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909A - 양구 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아토피, 여드름,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비누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양구 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아토피, 여드름,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비누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909A
KR20160010909A KR1020140091454A KR20140091454A KR20160010909A KR 20160010909 A KR20160010909 A KR 20160010909A KR 1020140091454 A KR1020140091454 A KR 1020140091454A KR 20140091454 A KR20140091454 A KR 20140091454A KR 20160010909 A KR20160010909 A KR 20160010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hite
soap
miner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유용
김수연
Original Assignee
원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유용 filed Critical 원유용
Priority to KR102014009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0909A/ko
Publication of KR2016001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의 한약재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누로서, 세수, 세안 또는 입욕시 사용함으로써 대상 피부에 탁월한 보습력(保濕力) 또는 보습 효과(保濕 效果)를 부여하여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피부에 유효한 피부 질환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피부 개선용 한방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피부 개선용 한방 비누는, 한약재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한약재는 구기자, 뽕잎, 약쑥, 당귀, 홍삼, 계피, 황정, 천궁, 파고지 및 토사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구 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아토피, 여드름,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비누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Natural beauty soap for the improvement and treatment of the Eczema.acne, psoriasis, seborrheic skin using White Ionic Minerals, SY2220, and White Ionic Minerals distilled water, SY2216, extracted from white clay of Yang Gu Bangsan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that compositions.}
본 발명은 양구 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아토피, 여드름,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비누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구방산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제조과정에서 생산 해 낸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와 천연의 한약재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누로서, 세수, 세안 또는 입욕시 사용함으로써 대상 피부에 탁월한 보습력(保濕力) 또는 보습 효과(保濕 效果)를 부여하여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에 유효한 피부 질환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세수 및 세안이나 입욕시 사용되는 비누는 기본적인 세정 기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아토피 피부, 여드름, 건선(乾癬), 지루성 피부염, 노화로 인한 인설(鱗屑) 등을 비롯한 각종 피부 트러블 방지 등과 같은 특수 기능을 갖는 것은 물론, 사용시 자극을 줄이고, 피부 탄력을 유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원료가 첨가되어 제조된다.
특히, 환경오염의 폐해가 실생활에서 가장 극명하게 나타나는 것이 피부질환의 발생빈도 증가이다. 피부질환이란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머리털과 손톱, 발톱을 포함하는 모든 피부에 나타나는 이상 소견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흔하고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바로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전 인구의 0.5%~1%, 어린이의 경우 5%~10%가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어린이 중 29.5%가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1995년 조사시 16.3%에 비하여 거의 2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유치원생이 43.2%로 어릴수록 발병상태가 높았고, 도시지역은 33%, 농촌 지역은 21.5%로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새 집으로 이사한 어린이 중 33.8%가 아토피성 피부염에 걸려있었다.
아토피(atopy)성 피부염은 아토피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피부질환으로, 유아기때 나타나는 '태열'과 혼동하여 사용되기도 하며, 흔히 피부건조증 및 가려움증을 주증상으로 보이는 만성 피부질환이다. 면역학적 특성을 보여 다른 알레르기 질환인 두드러기, 금속 알레르기, 천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유전적 소양에 영향을 받아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그 자녀가 아토피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대체로 생후 2~6개월이며, 특히 1세 미만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85%가 만 다섯살 안에 나타난다. 보통 어릴때 잠시 앓는 병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대부분 태열과 혼동하였기 때문으로 보이며,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50%만이 두 돌 이내에 증상이 완화되거나 완치되고 25%는 청소년기까지, 나머지 25%는 성인까지 이어진다.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인 요소가 많고 면역계 결핍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 건조한 피부, 정상인에 비해 쉽게 피부가려움증을 느끼는 특성, 세균/바이러스/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정서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서로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생후 1년 이내의 유아기에 생긴 아토피는 대개 음식물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아 유아들에게 식이요법 등을 통하여 아토피의 원인 또는 증상악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음식들의 섭취를 제한하기도 하며, 생후 2년 이후에는 음식외에 다른 물질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소아기 때에는 계절과 관계되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겨울에 많이 발생하고, 유년기에는 커피, 콜라 등의 자극적인 음식, 환경적 요인, 정신적인 요인, 내분비적 요인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치료방법은 양방과 한방이 다소 차이가 있다.
서양의학에서는 대개 약물요법에 의존하는데 소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을 하는 스테로이드제, 히스타민의 분비를 억제하여 가려움증이나 두드러기 등을 억제하는 항 히스타민제, 2차 감염을 억제하기 위한 항생제 등을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스테로이드제는 장기간 사용시 피부가 위축되거나 세균 감염이 발생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외형이 흉하게 변성되기도 하며, 약을 중간에 중지하면 증상이 매우 악화되는 경우도 있다. 항 히스타민제도 장기간 복용시 불면, 불안, 식욕감퇴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항생제의 장기간 사용시 내성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서양의학은 증상을 경감 또는 완화시키는 대부분 대증요법일 뿐 아토피성 피부염을 완치시키지는 못하고 있으며, 그 치료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아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한의학 또는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민간요법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출원 제10-2003-0008264호에서는 식물성 한약제인 지실, 작약, 시호, 계피 및 감초의 혼합물을 열탕에서 가열 및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농축한 제1액과 상엽과 박하를 열탕에서 가열 및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농축한 제2액을 혼합한 것에 접착제겸 감미제인 D-솔비톨을 첨가한 피부질환의 억제 및 예방효과를 가지는 건강 보조차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출원 제10-2001-0003116호에는 청자소엽(菁紫蘇葉)과 자소엽(紫蘇葉)의 물 추출액과 소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식품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식이성 조성물들은 특허출원 제10-2004-0073648호에서 약효가 미미하거나 부작용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최근에는 위와 같은 아토피 피부 외에 여드름, 건선, 노화로 인한 인설 등의 각종 피부질환의 발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성 비누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7-0010943호에는 기존의 비누원료에다 천궁 29g, 홍화 33g, 유황 6g, 백선피 23g, 황지 9g를 첨가하여 제조한 한방생약을 첨가하여서 된 세수비누가 공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4-0067742호에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1.0 중량%의 비이온계면활성제, 0.5 내지 2.0중량%의 식물추출물(감초추출물, 포도씨오일 및 아프리코트오일), 0.5 내지 2.0중량% 의 바질(BASIL)추출물 및 0.5 내지 3 중량%의 입경 1 ∼ 20 ㎛인 세라믹 파우더를 함유하는 고기능성 세라믹 비누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8-0110323호에는 천연 세정비누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단백질 분해효소인 아라자임 0.1 내지 2.0 중량% 및 천연 한방식물 추출물인 마치현, 감초, 대나무 숯, 인삼, 어성초, 쌀겨, 카모마일, 티트리 오일 및 라벤더 오일 추출물을 1.0 내지 25 중량%를 함유하는 천연 세정비누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7-0078827호에는 중량비 코코넛 수지 93-95중량%, 숙성 황토 2-4중량%, 솔싹추출물 0.5-1중량%,한방추출물0.5-1중량%, 토코페롤 0.3-1중량%, 및 스쿠알렌, 알로에, 호호바오일,포도씨 오일 및 글리세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1-5중량%를 포함하는 미용황토 비누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7-0058782호에는 동충하초 또는 상황버섯 균사체가 0.5 내지 10 중량% 포함되고, 천연 오일이 45 내지 92 중량% 포함되고, 잔부가 비누 고형화 물질로 이루어지는 천연 비누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피부의 각질을 제거하고, 영양을 공급할 수는 있으나, 피부를 개선하는 제는 어느 한 효과만으로는 부족하고 보습, 항균, 항염, 피지분비억제, 혈행촉진 등 많은 효과들이 복합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는데, 상기한 종래 기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비누 제품들은 이러한 복합적인 효과를 나타내기에는 미흡한 실정에 있다.문제는 어느 한 효과만으로는 부족하고 보습, 항균, 항염, 피지분비억제, 혈행촉진 등 많은 효과들이 복합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는데, 상기한 종래 기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비누 제품들은 이러한 복합적인 효과를 나타내기에는 미흡한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비누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성분으로 양구 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 (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아토피, 여드름,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비누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구방산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제조과정에서 생산 해 낸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와 천연의 한약재 추출액을 사용하여 인체에 어떠한 부작용도 주지 않고 대상 피부에 탁월한 보습력(保濕力) 또는 보습 효과(保濕 效果)를 부여함으로써 아토피, 여드름, 건선(乾癬), 지루성 피부염 그리고 노화로 인한 피부가려움증 및 인설(鱗屑) 등을 개선하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효성분으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와 천연의 한약재 추출액을 사용하고, 이를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비누에 사용함으로써 접근성이 향상된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효성분으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와 천연의 한약재 추출액을 사용하여 천연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유효성분으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와 천연의 한약재 추출액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제조 원가가 저렴한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는, 한약재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한약재는 구기자, 뽕잎, 약쑥, 당귀, 홍삼, 계피, 황정, 천궁, 파고지 및 토사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는,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 5~10 중량부,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가 사용되는 모든 한약재 추출물의 기본 물로 사용해 추출해 내어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여 추출하여 사용하며 상기 한약재가 구기자 20~30 중량부, 뽕잎 20~40 중량부, 약쑥 20~40 중량부, 당귀 10~30 중량부, 홍삼 10~20 중량부, 계피 10~20 중량부, 황정 10~20 중량부, 천궁 10~30, 파고지 10~20 및 토사자 10~3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한방 비누는, 상기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외에 한약재가 금은화, 생강, 고삼, 도인, 헛개나무, 감초, 국화, 오가피 및 괴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는, 상기 한약재가 금은화 10~20 중량부, 생강 5~10 중량부, 고삼 5~10 중량부, 도인 10~20 중량부, 헛개나무 10~20 중량부, 감초 10~20 중량부, 국화 5~20, 중량부, 오가피 10~30 중량부 및 괴각 5~1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는, 상기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와 한약재 추출액은, 비누 총 중량에 대하여 30~7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는, 상기 한약재 추출액은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하 되, 110~120℃의 온도에서 3시간 이상 농축시킨 후 압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는, 베이스 오일로서 야자유, 팜유, 올리브유 및 미강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에 의하면, 유효성분으로 화이트이온미네랄 (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와 천연의 한약재 추출액을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어떠한 부작용도 주지 않고 대상 피부에 탁월한 보습력(保濕力) 또는 보습 효과(保濕 效果)를 부여하여 아토피, 여드름, 건선(乾癬), 지루성 피부, 그리고 노화로 인한 피부가려움증 및 인설(鱗屑) 등을 개선하는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에 의하면, 유효성분으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와 천연의 한약재 추출액을 사용하여 이를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비누에 사용함으로써 접근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피부 개선용 한방 비누에 의하면, 유효성분으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 (SY2216)와 천연의 한약재 추출액을 사용함으로써 천연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에 의하면, 유효성분으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와 천연의 한약재 추출액을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되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미용비누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는,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로 추출해 낸 한약재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한약재는 구기자, 뽕잎, 약쑥, 당귀, 홍삼, 계피, 황정, 천궁, 파고지 및 토사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로 추출한 한약재는 다음과 같은 특성 및 효과를 갖는다.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
미네랄은 인체를 이루고 있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과 더불어 5대 영양소 중의 하나 이다. 필요량은 전체 영양소의 3.5%로 소량이지만 인체를 구성하는 원소 중 50여종 이상이 미네랄이며, 건강을 유지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 이다.
미네랄은 인체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많은 역할을 한다. 현대 성인병 증상의 다수가 미네랄 부족으로부터 원인이 있다고 한다. 세계 유니세프 영양보고서(2004)에 의하면 전 세계 인구의 1/3이상이 미네랄 부족이라고 한다.
미네랄의 역을 살펴보면
효소작용에 필요하다.
효소는 섭취한 음식물을 분해하고, 몸을 움직이는 에너지를 만들고, 흡수된 영양소를 재료로 새로운 세포를 만들 때 필요한 단백질인데, 이와 같은 현상을 물질대사라고 한다. 또 활성 산소를 제거 하거나, 유전자의 상처를 수복하거나, 약물을 해독 하거나, 호르몬과 신경작용을 조절하는 일도 효소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효소작용을 도와주는 것이 비타민과 미네랄로, 효소의 화학 반응을 도와 적절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비타민에 비해 미네랄이 많은 효소작용에 필요한 것은 그다지 인식되지 않지만, 미네랄이 없으면 움직이지 못하는 효소들이 많다.
신체부분 형성
미네랄은 신체의 각 부분을 형성 한다. 칼슘과 인이 뼈와 치아의 형성과 유지에 필요하며, 효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을 만들 때 철이 필요 하다. 만약 철이 부족하면 빈혈 및 손톱과 발톱에 이상이 생기며, 효소가 부족하면 갑상선호르몬이 저하 된다.
이와 같이 미네랄은 몸을 구성하는 성분으로써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아연, 구리, 망간 등은 연결 조직의 형성에 필수적 이다.
체액의 약알칼리성 유지
사람의 몸에 흐르는 혈액과 체액은 약알칼리성으로 유지되는데, pH의 균형이 산성으로 기울면 몸은 피로해지기 쉽고, 병에도 걸리기 쉬워진다. 예를들면, 고기와 설탕을 먹게 되면 pH는 산성 쪽으로 기울게 되는데, 몸 안에 칼슘과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등(미량미네랄)이 이온화 한 상태로 흡수된다면 산성으로 기울어지는 체액을 중화시켜 약알칼리로 유지해 주게 된다.
비타민의 활성화
건강을 위하여 절대 부족하면 안 되는 것이 비타민이지만, 이 비타민의 효과도 미네랄이 없다면 거의 발휘되지 않는다. 아무리 많은 비타민을 섭취하더라도 미네랄이 없다면 무의미하게 된다. 비타민과 미네랄을 서로 충분히 섭취함으로써 상승효과가 나타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의 균형 조절
혈관이나 세포에 들어있는 물이 한 곳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가려면 삼투현상에 의해서 반 투과성 세포막을 통과해야 한다. 세포막을 투과하여 세포 내외로 이동하는 물의 방향과 양은 미네랄의 농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미네랄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체액의 축적 또는 탈수를 일으키기도 한다.
미네랄이 부족하면
자율신경 조절 결핍 - 불면증, 학습능력저하, 불안초조, 건망증, 산만, 신경예민, 스트레스 등의 원인
호르몬조절 결핍 - 혈압, 혈당 상승 또는 저하, 아토피, 알러지, 염증, 생리가 불규칙, 빈혈, 변비 장기능 저하, 심장질환, 갱년기 장애, 불임의 원인
면역조절 결핍 - 비만, 무기력, 근육경련, 성장둔화, 기미, 주근깨, 피부트러블, 각종 성인병에 노출, 성기능 저하, 손톱 발톱 머리카락이 잘 빠지고 몸이 붓는 등의 원인
미네랄 영양실조에 걸린다.
현대사회에서는 모든 분야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풍부한 먹거리와 과잉영양을 초래하고 있으나 오히려 미네랄 보충은 부족하게 되었다. 농업에서는 대량생산을 위한 농약재배와 무기농법이 사용되고, 토양은 산성화가 되어 미네랄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가 섭취하는 농산물들에는 미네랄 함유량이 과거에 비교해 턱없이 부족한 실태이다.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균형 잡힌 식단을 매일같이 운영 한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일 뿐 아니라 잦은 인스턴트 식습관은 우리 몸에 미네랄 부족 또는 결핍의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왜 미네랄이 부족한가?
토양의 미네랄은 산성비에 쓸려 바다로 간다.
화학비료, 화학농약, 연작 등으로 토양에 미네랄이 고갈된다.
미네랄이 부족된 채소와 곡식이 재배된다.
인스턴트 식품을 자주 먹는다.
스트레스, 약물, 술, 담배 등에 의해 미네랄 손실이 크다.
미네랄의 섭취경로
풍족한 시대에 사는 현대인들이 미네랄 결핍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토양에 있는 미네랄들이 빗물에 쓸려 바다로 내려가고 점점 산성화 되어가고 있다. 채소나 과일도 농약재배와 흙으로부터 미네랄을 공급받지 못하여 미네랄이 없는 경우가 발생 한다. 불규칙한 식습관, 인스턴트 음식의 섭취가 많아지면서 미네랄의 섭취는 더욱 어려워 지고 있다.
미네랄 균형을 유지하려면
미네랄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균형 있는 식사
미네랄 함유가 많은 유기농 야채, 과일 등을 섭취
물에 이온화 되어있는 미네랄을 섭취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
이온 미네랄은 액체에 이온 형태로 완전히 녹아있는 미네랄로 인체에 들어가 바로 흡수될 수 있는 미네랄을 일컫는 말이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은 천연의 상태에서 이온화 형태로 되어있는 미네랄을 추출하여 특수 가공과 정제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미네랄이며, 이 화이트이온미네랄은 강원도 양구 방산백토에서만 존재하는 것을 2006년 최초 발견된 이온화 되어있는 미네랄인 것이다. 특히 이 미네랄에는 항산화 물질인 셀레늄이 다랑 함유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리에게 미네랄은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영양소인 것이다. 아무리 좋은 음식을 다량 섭취했다 하더라도 이 음식물을 대사 과정을 통해 에
너지로 바꿔줘야 하는 데 미네랄이 부족한 관계로 대사를 할 수 없는 실정에 다다른 것이다. 그렇게 되니 우리는 섭취한 음식물이 대사를 못해 비만으로 축적되게 되고, 면역력 또한 저하 되게 되고, 그래서 생겨나는 것이 수 많은 질병들에 노출 될 수 밖에 없는 현실에 우리는 살아가고 있다.
자료에 의하면 50년대에 우리가 섭취하던 식자재에 미네랄이 100% 들어 있었다고 한다면 현재에는 겨우 30%도 남아 있지 않다고 한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 할 때, 미네랄은 앞에서 설명 한 바와 같이 미네랄 그 자체는 광물질이다. 그 광물질 즉 미네랄은 식물이나 동물을 통해 우리 몸에 섭취 되어진다. 그리고 늘 순환되고 전이되어 가는 것이다. 우리 몸에서는 다시 토양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어디에서 수없이 많은 미네랄이 필요하다고 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많은량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고 설명하는 미네랄수나 해양심층수 등을 그릇에 담아 끓여보면 과연 물이 수증기가 되어 다 날아가 버리고 나면 그릇에는 무엇이 남을까? 그 그릇에는 아마 육안으로 볼 때, 아무 것도 남아 있지 않던가 아니면 조금 백태 정도로 남아있게 될 것이다. 그것이 미네랄이다.
그렇게 아주 작은량의 미네랄이 존재 할 뿐인데,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물은 많이 변천하여 화려하고 좋은 음식물로 조리되어 섭취하게 됩니다. 하지만 미네랄 부족으로 비만으로 성인병으로 우리의 삶은 병들고 죽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 할 때 이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은 우리의 생명 줄과도 같은 것이라 하겠다. 상고시대 역사서 부도지라는 책에 보면 최초의 인간이 마고성에서 지유(地乳)를 먹었다 전해오고 있다. 이는 지금의 우리의 먹거리 변천사를 통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네랄의 함량이 아주 많다고 설명하는 미네랄 수를 볼 때, 우리는 심각한 현실을 살아가고 있음에 직시해야 하겠다. 하지만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은 아주 많은 량의 이온미네랄을 우리에게 선물해 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mg정도의 미네랄을 필요로 하는데 비해 이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은 g단위, kg단위, t 단위의 미네랄을 우리에게 선물하고 있다. 하지만 이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도 무한한 것은 아니다. 유한한 량을 가지고 있는 자원이기 때문인 것이다.
이제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살아갈 수 없는 미네랄 이제 당사가 발견해 특허등록하고 광업채굴권도 가지고 있는 이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이 책임 져 줄 수 있다고 감히 말할 수 있다.
구기자{the fruit of the Chinese matrimony vine}
구기자는 기와 혈의 순환을 도와주는 강장제이며 간장, 신장 기능을 좋게 하고 피부와 모발세포 조직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며, 다른 약재와 함께 사용시 약재의 기운을 더 높여주고, 탈모예방과 흰머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비타민이 레몬의 두 배가 들어있고, 정력과 시력에 도움을 주며, 무릎, 허리 관절을 튼튼하게 하고 보습효과도 있다. 피부와 관련하여 피부를 윤기있게 하여 노화방지, 기미, 주근깨 생성 억제, 등에 효과가 있으며 미백작용, 면역기능, 항균 효과 등이 있다.
뽕잎{mulberry leaves}
뽕나무{Mourus, alba}는 누에의 사료가 되고 있는 뽕과, 뽕속의 낙엽 활엽 교목 보통 암꽃과 숫꼿 글루를 따로 피우고 4개의 꽃받침 조각조각이 있으며 화판이 없다. 뽕의 열매인 오디는 아이들이 즐겨 먹는다. 본초망목 제36권 신농본초 중권에 의하면 수재모발 탈락에 효과가 있다. 성분은 구아닌, 아레린, 히록산b-피토스테롤타닌이고, 뿌리 부분의 껍질을 말린 것을 한방에서 이뇨제 및 완화제로 쓴다. 뿌리 및 잎을 우려서 머리를 감으면 혈액순환 머리결에 윤기를 돕는다. 뽕잎은 항균작용을 하며 염증에 효과가 있다. 피부 미용과 관련하여 중금속을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약쑥{Artemisia princeps pamp}
약쑥은 항암, 살균, 독소분해, 정혈, 혈관의 수축이완을 좋게 하는 작용을 하고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비타민 A, B1, B2, C, 칼슘, 칼륨, 인, 단백질, 미네랄 등이 풍부한 알카리성 약재로 피를 맑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초강목 15권에 환부의 해열과 악종 등의 피부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특히, 피부가 불결한 상태로 되어 있거나 각질, 건선 등이 축적됨으로써 번식된 세균으로 인하여 발생된 종양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당귀{Gigantic Angelica}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로, 데커신 (decursin), 데커시놀(decursinol)등의 쿠마린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진통, 배농, 지혈, 보혈, 강장작용이 있으며, 특히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두피와 모근을 건강하게 한다.
홍삼{ginseng steamed red}
인삼 또는 홍삼은 글리코시드류(glycosides),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성분, 플라보노이드, 비타민(B군), 미량원소, 효소, 항산화물질과 유기산 및 아미노산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비사포닌 물질의 주된 성분으로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성분인 페놀성분 및 폴리아세틸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생리 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으면서도, 조혈작용과 혈당치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 및 항종양작용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특히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홍삼에는 암세포 증식 억제성분, 항종양성분(ginsenoside RH2), 암세포 전이 억제성분(20,s, GinsenosideRG3)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홍삼은 전분 등의 탄수화물이 60∼70%로 많이 들어 있지만 다른 식물체에서 볼 수 없는 특이성분으로 인삼 사포닌(ginsenosid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항산화활성 페놀계화합물, 간장보호작용을 하는 고미신(gomisin-N,-A), 인슐린 유사작용을 하는 산성펩티드 등이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그 유효성분 중 하나인 말톨은 홍삼에 다량 함유된 항산화 물질로서 간기능, 신기능, 심기능을 높이며 노화물질의 축적을 억제하고 피로를 회복시켜 주어 노화방지에도 큰 효능을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J.Biochem. Molec. Bio, Vol.39, No. 2, Mar. 2006, 145-149; J. Agri. Food Chem. 2006, 54, 2558-2562; Biol.Pharm. Bull. 29(4) 750-754 (2006)).
다른 유효성분 중 하나인 β-피넨은 항균, 항종창, 항염증, 혈행 촉진에 우수한 생물화학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Phytother. res. 17, 1-18 (2003); J. Der. Sci. (2006) 41, 137-142), dl-멘톤은 진통, 항알러지, 항독, 항균, 살충, 항암 작용 등이 보고 되어 있고(Int. J. Pharm. 229 (2001) 37-44; Int. J. Pharm. 219 (2001) 177-181), 또한 d-리모넨은 진통효과, 항우울증, 항종양, 혈액순환을 강화시켜 혈압 강하를 일으키는 효과 등이 보고 되어 있다(Int. Immunopharmacology 5 (2005) 829-838; Drug Des Deliv. 1990 Sep;6(3):229-38;
Vitam Horm. 2005;72:505-35).
계피{cinnamon}
계피는 녹나무과의 계피 나무의 껍질로서 스리랑카 산의 트루시나몬 (True-cinnamon)과 중국, 일본 및 한국 등의 캐셔 시나몬(Cassia-cinnamon)으로 나눠진다. 계피의 외피를 제거하거나 혹은 그대로 건조한 것으로서 보통 계피 또는 육계라고 한다. 계피는 한약이나 의약품, 식품 등으로 사용되어왔다. 계피의 추출물을 계피유라고 하고 이에는 신나믹 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캄펜(camphene), 치네올(cineol), 신나믹산(cinnamic acid), 리나룰(linalool), 유게놀(eugenol), 지방질, 인, 철분, 비타민A, 비타민B1 및 비타민B2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계피는 전통 한방에서 뿐만 아니라 현대의 의약학에 의해서도 여러 효능이 입증되고 있다. 계피의 성분은 음식물의 부패를 억제시키는 항균활성 기능, 충치균 증식의 억제효과, 머리에 사용함으로써 두피에 대해 강한 소염 및 탈모 방지효능, 가려움증, 가벼운 상처치료, 국부 충혈 조절, 유해 대장균 억제 효과, 콜레스테롤 형성 억제 효과, 항균활성효과 등이 입증되어 있다.
황정(黃精)
둥굴레를 한방에서 일컫는 말로서 예부터 자양 회춘의 묘약으로 유명하여 '회춘의 명약'으로도 불리운다. 그만큼 강정 효능이 뛰어나고 정력 보강과 기력 증진, 성기능 강화, 불감증, 노화 방지 등에 아주 좋은 약재라는 뜻이다. 더욱이 이는 여드름, 기미 등의 퇴치와 피부 미용 효과도 뛰어나기 때문에 여드름이나 기미, 거친 피부에 효과적이다.
천궁{Cnidium officinale}
한방에서 뿌리줄기가 진정·진통·강장에 효능이 있어 두통·빈혈증·부인병 등에 사용한다. 또한, 천궁은 모발 및 피부에 적용시 피부조직 재생작용, 각질을 제거하는 필링작용, 피부진정 등에 좋고, 당귀와 비슷하여 보혈과 혈액순환을 잘 되게 해주고, 보습력을 강화하며, 건성피부를 윤택하게 만든다.
파고지
파고지는 콩과식물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의 종자로서 한방에서는 신장 및 생식기능을 돕고 외용으로 백전풍을 치료하며 뼈를 튼튼하게 하는 약효가 있다고 한다.
토사자
메꽃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인 새삼의 씨앗으로 새삼씨를 일컫는 것으로서 간과 신장을 보호하며 눈을 밝게 한다. 이는 양기를 돕고 신장 기능을 튼튼하게 하는 약재이며 뼈를 튼튼하게 하고 허리 힘을 세게 하여 신장 기능이 허약하여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의 상기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해 추출한 한약재로서 금은화, 생강, 고삼, 도인, 헛개나무, 감초, 국화, 오가피 및 괴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한약재 추출액은 본 발명에서 완성되는 비누의 성질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진액을 추출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한약재들을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에 넣고 가열하는 공지의 열수 추출방법으로 그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외 공지의 추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구기자, 뽕잎, 약쑥, 당귀, 홍삼, 계피, 황정, 천궁, 파고지 및 토사자 그리고 금은화, 생강, 고삼, 도인, 헛개나무, 감초, 국화, 오가피 및 괴각은 본 발명 전체에 걸쳐 '한약재'로 기재되고 있는 바, 한약재로서 공지의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특별히 공지의 한약재로서 특정 부분이 사용되는 것이 아닌 한 그들의 줄기, 뿌리, 잎 중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주요 구성물로는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 5~10 중량부,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사용하는 한약재로서 구기자 20~30 중량부, 뽕잎 20~40 중량부, 약쑥 20~40 중량부, 당귀 10~30 중량부, 홍삼 10~20 중량부, 계피 10~20 중량부, 황정 10~20 중량부, 천궁 10~30, 파고지 10~20 및 토사자 10~30 중량부로 구성되는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를 사용하여 추출한 한약재 혼합물을 사용하거나 이들 주요 한약재 이외에 보조 한약재로서 금은화 10~20 중량부, 생강 5~10 중량부, 고삼 5~10 중량부, 도인 10~20 중량부, 헛개나무 10~20 중량부, 감초 10~20 중량부, 국화 5~20 중량부, 오가피 10~30 중량부 및 괴각 5~10 중량부를 더 포함한 한약재 혼합물을 사용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공지의 열수 추출 방법으로 본 발명의 한약재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열수 추출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약재들로 이루어지는 한약재 혼합물을 그 중량의 5~10배의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와 함께 추출기에 넣고 110~120℃의 온도에서 3시간 이상 농축시킨 후 압착하여 상기 한약재 추출액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열수 추출에 사용하는 물의 비율이 한약재 혼합물 중량의 5 미만인 경우에는 물의 양이 열수 추출에 필요한 최소한의 양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열수 추출과정에서 한약재 혼합물에 포함된 한약재의 변형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추출되는 추출액의 양이 적어 비경제적일 수 있으며, 물의 비율이 양이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수 추출하여 충분히 농축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열수 추출은 110~120℃ 온도에서 3 시간 이상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는, 상기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하여 추출한 한약재 추출액의 중량이 비누 총 중량에 대하여 30~7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비누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을 이용하여 추출한 한약재 추출액이 3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비누를 1일 2회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며, 비누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하여 추출한 한약재 추출액이 7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에는 초과되는 양 대비하여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피부 개선 효과는 증가하나 비누 고유의 클렌징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이다.
상기 한약재 추출액은 비누 총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한약재 추출액이 50 중량% 함유되는 경우에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의 효과가 극대화되며, 비누로서의 기능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하여 추출한 한약재 추출액을 제외한 비누의 구성하는 다른 성분은 통상적으로 비누를 구성하는 공지의 물질로서 베이스 오일이다. 이는 식물성 오일로서 야자유, 팜유, 올리브유 및 미강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비누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성분 이외에 한방적 또는 양방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성분 등도 본 발명의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하여 추출한 한약재 추출액을 비누로 사용하게 되므로, 특정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치료제와 달리 평상시에 꾸준하게 사용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며 일상적인 세안, 세수, 목욕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얼굴, 손 등의 피부에 상기 화이트이온미네랄 (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하여 추출한 한약재 추출액의 유효성분이 침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각종 한약재를 배합하여 30~50℃의 온도에서 12 시간 이상 숙성시키는 S1 단계;
상기 숙성된 한약재들을 추출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제조하는 S2 단계;
상기 한약재 추출액을 가성소다로 녹이는 S3 단계;
상기한 바와 같은 베이스 오일에 상기 가성소다로 녹인 상기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하여 추출한 한약재 추출액을 혼합, 교반하여 비누원료혼합물을 제조하는 S4 단계;
상기 비누원료혼합물을 틀에 넣고 숙성시키는 S5 단계;
상기 숙성된 비누원료혼합물을 틀에서 꺼내어 다시 숙성시키는 S6 단계;
상기 숙성된 비누원료혼합물을 소정의 중량으로 컷팅한 다음 자연 건조시키는 S7 단계;
상기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하여 추출한 한약재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구기자, 뽕잎, 약쑥, 당귀, 홍삼, 계피, 황정, 천궁, 파고지 및 토사자로 이루어지거나 여기에 금은화, 생강, 고삼, 도인, 헛개나무, 감초, 국화, 오가피 및 괴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배합량은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 5~10 중량부, 구기자 20~30 중량부, 뽕잎 20~40 중량부, 약쑥 20~40 중량부, 당귀 10~30 중량부, 홍삼 10~20 중량부, 계피 10~20 중량부, 황정 10~20 중량부, 천궁 10~30, 파고지 10~20 및 토사자 10~30 중량부로 구성되는 한약재 혼합물을 사용하거나 이들 주요 한약재 이외에 보조 한약재로서 금은화 10~20, 생강 5~10 중량부, 고삼 5~10 중량부, 도인 10~20 중량부, 헛개나무 10~20 중량부, 감초 10~20 중량부, 국화 5~20 중량부, 오가피 10~30 중량부 및 괴각 5~10 중량부이다.
상기 각종 한약재를 숙성시키는 S1 단계는 한약재에 포함된 각종 독소들을 제거하는 과정이며, 상기 비누원료혼합물을 틀에 넣고 숙성시키는 S5 단계는 충분히 비누화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틀로서 상기 비누원료혼합물을 비닐에 부어 넣은 다음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파이프 형상의 틀에서 3일 이상 자연 숙성시키는 과정이며, 상기 숙성된 비누원료혼합물을 틀에서 꺼내어 다시 숙성시키는 S6 단계는 비누화반응 종료 후 수분이나 유지를 발산시켜 굳히는 과정이며, S7 단계에서 소정의 중량으로 컷팅하는 것은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6주 이상 18℃ 내외의 공기 청정한 곳에서 자연 건조시킨다.
미네랄, 한약재, 추출물, 천연비누, 숙성, 혼합물

Claims (2)

  1. 양구 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아토피, 여드름,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비누 조성물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 5~10 중량부와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을 이용하여 추출한 한약재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한약재는,구기자 20~30 중량부, 뽕잎 20~40 중량부, 약쑥 20~40 중량부, 당귀 10~30 중량부, 홍삼 10~20 중량부, 계피 10~20 중량부, 황정 10~20 중량부, 천궁 10~30, 파고지 10~20 중량부, 토사자 10~30 중량부, 금은화 10~20 중량부, 생강 5~10 중량부, 고삼 5~10 중량부, 도인 10~20 중량부, 헛개나무 10~20 중량부, 감초 10~20 중량부, 국화 5~20 중량부, 오가피 10~30 중량부 및 괴각 5~1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 비누.
  2. 양구 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아토피, 여드름,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비누 제조 방법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각종 한약재를 배합하여 30~50℃의 온도에서 12시간 이상 숙성시키는 1단계와
    상기 숙성된 한약재들을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한약재량의 5~10배 넣고 110~120℃에서 3시간 끓여서 한약재 추출액을 제조하는 2단계

    상기 한약제 추출액을 가성소다로 녹이는 3단계

    상기한 바와 같은 베이스 오일에 상기 가성소다로 녹인 상기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하여 추출한 한약재 추출액을 혼합, 교반하여 비누원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4단계

    상기 비누 원료 혼합물을 틀에 넣고 숙성시키는 5단계

    상기 숙성된 비누원료 혼합물을 틀에서 꺼내어 다시 숙성시키는 6단계

    상기 숙성된 비누 원료 혼합물을 소정의 중량으로 컷팅한 다음 건조시키는 7단계
KR1020140091454A 2014-07-20 2014-07-20 양구 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아토피, 여드름,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비누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KR20160010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454A KR20160010909A (ko) 2014-07-20 2014-07-20 양구 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아토피, 여드름,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비누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454A KR20160010909A (ko) 2014-07-20 2014-07-20 양구 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아토피, 여드름,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비누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909A true KR20160010909A (ko) 2016-01-29

Family

ID=5531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454A KR20160010909A (ko) 2014-07-20 2014-07-20 양구 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아토피, 여드름,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비누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09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6199A (zh) * 2019-09-30 2019-11-26 赵春华 一种治疗牛皮癣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2211169B1 (ko) 2020-11-16 2021-02-03 신동목 여드름, 모낭염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완화 효과를 가지는 무독성 천연 액상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여드름, 모낭염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완화 효과를 가지는 무독성 천연 액상 비누
JP7489136B2 (ja) 2020-01-27 2024-05-23 株式会社東洋新薬 肝機能改善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6199A (zh) * 2019-09-30 2019-11-26 赵春华 一种治疗牛皮癣的药物及其制备方法
JP7489136B2 (ja) 2020-01-27 2024-05-23 株式会社東洋新薬 肝機能改善剤
KR102211169B1 (ko) 2020-11-16 2021-02-03 신동목 여드름, 모낭염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완화 효과를 가지는 무독성 천연 액상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여드름, 모낭염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완화 효과를 가지는 무독성 천연 액상 비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326B1 (ko) 함초, 민들레, 생강나무 등 125가지의 원재료를 생물의 물성에 따라 CO2(또는 N2) Carrier Gas를 이용하여 추출농축, 설탕 절임 후 추출 및 Microwave와 Filter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들을 혼합숙성하여 제조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2038650B1 (ko) 보습 및 미백 효능을 갖는 천연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KR20130029098A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이용한 이온미네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 된 건강음료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192605A (ja) リパーゼ阻害剤
CN105126067A (zh) 一种降尿酸的组合物及其用途
CN105062726A (zh) 一款调理肌肤淡化黑色素的药皂
KR100867514B1 (ko) 지초 비누의 제조방법
CN104189035A (zh) 一种具有提高机体免疫力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101516146B1 (ko) 복합 기능성 한방비누
KR20160010909A (ko) 양구 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아토피, 여드름, 건선, 지루성 피부 개선용 미용비누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CN103637218A (zh) 一种保健蜂蜜及其制备方法
KR101307718B1 (ko)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피부 개선용 한방 비누
KR101334827B1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KR20110082752A (ko) 한방 피부 보습 및 세정 조성물
CN103636861A (zh) 一种养颜消石茶
CN104095269B (zh) 一种纯天然接骨木籽果饮的制备
CN103284162A (zh) 一种库拉索芦荟凝胶功能性食品
KR20160147424A (ko) 와송 추출물이 포함된 효소조성물
CN107823450A (zh) 金线莲茶及制作工艺
KR101685686B1 (ko) 천일염을 이용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KR101988207B1 (ko) 한약재추출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약재추출액
CN107875059B (zh) 一种具有祛痘功效的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