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563A - 전기변색 미러 기능과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복합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들 - Google Patents

전기변색 미러 기능과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복합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563A
KR20160012563A KR1020140094160A KR20140094160A KR20160012563A KR 20160012563 A KR20160012563 A KR 20160012563A KR 1020140094160 A KR1020140094160 A KR 1020140094160A KR 20140094160 A KR20140094160 A KR 20140094160A KR 20160012563 A KR20160012563 A KR 20160012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antireflection film
electrochromic mirro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원
정득석
김현준
박상현
이창수
정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4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563A/ko
Priority to US14/796,510 priority patent/US20160026056A1/en
Publication of KR20160012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7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reflectors or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8Anti-reflec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전기변색 미러 기능과 반사 방지막 기능을 겸하는 복합필름, 이러한 복합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복합필름은 전기변색 미러와 반사 방지막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최하층과 최상층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의 일부는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상기 최상층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의 전부는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최하층과 최상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막의 전부는 전기변색 미러의 최상층 상에 적층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전기변색 미러 기능과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복합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들{Complex film having function of electro-chromic mirror and anti-reflective function, display comprising complex film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complex film and display}
본 개시는 전기변색 미러를 이용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전기변색 미러 기능과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복합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의 시청자와 마주하는 면에, 곧 디스플레이의 맨 앞쪽에는 반사 방지막과 전기변색 미러(electro-chromic mirror)가 구비되어 있다. 전기변색 미러는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 특성에 따라 투과(투명)모드 및 반사(거울)모드로 동작된다. 즉, 후술되는 전기변색 구조에서 투명전극에 플러스(+) 전압이 인가되면 투과(투명) 모드로, 마이너스(-) 전압이 인가되면 반사(거울) 모드로 동작된다. 전기변색 소자는 모드가 바뀔 때만 전압을 인가하며, 모드가 바뀌고 난 후에는 모드를 유지하기 위한 전원 공급이 필요 없다. 투명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상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반사모드에서 디스플레이는 거울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기변색 미러 기능과 반사 방지막 기능을 겸하는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전기변색 미러기능에 더하여 외관반사 및 내부반사를 최소화 하는 기능(반사 방지막 기능)을 갖는 복합필름을 동시에 제조하여,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부가가치는 높이면서 제조 단가상승은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이러한 복합필름과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필름은 전기변색 미러와 반사 방지막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최하층과 최상층 사이의 선택적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필름에서, 상기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의 일부는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상기 최상층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 미러는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기재를 포함하는 투명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투명전극, 상기 투명전극 상에 배치된 이온 저장막, 상기 이온 저장막 상에 배치된 전해질막, 상기 전해질막 상에 배치된 촉매층 및 상기 촉매층 상에 배치된 활성막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투명전극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반사 방지막의 제1 층, 상기 이온 저장막과 상기 전해질막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반사 방지막의 제2 층 및 상기 촉매층과 상기 활성막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반사 방지막의 제3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막의 제1 층, 제2 층 및 제3 층은 각각 단일층 혹은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 미러 내에 선택적으로 배치된 상기 반사 방지막은 보호층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막은 굴절률이 서로 다른 층이 1회 이상 교번 적층된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필름은 전기변색 미러와 반사 방지막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방지막은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최상층 상에 적층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필름에서,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밑면에 반사 방지막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활성막과 촉매층 사이 및 촉매층과 전해질층 사이에 보호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앞에 선택적으로 구비된 유리판 및 상기 유리판 앞에 배치된 복합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필름은 상기 일 실시예 또는 상기 다른 실시예의 복합필름이다.
본 개시에서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전기변색 미러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기판 상에 반사 방지막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기변색 미러를 이루는 층들 사이에 형성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서, 상기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의 나머지는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최상층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막은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제1 층과 제2 층이 1회 이상 교번 적층된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전기변색 미러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최상층 상에 반사 방지막의 제1 층을 적층하는 과정과, 및 상기 제1 층 상에 상기 반사 방지막의 나머지를 적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서, 상기 기판의 밑면에 반사 방지막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앞에 선택적으로 구비된 유리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합필름을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제조된 복합필름을 상기 유리판에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필름은 상기 일 실시예 또는 상기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필름 제조방법으로 제조한다.
기존의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전면에 반사방지막이 부착되어 있으며, 전기변색 미러기능을 하는 필름 혹은 유리판을 채용하는 경우, 별도의 부착공정을 거친다.
그러나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는 전기변색 미러 기능과 반사 방지막 기능을 갖는 단일막(복합필름)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디스플레이에 비해 구성요소를 줄일 수 있는 바,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그럼에도 구성요소의 감소에 따라 제조방법은 단순화 할 수 있어 제조 단가 상승은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변색 미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에서 전기변색 미러와 반사 방지막을 포함하는 복합필름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변색 미러를 갖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에서 전기변색 미러와 반사 방지막을 포함하는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변색 미러 기능과 반사 방지막 기능을 갖는 복합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복합필름도 함께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0)는 광원(30), 디스플레이 패널(40), 유리판(50), 복합필름(60)을 포함한다. 광원(30)은 통상의 평판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광원으로, 예를 들면 백 라이트 또는 LED 광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는 예를 들면 LCD, OLED, PDP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이하, 패널)은 디스플레이(100)의 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광원(30)과 유리판(50) 사이에 위치한다. 패널(40)은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OLED를 비롯해서 현재 알려진 평판 디스플레이의 패널일 수 있다. 패널(40)은 광원(30)과 유리판(50)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00)의 모든 부분들(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판(50)은 패널(40)의 영상이 보여지는 면을 보호하기 위한 유리일 수 있다. 유리판(50)은 편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필름(60)은 유리판(50)의 앞쪽에 위치한다. 유리판(50)은 복합필름(60)과 패널(40)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복합필름(60)은 유리판(50) 혹은 패널(40)에 부착된다. 패널(40)에서 생성된 영상은 유리판(50)과 복합필름(60)을 통과해서 시청자에게 전달된다. 복합필름(60)은 전기변색 미러와 반사방지막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도 1의 복합필름(60)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2의 복합필름(60)은 반사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이 전기변색 미러를 이루는 층들 사이사이에 구비된 경우이다. 곧,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이 전기변색 미러에 임베디드(embeded)된 경우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복합필름(60)은 베이스 기판(60a)과 그 위에 적층된 복수의 물질층을 포함한다. 예컨대, 베이스 기판(60a) 상에(윗면에) 반사방지막의 제1 층(70)이 존재한다. 베이스 기판(60a)은 유리기판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nonate:CAP)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한다. 제1 층(70)은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 질화막은 굴절율이 1.98 정도일 수 있고, 상기 실리콘 산화막은 굴절율이 1.54 정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리콘 질화막 또는 상기 실리콘 산화막의 두께는 200~500nm 정도일 수 있다. 제1 층(70)은 단일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제1 층(70) 상에 광에 대해 투명한 투명전극(60b)이 구비되어 있다. 투명전극(60b)은, 예를 들면 ITO막일 수 있고, ITO막 대신에 동등하거나 유사한 다른 투명 전도성 산화막이 구비될 수도 있다. 투명전극(60b) 상에 이온 저장막(60c)이 형성되어 있다. 이온 저장막(60c)은 전기변색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수소이온을 저장한다. 이온 저장막(60c)은, 예를 들면 텅스텐 산화(WOx)막일 수 있다. 전기변색 미러의 투명전극에 양(+) 전압이 인가되면, 이온 저장막(60c)에 포함된 수소이온(proton)는 이온 저장막(60c) 위쪽으로 이동하여 전해질막(60d)과 촉매층(60e)을 지나 활성막(60f)에 도달한다. 이에 따라 이온 저장막(60c)과 활성막(60f)은 투명상태가 된다. 반대로, 전기변색 미러의 투명전극에 음(-) 전압이 인가되면, 활성막(60f)에 도달된 수소는 이온 저장막(60c)으로 이동된다. 이 결과, 활성막(60f)은 금속 고유의 성질로 돌아가고, 이온 저장막(60c)은 수소이온으로 인해 다시 딥 블루(deep blue) 상태가 되어, 곧 색깔을 띠게 되어 불투명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 복합필름(60)은 미러로 작용한다.
계속해서, 이온 저장막(60c) 상에 반사 방지막의 제2 층(72)이 존재한다. 제2 층(72)은, 예를 들면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 질화막은 굴절율이 1.98 정도이고, 상기 실리콘 산화막은 굴절율이 1.54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질화막 또는 상기 실리콘 산화막의 두께는 50nm이하일 수 있다. 제2 층(72)은 제1 층(70)과 다른 물질층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층(70)이 실리콘 산화막(예컨대, SiOx)인 경우, 제2 층(72)은 실리콘 질화막일 수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제2 층(72)은 단일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제2 층(72) 상에 전해질막(60d)이 존재한다. 전해질막(60d)은, 예를 들면 TaOx막 또는 SnInPOx막 일 수 있다. 전해질막(60d) 상에 촉매층(60e)이 존재한다. 촉매층(60e)은 Pd, Pt, Au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촉매층(60e)의 존재로 인해, 전기변색 미러가 온 상태가 될 때, 이온 저장막(60c)에서 활성막(60f)으로 이동되는 수소이온과 활성막(60f)의 반응이 촉진되고, 또한 활성막(60f)의 전체 영역에서 상기 반응이 고르게 일어날 수 있다. 촉매층(60e) 상에 반사 방지막의 제3 층(74)이 존재한다. 굴절률에서 있어서 제3 층(74)은 제2 층(72)과 다른 물질막일 수 있다. 반면, 제3 층(74)은 제1 층(70)과 굴절률에 있어서 동일한 물질막일 수 있다. 제3 층(74)은 단일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층(70, 72, 74)과 같이 반사 방지막은 굴절률이 서로 다른 2개의 물질막이 교번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의 편의 상, 반사 방지막이 3개의 층(70, 72, 74)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사 방지막은 굴절률이 다른 2개의 물질막을 2회 이상 교번 적층하여 3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층(70, 72, 74)의 각각의 두께와 전체 두께는 전기변색 미러의 투광/반사 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온 저장막(60c)과 활성막(60f) 사이에 배치된 제2 및 제3 층(72, 74)의 각각의 두께와 전체 두께는 이온 저장막(60c)과 활성막(60f) 사이를 오가는 수소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두께 범위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50nm이하일 수 있다.
계속해서, 제3 층(74) 상에 활성막(60f)이 존재한다. 활성막(60f)은 Mg, Y, Ni, Ca, Gd, Sm 및 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원소를 포함하는 막일 수 있다. 활성막(60f)의 재료는 이온 저장막(60c)에서 공급되는 수소이온과 결합하여 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는 합금재료이다. 활성막(60f)은 합금으로 형성되며 상부전극으로 작용한다. 도 2의 복합필름(60)에서 제1 내지 제3 층(70, 72, 74)은 반사 방지막을 이루고, 나머지 층들은 전기변색 미러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필름(60)은 반사 반지막을 이루는 층들(70, 72, 74)이 각각 전기변색 미러를 이루는 층들 사이에 임베디드된 층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반사 방지막과 전기변색 미러를 하나의 층으로 결합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구성요소를 줄일 수 있고, 제조과정도 줄일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복합필름(60)의 경우, 전기변색 미러를 이루는 모든 층들 사이에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면, 도 2에 예시된 복합필름(60)에서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제1 내지 제3 층(70, 72, 74)들 사이에는 1개의 물질막이 존재하기도 하지만, 2개의 물질막이 존재하기도 한다.
도 3에 예시된 복합필름(60)의 경우, 전기변색 미러를 이루는 모든 층들 사이에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이 하나씩 위치한다. 곧, 전기변색 미러를 이루는 층들과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은 하나씩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60a) 상에 제1 층(80)이 존재한다. 제1 층(80)은 도 2의 제1 층(70)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층(80) 상에 투명전극(60b)이 존재한다. 투명전극(60b) 상에 제2 층(82)이 존재한다. 제2 층(82)는 도 2의 제2 층(72)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층(82)의 두께는 제1 층(80)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제2 층(82) 상에 이온 저장막(60c)이 구비되어 있고, 이온 저장막(60c) 상에는 제3 층(84)이 구비되어 있다. 제3 층(84)은 제1 층(80)과 동일한 물질일 수 있으나, 두께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제3 층(84) 상에 전해질막(60d)이 존재한다. 전해질막(60d) 상에 제4 층(86)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층(86)은 제2 층(82)과 동일한 물질일 수 있으나, 그 두께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제4 층(86) 상에 촉매층(60e)이 위치하고, 촉매층(60e) 상에 제5 층(90)이 존재한다. 제5 층(90)은 제1 층(80)과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제5 층(90)의 두께는 제1 내지 제4 층(80, 82, 84, 86) 중 어느 하나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5 층(90) 상에 활성막(60f)이 형성되어 있다.
제5 층(90)과 활성막(60f) 사이에 복수의 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층은 제2 층(82)과 동일한 물질층과 제3 층(84)과 동일한 물질층이 제5 층(9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5 층(90)은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 중 순차적으로 적층된 홀수개(예컨대, 3개)의 물질층(90a, 90b, 90c)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층(90a)과 상부층(90c)은 제1 층(80)과 동일한 물질일 수 있고, 가운데층(90b)는 제2 층(82)과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층 내지 제4 층(80, 82, 84, 86) 중 적어도 선택된 하나의 층도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 중 홀수개(예컨대 3개)의 물질층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홀수개의 물질층은 기준층(예컨대, 90a)과 상기 기준층의 위 또는 아래에 구비된 2개의 층(예컨대, 90b, 90c)일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층 중 상기 기준층과 접촉되는 층(예컨대, 90b)은 상기 기준층과 다른 물질이고, 상기 기준층과 접촉되지 않는 나머지(예컨대, 90c)는 상기 기준층과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층(80, 82, 84, 86, 90)은 반사 방지막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활성막(60f) 상에도 반사 방지막의 일부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활성막(60f) 상에 존재하는 반사 방지막의 일부는 보호막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경우처럼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80, 82, 84, 86, 90)이 전기변색 미러를 이루는 층들 사이에 분포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표면반사와 내부반사를 모두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양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5 층(80, 82, 84, 86, 90)의 각각의 두께 혹은 전체의 두께는 전기변색 미러의 투과/반사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복합필름(60)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4에서 반사 방지막은 전기변색 미러에 임베디드되지 않는다. 도 4의 설명에서 앞에서 설명한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60a) 상에 투명전극(60b)이 존재한다. 투명전극(60b) 상에 이온 저장막(60c), 전해질막(60d), 촉매층(60e) 및 활성막(60f)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베이스 기판(60a)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막들(60b-60f)은 각각 인접한 막과 직접 접촉될 수 있으나, 상기 인접한 막 사이에 다른 물질막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활성막(60f) 상에는 반사 방지막(60g)이 형성되어 있다. 반사 방지막(60g)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반사 방지막(60g)이 다층막일 때, 반사 방지막(60g)은 순차적으로 코팅된 제1 내지 제4 층(A1, B1, A2, 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A1)과 제3 층(A2)은 동일 물질이고, 제2 층(B1)과 제4 층(B2)은 동일 물질일 수 있다. 제1 층(A1)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과 실리콘 질화막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막일 수 있고, 제2 층(B1)은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막일 수 있다. 반사 방지막(60g)의 두께는 전기변색 미러의 동작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의 두께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베이스 기판(60a)과 투명전극(60b) 사이에 제2 반사 방지막(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표면 반사와 내부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의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앞의 설명에서 언급된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앞에서 설명된 부재와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60a) 상에 제1 층(70)을 형성한다. 베이스 기판(60a)은 상술한 투명기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1 층(70)은 소정의 두께로, 예컨대 50nm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층(70) 상에 투명전극(60b)이 형성된다. 투명전극(60b) 상에 이온 저장막(60c)이 형성되고, 이온 저장막(60c) 상에는 제2 층(72)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면, 제2 층(72) 상에 전해질막(60d)이 형성되고, 전해질막(60d) 상에는 촉매층(60e)이 형성된다. 촉매층(60e) 상에는 제3 층(74)이 형성된다. 이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층(74) 상에 활성막(60f)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복합필름은 광학적으로 클리어(clear)한 부착제를 붙여 도 1의 유리판(50)에 부착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의 제조 과정에서, 투명전극(60b)과 이온 저장막(60c) 사이에 반사 방지막의 일부(예컨대, 도 3의 제2 층(82))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전해질막(60d)과 촉매층(60e) 사이에도 반사 방지막의 일부(예컨대, 도 3의 제4 층(86))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결과 도 3의 복합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5 내지 도 8의 제조 과정에서, 제1 내지 제3 층(70, 72, 74)을 형성하지 않고, 베이스 기판(60a) 상에 투명전극(60b), 이온 저장막(60c), 전해질막(60d), 촉매층(60e) 및 활성막(60f)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이어서, 활성막(60f) 상에 반사 방지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도 4의 복합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에서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을 제외한 나머지는 과정은 통상적인 방법을 따를 수 있다. 그리고 복합필름에 포함된 막(층)들은 스퍼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막(층)들의 물질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다른 적층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30:광원 40:디스플레이 패널
50:보호유리판(편관층) 60:복합필름
60a:베이스 기판 60b:투명전극
60c:이온 저장막 60d:전해질막
60e:촉매층 60f:활성막
70, 72, 74:제1 내지 제3 층
80, 82, 84, 86, 90: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제1 내지 제5 층
90a:하부층 90b:가운데층
90c:상부층 100:디스플레이

Claims (18)

  1. 전기변색 미러; 및
    반사 방지막;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최하층과 최상층 사이에 배치된 복합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의 일부는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상기 최상층 상에 구비된 복합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의 전부는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최하층과 최상층 사이에 배치된 복합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 미러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투명전극;
    상기 투명전극 상에 배치된 이온 저장막;
    상기 이온 저장막 상에 배치된 전해질막;
    상기 전해질막 상에 배치된 촉매층; 및
    상기 촉매층 상에 배치된 활성막;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투명전극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반사 방지막의 제1 층;
    상기 이온 저장막과 상기 전해질막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반사 방지막의 제2 층; 및
    상기 촉매층과 상기 활성막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반사 방지막의 제3 층;을 포함하는 복합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과 상기 이온 저장막 사이 및 상기 전해질막과 상기 촉매층 사이에 상기 반사 방지막의 일부가 더 구비된 복합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은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제1 층과 제2 층이 1회 이상 교번 적층된 층 구조를 갖는 복합필름.
  7. 전기변색 미러; 및
    반사 방지막;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방지막은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최상층 상에 적층된 복합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밑면에 반사 방지막이 더 구비된 복합필름.
  9. 광원;
    상기 광원 앞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앞에 구비된 유리판; 및
    상기 유리판 앞에 배치된 복합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필름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의 복합필름인 디스플레이.
  10. 기판 상에 전기변색 미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반사 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기변색 미러를 이루는 층들 사이에 형성하는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들의 나머지는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최상층 상에 형성하는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전기변색 미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극 상에 이온 저장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온 저장막 상에 전해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해질막 상에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층 상에 활성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투명전극 사이에 상기 반사 방지막의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온 저장막과 상기 전해질막 사이에 상기 반사 방지막의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층과 상기 활성막 사이에 상기 반사 방지막의 제3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과 상기 이온 저장막 사이 및 상기 전해질막과 상기 촉매층 사이에도 상기 반사 방지막을 이루는 층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은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제1 층과 제2 층이 1회 이상 교번 적층된 층 구조를 갖는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16. 기판 상에 전기변색 미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 미러의 최상층 상에 반사 방지막의 제1 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층 상에 상기 반사 방지막의 나머지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밑면에 반사 방지막을 더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18. 광원, 상기 광원 앞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앞에 구비된 유리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합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복합필름을 상기 유리판에 부착하는 단계;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필름은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6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1020140094160A 2014-07-24 2014-07-24 전기변색 미러 기능과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복합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들 KR20160012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60A KR20160012563A (ko) 2014-07-24 2014-07-24 전기변색 미러 기능과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복합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들
US14/796,510 US20160026056A1 (en) 2014-07-24 2015-07-10 Complex film having electro-chromic mirror function and anti-refelective function, display compromising the complex film,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complex film and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60A KR20160012563A (ko) 2014-07-24 2014-07-24 전기변색 미러 기능과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복합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563A true KR20160012563A (ko) 2016-02-03

Family

ID=5516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160A KR20160012563A (ko) 2014-07-24 2014-07-24 전기변색 미러 기능과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복합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026056A1 (ko)
KR (1) KR201600125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0638A1 (en) * 2018-07-27 2021-06-09 Essilor International Ophthalmic lens having anti-reflective and electrochromic func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4479A (en) * 1998-12-16 2000-1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reflectivity contrast enhancement filter
JP2009098643A (ja) * 2007-09-28 2009-05-07 Fujifilm Corp 積層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20100171889A1 (en) * 2009-01-06 2010-07-08 Joseph Pantel Weather-resistant display
JP5818298B2 (ja) * 2010-01-08 2015-11-18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保護層により封止した全固体型反射調光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調光部材
JP6021523B2 (ja) * 2011-10-12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材料を用いた透過率可変素子、光学系および光学機器
FR3003044B1 (fr) * 2013-03-07 2016-07-29 Centre Nat Rech Scient Dispositif electrochrome a quatre ou trois couch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26056A1 (en)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2305B2 (en) Transparent conducting article comprising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and an intervening inorganic dielectric layer having a plurality of apertures therein
JP5350642B2 (ja) ガスバリア層付フィルム
WO2022028183A1 (zh)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20170261663A1 (en) Attenuation device for blue ligh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ubstrate, display device, and smart wearable apparatus
CN101512388B (zh) 多层膜
WO2022028190A1 (zh)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TW201519418A (zh) 顯示裝置及電子裝置
CN107710125B (zh) 层叠结构体、层叠结构体的制造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
KR20100096809A (ko) 간섭 광 변조기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CN107942571A (zh) 线栅偏光器以及使用此线栅偏光器的显示面板
CN112635535A (zh) 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CN110989260A (zh) 电致变色元件、电致变色组件、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N203069941U (zh) 电致变色器件
WO2018188354A1 (zh) 光源面板和显示装置
WO2002077704A1 (fr) Dispositif d'affichage reflechissant, plaque guide d'ondes optiques,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e plaque guide d'ondes optiques
CN112835207A (zh) 显示模组以及电子设备
TW200919279A (en) Touch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20160012563A (ko) 전기변색 미러 기능과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복합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들
CN216902149U (zh) 显示屏
CN113794027B (zh) 电池盖及电子设备
CN211426993U (zh) 电致变色元件、电致变色组件、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N111584749A (zh)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WO2023029530A1 (zh) 背盖及其加工方法和电子设备
CN113991043B (zh) 显示面板、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KR100319103B1 (ko) 반사형 액정 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