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347A - 신규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347A
KR20160013347A KR1020140094182A KR20140094182A KR20160013347A KR 20160013347 A KR20160013347 A KR 20160013347A KR 1020140094182 A KR1020140094182 A KR 1020140094182A KR 20140094182 A KR20140094182 A KR 20140094182A KR 20160013347 A KR20160013347 A KR 20160013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obesity
fat accumulation
treating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775B1 (ko
Inventor
정종평
박윤정
이주연
서진숙
조인호
박윤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나이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나이벡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775B1/ko
Priority to US14/899,607 priority patent/US20160296593A1/en
Priority to ES15807777T priority patent/ES2755500T3/es
Priority to PCT/KR2015/007707 priority patent/WO2016013897A1/ko
Priority to EP15807777.6A priority patent/EP3189849B1/en
Publication of KR2016001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775B1/ko
Priority to US15/666,506 priority patent/US1015502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by chemical synth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는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여, 지방조직의 축적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는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 널리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Novel Peptide for Inhibiting Fat Accumul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비만인구는 현대사회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당뇨병, 고지질혈증 및 심혈관질환 등을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사망에 이르게 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물론이고 국내에서도 심각한 건강 및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였다. 미국의 경우 총 건강관련 지출의 약 6%를 비만치료비용으로 지불하고 있으며, 국내의 비만치료시장규모도 1조원을 육박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만치료제는 발기부전치료제 및 탈모증 치료제와 함께 대표적인 QOL(Quality of Life: 삶의 질) 개선제로 꼽힌다.
비만은 대사 장애로 인하여 체내에 지방세포가 증식 분화하고 이로 인하여 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에너지 흡수량이 소비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지방세포의 수와 부피가 증가되는 과정을 거쳐 결과적으로 지방조직의 질량이 증가된다 (Otto et al, Crit Rev Biochem Nol Biol., 40(4):229-242, 2005). 세포 수준에서의 비만은 지방세포의 증식 및 분화의 촉진으로 인한 지방세포의 수와 부피의 증가로 이해된다 (Hirsch et al, Clin Endocrinol Metab., 5(2):299-311, 1976).
현재 비만치료방법으로는 운동을 통하여 과잉 에너지를 소비하는 약물 비의존적 방법이 있으며, 약물에 의한 비만치료 방법으로는 식욕을 억제하여 칼로리 섭취량을 제한하는 식욕억제제, 리파아제 억제제, 팽창사하제, 열발생촉진제 등이 사용된다. 식욕억제 약물인 시브트라민(sibutramine)은 원래 항우울제로 사용된 약물로서 시냅스에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포만감을 빨리 느끼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약물은 심혈관작용, 중추작용, 간장장애 및 신장장애 등 여러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올리스타트(Orlistat)는 지방을 분해하여 체내흡수를 돕는 소화효소인 리파아제의 기능을 억제하여 지방을 체외로 배출하는 작용을 하지만 부작용으로 실변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탄수화물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식습관에는 효과가 불분명한 약물이다.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 이후에는 에스트로겐의 수치가 낮아지는 데, 이 때, 복부지방이 축적된다. 또한 2형 당뇨병, 심혈관질환, 골다공증 등의 합병증도 증가한다. 에스트로겐(estrogen)은 여성의 난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자궁점막과 유선의 발육, 여성의 2차 성징발현, 성주기의 조절 및 임신 유지 등에 관여하는 중요한 호르몬이다. 또한 최근에는 여성호르몬이 비 생식 조직 즉, 골격, 심혈관(지질대사), 치매, 결장암, 치아, 반점퇴화, 지방분해, 피부 및 콜라겐 조직 생성 등에 관여하여 여성건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 때 유력한 갱년기 증상 개선 요법이었던 호르몬 대체요법(HRT)의 경우 장기간 지속될 경우, 유방암은 물론 심장마비, 뇌졸중, 심혈 관계질환 등 위험성이 높아 FDA는 여성호르몬 의약품의 장기처방을 금지하는 성명을 발표했을 정도로 부작용의 부담이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확실한 새로운 비만치료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여, 에스트로겐과 유사하게, 지방조직의 축적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규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를 개발하여, 비만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여, 에스트로겐과 유사하게 지방조직의 축적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는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여, 에스트로겐과 유사하게, 지방조직의 축적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는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에 의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조직으로의 분화 억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는 오일 레드 오(Oil Red O)로 염색된 지방세포의 이미지이고, 도 1의 B는 유리된 오일 레드 오의 흡광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에 의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조직으로의 분화 억제를 나타낸 것으로, 실시예 2의 중합효소연쇄반응기를 통해 얻은 결과물을 전기영동하여 얻은 결과이다.
도 3은 실시예 3의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에 의한 체중(body weight) 변화에 대한 정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3의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에 의한 총지방량(total fat weight) 변화에 대한 정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3의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에 의한 체중에 대한 총지방량(total fat/body weight) 변화에 대한 정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3의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에 의한 피하지방량(subcutabeous fat weight) 변화에 대한 정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3의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에 의한 체중에 대한 피하지방량(subcutabeous fat/body weight) 변화에 대한 정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3의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에 의한 체중에 대한 간중량(liver/body weight) 변화에 대한 정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실시예 3의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에 의한 체중에 대한 신장중량(kidney/body weight) 변화에 대한 정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신규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를 제조하고, 마우스에 이를 처리하여 지방분화 억제 효과 및 이로 인한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상기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가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비만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하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서열번호 1: YGLRSKS
본 발명에 있어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는 하기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서열번호 2: YGLRSKSKKFRRPDIQYPDAT
본 발명에 있어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는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산물뿐만 아니라, 특정 성분의 배합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만들어지는 임의의 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만은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고, 상기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형제, 완충제, 항균성 보존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긴장성 조정제, 방부제, 증점제 및 점도개질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구 투여용 제제, 주사제 또는 국소이식용 겔제로 제형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적합한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Joseph Price Remington,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7th edition,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본 발명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의약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정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장관, 설하 또는 국소 투여경로를 통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국소이식용 겔제는 폴리락틱글리콜산, 폴록사머,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합성고분자 또는 콜라겐,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 알긴산, 황산 콘드로이틴, 키토산 등의 천연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다.
본 발명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상기 사항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가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치료 대상의 체중 kg 당 1~60mg, 더욱 바람직하게는 3~30mg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2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고,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과립제, 정제, 환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껌, 차, 젤리, 각종 음료수,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인체를 비롯한 동물 신체에 투여하기 적합한 임의의 생약 형태, 더욱 구체적으로는 경구 투여에 통상적인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사료, 식품 또는 사료의 첨가제 및 보조제, 강화된 식품 또는 사료, 정제, 환제, 과립, 캡슐 및 발포 배합물 등과 같은 고체 형태 또는 용액, 현탁액, 유화액, 음료, 페이스트 등과 같은 액체형태 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감미제, 착색제, 유기산, 방부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실시예 1: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의 합성
하기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를 합성장치를 이용하여, C말단으로부터 F-moc 고체상 화학합성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서열번호 2: YGLRSKSKKFRRPDIQYPDAT
합성된 펩타이드 서열은 레진으로부터 절단시켜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된 펩타이드의 분자량을 MALDI 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의 지방분화 억제 효과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가 지방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중간엽 줄기세포 (MSC)는 1% 항생제-항진균제(antibiotic-antimycotic)와 10% FBS가 함유된 DMEM에서 배양하여 보존하였다. 그 다음, 지방세포 분화 유도 배지(10% FBS, 10μ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0.5mM 메틸-이소뷰틸크산틴(methyl-isobutylxanthine), 10㎍/ml 인슐린(insulin), 10mM 인도메타신(indomethacin), 1% 항생제-항진균제 용액이 첨가된 DMEM)에서 3일간 배양하고, 지방세포 분화 유지배지(10 ㎍/ml 인슐린, 10% FBS, 1% 항생제-항진균제 용액이 첨가된 DMEM)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이 순서로 배지를 교환하며, 14일 간 배양하여 분화를 유도하였다. 배양 시 습도는 100%, 온도는 37℃를 유지하면서 95%의 공기와 5%의 CO2를 계속 공급하였다. 총 분화기간은 14일로 배지를 교체할 때마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펩타이드를 첨가하였다. 펩타이드의 농도는 0, 10, 100, 200㎍/mL으로 처리하였다.
분화배지에 배양한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10% 포르말린으로 1시간 고정하였다. 60%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로 희석한 30% 오일 레드 오 용액(Oil red O solution)을 넣고 10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정제수로 세척하고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관찰 후에 이소프로판올을 넣고 형성된 지방을 녹여 5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중간엽 줄기세포는 지방분화 배지에 의해 지방세포로 분화가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또한, 처리한 펩타이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오일 레드 오에 염색된 지방축적이 감소하는 것을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었으며(도 1의 A), 생성된 지방을 녹여서 51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을 때, 펩타이드의 농도가 증가 할수록, 흡광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의 B).
아울러, 위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펩타이드를 중간엽 줄기세포에 처리하고, RNA를 추출하여, 대조군으로써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 디히드로게나제(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및, 지방조직 분화 마커인 지방세포 단백질 2(adipocyte protein 2, aP2)와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or γ, PPARγ)에 대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역전사연쇄중합반응(RT-PCR)을 실시하여 아가로즈 겔(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을 하여 그 발현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펩타이드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대조군인 GAPDH 유전자의 발현은 변화가 없었으나, 지방조직 분화 마커인 aP2와 PPARγ 유전자가 적게 발현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2).
실시예 3: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의 지방 축적 억제 및 독성 효과
ICR 마우스 (Orient Bio, Korea)를 구입 후 적응기간을 거친 뒤, 난소를 적출하여 에스트로겐 결핍을 유도함으로써 골소실 및 체중증가 상태를 유도하였다. 난소절제수술은 6주된 ICR 마우스의 대퇴부에 실라진(Rompun®, 바이엘(Bayer) 사, 한국) 10 mg/kg, 케타민 (Ketalar®, 유한양행, 한국) 100 mg/kg을 혼합하여 근육주사로 전신마취한 후, 양측 신장의 하방에 존재하는 난소를 조심스럽게 전 제거하고 통상 방법에 따라 봉합하고 겐타마이신(겐타마이신®, 중외제약, 한국) 3 mg/kg을 근육주사한 후 유지하였다. 난소절제 3개월 후부터 주 2회씩 총 8주간 복강 내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펩타이드를 투여하였으며, 실험동물군은 하기 표 1과 같이 7개 실험군으로 구분하여, 체중변화와 지방축적 정도 등을 측정하였다.
실험동물군의 구분

Normal Sham (Pseudo-OVX)-PBS Shan (Pseudo-OVX)-HP OVX
Control LP HP
처리물질
(농도, μg/25g 마우스)
PBS PBS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600μg) PBS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60μg)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600μg)
수량
(마리)
10 5 5 10 10 10
[Normal: 정상군; Sham (Pseudo-OVX): 난소절제없는 실험군; OVX: 난소절제한 실험군; Control: 대조군; LP: 저농도 펩타이드 (60μg/25g 마우스); HP: 고농도 펩타이드 (600μg/25g 마우스)]
체중변화를 관찰한 결과, 난소를 절제한 실험군의 체중 및 총지방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OVX-PBS군에서 정상군과 비교할 때 유의적인 체중증가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지방량과 체중대비 총지방량의 경우, OVX-PBS군에서는 정상군과 비교할 때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펩타이드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어, 펩타이드가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내지 5).
피하지방량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총지방량 보다 민감한 지방량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난소를 절제한 실험군에서는 유의적으로 피하지방량이 증가하였으나, 펩타이드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피하지방량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및 7).
아울러, 펩타이드에 의한 간독성 및 신장독성에 대한 지표로써, 간의 무게와 신장무게를 부검 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체중대비 간과 신장의 무게는 모두 정상대조군의 무게와 유사한 범위에 속하고 있어, 펩타이드에 의한 간 및 신장의 독성효과는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8 및 9).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Nano Intelligent Biomedical Engineering Corporation. co. Ltd. Seoul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Foundation <120> Novel Peptide for Inhibiting Fat Accumul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the Same <130> P14-B219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or inhibiting fat accumulation <400> 1 Tyr Gly Leu Arg Ser Lys Ser 1 5 <210> 2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or inhibiting fat accumulation <400> 2 Tyr Gly Leu Arg Ser Lys Ser Lys Lys Phe Arg Arg Pro Asp Ile Gln 1 5 10 15 Tyr Pro Asp Ala Thr 20

Claims (15)

  1.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은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비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희석제, 부형제, 완충제, 항균성 보존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긴장성 조정제, 방부제, 증점제 및 점도개질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9. 제4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용 제제, 주사제 또는 국소이식용 겔제로 제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이식용 겔제는 합성고분자 또는 천연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분자는 폴리락틱글리콜산, 폴록사머 및 프로필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고분자는 콜라겐,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 알긴산, 황산 콘드로이틴 및 키토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는 치료 대상의 체중 kg 당 1~60 mg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은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비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40094182A 2014-07-24 2014-07-24 신규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638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82A KR101638775B1 (ko) 2014-07-24 2014-07-24 신규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US14/899,607 US20160296593A1 (en) 2014-07-24 2015-07-24 Novel fat accumulation inhibitory peptid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ntaining the same
ES15807777T ES2755500T3 (es) 2014-07-24 2015-07-24 Péptidos para prevenir o tratar la obesidad
PCT/KR2015/007707 WO2016013897A1 (ko) 2014-07-24 2015-07-24 신규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EP15807777.6A EP3189849B1 (en) 2014-07-24 2015-07-24 Peptides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US15/666,506 US10155022B2 (en) 2014-07-24 2017-08-01 Fat accumulation inhibitory peptid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ntain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82A KR101638775B1 (ko) 2014-07-24 2014-07-24 신규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347A true KR20160013347A (ko) 2016-02-04
KR101638775B1 KR101638775B1 (ko) 2016-07-13

Family

ID=5516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182A KR101638775B1 (ko) 2014-07-24 2014-07-24 신규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60296593A1 (ko)
EP (1) EP3189849B1 (ko)
KR (1) KR101638775B1 (ko)
ES (1) ES2755500T3 (ko)
WO (1) WO201601389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97A1 (ko) * 2019-11-13 2021-05-20 주식회사 나이벡 염증 및 상처 치료용 펩타이드
WO2023055008A1 (ko) * 2021-09-30 2023-04-06 (주)케어젠 항비만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3096232A1 (ko) * 2021-11-25 2023-06-01 (주)네오크레마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WO2023096233A1 (ko) * 2021-11-25 2023-06-01 (주)네오크레마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775B1 (ko) 2014-07-24 2016-07-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16981683A (zh) * 2021-01-25 2023-10-31 纳米智能生物医学工程有限公司 用于预防和治疗纤维化的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528B1 (ko) * 2006-02-03 2007-07-1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제1형 교원질 부착 유도 펩타이드가 고정된 골이식재 및 조직공학용 지지체
KR100894265B1 (ko) * 2007-06-05 2009-04-2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골형성 촉진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주입형 골재생재
KR20130009720A (ko) * 2012-12-12 2013-01-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이종골 유래 골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227B1 (ko) * 2010-09-10 2013-04-29 주식회사 나이벡 아파타이트에 결합하는 골조직 재생능을 가지는 펩타이드
KR101348335B1 (ko) * 2011-07-08 2014-01-03 주식회사 나이벡 이종골 유래 골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38775B1 (ko) 2014-07-24 2016-07-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지방 축적 억제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528B1 (ko) * 2006-02-03 2007-07-1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제1형 교원질 부착 유도 펩타이드가 고정된 골이식재 및 조직공학용 지지체
KR100894265B1 (ko) * 2007-06-05 2009-04-2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골형성 촉진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주입형 골재생재
KR20130009720A (ko) * 2012-12-12 2013-01-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이종골 유래 골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Vol. 419, pp. 326-332 (2012)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97A1 (ko) * 2019-11-13 2021-05-20 주식회사 나이벡 염증 및 상처 치료용 펩타이드
KR20210058692A (ko)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나이벡 염증 및 상처 치료용 펩타이드
WO2023055008A1 (ko) * 2021-09-30 2023-04-06 (주)케어젠 항비만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3096232A1 (ko) * 2021-11-25 2023-06-01 (주)네오크레마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WO2023096233A1 (ko) * 2021-11-25 2023-06-01 (주)네오크레마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89849B1 (en) 2019-09-11
US10155022B2 (en) 2018-12-18
US20170326201A1 (en) 2017-11-16
EP3189849A4 (en) 2018-04-04
ES2755500T3 (es) 2020-04-22
EP3189849A1 (en) 2017-07-12
US20160296593A1 (en) 2016-10-13
KR101638775B1 (ko) 2016-07-13
WO2016013897A1 (ko)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5022B2 (en) Fat accumulation inhibitory peptid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ntaining the same
KR101809172B1 (ko) 뮤신이 없는 배지에서 배양한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Nie et al. Hydrogen sulfide ameliorates doxorubicin‑induced myocardial fibrosis in rats via the PI3K/AKT/mTOR pathway
KR20110007978A (ko) 콜포신 다로페이트를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29894A (ko) 진세노사이드 f2의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
KR102163445B1 (ko) Chp(사이클로-히스프로)를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119414B1 (en) Ostreolysi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KR20210047594A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US2010027880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Arazym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rthritis
KR102169795B1 (ko) 신규한 피칼리박테리움 프로스니치 eb-fpdk9 균주 및 그의 용도
KR102447966B1 (ko) 녹용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10445A (ko) 더위지기, 또는 속수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20090474A (ko) 알코올성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0636847B (zh) 用于预防及治疗肌肉疾病的组合物
KR20210122125A (ko) 갈색거저리 유충 단백질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0395B1 (ko) 스쿠알렌을 함유하는 근기능 향상 및 근육 손상 예방용 조성물
KR20200113511A (ko) Pat4를 포함하는 만성통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99959A (ko) 코디움 속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35378A (ko)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15353B1 (ko) Chp(사이클로-히스프로) 및 부갑상선 호르몬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42333A (ko) 포스포리파아제 a2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47602A (ko) 빅밸리 해마 가수분해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로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TW201713357A (zh) 抗肥胖用組成物
KR20240054436A (ko) 근기능 개선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