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786A -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786A
KR20160010786A KR1020140090902A KR20140090902A KR20160010786A KR 20160010786 A KR20160010786 A KR 20160010786A KR 1020140090902 A KR1020140090902 A KR 1020140090902A KR 20140090902 A KR20140090902 A KR 20140090902A KR 20160010786 A KR20160010786 A KR 20160010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ognition
parking
vehic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663B1 (ko
Inventor
고권태
고형민
김성민
Original Assignee
고권태
고형민
김성민
주식회사 넥스엠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권태, 고형민, 김성민, 주식회사 넥스엠앤이 filed Critical 고권태
Priority to KR102014009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6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06V10/443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by matching or filtering
    • G06V10/446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by matching or filtering using Haar-like filters, e.g. using integral image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주차구역에서 주차차량과 함께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안면을 인식한 후 인식된 정보를 등록정보와 비교판단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장애인 주차구역의 불법주차를 사전에 차단하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관리 및 단속함을 제공하도록,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내 불법주차를 단속하는 주차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에 진입하는 주차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정보를 인식하는 차량인식부와, 주차차량의 장애인 주차증을 촬영하여 장애인 주차증정보를 인식하는 주차증인식부와, 차량의 탑승객 중 해당 장애인의 얼굴 영상과 함께 시, 군, 구로부터 장애인임을 증명하여 발급받은 복지카드를 촬영한 후 분석하여 장애인의 정보를 인식하는 안면인식부와, 상기 안면인식부로부터 정보를 인식하되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에 주차 후 해당차량에서 하차한 탑승자의 인식정보를 상기 안면인식부에 의해 초기에 등록된 장애인 정보와 비교하여 장애인 탑승 여부를 비교 판별하는 안면비교판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인식장치와; 상기 정보인식장치로부터 차량,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 및 복지카드, 안면 인식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결과정보를 송신가능하게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송수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인식장치에서 수신된 정보들을 상호 연계하여 등록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과, 상기 차량인식부와 주차증인식부로부터 수신된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등록된 복지카드 및 안면등록정보와 상기 안면인식부로부터 수신된 복지카드 및 안면인식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송수신수단에 결과정보를 전달하는 정보매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인식장치에는 상기 제어서버부의 송수신수단으로부터 결과정보를 수신하되 안내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가능하게 구비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Car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Disabled Person Using Face Image Recognition and Matching Scheme}
본 발명은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 주차구역에서 주차차량과 함께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안면을 인식한 후 인식된 정보를 등록정보와 비교판단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장애인 주차구역의 불법주차를 사전에 차단하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관리 및 단속하는 것이 가능한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공서 등의 공용주차장은 물론 대형마트나 아파트, 극장, 백화점 등의 일반주차장을 포함한 대부분의 주차장 및 주차시설에는 장애인들이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이동 및 시설사용의 편의를 도모하고, 나아가 장애인을 배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장애인이 탑승한 차량만이 주차할 수 있도록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을 별도로 마련하여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은 그 기준이 법적으로 정해져 있으며,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에는 주차 구획선 바닥에 장애인 로고 등의 식별표지를 그려 넣음은 물론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을 알리는 안내표지를 식별하기 쉬운 장소에 부착 또는 설치하여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임을 나타내도록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은 그 특성상 장애인이 원활하게 차량에서 내리거나 탈 수 있게 일반주차구역보다 넓은 주차공간을 이루고, 장애인이 쉽게 시설물을 사용하거나 건물 내에 출입할 수 있도록 건물이나 시설물의 출입구 근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인 즉 비장애인들이 불법으로 주차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며 정작 장애인들은 제대로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에 불법으로 주차된 차량을 단속하기 위하여 단속요원을 현장에 투입하는 방식을 통해 불법주차를 단속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인력부족의 문제로 단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95673호(2011.8.25.)에는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의 차량 입출차시 이를 감지하는 센서부; 입출차 차량의 정면 또는 후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센서부에서 차량의 입출차 감지시 지그비 무선통신을 통해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차량 데이터를 송신하는 지그비 모듈; 상기 차량 데이터를 지그비 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전송하는 라우터; 상기 라우터를 통해 전송된 차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코디네이터; 및 상기 코디네이터에서 수신된 차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되어 있는 등록 장애인 차량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입출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에서의 주차위반 단속이 보다 용이하고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 관리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주차 관리시스템의 경우에는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에 주차하는 차량들을 장애인 및 비장애인 구분없이 모두 일일이 차량번호판을 촬영해야만 하므로 촬영분량이 많아 카메라 메모리 부담이 크고, 차적조회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88085호(2006.08.03)에는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내 주·정차 위반차량을 적발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장애인 차량이나 장애인자동차표지에 부착되는 RFID 태그;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의 차량 입출차를 감지하기 위한 차량감지부; 상기 RFID 태그의 센싱을 통해 장애인 차량을 인식하며, RFID 태그가 센싱되지 않은 비장애인 불법주차 차량을 식별하고, 식별된 불법주차 차량을 촬영하기 위한 불법주차 식별 시스템; 및 상기 불법주차 식별 시스템과 인터넷 접속되며, 상기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불법주차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관련 단속 기관에 통보하여 불법주차 스티커를 발부토록 하기 위한 정보수집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장애인 차량에 부착된 RFID태그의 센싱동작만으로 간단하게 장애인 차량을 자동 인식하고 불법주차차량을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는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의 불법주차 적발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개특허공보 제88085호의 기술은 RFID태그를 장애인 차량 모두에 보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RFID태그을 보급받지 못하거나 미쳐 소지하지 못한 장애인의 경우에는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에 주차시 비장애인 차량으로 오인 받아 불법주차차량으로 단속대상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기술 중 공개특허공보 제95673호의 경우에는 단순히 차량만을 촬영하여 장애인차량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장애인차량이 아닌 경우에만 단속이 가능할 뿐이지, 장애인차량이긴 하지만 실질적으로 장애인이 탑승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속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 중 공개특허공보 제88085호의 경우에도 단순히 RFID태그의 소지 여부에 따라 불법주차를 식별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장애인차량이 아닌 일반차량이 RFID태그만을 소지한 경우에 불법주차로 단속할 수 없으며, 나아가 장애인차량이나 장애인이 탑승하지 않은 차량을 단속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인식 및 시, 군, 구에서 발급하는 '장애인자동차표지 중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가능한 표지'(이하, 장애인 주차증이라 칭함)와 함께 장애인 본인의 안면을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등록정보와 매칭할 수 있게 구성하여 장애인이 탑승하지 않은 차량에 대한 불법주차를 실효적으로 단속할 수 있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장애인 차량정보 및 시, 군, 구에서 발급하는 장애인 주차증과 장애인 본인의 안면정보를 주차현장에서 일괄적으로 등록할 수 있게 구성하여 등록절차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정부에서 별도로 보급해야할 물품이나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의 이용에 따른 장애인이 소지해야할 물품이 불필요하여 국가적인 예산지출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등록된 장애인에 한해 주차 편의를 높일 수 있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은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내 불법주차를 단속하는 주차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에 진입하는 주차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정보를 인식하는 차량인식부와, 주차차량의 장애인 주차증을 촬영하여 장애인 주차증정보를 인식하는 주차증인식부와, 차량의 탑승객 중 해당 장애인의 얼굴 영상과 함께 시, 군, 구로부터 장애인임을 증명하여 발급받은 복지카드를 촬영한 후 분석하여 장애인의 정보를 인식하는 안면인식부와, 상기 안면인식부로부터 정보를 인식하되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에 주차 후 해당차량에서 하차한 탑승자의 인식정보를 상기 안면인식부에 의해 초기에 등록된 장애인 정보와 비교하여 장애인 탑승 여부를 비교 판별하는 안면비교판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인식장치와; 상기 정보인식장치로부터 차량,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 및 복지카드, 안면 인식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결과정보를 송신가능하게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송수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인식장치에서 수신된 정보들을 상호 연계하여 등록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과, 상기 차량인식부와 주차증인식부로부터 수신된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등록된 복지카드 및 안면등록정보와 상기 안면인식부로부터 수신된 복지카드 및 안면인식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송수신수단에 결과정보를 전달하는 정보매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인식장치에는 상기 제어서버부의 송수신수단으로부터 결과정보를 수신하되 안내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가능하게 구비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보인식장치의 안면인식부는 인증대상자의 신장으로부터 안면 위치를 감지하는 신장감지센서와, 인증대상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인식하는 안면인식카메라와, 상기 신장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로부터 인증대상자의 안면 전방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안면인식카메라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이동유닛으로 구성한다.
상기 정보인식장치는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차량인식부와 상기 주차증인식부 및 상기 안면인식부를 구비하는 인식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정보인식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인식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인식플레이트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상하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승강안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서버부에는 상기 정보인식장치의 차량인식부와 상기 주차증인식부로부터 수신된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서 차량등록상태 확인 및 안면등록 여부를 검색하는 정보검색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서버부에서는 상기 정보검색수단을 통해 차량등록상태 확인 및 안면등록 여부를 검색한 결과 미등록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차량인식부와 상기 주차증인식부로부터 수신된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등록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안면등록을 요구하는 결과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안면인식부로부터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와 함께 안면인식정보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등록 저장하여 정상적인 정보등록절차를 진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서버부에서는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안면등록을 요구한 후에도 상기 안면인식부를 통해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채 설정시간 동안 등록절차가 지연되면 등록절차를 거부한 경우로 인식하고, 상기 정보인식장치를 통해 경고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결과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차량인식부와 주차증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차량인식정보를 관할단속기관에 신고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서버부에서는 상기 정보검색수단을 통해 차량등록상태 확인 및 안면등록 여부를 검색한 결과 등록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안면인증을 요구하는 결과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안면인식부로부터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매칭수단을 통해 안면인식정보를 비교판단하여 정상적인 정보인증절차를 진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서버부에서는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안면등록을 요구한 후에도 상기 안면인식부를 통해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채 설정시간 동안 인증절차가 지연됨에 따라 인증절차를 거부한 경우로 인식되거나 상기 정보매칭수단을 통한 매칭결과가 불일치하게 되면, 상기 정보인식장치를 통해 경고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결과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차량인식부와 주차증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차량인식정보를 관할단속기관에 신고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과 함께 주차차량에 해당한 장애인의 복지카드 및 안면인식을 통해 인식된 정보를 초기 등록한 정보와 매칭시켜 비교판단하도록 구성하므로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에 장애인이 탑승하지 않은 차량의 불법주차를 사전에 차단함은 물론 실질적인 장애인의 편의를 도모하고,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의 설치취지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은 차량정보나 안면정보에 대한 등록절차를 개개의 주차장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바쁜 일상생활로부터 시간을 절약하고 몸이 불편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다는 특성상 등록절차가 매우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은 인증대상자의 신장을 감지하여 안면인식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토록 구성하므로 다양한 신장에 대응하여 탄력적인 안면인식을 도모하면서 안면인식의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은 안면인식을 위한 인식위치를 낮은 위치까지 이동가능하여 거동이 어려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원활한 안면인식절차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보인식장치가 장애인전용 주차장에 설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보인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보인식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보인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등록 전 등록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등록 후 인증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은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내 불법주차를 단속하는 주차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에 진입하는 주차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정보를 인식하는 차량인식부와, 주차차량의 장애인 주차증을 촬영하여 장애인 주차증정보를 인식하는 주차증인식부와, 차량의 탑승객 중 해당 장애인의 얼굴 영상과 함께 시, 군, 구로부터 장애인임을 증명하여 발급받은 복지카드를 촬영한 후 분석하여 장애인의 정보를 인식하는 안면인식부와, 상기 안면인식부로부터 정보를 인식하되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에 주차 후 해당차량에서 하차한 탑승자의 인식정보를 상기 안면인식부에 의해 초기에 등록된 장애인 정보와 비교하여 장애인 탑승 여부를 비교 판별하는 안면비교판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인식장치와; 상기 정보인식장치로부터 차량,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 및 복지카드, 안면 인식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결과정보를 송신가능하게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송수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인식장치에서 수신된 정보들을 상호 연계하여 등록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과, 상기 차량인식부와 주차증인식부로부터 수신된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등록된 복지카드 및 안면등록정보와 상기 안면인식부로부터 수신된 복지카드 및 안면인식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송수신수단에 결과정보를 전달하는 정보매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인식장치에는 상기 제어서버부의 송수신수단으로부터 결과정보를 수신하되 안내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가능하게 구비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인식장치의 안면인식부는 인증대상자의 신장으로부터 안면 위치를 감지하는 신장감지센서와, 인증대상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인식하는 안면인식카메라와, 상기 신장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로부터 인증대상자의 안면 전방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안면인식카메라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인식장치는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차량인식부와 상기 주차증인식부 및 상기 안면인식부를 구비하는 인식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인식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인식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인식플레이트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상하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승강안내수단을 더 포함하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서버부에는 상기 정보인식장치의 차량인식부와 상기 주차증인식부로부터 수신된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서 차량등록상태 확인 및 안면등록 여부를 검색하는 정보검색수단을 포함하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서버부에서는 상기 정보검색수단을 통해 차량등록상태 확인 및 안면등록 여부를 검색한 결과 미등록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차량인식부와 상기 주차증인식부로부터 수신된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등록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안면등록을 요구하는 결과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안면인식부로부터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와 함께 안면인식정보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등록 저장하여 정상적인 정보등록절차를 진행하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서버부에서는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안면등록을 요구한 후에도 상기 안면인식부를 통해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채 설정시간 동안 등록절차가 지연되면 등록절차를 거부한 경우로 인식하고, 상기 정보인식장치를 통해 경고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결과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차량인식부와 상기 주차증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차량인식정보를 관할단속기관에 신고하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서버부에서는 상기 정보검색수단을 통해 차량등록상태 확인 및 안면등록 여부를 검색한 결과 등록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안면인증을 요구하는 결과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안면인식부로부터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매칭수단을 통해 안면인식정보를 비교판단하여 정상적인 정보인증절차를 진행하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서버부에서는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안면등록을 요구한 후에도 상기 안면인식부를 통해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채 설정시간 동안 인증절차가 지연됨에 따라 인증절차를 거부한 경우로 인식되거나 상기 정보매칭수단을 통한 매칭결과가 불일치하게 되면, 상기 정보인식장치를 통해 경고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결과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차량인식부와 상기 주차증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차량인식정보를 관할단속기관에 신고하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애인전용 주차구역(P) 내 불법주차를 단속하는 주차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정보인식장치(10)와, 제어서버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보인식장치(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애인전용 주차구역(P) 내에 장착되되 장애인전용 주차구역(P)으로 구획된 영역마다 장착된다.
상기 정보인식장치(10)는 장애인전용 주차구역(P)에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정보와 함께 차량에 탑승한 장애인을 인식하고, 인식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서버부(20)와 상호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차량인식부(11)와 주차증인식부(12) 및 안면인식부(13)와 안면비교판별부(14)로 구성한다.
상기 정보인식장치(1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애인전용 주차구역(P)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고 상하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17)과, 상기 지지프레임(17)의 상단에 위치하고 전면(앞쪽 면)에 상기 차량인식부(11)와 상기 주차증인식부(12) 및 상기 안면인식부(13)를 구비하는 인식플레이트(18)를 구성한다.
상기 정보인식장치(10)는 장애인전용 주차구역(P) 내에서 진입차량의 전면(앞쪽 면)에 대응하여 한쪽(운전석 쪽)에 위치하도록 장착하되 상기 차량인식부(11)와 상기 주차증인식부(12) 및 상기 안면인식부(13)가 진입차량을 향해 지향토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인식부(11)는 장애인전용 주차구역(P)에 진입하는 주차차량의 차량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차차량의 차량번호판을 지향토록 상기 인식플레이트(18) 상에 설치되고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주차증인식부(12)는 장애인전용 주차구역(P)에 진입하는 주차차량에서 장애인 주차증을 인식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주차증인식부(12)는 주차차량에 구비된 장애인 주차증을 촬영하여 장애인 주차증 구비 여부를 인식하도록 상기 인식플레이트(18) 상에 설치된다.
상기 차량인식부(11) 및 상기 주차증인식부(12)는 양자 모두 CMDS카메라나 CCD카메라 등의 일반적인 카메라의 구조를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안면인식부(13)는 차량의 탑승객 중 해당 장애인의 얼굴 영상을 촬영한 후 분석하여 장애인의 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주차차량을 직접운행한 운전자로서의 장애인이나 주차차량과 관련된 장애인이지만 실질적인 운행이 어려워 보호자가 운행하도록 지정된 장애인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로서의 장애인에 대해 상기 안면인식부(13)를 통해 안면을 인식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안면인식부(13)는 장애인의 얼굴 영상과 함께 해당 장애인이 시, 군, 구로부터 장애인임을 증명하여 발급받은 복지카드를 촬영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안면인식부(1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보인식장치(10)의 인식플레이트(18) 상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신장감지센서(13a)와 안면인식카메라(13b) 및 카메라이동유닛(13c)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신장감지센서(13a)는 인증대상자의 신장(키)을 감지하여 상기 안면인식카메라(13b)로 촬영가능한 안면인식 위치를 자동설정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신장감지센서(13a)는 안면인식과정에서 상기 안면인식카메라(13b)가 인증대상자의 정면에 정확하게 위치해야하는 반면, 다양한 인증대상자에 범용적으로 적용되어야만 한다는 특성상 상기 안면인식카메라(13b)의 위치가 탄력적으로 자동 보정될 수 있게 인증대상자마다 신장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신장감지센서(13a)는 상기 안면인식카메라(13b)의 양측에 위치하되 상기 인식플레이트(18)의 상하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신장감지센서(13a)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만큼 인증대상자의 신장을 측정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신장감지센서(13a)은 전방 즉 인증대상자의 위치를 향해 감지발광선이 직선으로 조사되므로 인증대상자의 신장을 감지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신장감지센서(13a)는 일반적인 초음파센서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면인식카메라(13b)는 상기 정보인식장치의 앞쪽에 위치한 인증대상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안면인식하도록 구성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면인식카메라(13b)에는 장애인 즉 인증대상자를 향해 환하게 빛을 비추는 조명수단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조명수단은 LED소자의 발광원리를 이용한 LED조명의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면인식카메라(13b)는 인증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한 후 영상을 안면인식하기 위해 분석한다.
상기 안면인식카메라(13b)를 통해 안면인식기술은 인증대상자의 얼굴 각 부위(눈썹, 눈, 코, 입 등)별 형상이나 위치 및 크기 등을 추출하여 분석하므로 인식하게 된다.
상기에서 안면인식카메라(13b)에 의한 인증대상자의 안면인식절차를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인증대상자의 안면 중 눈썹 형상을 추출한 다음 눈, 코, 입 각각의 위치를 추출하는 동시에 눈, 코, 입 개개의 크기를 추출하고, 인증대상자의 얼굴을 주위 배경으로부터 분리하여 얼굴윤곽을 추출함에 따라 안면을 인식한다.
상기 안면인식카메라(13b)에서는 Haar특징값 추출 알고리즘이나 아다부스트(AdaBoos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을 검출 및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카메라이동유닛(13c)은 상기 신장감지센서(13a)와 연동하여 구동하고, 상기 안면인식카메라(13b)를 위치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카메라이동유닛(13c)은 상기 신장감지센서(13a)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로부터 구동하되 인증대상자의 안면 전방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안면인식카메라(13b)를 이동시키도록 구동한다.
상기 카메라이동유닛(13c)은 상기 인식플레이트(18) 상에 일정한 범위 내로 유동가능하되 상기 안면인식카메라(13b)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한다.
상기와 같이 인증대상자의 신장을 감지하여 안면인식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토록 구성하게 되면, 다양한 신장에 대응하여 탄력적인 안면인식을 도모하면서 안면인식의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정보인식장치(10)에는 상기 제어서버부(20)와 신호를 송수신가능하게 유선 또는 무선 통신기기를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다.
상기에서 무선통신망의 유형은 일반적인 무선통신인 AP(associated press)통신망 또는 고속 무선통신인 LTE(long term evolution)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무선통신가능토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면비교판별부(14)는 상기 안면인식부(13)로부터 정보를 인식하되 장애인전용 주차구역(P)에 주차한 후 해당차량에서 하차한 탑승자의 인식정보를 상기 안면인식부(13)에 의해 초기에 등록된 장애인 정보와 비교하여 장애인 탑승 여부를 비교 판별한다.
상기 정보인식장치(10)에는 상기 제어서버부(20)로부터 등록 및 인증, 경고 등과 관련된 결과정보를 수신하되 결과정보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가능한 음성출력부(15)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음성출력부(15)는 상기 제어서버부(20) 중에서 하기 송수신수단(21)으로부터 송신되는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안내메시지를 음성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서버부(20)로부터 등록된 안면인식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안면등록을 요구하는 방송을 상기 음성출력부(15)를 통해 음성 출력하고, 상기 제어서버부(20)로부터 등록된 안면인식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안면인식을 요구하는 방송을 상기 음성출력부(15)를 통해 음성 출력하게 된다. 또한 인증대상자가 안면등록절차를 지연 및 거부하거나 안면인증절차를 지연 및 거부하는 경우 불법주차에 따른 경고방송과 관련된 안내메시지를 상기 음성출력부(15)를 통해 음성 출력하게 된다.
상기 음성출력부(15)는 상기 정보인식장치(10)에서 음성출력되도록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스피커를 장착하여 상기 정보인식장치(10)와는 떨어진 다른 위치에서 음성출력되도록 분리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보인식장치(1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7)과 상기 인식플레이트(18)가 상호 분리된 구조를 이루되 상기 지지프레임(17)과 상기 인식플레이트(18)의 사이에 구비되는 승강안내수단(19)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승강안내수단(19)은 상기 인식플레이트(18)가 상기 지지프레임(17) 상에 상하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구동토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승강안내수단(19)의 구동은 상기 차량인식부(11) 및 주차증인식부(12)로부터 주차차량이 인식된 이후 상기 신장감지센서(13a)에서 인증대상자의 신장을 감지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인식플레이트(18)가 자동으로 하강구동토록 구성하거나, 상기 인식플레이트(18) 상에 하향감지하는 별도의 감지수단(도면에 미도시)을 구비한 후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인식플레이트(18)가 자동으로 하강구동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승강안내수단(19)을 구성하게 되면, 안면인식을 위한 인식위치를 낮은 위치까지 이동가능하여 거동이 어려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원활한 안면인식절차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서버부(20)는 여러 장애인전용 주차구역(P)마다 설치된 복수 개의 상기 정보인식장치(10)로부터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와 함께 안면인식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판단한 후 상황에 따라 구분된 결과정보를 상기 정보인식장치(10)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서버부(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수신수단(21) 및 데이터저장수단(23)과, 정보매칭수단(27)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송수신수단(21)은 상기 정보인식장치(10)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즉 상기 송수신수단(21)은 상기 정보인식장치(10)의 차량인식부(11)와 주차증인식부(12)로부터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를 수신하면서 상기 안면인식부(13)로부터 안면 및 복지카드 인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서버부(20)를 통해 판단된 결과정보를 상기 정보인식장치(10)에 송신가능하게 구비한다.
상기 데이터저장수단(23)에서는 상기 정보인식장치(10)로부터 상기 송수신수단(21)을 통해 수신된 정보들을 등록 저장한다. 즉 상기 차량인식부(11)와 상기 주차증인식부(12)로부터 수신된 차량인식정보(예를 들면 차량번호)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와 함께 상기 안면인식부(13)로부터 수신된 안면인식정보를 등록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저장수단(23)에서는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와 함께 안면인식정보를 상호 연계하여 등록 저장한다.
예를 들면 장애인전용 주차구역(P) 내에 주차하는 차량의 고유 차량번호인 차량인식정보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와 함께 해당 차량의 장애인인 인증대상자에 대한 안면인식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데이터저장수단(23)에 구분등록하도록 저장한다.
상기 제어서버부(20)에는 상기 데이터저장수단(23) 상에 등록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검색수단(25)을 구비한다.
상기 정보검색수단(25)에서는 상기 정보인식장치(10)의 차량인식부(11) 및 주차증인식부(12)로부터 수신된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를 기준으로 정보를 검색하되 상기 차량인식부(11) 및 주차증인식부(12)로부터 수신된 차량에 대한 등록정보 즉 상기 데이터저장수단(23)에서의 차량등록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차량의 차량인식정보 및 장애인 주차증과 관련된 인증대상자의 안면등록 여부를 검색한다.
상기 제어서버부(20)에서는 상기 정보검색수단(25)을 통해 차량등록상태 확인 및 안면등록 여부를 검색한 결과에 대해 상기 정보인식장치(10)에 결과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제어서버부(2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보검색수단(25)의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인식장치(10)에 구분된 결과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정보검색수단(25)을 통해 차량등록상태 확인 및 안면등록 여부를 검색한 결과 미등록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정보인식장치(10)에 정보등록절차를 요구하는 결과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검색수단(25)을 통해 차량등록상태 확인 및 안면등록 여부를 검색한 결과 등록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정보인식장치(10)에 정보인증절차를 요구하는 결과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서버부(20)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보검색수단(25)을 통한 검색결과 미등록상태인 경우에는 정보등록절차를 진행하되, 상기 차량인식부(11)와 주차증인식부(12)로부터 수신된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23)에 등록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정보인식장치(10)에 안면등록을 요구하는 결과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안면인식부(13)로부터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와 함께 안면인식정보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23)에 등록 저장하여 정상적인 정보등록절차를 진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서버부(20)에서는 상기 정보인식장치(10)에 안면등록을 요구한 후에도 상기 안면인식부(13)를 통해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채 설정시간(예를 들면 1~2분 정도) 동안 등록절차가 지연되면 등록절차를 거부한 경우로 인식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서버부(20) 상에 안면인식정보가 미등록된 인증대상자에서 상기 정보인식장치(10)를 통해 안면등록할 것을 요구하였으나, 인증대상자가 등록을 지연하거나 거부한 채 설정시간인 1~2분의 시간이 경과했어도 상기 정보인식장치(10)의 안면인식부(13)를 통한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등록절차거부의사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서버부(20)에서는 등록절차거부의사로 인식판단되면 상기 정보인식장치(10)에 해당 결과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정보인식장치(10)의 음성출력부(15)를 통해 경고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결과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서버부(20)에서는 상기 차량인식부(11)와 주차증인식부(12)를 통해 인식된 차량인식정보를 관할단속기관에 신고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서버부(20)로부터 관할단속기관에 신고함에는 문자메시지나 메일 등의 온라인통신수단을 통해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서버부(20)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보검색수단(25)을 통해 차량등록상태 확인 및 안면등록 여부를 검색한 결과 등록상태인 경우에는 정보인증절차를 진행하되, 상기 정보인식장치(10)에 안면인증을 요구하는 결과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안면인식부(13)로부터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매칭수단(27)을 통해 안면인식정보를 비교판단하여 정상적인 정보인증절차를 진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서버부(20)에서의 정보인증절차의 경우 상기 정보매칭수단(27)을 기반으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정보매칭수단(27)은 상기 차량인식부(11)와 상기 주차증 인식부(12)로부터 수신된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저장수단(23)에 등록된 안면등록정보와 상기 안면인식부(13)로부터 수신된 안면인식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보매칭수단(27)에서 판단된 결과정보는 상기 송수신수단(21)을 통해 상기 정보인식장치(1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서버부(20)에서는 상기 정보인식장치(10)에 안면등록을 요구한 후에도 상기 안면인식부(13)를 통해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채 설정시간(예를 들면 1~2분 정도) 동안 인증절차가 지연될 경우 인증절차를 거부한 경우로 인식한다.
상기 제어서버부(20)에서는 인증절차거부의사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정보매칭수단(27)을 통한 매칭결과가 불일치하게 되면, 상기 정보인식장치(10)를 통해 경고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결과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차량인식부(11) 및 상기 주차증 인식부(12)를 통해 인식된 차량인식정보를 관할단속기관에 문자메시지나 메일 등의 온라인통신수단을 통해 신고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과 함께 주차차량에 해당한 장애인의 복지카드 및 안면인식을 통해 인식된 정보를 초기 등록한 정보와 매칭시켜 비교판단하도록 구성하므로,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에 장애인이 탑승하지 않은 차량의 불법주차를 사전에 차단함은 물론 실질적인 장애인의 편의를 도모하고,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의 설치취지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차량정보나 안면정보에 대한 등록절차를 개개의 주차장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바쁜 일상생활로부터 시간을 절약하고 몸이 불편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다는 특성상 등록절차가 매우 간편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정보인식장치 11 : 차량인식부
12 : 주차증인식부 13 : 안면인식부
13a : 신장감지센서 13b : 안면인식카메라
13c : 카메라이동유닛 14 : 안면비교판별부
15 : 음성출력부 17 : 지지프레임
18 : 인식플레이트 19 : 승강안내수단
20 : 제어서버부 21 : 송수신수단
23 : 데이터저장수단 25 : 정보검색수단
27 : 정보매칭수단 P :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Claims (9)

  1.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내 불법주차를 단속하는 주차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에 진입하는 주차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정보를 인식하는 차량인식부와, 주차차량의 장애인 주차증을 촬영하여 장애인 주차증정보를 인식하는 주차증인식부와, 차량의 탑승객 중 해당 장애인의 얼굴 영상과 함께 시, 군, 구로부터 장애인임을 증명하여 발급받은 복지카드를 촬영한 후 분석하여 장애인의 정보를 인식하는 안면인식부와, 상기 안면인식부로부터 정보를 인식하되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에 주차 후 해당차량에서 하차한 탑승자의 인식정보를 상기 안면인식부에 의해 초기에 등록된 장애인 정보와 비교하여 장애인 탑승 여부를 비교 판별하는 안면비교판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인식장치와;
    상기 정보인식장치로부터 차량,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 및 복지카드, 안면 인식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결과정보를 송신가능하게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송수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인식장치에서 수신된 정보들을 상호 연계하여 등록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과, 상기 차량인식부와 주차증인식부로부터 수신된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등록된 복지카드 및 안면등록정보와 상기 안면인식부로부터 수신된 복지카드 및 안면인식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송수신수단에 결과정보를 전달하는 정보매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인식장치에는 상기 제어서버부의 송수신수단으로부터 결과정보를 수신하되 안내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가능하게 구비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인식장치의 안면인식부는, 인증대상자의 신장으로부터 안면 위치를 감지하는 신장감지센서와, 인증대상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인식하는 안면인식카메라와, 상기 신장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로부터 인증대상자의 안면 전방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안면인식카메라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이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보인식장치는,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차량인식부와 상기 주차증인식부 및 상기 안면인식부를 구비하는 인식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보인식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인식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인식플레이트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상하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승강안내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부에는 상기 정보인식장치의 차량인식부와 상기 주차증인식부로부터 수신된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서 차량등록상태 확인 및 안면등록 여부를 검색하는 정보검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부에서는 상기 정보검색수단을 통해 차량등록상태 확인 및 안면등록 여부를 검색한 결과 미등록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차량인식부와 상기 주차증인식부로부터 수신된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등록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안면등록을 요구하는 결과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안면인식부로부터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차량 및 장애인 주차증 인식정보와 함께 안면인식정보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등록 저장하여 정상적인 정보등록절차를 진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부에서는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안면등록을 요구한 후에도 상기 안면인식부를 통해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채 설정시간 동안 등록절차가 지연되면 등록절차를 거부한 경우로 인식하고, 상기 정보인식장치를 통해 경고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결과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차량인식부와 상기 주차증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차량인식정보를 관할단속기관에 신고하도록 이루어지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부에서는 상기 정보검색수단을 통해 차량등록상태 확인 및 안면등록 여부를 검색한 결과 등록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안면인증을 요구하는 결과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안면인식부로부터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매칭수단을 통해 안면인식정보를 비교판단하여 정상적인 정보인증절차를 진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부에서는 상기 정보인식장치에 안면등록을 요구한 후에도 상기 안면인식부를 통해 안면인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채 설정시간 동안 인증절차가 지연됨에 따라 인증절차를 거부한 경우로 인식되거나 상기 정보매칭수단을 통한 매칭결과가 불일치하게 되면, 상기 정보인식장치를 통해 경고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결과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차량인식부와 주차증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차량인식정보를 관할단속기관에 신고하도록 이루어지는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KR1020140090902A 2014-07-18 2014-07-18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KR101610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902A KR101610663B1 (ko) 2014-07-18 2014-07-18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902A KR101610663B1 (ko) 2014-07-18 2014-07-18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786A true KR20160010786A (ko) 2016-01-28
KR101610663B1 KR101610663B1 (ko) 2016-04-11

Family

ID=55309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902A KR101610663B1 (ko) 2014-07-18 2014-07-18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66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7307A (zh) * 2016-09-30 2017-01-04 防城港市港口区高光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停车场管理系统
CN108284449A (zh) * 2018-03-16 2018-07-17 苏州博众机器人有限公司 一种门卫机器人和门卫机器人的执勤方法
WO2018194417A1 (ko) * 2017-04-21 2018-10-25 (주)이노씨앤에스 주차 구역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180121094A (ko) * 2017-04-28 2018-11-07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무인 주차장 차량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060395A (zh) * 2019-04-16 2019-07-26 南京奇偶创想人工智能研究院有限公司 幼儿园用人脸识别一体机
CN110189456A (zh) * 2019-06-26 2019-08-30 苏州朗捷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识别的可视对讲门禁系统
CN111523364A (zh) * 2019-02-05 2020-08-1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处理系统、可读存储介质和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581A (ko) 2018-01-22 2019-08-16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4936A (ja) * 2002-05-28 2003-12-03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写真撮影装置
JP2010186383A (ja) * 2009-02-13 2010-08-26 Masataka Sumida 身障者用駐車スペース管理システム
KR101050449B1 (ko) * 2010-06-23 2011-07-19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지능형 장애인 주차면 관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7307A (zh) * 2016-09-30 2017-01-04 防城港市港口区高光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停车场管理系统
WO2018194417A1 (ko) * 2017-04-21 2018-10-25 (주)이노씨앤에스 주차 구역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180121094A (ko) * 2017-04-28 2018-11-07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무인 주차장 차량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8284449A (zh) * 2018-03-16 2018-07-17 苏州博众机器人有限公司 一种门卫机器人和门卫机器人的执勤方法
CN111523364A (zh) * 2019-02-05 2020-08-1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处理系统、可读存储介质和车辆
CN111523364B (zh) * 2019-02-05 2023-11-0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处理系统、可读存储介质和车辆
CN110060395A (zh) * 2019-04-16 2019-07-26 南京奇偶创想人工智能研究院有限公司 幼儿园用人脸识别一体机
CN110189456A (zh) * 2019-06-26 2019-08-30 苏州朗捷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识别的可视对讲门禁系统
CN110189456B (zh) * 2019-06-26 2024-04-05 苏州朗捷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识别的可视对讲门禁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663B1 (ko)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663B1 (ko)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US10981497B2 (en) Control system of autonomous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S2822293T3 (es) Dispositivo para el control del paso de personas
AU2006200828B2 (en) Face authenticating apparatus and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apparatus
ES2952721T3 (es) Inspección de fronteras con cámaras aéreas
US10431076B2 (en) Smart crosswalk safety system for pedestrian
KR101978368B1 (ko) 영상 송출을 활용한 장애인 주차구역 실시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634943B1 (ko) 탑승자 생체인식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RU2017131847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слежения за пассажирами
KR101067102B1 (ko) 장애인 전용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1695466B1 (ko) 횡단보도 보행안전 관리시스템 및 그 보행안전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보행안전 관리방법
KR101651008B1 (ko) 장애인 주차구역 감시장치
KR20140019107A (ko)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을 알려주는 주차구역 제공서비스 장치
KR20110011893A (ko) 지정주차공간의 주차관리 및 이동 유도장치
KR20160084596A (ko) 불법주차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101803697B1 (ko)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차 감시장치
JP2008158678A (ja) 人物認証装置および人物認証方法および入退場管理システム
KR20150087471A (ko) 대중 교통 승·하차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289772B1 (ko) 2차 출입 통제 방법,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
KR102217424B1 (ko) 자율주행 대용량 간선 급행버스의 승객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류장 지원시스템
KR101558908B1 (ko)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2004998B1 (ko)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
KR102134757B1 (ko) 스쿨존 단속 시스템
TWI579810B (zh) 交通盲助系統及方法
KR102162313B1 (ko) 주차된 차량 위치 알려주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