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048A - 가스센서,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스센서,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048A
KR20160011048A KR1020140092023A KR20140092023A KR20160011048A KR 20160011048 A KR20160011048 A KR 20160011048A KR 1020140092023 A KR1020140092023 A KR 1020140092023A KR 20140092023 A KR20140092023 A KR 20140092023A KR 20160011048 A KR20160011048 A KR 20160011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as sensor
image
sensor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1481B1 (ko
Inventor
송연주
하승철
정현주
고영철
정용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센코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2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481B1/ko
Priority to EP15168711.8A priority patent/EP2977755B1/en
Priority to US14/721,203 priority patent/US9989474B2/en
Publication of KR20160011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01N21/78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for analysing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1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pH valu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대상가스와 반응 시 발생하는 pH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는 pH지시약을 사용하여, 색변화를 통해 대상식품의 숙성도를 알 수 있는 가스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가스센서의 색변화를 감지하여 대상식품의 상태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부패된 대상식품이 수용된 저장실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스센서는 가스를 투과시키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를 투과한 대상가스와 반응함으로써 발생하는 pH변화에 대응하여 변색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센서,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스센서의 제조방법{GAS SENSO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GAS SENSOR}
본 발명은 대상 가스의 양을 측정하는 가스센서,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 및 가스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센서는 특정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측정 원리에 따라 반도체식 가스센서, 접촉 연소식 센서, 전기화학 센서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반도체식 가스센서는 측정 대상 물질이 산화 또는 환원되면서 저항 성분이 바뀌는 영향을 측정함으로써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고, 전기화학식 가스센서는 전해질에 용존된 가스를 산화/환원시켜 발생하는 이온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다.
불활성 가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가스가 산화/환원 경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식 가스센서나 전기화학식 가스센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 가스 뿐만 아니라 함께 존재하는 다른 가스 또한 측정되는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특정 가스를 선택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선택도(selectivity)에 한계가 있다.
또한, 인체의 후각 기관은 냄새를 유발하는 가스를 ppb 레벨까지 감지할 수 있는데 반해, 현재의 가스센서는 측정의 민감도(sensitivity)가 인체의 후각 기관보다 떨어져 ppm 레벨 이하의 가스를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대상가스와 반응 시 발생하는 pH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는 pH지시약을 사용하여, 색변화를 통해 대상식품의 숙성도를 알 수 있는 가스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가스센서의 색변화를 감지하여 대상식품의 상태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부패된 대상식품이 수용된 저장실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스센서는 가스를 투과시키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를 투과한 대상가스와 반응함으로써 발생하는 pH변화에 대응하여 변색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출부는, 검출용액이 포함된 친수성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용액은 대상가스와 반응함으로써 발생하는 pH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색되는 적어도 하나의 pH지시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가스에 아세트산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검출용액은 0.001 중량% 내지 0.1 중량 %의 브로모티몰 블루(bromothymol blue) 및 0.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클로로페놀 레드(Chlorophenol red) 중 적어도 하나의 pH지시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용액은 3 내지 10의 해리상수(pKa)를 갖는 버퍼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용액은 소듐 아세테이트(sodium acetate), 소듐 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소듐 바이카보네이트(sodium bicarbonate) 및 소듐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듐 아세테이트 버퍼용액은 0.1mM 내지 1000mM의 아세테이트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용액은 대상가스와 동일한 해리상수를 갖는 물질의 짝이온이 용해된 버퍼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용액에 용해된 짝이온의 농도에 따라 상기 가스센서의 분해능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용액은 대상가스가 휘발성 유기산인 경우 대상가스의 해리상수보다 높은 초기 pH를 갖는 버퍼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용액의 초기 pH에 따라 상기 대상가스의 측정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용액은 글리세린(Glycerin),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및 칼슘 클로라이드(Calcium chlorid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용액은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에 흡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Cellulose ester), 유리섬유(Glass fiber),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섬유(Cellulose fiber), 리트머스 종이, 한지, 여과지(Filter paper)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가스를 투과시키는 소수성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타이벡(Tyvek)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에 부착되고, 가스를 투과시키지 않도록 마련된 투명 멤브레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가스는 식품의 숙성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검출부; 및 상기 이미지검출부에서 검출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검출부 및 송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검출부 및 송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전력 수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가스를 투과시키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를 투과한 대상가스와 반응함으로써 발생하는 pH변화에 대응하여 변색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및 상기 가스센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한 상기 가스센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대상식품의 상태과 상기 대상식품의 보관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센서의 색변화, 상기 색변화에 따른 대상체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대상가스에 노출되기 전후의 가스센서의 색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색 차이로부터 대상체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한 가스센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결정된 대상식품의 상태 또는 상기 대상식품의 보관위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스센서의 제조방법은 검출용액을 친수성 멤브레인에 고정시키고;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을 가스를 투과시키는 소수성 멤브레인에 부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출용액을 친수성 멤브레인에 고정시키는 것은, pH지시약, 버퍼용액 및 흡습제를 포함하는 검출용액을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에 흡수시키고; 상기 검출용액이 흡수된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을 미리 정해진 온도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수성 멤브레인에 부착된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에 가스를 투과시키지 않는 투명 멤브레인을 열융착 접합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스센서에 의하면 대상식품, 특히 김치의 숙성과정에서 방출되는 가스들을 측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 과정에서 변색되는 가스센서를 확인함으로써 김치의 숙성도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이미지센서를 이용하여 가스센서의 색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대상식품의 상태를 결정하고 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에 설치된 가스센서의 색변화를 이미지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색변화가 발생한 가스센서가 설치된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부패하고 있는 식품의 위치를 알 수 있고,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김치의 숙성도에 따라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와 농도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2는 육류의 숙성도에 따라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와 농도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의 제1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용기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가 장착된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김치의 발효 중에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 별 특성 및 헨리 상수 값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10은 검출용액의 pH 변화에 따른 아세트산의 해리도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외부 환경의 아세트산의 농도에 따른 버퍼용액의 pH변화를 버퍼용액에 미리 용존되는 아세테이트 이온의 양 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외부 환경의 아세트산 농도에 따른 버퍼용액의 pH변화를 버퍼용액의 초기 pH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의 제조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용기의 투명한 부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용기의 투명한 부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용기의 불투명한 부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기구부가 용기의 불투명한 부분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기구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용기에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를 관찰하는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형 냉장고의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냉장고의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 및 도 32는 스탠드형 냉장고 내부의 선반으로 구획되는 저장실에 마련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가스센서와 용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스센서, 가스센서를 이용하는 냉장고 및 가스센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는 특정 가스를 측정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관리 분야, 안전 관리 분야, 의료 진단 분야, 식품 관리 분야 등에서 가스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이하 상술할 실시예에서는 가스센서가 식품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식품 관리 분야에서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김치의 숙성도에 따라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와 농도를 나타낸 도표이다.
식품의 숙성 또는 부패 시에는 다양한 종류의 가스가 발생한다.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와 양은 식품 자체의 숙성도 뿐만 아니라 첨가된 양념이나 부가 재료 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발생되는 가스 중 식품의 숙성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가스 성분으로는 휘발성 유기산, 암모니아 등이 있으며, 이들 가스 성분은 신선한 상태에서는 검출되지 않고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숙성도에 비례하여 농도가 증가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발효 식품인 김치가 숙성되면 아세트산, 알데하이드, 황화합물, 알코올과 같은 가스가 발생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김치의 숙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가스는 알데하이드, 황화합물, 알코올등이나, 이들 가스는 젓갈, 양념 등에서 발생하는 재료 의존성 가스로서 김치의 발효 또는 숙성 정도와 절대적인 연관성을 갖지는 않는다.
발효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가스는 미생물에 의한 부산물로서 생기는 휘발성 유기산이며, 도 1의 예시에서는 휘발성 유기산으로 아세트산이 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세트산은 발효 초기에는 거의 발생되지 않고 발효가 진행되면서 점진적인 증가를 보인다. 따라서, 아세트산은 김치의 숙성도를 결정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 농도는 다른 가스들에 비해 크게 낮은, 수 ppm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김치와 같은 발효 식품의 경우, 최대 수백 ppm 의 농도를 갖는 다른 가스들 속에서 1ppm 또는 그 미만의 낮은 농도를 갖는 휘발성 유기산을 감지해야 그 숙성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인간의 후각 기관의 경우, 개인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나 대부분 수 백 대 일의 선택도(selectivity) 조건에서도 다른 가스들로부터 휘발성 유기산을 구분해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상용화된 대부분의 가스센서는 수백 ppm 의 다른 가스 성분들 중에서 수 ppm 정도의 휘발성 유기산만을 선택적으로 측정하기 어렵다.
발효 식품이 아닌 일반 식품의 경우에도 발생되는 가스 성분으로부터 숙성도 또는 부패도를 파악할 수 있다. 육류의 경우, 저온 장기 보관 시 미생물에 의해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아미노산이 증가된다. 이러한 육류의 숙성은 기본적으로 부패의 점진적인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육류의 숙성 중에는 단백질 내에 번식하는 세균에 의한 아미노산 대사 과정에서 암모니아, 황화합물, 알데하이드, VOC(Volatile Organic Compound)와 같은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다만, 황화합물, 알데하이드, VOC 의 가스는 같은 종류의 가스 내에서 육류의 종류나 부위에 따라 변이가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단일 가스로 육류 숙성도 또는 부패도의 지표가 될 수 있는 가스는 암모니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보관 6일째가 되어도 암모니아는 인간이 후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정도의 매우 적은 양만 발생한다. 육류 숙성도에 따른 암모니아의 발생량이 크지 않으므로 1ppm 미만의 분해능을 갖추어야 해당 육류의 숙성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분해능(resolution)과 민감도는 센서가 얼마나 작은 농도까지 측정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인자이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식품의 발효도 또는 숙성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수백 ppm의 다른 가스 성분 속에서 ppm 레벨의 특정 가스를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높은 선택도와 민감도(sub ppm의 분해능)를 가져야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스센서는, 인간의 후각 시스템과 유사한 반응 원리를 채용하여 높은 선택도와 민감도(sub ppm의 분해능)를 구현할 수 있는바,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스센서의 구조 및 동작 원리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의 제1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100)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 마련되는 검출부(120)와, 검출부(120)를 커버하도록 검출부(120)에 부착되는 투명 멤브레인(130)을 포함한다. 대상가스는 베이스(110)를 투과하여 검출부(120)와 반응한다. 검출부(120)는 대상가스와 반응하여 발생하는 pH변화에 대응하여 변색된다. 즉, 검출부(120)는 색의 변화를 통해 대상가스의 검출 여부를 나타낸다.
베이스(110)는 기체를 투과시키는 소수성 멤브레인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타이벡(Tyvek)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소수성 기체 투과성 재료가 베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검출부(120)는 가스와 반응하여 식품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검출해야 하므로, 액체상의 물질이 검출부(120)와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재료들로 형성된 베이스(110)가 액체의 투과를 방지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110)로 이동하는 가스는 베이스(110)를 투과하여 검출부(120)에 도달하지만, 베이스(110)로 이동하는 액체는 베이스(110)를 투과하지 못하여 검출부(120)에 도달하지 못한다. 베이스(110)를 투과한 가스만 검출부(120)에 도달할 수 있도록, 투명 멤브레인(130)은 가스 비투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투명 멤브레인(130)은 가스와 액체의 투과를 모두 방지할 수 있다.
투명 멤브레인(130)은 베이스(110)에 부착된 검출부(120)를 커버하도록 검출부(120)에 부착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검출부(120)의 색변화는 투명 멤브레인(130)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육안으로 직접 투명 멤브레인(130)을 통해 검출부(120)의 색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센서(I)가 투명 멤브레인(130)을 통해 검출부(120)의 색변화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가스센서(100)가 식품을 보관하는 소정의 용기에 장착될 때, 베이스(110)는 식품과 마주하고 투명 멤브레인(130)이 용기에 부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용기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가 장착된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스센서(100)가 소정의 용기에 장착될 때, 베이스(110)가 용기에 수용된 대상식품(O)과 마주보도록 장착된다. 대상식품(O)에서 발생한 가스는 베이스(110)를 투과하여 검출부(120)에 도달한다. 베이스(110)가 용기에 수용된 대상식품(O)과 마주보도록 장착되므로, 검출부(120)의 색 변화는 베이스(110)의 후면에서 관찰해야 한다. 따라서, 검출부(120)의 색 변화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의 수지로 형성된 투명 멤브레인(130)이 검출부(120)를 커버하도록 부착된다. 사용자는 투명 멤브레인(130)을 통해 직접 가스센서(100)의 색 변화를 관찰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가 투명 멤브레인(130)을 통해 가스센서(100)의 색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가스센서(100)가 부착되는 부분이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이라면 바로 가스센서(100)의 색 변화를 관찰할 수 있지만,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에 가스센서(100)가 장착될 경우에는 가스센서(100)의 색 변화를 관찰할 수 없다. 가스센서(100)의 색 변화를 관찰할 수 있도록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에 가스센서(100)를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후술하도록 한다.
가스센서(100)가 소정의 용기에 부착되어 사용될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투명 멤브레인(130)을 생략하고, 검출부(120)를 바로 용기에 부착할 수도 있다. 즉, 용기 자체가 투명 멤브레인(130)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으므로, 투명 멤브레인(130)을 생략하는 것이다. 이 경우 가스센서(100)를 용기의 투명한 부분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부(120)는 검출용액을 포함하는 친수성 멤브레인으로 구현된다. 친수성 멤브레인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Cellulose ester), 유리섬유(Glass fiber),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섬유(Cellulose fiber), 리트머스 종이, 한지, 여과지(Filter paper)를 포함하는 친수성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대상가스와 반응하여 변색되는 검출용액은 친수성 멤브레인에 흡수되어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센서는 인간의 후각 시스템 원리를 채용하는 바, 검출용액이 흡수되어 고정된 검출부는 공기 중의 냄새 분자를 포집하는 인체 상피조직의 점액층의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식품의 발효도 또는 숙성도를 판단하는데 있어, 특히 김치의 숙성도를 판단하는데 있어 아세트산과 같은 휘발성 유기산 가스가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가스센서는 휘발성 유기산 가스를 대상 가스로 할 수 있다. 즉, 휘발성 유기산 가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휘발성 유기산 가스는 물과 같은 극성용매에만 용해되는 극성 물질로서, 검출용액은 가스센서의 외부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가스 성분 중 황화합물이나 VOC와 같은 지용성 분자를 제외한 휘발성 유기산과 같은 수용성 분자를 선택적으로 포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검출용액은 식품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황화합물과 VOC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가스센서의 대상 가스에 대한 선택도를 향상시킨다. 도 9는 김치의 발효 중에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 별 특성 및 헨리 상수 값을 나타낸 도표이다.
기체 상태의 분자는 그 종류 별로 물에 녹을 수 있는 정도가 다르다. 헨리 상수(Henry constant)가 기체 상태의 분자가 액체 상태로 변환되어 용존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 헨리 상수가 높을 수록 물에 녹는 성질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고, 헨리 상수가 작을 수록 물에 녹지 않는 성질이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김치의 숙성 시에 발생하는 가스 중 극성을 갖는 가스는 알코올, 알데하이드 및 아세트산이고, 나머지 이산화탄소(CO2), 산소(O2), 알코올, 수소(H2), 질소(N2)는 비극성을 갖는다. 비극성을 갖는 이산화탄소(CO2), 산소(O2), 알코올, 수소(H2), 질소(N2)는 검출용액에 잘 녹지 않는다.
헨리 상수가 가장 큰 가스는 휘발성 유기산인 아세트산이다. 그 헨리 상수는 5000 내지 10000에 이르고, 나머지 다른 가스들과 비교했을 때 수백배에서 수백만배 더 크다. 이는 아세트산이 다른 가스들보다 수백배에서 수백만배 더 물에 잘 녹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세트산의 헨리 상수는 이산화탄소(CO2), 산소(O2), 수소(H2), 질소(N2), 황화합물은 물론이고 알코올이나 알데하이드와 비교했을 때에도 그 값이 훨씬 크기 때문에, 검출용액을 포함하는 가스센서가 다양한 김치 발효 가스 중에서 아세트산을 매우 높은 선택도로 포집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세트산은 김치의 숙성 시에 발생하는 가스 중에서 수용액의 pH 에 미치는 영향도 가장 크다. 따라서, 가스센서는 우수한 분해능으로 아세트산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알코올, 알데하이드 및 황화합물은 수용액에 극미량 녹을 수 있더라도 수용액의 pH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매우 작으므로 이 점에 있어 가스센서의 선택도가 2차적으로 향상된다.
휘발성 유기산은 검출용액에 녹았을 때 해리되어 수소 이온의 농도 변화를 유발한다. 이하, 대표적인 휘발성 유기산인 아세트산을 대상 가스로 하여, 가스센서가 우수한 선택도와 분해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검출용액의 설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검출용액은 휘발성 유기산에 대한 반응 민감도 및 휘발성 유기산의 측정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버퍼용액과, 휘발성 유기산이 검출용액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pH변화를 색변화로 나타내는 pH지시약과, 수분증발을 억제하기 위한 흡습제를 포함한다.
아세트산이 검출용액에 용해되면 아래 [화학식 1]에 따라 아세테이트 이온(acetate ion)과 수소 이온으로 분리된다. 이를 해리(dissociation)이라고 한다.  
[화학식 1]
CH3COOH ↔ CH3COO- + H+ 
아세트산이 검출용액에서 해리되는 정도는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이온화 상수 또는 해리 상수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Ka = [CH3COO-][H+]/[CH3COOH] = 1.8 x 10-5  
즉, 아세트산의 이온화 상수(Ka)는 1.8 x 10-5 이며, 그 값이 너무 작으므로 pKa 4.7로 나타낼 수도 있다.
아세트산이 해리가 된 후에는 원래 아세트산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잃게 되고, 해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면서 pH가 감소된다.
도 10은 검출용액의 pH 변화에 따른 아세트산의 해리도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의 그래프의 y축은 비이온화 비율(Fraction of Deionization)이므로 그 값이 클수록 낮은 해리도를 나타내고 그 값이 작을수록 높은 해리도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아세트산이 용해되는 검출용액의 pH가 아세트산의 pKa와 동일한 4.7인 경우, 아세트산의 해리도가 50%이므로 아세트산의 절반은 해리되어 그 특성을 잃게 되고 절반은 해리가 되지 않아 그 특성을 유지한다.
검출용액의 pH가 4.7보다 작아지면 아세트산의 해리도가 급속히 떨어지면서 대부분의 아세트산이 해리되지 않고 그대로 존재한다.
반대로, 검출용액의 pH가 4.7보다 커지면 아세트산의 해리도가 커지면서 아세트산이 지속적으로 해리된다. 아세트산이 검출용액 내에서 지속적으로 해리되면, 검출용액 내의 수소 이온이 증가되어 pH가 낮아지게 된다. 검출용액의 pH가 낮아지면 일정 농도 이상의 아세트산이 해리되지 않고 존재하게 되는데, 휘발성 유기산인 아세트산은 해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출용액 내에 존재하게 되면 다시 증발(evaporation)하려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검출용액이 일정 농도의 아세트산 가스가 존재하는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검출용액에 용해된 아세트산이 지속적으로 해리되면서 pH가 줄어들게 되고, 검출용액 내의 해리되지 않은 상태의 아세트산이 증발되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가스와 증발되는 가스가 동적 평형 상태에 이르게 된다. 즉, 검출용액의 pH가 변하지 않는 평형 상태가 된다.
또한, 외부 환경에 아세트산 가스가 존재하지 않게 되면 검출용액 내의 아세트산이 지속적으로 증발되어 pH가 다시 상승한다. 가스센서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가역성(reversible)을 확보할 수 있고, 측정 분해능(sensing resolution)과 측정 범위(sensing range)를 조절할 수 있다.
가스센서는 그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측정 범위와 측정 분해능이 다른바, 검출용액의 버퍼용액의 조성비를 조정하여 원하는 측정 범위와 측정 분해능을 구현할 수 있다.
아래 [수학식 2]는 상기 [수학식 1]로부터 도출된 아세트산과 아세테이트 이온에 대한 Henderson-Hasselbalch 식을 나타낸다. 여기서, 아세트산과 아세테이트 이온은 짝산과 짝염기의 관계에 있다. 
[수학식 2]
pH = pKa + log[CHCOO-]/[CH3COOH] 
[수학식 2]에 따르면, 검출용액의 pH는 용존된 아세테이트 이온과 아세트산의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초기 검출용액에 아세테이트 이온이 미리 용존되어 있으면, 미리 용존된 아세테이트 이온의 양에 따라 아세트산에 대한 pH 반응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초기 버퍼용액에 용존되는 아세테이트 이온의 양과 버퍼용액의 초기 pH값을 조정하여 측정 대상 가스에 대한 반응도와 측정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외부 환경의 아세트산 농도에 따른 버퍼용액의 pH 변화를 버퍼용액에 미리 용존되는 아세테이트 이온의 양 별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는 외부 환경의 아세트산 농도에 따른 버퍼용액의 pH 변화를 버퍼용액의 초기 pH 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의 그래프는 초기 pH가 8인 버퍼용액의 아세트산 가스의 농도에 따른 pH 변화를, 초기 아세테이트 이온의 농도가 3mM, 10mM, 30mM, 100mM인 경우에 대해 각각 계산한 것이다. 초기 아세테이트 이온의 농도는 버퍼용액에 미리 용존되어 있는 아세테이트 이온의 농도를 의미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초기 아세테이트 이온이 3mM인 경우에, 아세트산 가스 농도 변화에 따른 버퍼용액의 pH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특히 1ppm 이하의 아세트산 가스에 대해서도 pH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이로부터 초기 아세테이트 이온이 희박할수록 아세트산 가스에 대한 반응도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약산인 아세트산의 농도가 아무리 높아도 버퍼용액의 pH가 3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면, 초기 아세테이트 이온의 농도가 3mM인 경우에는 10ppm 이상의 아세트산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반대로, 초기 아세테이트 이온의 농도가 100mM인 경우에는 3mM인 경우와 비교하여 1ppm 이하의 아세트산 가스에 대한 pH 변화는 크지 않다. 대신에 외부 환경의 아세트산 농도가 10ppm인 경우에도 pH가 5 정도에 머물러 10ppm 이상의 고농도 아세트산 가스 환경에서도 pH 변화를 측정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도 12의 그래프는 버퍼용액의 초기 아세테이트 이온의 농도는 30mM으로 고정하고 버퍼용액의 초기 pH를 변화시켜가면서 아세트산 가스의 농도에 따른 pH 변화를 계산한 것이다.
도 12를을 참조하면, 버퍼용액의 초기 pH가 4인 경우에는 3ppm 이상의 아세트산 가스가 존재해야 버퍼용액의 pH가 4 이하로 떨어지므로 아세트산 가스의 측정 범위가 3ppm 이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버퍼용액의 초기 pH가 5인 경우에는 1ppm 이상의 아세트산 가스가 존재해야 버퍼용액의 pH가 5 이하로 떨어지므로 측정 범위가 3ppm 이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버퍼용액의 초기 pH가 6, 7, 8인 경우에는 유사한 파형을 갖는다.
상기 도 11 및 도 12에 관해 설명한 내용에 기초하여, 버퍼용액의 조성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원하는 측정 분해능과 측정 범위에 따라 초기 아세테이트 이온의 농도와 버퍼용액의 초기 pH를 결정할 수 있는바, 가스센서의 용도나 사용 환경 등을 고려하여 버퍼용액의 조성을 결정함으로써 최적의 측정 분해능과 측정 범위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세트산을 측정하기 위해 1mM~1000mM의 농도범위의 아세테이트 이온이 용해된 소듐 아세테이트(sodium acetate)를 버퍼용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소듐 아세테이트뿐만 아니라 아세테이트 이온이 들어가는 대부분의 시약을 버퍼용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대상 가스를 아세트산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아세트산이 아닌 휘발성 유기산에 대해서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 가스가 아세트산 이외의 휘발성 유기산인 경우에도 버퍼용액의 초기 pH와 버퍼용액에 미리 용존되는 휘발성 유기산의 짝염기의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측정 범위 및 측정 분해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버퍼용액에 미리 용존되는 짝염기가 반드시 대상 가스의 짝염기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학식 2]의 Henderson-Hasselbalch 식에 따라, 대상 가스와 동일한 pKa를 갖는 물질의 짝이온을 버퍼용액에 미리 용존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대상 가스가 휘발성 유기산인 경우에는 해당 휘발성 유기산과 동일한 pKa를 갖는 물질의 짝염기를 미리 용존시킬 수 있다.
또한, 아세트산뿐만 아니라 김치의 숙성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른 휘발성 유기산들 또한 검출용액과 반응 시 검출용액의 pH를 변화시키므로, 전체적인 휘발성 유기산을 측정하기 위해 소듐 카보네이트,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소듐 시트레이트 등을 버퍼용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카보네이트,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소듐 시트레이트는 일 예일뿐, 3~10의 pKa를 갖는 버퍼용액이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버퍼용액으로 사용될 수 있다.
버퍼용액의 초기 pH는 원하는 측정 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대상 가스의 pKa보다는 큰 값을 갖도록 한다. 예를 들어, 대상 가스가 휘발성 유기산인 경우 버퍼용액의 초기 pH를 6 이상으로 하여 휘발성 유기산을 넓은 농도 범위에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가스가 검출용액에 용해되면 검출용액의 pH가 변하므로, 검출용액은 대상가스가 용해될 경우 발생하는 pH변화를 통해 대상가스의 검출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pH변화에 대응하여 색이 변하는 pH지시약을 포함한다. pH 지시약은 용액 내부의 수소 이온과의 반응 정도에 따라 그 색이 변하는 특성을 갖는다.
즉, 대상가스가 검출용액에 용해되어 검출용액의 pH가 변하고 그에 대응하여 pH지시약의 색이 변함으로써 검출용액의 색이 변하면 해당 대상가스가 검출되었고, 대상식품(O)에서 해당 대상가스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pH지시약은 각각의 해당 대상가스가 용매에 용해되었을 때의 pH범위에서 변하는 pH지시약으로 결정될 수 있다. pH지시약은 한 종류가 사용될 수도 있고, 여러 종류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세트산을 검출하는 검출부(120)의 검출용액은 pH가 7.6 에서 6.0으로 낮아지면 파란색에서 노란색으로 변색되는 브로모티몰 블루(Bromothymol blue)와 pH가 6.0에서 4.8로 낮아지면 노란색에서 빨간색으로 변색되는 메틸 레드(methyl red)를 pH지시약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아세트산을 검출하는 검출부(120)는 아세트산과 반응하면, pH가 7.6일 때에는 브로모티몰 블루가 파란색을 나타내므로 파란색을 나타내다가 pH가 6.0이 될 때에는 브로모티몰 블루가 노란색으로 바뀌므로 노란색을 나타낸다. 그리고, pH 6.0일 때에는 메틸 레드가 노란색을 나타내므로 노란색을 나타내다가, pH가 4.8이 될 때에는 메틸 레드가 빨간색으로 바뀌므로 빨간색을 나타낸다. 즉, 아세트산을 검출하는 검출부(120)의 색이 파란색에서 노란색을 거쳐 빨간색으로 변하면, 대상식품(O)에서 방출되는 아세트산의 농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고, 대상식품이 김치인 경우 김치가 점점 숙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브로모티몰 블루와 메틸레드는 전술한 것처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지시약으로 클로로페놀 레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클로로페놀 레드는 pH 6.5일 때에는 빨간색을 나타내므로 검출부는 빨간색을 나타내다가, pH가 4.5일 때에는 클로로페놀 레드가 노란색으로 바뀌므로 검출부는 노란색을 나타낸다. 클로로페놀 레드 또한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브로모티몰 블루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검출용액은 전술한 것처럼, 대상가스가 용해될 수 있는 용매와, 대상가스의 용해에 따른 pH변화를 색으로 나타내는 pH지시약을 포함하고, 검출용액의 수분증발을 억제하고, 어는 점을 낮추기 위해 흡습제를 포함한다. 흡습제로는 글리세린(Glycerin),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칼슘 클로라이드(Calcium Chloride) 및 소듐 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100)는 베이스(110)와 친수성 멤브레인과 투명 멤브레인(130)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가스센서(100)의 제조방법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100)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친수성 멤브레인에 pH지시약 등을 포함하는 전술한 검출용액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떨어뜨려 흡수시킨다. 이렇게 검출용액이 흡수된 친수성 멤브레인을 섭씨80도 정도의 온도에서 대략 30초 가량 가열하여 건조시킨다. 친수성 멤브레인을 건조시키는 과정은 투명 멤브레인(130)을 친수성 멤브레인에 부착하기 위해 필요하다. 즉, 투명 멤브레인(130)을 친수성 멤브레인에 열융착 접합하기 위해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친수성 멤브레인이 건조되면, 건조된 친수성 멤브레인을 베이스(110)에 올려 놓은 후 투명 멤브레인(130)으로 친수성 멤브레인을 덮고 열융착으로 접합시킨다. 이렇게 제조된 가스센서(100)가 식품용기나 냉장고 등에 설치되면, 수분의 존재 하에서 반응이 진행되는 pH지시약의 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검출용액에 포함된 흡습제가 주변의 수증기를 흡수한다. 흡습제가 주변의 수증기를 흡수하여 친수성 멤브레인이 수분을 포함하게 되면, 검출용액과 대상가스의 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그로 인해 변하는 pH에 반응하여 pH지시약의 색이 변하게 된다.
사용자는 가스센서(100)의 색변화 정도를 확인하여 김치가 얼마나 숙성됐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색의 변화에 따른 김치의 숙성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변화되는 가스센서(100)의 주요 색상에 대응하는 김치의 숙성상태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제공되어 사용자가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제 가스센서(100)의 색상을 상기 색변화에 따른 김치의 숙성상태에 대한 정보의 색상과 비교하여 용기를 개봉하지 않고도 김치의 숙성 상태를 알 수 있다.
가스센서(100)의 검출부(120)의 색변화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관찰하여 대상식품(O)의 숙성정도를 확인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미세한 색변화를 감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가스센서(100)의 변색정보로부터 식품의 종류나 신선도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의 제2실시예는 전술한 가스센서의 색변화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검출부(140)를 더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의 제2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100)와, 가스센서(100)의 색변화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검출부(140)와, 이미지검출부(140)에서 획득한 가스센서(100)의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부(150)와, 이미지검출부(140) 및 송신부(15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0)를 포함한다.
이미지검출부(140)는 포토다이오드, CMOS이미지 센서, CCD를 사용할 수 있고, 이미지검출부(140)는 가스센서(100)에 포함된 검출부(120)의 색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가스센서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미지검출부(140)는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이미지를 샘플링하여 색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색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된 데이터는 송신부(150)를 통해 수신부를 구비한 외부기기로 전송된다. 외부기기는 가스센서(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상식품(O)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가스센서(300)의 송신부(150)와 외부기기의 수신부 사이의 통신은 공지된 다양한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160)는 이미지검출부(140)와 송신부(15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160)는 상용화된 다양한 1회용 배터리를 이용하거나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도 1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변형예처럼, 가스센서(300)는 도 14의 배터리(160) 대신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충전 가능한 수전부(1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전부(170)는 자기유도방식, 자기공명방식, 전자기파방식 등의 다양한 무선전력전송방식에 적합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의 제2실시예는 이미지검출부(140)를 이용하여 가스센서(100)의 색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데이터를 데이터 분석기능을 구비한 외부기기에 전송함으로써 외부기기에서 대상식품(O)의 상태를 결정하도록 한다. 외부기기, 예를 들면, 냉장고 등에서 가스센서(3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상식품(O)의 상태를 표시부 등을 통해 표시해주면 사용자는 직접 가스센서(300)의 색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대상식품(O)의 상태를 알 수 있다. 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컴퓨터와 같은 모바일장치에서 가스센서(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상식품(O)의 상태를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는 모바일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식품(O)을 보관하고 있는 냉장고의 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100, 300)는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6은 용기의 투명한 부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용기의 투명한 부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식품의 용기(C)가 투명하거나, 일부 투명한 부분이 있으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100)의 경우, 대상식품(O)과 베이스(110)가 마주하도록 투명 멤브레인(130) 쪽을 그 용기(C)의 투명한 부분의 내벽에 부착시킨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100)는 패치형태를 가지므로, 소정의 접착물질을 이용하여 내벽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300)의 경우, 이미지검출부(140), 송신부(150), 배터리(160)와 같은 전자부품을 포함하므로 대상식품(O)이 수용될 내벽에 바로 부착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가스센서(100)를 바로 부착시키지 않고, 용기(C)의 투명한 부분의 내벽에 가스센서(100)가 설치될 수 있는 소정의 지지부(520)를 마련하고, 그 지지부(520)에 가스센서(100)를 설치(500)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된 지지부(520)는 가스센서(100)가 슬라이딩 형태로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형태를 가진다. 지지부(520)는 ??자 형태로 마련되어 용기(C)의 투명한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7에는 세 개의 지지부(520)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가스센서(100)는 지지부(520)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고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100)는 패치형태로 그 재질이 유연하므로,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부(520)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강성을 가진 슬라이드 부재(510)에 설치된 후 슬라이드 부재(510)가 지지부(520)에 설치되는 형식으로 용기(C)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지지부(520)의 구조나 형태는 일 예에 불과하고, 다른 다양한 구조나 형태가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8은 용기(C)의 불투명한 부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기구부가 용기(C)의 불투명한 부분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기구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용기(C)의 불투명한 부분의 내벽에 가스센서(100)를 설치하게 되면, 가스센서(100)의 색변화를 관찰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300)의 경우 이미지검출부(140)에서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하므로 용기(C)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300)는 이미지검출부(140), 송신부(150), 배터리(160)와 같은 전자부품을 포함하므로 대상식품(O)이 수용될 내벽에 바로 부착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가스센서(100, 300)가 설치될 용기(C)의 불투명한 부분에 홀(615)을 형성하고 홀(615)에 가스센서(100, 30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가스센서(100, 300)를 설치하면, 가스센서(100, 300)는 홀(615)을 통해 용기(C) 내부에 수용된 대상식품(O)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검출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가스센서(100, 300)의 색변화를 직접 관찰할 수도 있다.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가스센서(100, 300)는 소정의 기구부(600)에 설치되고, 기구부(600)는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홀이 형성된 용기(C) 벽에 힌지결합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홀이 형성된 부분의 하부에는 기구부(600)가 용기(C) 벽에 접할 경우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고정홈(621)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기구부(600)는 가스센서(100, 300)가 설치되는 홀(611)이 중앙에 마련되는 메인바디(610)를 포함하고, 메인바디(610)의 하부에는 기구부(600)가 용기(C) 벽에 접할 경우 기구부(600)가 용기(C) 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용기(C) 벽의 고정홈(621)에 결합되는 고정부(620)를 포함한다.
메인바디(610)의 홀(611)에는 외부의 불순물이 가스센서(100, 300)에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투명커버(61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구부(600)의 홀(611)을 통한 누액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형성된 오링(613)이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기구부(600)의 홀(611)에 설치될 수 있다. 가스센서(100, 300)가 홀(611)에 장착되면,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가스투과막(614)이 더 설치된 후 기구부(600)가 홀(615)이 형성된 용기(C) 벽에 힌지결합 형태로 설치된다. 도 18 내지 도 20에 나타낸 기구부(600)의 구조, 형태 및 구성은 일 예일 뿐 다른 구조, 형태 및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18 내지 도 20에 나타낸 용기는, 용기에 수용되는 대상체로부터 방출되는 대상가스를 검출할 수 있는 가스검출용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1 내지 도 24는 용기에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를 관찰하는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가스센서(100, 300)가 장착된 용기가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선반에 용기를 밀어 넣는 방식으로 설계된 냉장고에 수용되면 사용자는 육안으로 직접 가스센서(100, 300)의 색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용기(C)를 선반에 밀어 넣는 방식으로 설계된 냉장고가 아닌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저장실에 용기(C)는 내려 놓는 방식으로 설계된 냉장고의 경우에는 사용자는 직접 가스센서(100, 300)의 색변화를 관찰할 수 없다. 이 경우,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가스센서(100, 300)와 마주보는 저장실 벽에 가스센서(100, 300)의 이미지를 반사할 수 있는 반사체(R)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반사체(R)를 통해 반사되는 가스센서(100, 300)의 이미지로부터 가스센서(100, 300)의 색변화를 관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가스센서(100)가 장착된 용기(C)가 도 23에 도시된 것처럼, 저장실에 용기(C)를 내려 놓는 방식으로 설계된 냉장고에 수용되면 사용자는 육안으로 직접 가스센서(100)의 색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용기(C)를 저장실에 내려 놓는 방식으로 설계된 냉장고가 아닌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용기(C)를 선반에 밀어 넣는 방식으로 설계된 냉장고의 경우에는 사용자는 직접 가스센서(100)의 색변화를 관찰할 수 없다. 이 경우,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가스센서(100)와 마주보는 선반의 하면에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반사할 수 있는 반사체(R)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반사체(R)를 통해 반사되는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로부터 가스센서(100)의 색변화를 관찰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가스센서의 색 변화를 관찰하지 않고, 냉장고에 마련된 이미지 센서에서 가스센서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가스센서의 색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25 및 도 2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이미지 센서에서 가스센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당해 실시예에 적용되는 냉장고는 그 용도에 따라 김치를 보관하는 김치 냉장고일 수도 있고, 일반 냉장고일 수도 있다. 또한, 냉장고의 구조 또는 형태에 따라 스탠드형과 뚜껑형으로 나뉠 수도 있고, 스탠드형과 뚜껑형 모두 김치 냉장고일 수도 있고 일반 냉장고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그 종류나 용도에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어느 냉장고든지 당해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가스센서(100, 300)가 장착된 용기가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냉장고(900) 선반에 수용될 경우, 가스센서(100, 300)와 마주하는 냉장고(900) 벽에 가스센서(100, 300)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8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것과 방식으로 가스센서(100)가 장착된 용기(C)가 도 26에 도시된 것처럼, 냉장고(900) 선반에 수용될 경우, 가스센서(100)와 마주하는 선반의 하면에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8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이미지 센서(800)의 설치위치는 일 예이고, 용기(C)의 가스센서와 마주할 수 있는 위치면 냉장고(900) 어디에도 가스센서의 설치가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센서(800)의 이미지 획득 가능 범위와 용기(C)가 냉장고(900)에 수용될 경우 가능한 가스센서의 위치를 고려하여 이미지 센서(800)의 설치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27및 도 28에는 뚜껑형 냉장고(900)에 수용되는 용기의 가스센서와 냉장고(900)에 마련된 이미지 센서(8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된 것처럼,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가스센서(100, 300)가 장착된 용기(C)가 저장실(903)에 수용되는 경우, 냉장고(900) 저장실(903)의 벽면에 용기(C)의 가스센서(100, 300)와 마주보도록 이미지 센서(800)가 설치된다.
또한, 도 28에 도시된 것처럼,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것과 방식으로 가스센서(100)가 장착된 용기(C)가 저장실(903)에 수용되는 경우, 냉장고 뚜껑(901)이 닫혔을 때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냉장고 뚜껑(901)의 안쪽에 이미지 센서(800)가 설치된다.
도 29 및 도 30에는 스탠드형 냉장고(900)에 수용되는 용기(C)의 가스센서와 냉장고(900)에 마련된 이미지 센서(8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31 및 도 32 에는 스탠드형 냉장고 내부의 선반으로 구획되는 저장실에 마련되는 가스센서와 이미지 센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된 것처럼,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가스센서(100, 300)가 장착된 용기(C)가 저장실(903)에 수용되는 경우, 냉장고 문(901)이 닫혔을 때 가스센서(100, 300)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냉장고 문(901)의 안쪽에 이미지 센서(800)가 설치된다.
또한, 도 30에 도시된 것처럼,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것과 방식으로 가스센서(100)가 장착된 용기(C)가 저장실(903)에 수용되는 경우, 가스센서(100)와 마주보는 냉장고(900) 선반의 하면에 이미지 센서(800)가 설치된다.
또한 도 31에 도시된 것처럼, 선반으로 구획되는 저장공간의 벽면에 가스센서(1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800)가 도 32에 도시된 것처럼, 벽면 안쪽에 가스센서(10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대상가스와 반응하여 변색되는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가스센서(100)의 설치위치나 개수는 일 예이고, 다른 위치나 다른 개수의 가스센서(100)가 냉장고(900)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특정 선반에 저장된 대상식품이 부패하면, 가스센서(100)가 부패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검출하게 되고, 그로 인해 변색되는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이미지센서(800)에서 획득하게 된다. 이미지 센서(800)에서 획득한 이미지에 나타난 가스센서(100)의 변색 정보로부터 냉장고(900)의 제어부는 대상식품의 부패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변색된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전송한 이미지센서(800)가 마련된 위치를 부패식품이 마련된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냉장고(900)는 사용자가 식품의 부패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부를 통해 부패된 음식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냉장고(900)에 마련된 이미지 센서(800)에서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하면, 냉장고(900)는 상기 이미지에 기초하여 가스센서(100)의 색 변화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식품의 상태를 결정한다. 이하 가스센서(100)의 색변화를 감지하여 대상식품(O), 특히 김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9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에 도시된 것처럼, 냉장고(900)는 용기(C)에 마련된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800)와, 이미지 센서(800)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대상식품(O)의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부(930)와, 제어부(930)에서 결정한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910)와, 제어부(930)에서 결정한 대상식품(O)의 상태에 따라 저장실(903)로 냉기를 공급하여 저장실(903)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각부(950)와, 사용자가 냉장고(900)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입력부(920)와, 제어부(930)에서 결정한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모바일장치(1000)로 전송하는 통신부(940)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800)는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된 것처럼, 냉장고(900)의 저장실(903)이나 선반 또는 도어에 설치되어 용기(C)에 마련된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미지 센서(800)는 포토다이오드, CMOS이미지 센서, CCD를 사용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800)는 가스센서(100)에 포함된 검출부(120)의 색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미지 센서(800)의 종류는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광학장치는 모두 본 실시예의 이미지 센서(800)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스센서(100)가 설치된 다수의 용기(C)가 저장실(903)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이미지 센서(800) 또한 용기(C)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마다 설치되어 다수의 이미지 센서(8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800)는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이미지를 샘플링하여 색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색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800)는 냉장고(900) 내에 마련되므로 저온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800)에 성에가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명확한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800)는 성에를 녹일 수 있는 소정의 가열부를 포함하거나, 성에가 끼는 것을 방지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800)에서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제어부(930)로 전송하면, 제어부(930)는 대상가스에 노출되기 전의 이미지와 대상가스에 노출된 후의 이미지 사이의 색 차이를 산출한다. 즉, 제어부(930)는 가스센서(100)를 구성하는 검출부(120)의 대상가스 노출 전 색과 대상가스 노출 후 색의 차이를 산출하여 검출부(120)의 색변화 유무와 색변화 정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검출부(120)의 초기 색과 대상가스에 노출된 후 이미지 센서(80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들에 나타난 검출부(120)의 색의 차이를 산출한다. 이 경우, 대상가스에 노출되기 전을 기준으로 얼마나 색이 변했는지를 알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센서(800)로부터 현재 전송된 이미지에 나타난 검출부(120)의 색과 시간적으로 바로 이전에 전송된 이미지에 나타난 검출부(120)의 색의 차이를 계속 산출한다. 이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색이 얼마나 변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어느 방식으로 색의 차이를 산출하더라도 소정의 연산을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930)는 검출부(120)의 색 차이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대상식품(O)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930)는 가스센서(100)를 구성하는 검출부(120)의 색변화에 대한 데이터와, 검출부(120)의 색변화에 대응하는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미리 저장한다. 제어부(930)는 산출된 검출부(120)의 색 차이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대상식품(O)의 상태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육안으로 직접 가스센서(100)의 색변화를 관찰하는 것보다, 이미지 센서(800)를 이용하여 가스센서(100)의 색변화를 감지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이용하면 식품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930)는 대상식품(O)의 상태가 결정되면, 표시부(910)를 통해 결정된 대상식품(O)의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대상식품(O)의 종류가 김치이고, 숙성되지 않은 김치인 경우, 제어부(930)는 표시부(910)에 생김치라고 김치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930)는 사용자가 이러한 정보의 표시를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그에 대응하여 표시부(910)에 식품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부(920)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용기(C)를 선택하면, 제어부(930)는 선택된 용기(C)의 가스센서(100)를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800)에서 전송된 이미지로부터 산출한 대상식품(O)의 상태를 표시부(910)에 표시한다. 선택된 용기(C)에 저장된 대상식품(O)이 김치이고 아직 숙성되지 않은 김치인 경우, 전술한 것처럼, 제어부(930)는 표시부(910)에 해당 용기(C)에는 김치가 저장되어 있고 김치의 상태는 생김치라고 표시한다. 입력부(920)는 사용자가 용기(C)를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고, 표시부(910) 또한 대상식품(O)의 상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910)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하고, 대상식품(O)의 원하는 상태에 대한 명령을 입력부(92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930)는 입력부(9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대상식품(O)의 상태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고, 그에 따라 저장실(903)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부(920)를 통해 김치의 상태를 현 상태로 유지하길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930)는 김치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김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저장실(903)의 온도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냉각부(950)에 전송하여 저장실(903)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는 사용자가 입력부(920)를 통해 김치의 숙성을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930)는 김치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김치를 현 상태보다 더 숙성시킬 수 있는 저장실(903)의 온도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냉각부(950)에 전송하여 저장실(903)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는 제어부(930)는 결정된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응하여 대상식품(O)이 최적의 숙성상태에 도달하거나 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실(903)의 온도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냉각부(950)에 전송하여 저장실(903)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식품(O)의 보관상태에 관한 정보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경우, 그 보관상태에 도달하고 그 보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어부(930)는 가스센서(100)의 색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대상식품(O)의 상태에 따라 저장실(903)의 온도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900)는 외부의 모바일장치(10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940)를 포함하여, 이미지 센서(800)에서 획득한 가스센서(100)의 이미지 데이터를 모바일장치(10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로부터 획득한 대상식품(O)과 관련된 정보를 모바일장치(10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모바일장치(1000)는 냉장고(9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같은 장치가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장치(1000)는 냉장고(9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냉장고(900)의 제어부(930)처럼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거나, 냉장고(900)의 제어부(930)에서 이미 산출된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장치(1000)는 가스센서(100)의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로부터 대상식품(O)의 상태를 결정하고,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해주며, 더 나아가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 받아 냉장고(900)로 전송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다. 모바일장치(1000)와 냉장고(900) 사이의 통신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이나 상용화된 통신망을 이용하는 원거리 무선통신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접 냉장고(900)의 표시부(910)를 확인하지 않고, 모바일장치(1000)를 통해 집안과 집밖에서 모두 냉장고(900)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9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에 도시된 것처럼, 냉장고(900)는 용기(C)에 마련된 가스센서(300)로부터 전송된 가스센서(300)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대상식품(O)의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부(930)와, 제어부(930)에서 결정한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910)와, 제어부(930)에서 결정한 대상식품(O)의 상태에 따라 저장실(903)로 냉기를 공급하여 저장실(903)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각부(950)와, 사용자가 냉장고(900)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입력부(920)와, 제어부(930)에서 결정한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모바일장치(1000)로 전송하는 통신부(9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C)에 장착되는 가스센서(300)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300)의 제2실시예로, 가스센서(300)는 가스센서(300)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검출부(140)를 포함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300)의 제2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100)와, 가스센서(100)의 색변화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검출부(140)와, 이미지검출부(140)에서 획득한 가스센서(100)의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부(150)와, 이미지검출부(140) 및 송신부(15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0)를 포함한다.
이미지검출부(140)는 포토다이오드, CMOS이미지 센서, CCD를 사용할 수 있고, 이미지검출부(140)는 가스센서(100)에 포함된 검출부(120)의 색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미지검출부(140)는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이미지를 샘플링하여 색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색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된 데이터는 송신부(150)를 통해 통신부(940)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900)로 전송된다. 가스센서(300)의 송신부(150)와 냉장고(900)의 통신부(940) 사이의 통신은 공지된 다양한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900)의 통신부(940)에서 가스센서(300)의 송신부(150)로부터 전송된 가스센서(300)의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면, 냉장고(900)의 제어부(930)는 대상가스에 노출되기 전의 이미지와 대상가스에 노출된 후의 이미지 사이의 색 차이를 산출한다. 즉, 제어부(930)는 가스센서(300)를 구성하는 검출부(120)의 대상가스 노출 전 색과 대상가스 노출 후 색의 차이를 산출하여 검출부(120)의 색변화 유무와 색변화 정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검출부(120)의 초기 색과 대상가스에 노출된 후 가스센서(30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들에 나타난 검출부(120)의 색의 차이를 산출한다. 이 경우, 대상가스에 노출되기 전을 기준으로 얼마나 색이 변했는지를 알 수 있다. 또는, 가스센서(300)로부터 현재 전송된 이미지에 나타난 검출부(120)의 색과 시간적으로 바로 이전에 전송된 이미지에 나타난 검출부(120)의 색의 차이를 계속 산출한다. 이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색이 얼마나 변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어느 방식으로 색의 차이를 산출하더라도 소정의 연산을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930)는 가스센서(300)를 구성하는 검출부(120)의 색변화에 대한 데이터와, 검출부(120)의 색변화에 대응하는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미리 저장한다. 제어부(930)는 산출된 검출부(120)의 색 차이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대상식품(O)의 상태를 결정한다. 제어부(930)는 대상식품(O)의 상태가 결정되면, 표시부(910)를 통해 결정된 대상식품(O)의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대상식품(O)의 종류가 김치이고, 숙성되지 않은 김치인 경우, 제어부(930)는 표시부(910)에 생김치라고 김치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930)는 사용자가 이러한 정보의 표시를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그에 대응하여 표시부(910)에 식품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부(920)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용기(C)를 선택하면, 제어부(930)는 선택된 용기(C)의 가스센서(300)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검출부(140)에서 전송된 이미지로부터 산출한 대상식품(O)의 상태를 표시부(910)에 표시한다. 선택된 용기(C)에 저장된 대상식품(O)이 김치이고 아직 숙성되지 않은 김치인 경우, 전술한 것처럼, 제어부(930)는 표시부(910)에 해당 용기(C)에는 김치가 저장되어 있고 김치의 상태는 생김치라고 표시한다. 입력부(920)는 사용자가 용기(C)를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고, 표시부(910) 또한 대상식품(O)의 상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910)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하고, 대상식품(O)의 원하는 상태에 대한 명령을 입력부(92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930)는 입력부(9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대상식품(O)의 상태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고, 그에 따라 저장실(903)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부(920)를 통해 김치의 상태를 현 상태로 유지하길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930)는 김치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김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저장실(903)의 온도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냉각부(950)에 전송하여 저장실(903)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는 사용자가 입력부(920)를 통해 김치의 숙성을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930)는 김치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김치를 현 상태보다 더 숙성시킬 수 있는 저장실(903)의 온도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냉각부(950)에 전송하여 저장실(903)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는 제어부(930)는 결정된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응하여 대상식품(O)이 최적의 숙성상태에 도달하거나 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실(903)의 온도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냉각부(950)에 전송하여 저장실(903)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식품(O)의 보관상태에 관한 정보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경우, 그 보관상태에 도달하고 그 보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어부(930)는 가스센서(300)의 색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대상식품(O)의 상태에 따라 저장실(903)의 온도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900) 또한 가스센서(300)로부터 전송된 가스센서(300)의 이미지 데이터를 바로 모바일장치(1000)로 전송하거나, 가스센서(300)의 이미지로부터 획득한 대상식품(O)과 관련된 정보를 모바일장치(10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모바일장치(1000)는 냉장고(9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냉장고(900)의 제어부(930)처럼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거나, 냉장고(900)의 제어부(930)에서 이미 산출된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9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900)의 가스센서와 용기(C)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에 도시된 것처럼, 냉장고(900)는 저장실(903)에 수용되는 용기(C)와 결합하여 용기(C)에 보관 중인 대상식품(O)에서 발생하는 대상가스를 검출할 수 있는 가스센서(100)와,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800)와, 이미지 센서(800)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대상식품(O)의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부(930)와, 제어부(930)에서 결정한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910)와, 제어부(930)에서 결정한 대상식품(O)의 상태에 따라 저장실(903)로 냉기를 공급하여 저장실(903)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각부(950)와, 사용자가 냉장고(900)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입력부(920)와, 제어부(930)에서 결정한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모바일장치(1000)로 전송하는 통신부(9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센서(100)가 용기(C)에 장착되지 않고, 용기(C)가 수용되는 냉장고(900)의 저장실(903)에 설치된다. 가스센서(100)는 밀폐된 환경에서 정확한 검출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도 36에 도시된 것처럼, 가스센서(100)는 용기(C)에 결합하기 위해 마련된 소정의 기구부와 함께 저장실(903)에 설치된다. 그리고 용기(C)는 가스센서(100)가 마련된 기구부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36에 도시된 기구부는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기구부(60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기구부는 가스센서(100)가 설치되는 메인바디(630)를 포함하고, 메인바디의 하부와 상부에는 기구부가 용기(C) 벽에 접할 경우 기구부가 용기(C) 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용기(C) 벽의 고정홈(621)에 결합되는 고정부(640)를 포함한다. 고정부(640)는 기구부와 용기(C)의 결합을 위한 것이므로, 기구부를 용기(C)에 결합시킬 수 있다면, 도 36에 도시된 형태, 구조, 위치 및 개수와 다른 형태, 구조, 위치, 개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메인바디(630)에는 가스센서(100)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추가적인 가스투과막과 함께 가스센서(100)가 설치될 수 있다.
용기(C)에는 상기 기구부의 고정부(640)가 결합되는 고정홈(621)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홈(621)은 고정부의 형태, 구조,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는 형태, 구조, 위치 및 개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기구부와 결합 시 가스센서(100)가 용기(C)에 수용된 대상식품(O)으로부터 발생하는 대상가스를 검출할 수 있도록 용기(C) 벽에 홀(615)이 형성된다. 용기(C) 내부에 수용된 대상식품(O)이 홀을 통해 용기(C)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홀에는 액체나 고체는 투과시키지 않고 가스만 투과시키는 가스투과막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C)를 저장실(903)에 위치시킬 때, 용기(C)의 홀(615)과 저장실(903)의 가스센서(1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용기(C)를 전술한 기구부에 결합시킨다.
도 36에 도시한 결합구조는 일 예일 뿐, 가스센서(100)가 용기(C)에서 발생하는 대상가스를 검출할 수 있도록 고안된 가스센서(100)와 용기(C)의 결합구조는 본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가스센서(100)와 용기(C)가 결합하여 가스센서(100)에서 대상가스를 감지하고 색이 변하면 이미지 센서(800)는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미지 센서(800)는 포토다이오드, CMOS이미지 센서, CCD를 사용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800)는 가스센서(100)에 포함된 검출부(120)의 색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미지 센서(800)는 저장실(903)에 마련된 가스센서(100)의 개수만큼 마련되어 각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미지 센서(800)는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이미지를 샘플링하여 색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색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800)에서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제어부(930)로 전송하면, 제어부(930)는 대상가스에 노출되기 전의 이미지와 대상가스에 노출된 후의 이미지 사이의 색 차이를 산출한다. 즉, 제어부(930)는 가스센서(100)를 구성하는 검출부(120)의 대상가스 노출 전 색과 대상가스 노출 후 색의 차이를 산출하여 검출부(120)의 색변화 유무와 색변화 정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검출부(120)의 초기 색과 대상가스에 노출된 후 이미지 센서(80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들에 나타난 검출부(120)의 색의 차이를 산출한다. 이 경우, 대상가스에 노출되기 전을 기준으로 얼마나 색이 변했는지를 알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센서(800)로부터 현재 전송된 이미지에 나타난 검출부(120)의 색과 시간적으로 바로 이전에 전송된 이미지에 나타난 검출부(120)의 색의 차이를 계속 산출한다. 이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색이 얼마나 변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어느 방식으로 색의 차이를 산출하더라도 소정의 연산을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930)는 가스센서(100)를 구성하는 검출부(120)의 색변화에 대한 데이터와, 검출부(120)의 색변화에 대응하는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미리 저장한다. 제어부(930)는 산출된 검출부(120)의 색 차이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대상식품(O)의 상태를 결정한다.
제어부(930)는 대상식품(O)의 상태가 결정되면, 표시부(910)를 통해 결정된 대상식품(O)의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대상식품(O)의 종류가 김치이고, 숙성되지 않은 김치인 경우, 제어부(930)는 표시부(910)에 생김치라고 김치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930)는 사용자가 이러한 정보의 표시를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그에 대응하여 표시부(910)에 식품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부(920)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용기(C)를 선택하면, 제어부(930)는 선택된 용기(C)의 대상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800)에서 전송된 이미지로부터 산출한 대상식품(O)의 상태를 표시부(910)에 표시한다. 선택된 용기(C)에 저장된 대상식품(O)이 김치이고 아직 숙성되지 않은 김치인 경우, 전술한 것처럼, 제어부(930)는 표시부(910)에 해당 용기(C)에는 김치가 저장되어 있고 김치의 상태는 생김치라고 표시한다. 입력부(920)는 사용자가 용기(C)를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고, 표시부(910) 또한 대상식품(O)의 상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910)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하고, 대상식품(O)의 원하는 상태에 대한 명령을 입력부(92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930)는 입력부(9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대상식품(O)의 상태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고, 그에 따라 저장실(903)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부(920)를 통해 김치의 상태를 현 상태로 유지하길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930)는 김치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김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저장실(903)의 온도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냉각부(950)에 전송하여 저장실(903)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는 사용자가 입력부(920)를 통해 김치의 숙성을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930)는 김치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김치를 현 상태보다 더 숙성시킬 수 있는 저장실(903)의 온도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냉각부(950)에 전송하여 저장실(903)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는 제어부(930)는 결정된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응하여 대상식품(O)이 최적의 숙성상태에 도달하거나 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실(903)의 온도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냉각부(950)에 전송하여 저장실(903)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식품(O)의 보관상태에 관한 정보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경우, 그 보관상태에 도달하고 그 보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어부(930)는 가스센서(100)의 색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대상식품(O)의 상태에 따라 저장실(903)의 온도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것처럼, 가스센서가 용기와 결합하지 않은 경우, 가스센서는 가스센서가 설치된 영역에 저장되는 대상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대상가스를 검출할 수 있다. 특정 선반에 저장된 대상식품이 부패하면, 가스센서가 부패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검출하게 되고, 그로 인해 변색되는 가스센서의 이미지를 이미지센서에서 획득하게 된다.
이미지 센서(800)에서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제어부(930)로 전송하면, 제어부(930)는 대상가스에 노출되기 전의 이미지와 대상가스에 노출된 후의 이미지 사이의 색 차이를 산출한다. 즉, 제어부(930)는 가스센서(100)를 구성하는 검출부(120)의 대상가스 노출 전 색과 대상가스 노출 후 색의 차이를 산출하여 검출부(120)의 색변화 유무와 색변화 정도를 산출한다. 제어부(930)는 가스센서(100)를 구성하는 검출부(120)의 색변화에 대한 데이터와, 검출부(120)의 색변화에 대응하는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미리 저장한다. 제어부(930)는 산출된 검출부(120)의 색 차이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대상식품(O)의 상태를 결정한다. 제어부(930)는 대상식품(O)의 상태가 부패상태로 결정되면, 부패식품 결정의 근거가 된 이미지를 전송한 이미지센서가 마련된 위치를 부패식품이 마련된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각각의 이미지센서가 설치된 위치가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부패식품이 저장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가 식품의 부패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부를 통해 부패된 음식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900)는 외부의 모바일장치(10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940)를 포함하여, 이미지 센서(800)에서 획득한 가스센서(100)의 이미지 데이터를 모바일장치(10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가스센서(100)의 이미지로부터 획득한 대상식품(O)과 관련된 정보를 모바일장치(10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모바일장치(1000)는 냉장고(9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거나, 냉장고(900)의 제어부(930)에서 이미 산출된 대상식품(O)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모바일장치(1000)는 가스센서(100)의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로부터 대상식품(O)의 상태를 결정하고,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해주며, 더 나아가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 받아 냉장고(900)로 전송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다. 모바일장치(1000)와 냉장고(900) 사이의 통신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이나 상용화된 통신망을 이용하는 원거리 무선통신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접 냉장고(900)의 표시부(910)를 확인하지 않고, 모바일장치(1000)를 통해 집안과 집밖에서 모두 냉장고(900)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100: 가스센서
110: 베이스
120: 검출부

Claims (29)

  1. 대상가스를 검출하는 가스센서에 있어서,
    가스를 투과시키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를 투과한 대상가스와 반응함으로써 발생하는 pH변화에 대응하여 변색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검출용액이 포함된 친수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가스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액은 대상가스와 반응함으로써 발생하는 pH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색되는 적어도 하나의 pH지시약을 포함하는 가스센서.
  4. 제2항에 있어서,
    대상가스에 아세트산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검출용액은 0.001 중량% 내지 0.1 중량 %의 브로모티몰 블루(bromothymol blue) 및 0.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클로로페놀 레드(Chlorophenol red) 중 적어도 하나의 pH지시약을 포함하는 가스센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액은 3 내지 10의 해리상수(pKa)를 갖는 버퍼용액을 포함하는 가스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용액은 소듐 아세테이트(sodium acetate), 소듐 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소듐 바이카보네이트(sodium bicarbonate) 및 소듐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 아세테이트 버퍼용액은 0.1mM 내지 1000mM의 아세테이트 이온을 포함하는 가스센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액은 대상가스와 동일한 해리상수를 갖는 물질의 짝이온이 용해된 버퍼용액을 포함하는 가스센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용액에 용해된 짝이온의 농도에 따라 상기 가스센서의 분해능이 달라지는 가스센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액은 대상가스가 휘발성 유기산인 경우 대상가스의 해리상수보다 높은 초기 pH를 갖는 버퍼용액을 포함하는 가스센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용액의 초기 pH에 따라 상기 대상가스의 측정범위가 달라지는 가스센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액은 글리세린(Glycerin),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및 칼슘 클로라이드(Calcium chlorid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액은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에 흡수되어 고정되는 가스센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Cellulose ester), 유리섬유(Glass fiber),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섬유(Cellulose fiber), 리트머스 종이, 한지, 여과지(Filter paper)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가스를 투과시키는 소수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가스센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타이벡(Tyvek)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 부착되고, 가스를 투과시키지 않도록 마련된 투명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는 가스센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가스는 식품의 숙성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검출부; 및
    상기 이미지검출부에서 검출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가스센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검출부 및 송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가스센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검출부 및 송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전력 수전부;를 더 포함하는 가스센서.
  22. 가스를 투과시키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를 투과한 대상가스와 반응함으로써 발생하는 pH변화에 대응하여 변색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및
    상기 가스센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한 상기 가스센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대상식품의 상태과 상기 대상식품의 보관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가스센서.
  24. 제2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센서의 색변화, 상기 색변화에 따른 대상체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냉장고.
  25. 제2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대상가스에 노출되기 전후의 가스센서의 색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색 차이로부터 대상체의 상태를 결정하는 냉장고.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한 가스센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결정된 대상식품의 상태 또는 상기 대상식품의 보관위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27. 검출용액을 친수성 멤브레인에 고정시키고;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을 가스를 투과시키는 소수성 멤브레인에 부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액을 친수성 멤브레인에 고정시키는 것은,
    pH지시약, 버퍼용액 및 흡습제를 포함하는 검출용액을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에 흡수시키고;
    상기 검출용액이 흡수된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을 미리 정해진 온도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멤브레인에 부착된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에 가스를 투과시키지 않는 투명 멤브레인을 열융착 접합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KR1020140092023A 2014-07-21 2014-07-21 가스센서,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KR10225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023A KR102251481B1 (ko) 2014-07-21 2014-07-21 가스센서,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EP15168711.8A EP2977755B1 (en) 2014-07-21 2015-05-21 Gas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gas sensor
US14/721,203 US9989474B2 (en) 2014-07-21 2015-05-26 Gas senso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gas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023A KR102251481B1 (ko) 2014-07-21 2014-07-21 가스센서,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048A true KR20160011048A (ko) 2016-01-29
KR102251481B1 KR102251481B1 (ko) 2021-05-14

Family

ID=5371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023A KR102251481B1 (ko) 2014-07-21 2014-07-21 가스센서,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89474B2 (ko)
EP (1) EP2977755B1 (ko)
KR (1) KR1022514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5651B2 (en) 2016-05-10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of a driver
KR20200034704A (ko) * 2020-03-23 2020-03-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선도 지시계
KR102309931B1 (ko) * 2020-10-16 2021-10-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육류 부패 감지 스티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0042B2 (ja) * 2015-08-06 2017-09-20 Jx金属株式会社 キャリア付銅箔、積層体、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US10281200B2 (en) 2016-03-14 2019-05-07 Amazon Technologies, Inc. Image-based spoilage sensing refrigerator
US10373472B2 (en) * 2016-03-14 2019-08-06 Amazon Technologies, Inc. Scent-based spoilage sensing refrigerator
US10759687B1 (en) * 2016-10-11 2020-09-01 Chad Lavender Tank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US10324439B2 (en) * 2017-01-07 2019-06-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ood freshness management
US20180224150A1 (en) * 2017-02-08 2018-08-09 Walmart Apollo, Llc System for monitoring an open container
US10845265B2 (en) 2017-11-13 2020-11-24 Thanner A/S Gas indicator
JP7033034B2 (ja) * 2018-08-23 2022-03-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腐食環境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腐食環境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TWI718504B (zh) * 2019-03-22 2021-02-11 台灣奈米碳素股份有限公司 氣敏式紋身貼紙
TWI705412B (zh) * 2019-03-22 2020-09-21 台灣奈米碳素股份有限公司 基於氣體評價食材風味的系統及方法
KR20200113872A (ko) * 2019-03-26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872487B1 (en) 2020-02-25 2022-10-05 Carrier Corporation Volatile alkene sens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CN112002105B (zh) * 2020-08-17 2022-06-10 江苏省电力试验研究院有限公司 基于分子探针的电化学储能电站安全预警及故障定位系统
US11932080B2 (en) 2020-08-20 2024-03-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and recircul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881093B2 (en) 2020-08-20 2024-01-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moking in vehicles
US11636870B2 (en) 2020-08-20 2023-04-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moking cess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760170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Olfaction sensor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28210B2 (en) 2020-08-20 2023-11-2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using olfaction
US11760169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rticul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lfaction sensors
US11813926B2 (en) 2020-08-20 2023-11-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Binding agent and olfaction sensor
CN112649161A (zh) * 2020-11-27 2021-04-13 宝武清洁能源有限公司 气敏色变传感器及基于气敏色变传感的加氢站安全盾系统
US20240044861A1 (en) * 2020-12-22 2024-02-08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Food freshness detecting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8748B1 (en) * 2001-01-31 2002-08-06 Grouptek,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onitoring an analyte
US20030143112A1 (en) * 2000-03-21 2003-07-31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Colorimetric artificial nose having an array of dyes and method for artificial olfaction
WO2005047788A1 (en) * 2003-11-17 2005-05-26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S. Cooler comprising gas sensor
JP2005538740A (ja) * 2002-09-16 2005-12-22 アグサート・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ルエルシー 食品媒介病原体及び腐敗検出装置及び方法
US20060057022A1 (en) * 2004-09-13 2006-03-16 Williams John R Food quality indicator
WO2008079024A1 (en) * 2006-12-22 2008-07-03 The Horticulture And Food Research Institute Of New Zealand Ltd. Sensor device
US20090010804A1 (en) * 2006-10-27 2009-01-08 Withrow Iii Edward W Portable apparatus for improved sample analysis
US20120107191A1 (en) * 2010-10-12 2012-05-03 Strahle James R Food quality indic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7015A (en) * 1960-01-29 1962-12-04 Ray F Lawdermilt Spoilage indicator for food containers
US4863867A (en) * 1988-05-18 1989-09-0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Gas permeable bio-test pack
KR970007229B1 (ko) 1994-05-26 1997-05-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도어의 억지열림 방지방법
SE504069C2 (sv) * 1995-02-03 1996-10-28 Icor Ab Kolorimetrisk anordning för att indikera koldioxid
ATE396749T1 (de) * 2003-03-31 2008-06-15 Fujimori Kogyo Co Verpackungsmaterial mit indikator für wasserstoffperoxid-plasmasterilisatio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3112A1 (en) * 2000-03-21 2003-07-31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Colorimetric artificial nose having an array of dyes and method for artificial olfaction
US6428748B1 (en) * 2001-01-31 2002-08-06 Grouptek,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onitoring an analyte
JP2005538740A (ja) * 2002-09-16 2005-12-22 アグサート・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ルエルシー 食品媒介病原体及び腐敗検出装置及び方法
WO2005047788A1 (en) * 2003-11-17 2005-05-26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S. Cooler comprising gas sensor
US20060057022A1 (en) * 2004-09-13 2006-03-16 Williams John R Food quality indicator
US20090010804A1 (en) * 2006-10-27 2009-01-08 Withrow Iii Edward W Portable apparatus for improved sample analysis
WO2008079024A1 (en) * 2006-12-22 2008-07-03 The Horticulture And Food Research Institute Of New Zealand Ltd. Sensor device
US20120107191A1 (en) * 2010-10-12 2012-05-03 Strahle James R Food quality indic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5651B2 (en) 2016-05-10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of a driver
KR20200034704A (ko) * 2020-03-23 2020-03-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선도 지시계
KR102309931B1 (ko) * 2020-10-16 2021-10-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육류 부패 감지 스티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18338A1 (en) 2016-01-21
EP2977755A1 (en) 2016-01-27
KR102251481B1 (ko) 2021-05-14
US9989474B2 (en) 2018-06-05
EP2977755B1 (en)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481B1 (ko) 가스센서,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KR102257497B1 (ko) 가스 센서,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8946B1 (ko) 가스 센서,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6967B1 (ko) 가스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JP3225484B2 (ja) 微生物検査方法、微生物数検査方法、微生物検査具、微生物検査装置および微生物繁殖時間測定装置
US642874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onitoring an analyte
JP2628406B2 (ja) 生物学的活性の検出方法
JPH0933537A (ja) 品質管理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液体
WO2010107941A3 (en) Membrane system with sufficient buffering capacity
AU2007338949A2 (en) Sensor device
JP2018527591A (ja) 単回使用pHセンサ保存液
US20120148452A1 (en) Non invasive gas analysis
Mills Optical sensors for carbon dioxide and their applications
WO2020087043A1 (en) Apparatus for microbial activity detec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and process thereof
US6066249A (en) Method for calibrating an instrument for measuring electrolytes and metabolites by analysis of blood gases
US20210310037A1 (en) Apparatus for microbial activity detec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and process thereof
Pérez de Vargas Sansalvador et al. Carbon dioxide sensors for food packaging
Cocola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 gas optical sensor for the meat industry
JP2020094782A (ja) 食品の鮮度判定装置及び食品の鮮度判定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2002085090A (ja) 真菌検査方法および真菌用検査具
IE20040542U1 (en) A method and system for indicating edible quality of foods and equipment for use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