様を有する金属薄板帯の直接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
KR20170030142A (ko) 주조롤
KR100530083B1 (ko) 쌍롤식 박판제조장치에 의한 박판제조방법
KR100356176B1 (ko) 쌍롤형 박판주조기용 냉각롤
KR20060074636A (ko) 쌍롤형 박판 주조기용 주조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