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637A -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637A
KR20160010637A KR1020160003081A KR20160003081A KR20160010637A KR 20160010637 A KR20160010637 A KR 20160010637A KR 1020160003081 A KR1020160003081 A KR 1020160003081A KR 20160003081 A KR20160003081 A KR 20160003081A KR 20160010637 A KR20160010637 A KR 20160010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washing
water
washing wate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9985B1 (ko
Inventor
김주수
Original Assignee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9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젤라틴 캡슐이 담겨져 건조되는 바스켓의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본체에 덮개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케이싱과, 케이싱에 내장되는 바스켓과, 바스켓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와, 케이싱 내부로 바람을 불어주기 위한 송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케이싱본체는 내공간의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격실을 구비하며, 격실에는 격실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장치와 격실로 분사된 세척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장치으로 이루어지는 세척장치를 장착함으로써 바스켓을 탈거하고 운반하는 절차가 필요없이 바스켓이 건조장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격실 내부에서 바스켓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되며, 건조장치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구동장치와 송풍장치를 활용하여 바스켓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바스켓을 간단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Device for drying a soft gelatine capsule with washing basket}
본 발명은 젤라틴 캡슐이 담겨져 건조되는 바스켓의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젤라틴 캡슐 건조를 완료한 후 바스켓을 탈거할 필요없이 건조장치 내부에 바스켓이 장착된 상태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제약 또는 식품용 젤라틴 캡슐은 캡슐 성형기를 이용하여 젤라틴을 원료로 하여 외피를 성형함과 동시에 캡슐의 내부에 약액을 주입하여 제작이 이루어지고, 이렇게 제작된 캡슐은 표면에 오일성분 등이 남아서 점성을 갖기 때문에 캡슐끼리 서로 들러붙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외피가 손상되거나 불량제품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캡슐 성형기에서 젤라틴 캡슐을 성형한 후에 캡슐을 건조장치로 이송하여 캡슐의 표면에 남아있는 잔여 성분을 제거하게 된다.
이를 위한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의 구성은, 케이싱에 망체로 이루어진 바스켓이 장착되고, 케이싱 내부로는 바스켓을 회전하기 위한 구동장치 및 공기를 불어 건조시키기 위한 송풍장치가 장착되어 바스켓이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바스켓 내부로 공기를 불어주어서 젤라틴 캡슐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젤라틴 캡슐의 건조가 완료된 이후에는 바스켓의 망체에 캡슐에서 떨어진 오일성분이나 젤라틴 성분의 파티클이 지저분하게 붙어 있으므로 다른 캡슐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바스켓 세척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바스켓을 케이싱으로부터 탈거하고 바스켓을 세척실로 이송한 후 세척하고 세척이 완료된 바스켓을 재장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매우 어렵다.
즉, 건조장치에 장착되는 바스켓의 장착구조는 여러 개의 건조장치를 직렬로 연결할 경우에도 건조실이 연통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바스켓의 탈부착 구조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바스켓을 탈거하거나 재장착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그리고 건조장치에 내장되는 바스켓 용량은 대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 혼자서는 작업할 수가 없으며, 여러 명의 작업자가 케이싱의 덮개를 개방한 후, 바스켓을 꺼내어 세척하고,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케이싱에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많은 시간적인 손실과 불필요한 인력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바스켓을 세척하는 방법도 세척실로 운반한 후 작업자가 직접 물를 뿌려가면서 수작업으로 직접 세척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세척 상태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세척하는 것이므로 제대로 청결하게 세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가 어려우며, 특히 작업자에 따라서는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며, 이렇게 바스켓에 잔여물질이 남아있는 상태로 건조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하면 추후 건조되는 캡슐에 이전의 캡슐에 함유되어 있던 오일성분이나 기타 물질이 새로 건조되는 캡슐의 표면에 묻어서 오염될 우려가 있다.
KR 200444543 Y1 KR 200451881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장치 내부에 세척수단을 마련하여 건조장치에 바스켓이 장착된 상태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스켓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인력이 필요없이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캡슐 건조를 위하여 건조장치에 장착되는 구동장치 및 송풍장치를 그대로 바스켓 활용하도록 하여 제작비를 최소화하도록 하면서 기존의 세척방식보다 세척능력이 향상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케이싱본체에 덮개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케이싱과, 케이싱에 내장되는 바스켓과, 바스켓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와, 케이싱 내부로 바람을 불어주기 위한 송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케이싱본체는 내공간의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격실을 구비하며, 격실에는 격실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장치와 격실로 분사된 세척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장치으로 이루어지는 세척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세척수를 분사하여 격실 내부에서 바스켓 세척을 수행한 후 구동장치와 송풍장치를 가동시켜 바스켓의 세척 및 건조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에 의하면, 젤라틴 캡슐건조가 완료된 후에 바스켓을 세척실로 운반할 필요가 없이 바스켓이 건조장치에 장착된 상태로 세척이 가능하므로 세척시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고, 건조장치를 짧은 시간에 재가동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바스켓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바스켓을 탈거하거나 재장착하거나 운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노동력이 필요치 않으므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고, 건조장치에 장착된 구동장치 및 송풍장치를 그대로 바스켓 세척에 활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바스켓 세척이 가능하게 되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밀폐된 건조장치 내부에서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에 수작업으로 세척하는 것에 비하여 오일성분이나 이물질의 제거에 있어서 현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외부적인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향상된 세척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세척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세척수 공급 및 배출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또 다른 세척수 공급 및 배출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세척수 분사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세척수 담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세척수 배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스켓 건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송풍장치의 개폐장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개폐장치의 개폐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스켓 세척단계를 나타내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는 케이싱본체(120)에 덮개(140)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케이싱(100)과, 케이싱(100)에 내장되는 바스켓(200)과, 바스켓(200)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300)와, 케이싱(100) 내부로 바람을 불어주기 위한 송풍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본체(120)는 내공간의 실링이 이루어져 격실(160)이 구비되고, 격실(160)에는 격실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장치(520)와 격실로 분사된 세척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장치(540)으로 이루어지는 세척장치(500)가 장착될 수 있다.
케이싱(100)은 젤라틴 캡슐의 건조를 위하여 바스켓(200)이 삽입될 수 있게 내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싱본체(120)가 형성되고, 케이싱본체(120)의 상부에는 덮개(140)가 장착되어 내공간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되며, 케이싱본체(120)의 양 측벽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바스켓(200)이 케이싱(100)에 내장된 상태에서 바스켓(200)으로 젤라틴 캡슐을 투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케이싱본체(120)의 내공간은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실링이 이루어진 격실(160)로 구성된다.
바스켓(200)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내부에 담겨지는 젤라틴 캡슐을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망체(220)의 양단에 젤라틴 캡슐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240)와 건조가 이루어진 젤라틴 캡슐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60)가 각각 형성된다.
바스켓(200)은 구동장치(300)와 연결되어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구동장치(300)는 전원의 인가를 받아서 작동하는 구동모터(320)와 바스켓(200)을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동수단(34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동수단(340)은 구동모터(320)와 바스켓(200)을 기어방식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체인이나 밸트 방식으로 연결하여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바스켓(200)의 내부에는 바스켓(20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을 건조하거나 또는 배출 유도하기 위한 유도날개(28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모터(320)의 구동력이 정방향으로 발생할 경우에는 캡슐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반대로 구동모터(320)의 구동력이 역방향으로 발생할 경우에는 캡슐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바스켓(200)의 하단에는 바스켓을 지지하면서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롤러(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구동장치(300)의 구동모터(320)는 격실(160)의 외부에 장착되도록 하면서 연동수단(340)과 가이드롤러(360)가 격실 내부에 장착되어 바스켓(200)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동수단(340)과 가이드롤러(360)의 장착구조는 격실(160)의 외부로 누수가 방지되도록 실링 처리가 이루어진다.
송풍장치(400)는 케이싱본체(120)의 후방에 송풍구(420)가 장착되어 격실(160) 내부로 바람을 불어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장치(400)에는 송풍 온도를 높이기 위한 온풍 히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으며, 격실(160) 내부가 열풍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건조시 기화시간을 단축하여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세척장치(500)는 젤라틴 캡슐의 건조가 완료되면 캡슐을 배출한 후 바스켓(200)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격실(160)의 일단에 분사장치(520)가 장착되며, 분사장치(520)는 복수의 노즐(522)이 세척수가 공급되는 공급관(524)에 배열되게 장착되어 노즐(522)을 통한 고압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분사장치(520)는 케이싱본체(120)의 후방 상측에 장착하였으나, 전, 후방에 각각 장착하여 양방향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노즐(522)을 상,하로 조작하여 노즐(522)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각도를 조절하도록 하거나, 또는 노즐(522)의 구멍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세척수의 분사범위 조절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노즐(522)의 구멍 크기를 조절하여 세척수의 분사범위 조절을 할 경우에는 분사압력에 따라 분사범위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케이싱(100)의 격실(160)에는 분사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장치(540)가 장착되며, 이 배수장치(540)는 격실(160) 바닥에 배수구(542)를 형성하고, 그 배수구(542)와 배출관(544)을 연결하여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분사장치(520)를 이용하여 바스켓(200)에 세척수를 고압 분사하여 격실 내부에서 바스켓 세척을 수행한 후, 구동장치(300)를 가동시켜 바스켓(200)을 회전시키면서 송풍장치(400)를 가동시켜 바스켓(200)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배출관(544)에는 드레인밸브(546)를 장착하여 배출관(544)의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세척수의 배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장치(540)의 유로 개폐가 이루어 분사장치(520)를 통하여 분사된 세척수를 격실(160)에 저장할 수 있게 되며, 바스켓(200)의 하단이 잠길 때까지 세척수를 저장하여 바스켓(200)에 묻어있는 이물질의 불림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격실(160)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담수량은 바스켓(200)의 투입구(240) 및 배출구(260)가 형성되는 부분과 송풍장치(400)의 송풍구(420)가 장착된 부분보다 낮은 높이로 담수 수위가 차오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바스켓(200)의 투입구(240) 및 배출구(260) 높이까지 수위가 차오르거나 또는 송풍장치(400)의 송풍구(420)까지 수위가 차오르게 될 경우 별도의 실링을 해주어야 하는데, 그보다는 상기의 수위까지 차오르기 이전에 바스켓(200)의 하단이 잠기게 되는 정도에서 수위를 차단한 후 바스켓(200)을 구동장치(300)에 의하여 회전시켜줌으로써 바스켓(200)의 불림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격실(160)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560)가 장착하여 격실(160)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서 분사장치(520)에서 세척수 공급 여부를 제어하도록 하거나, 배수장치(540)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배출여부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격실(160)의 하단에 세척수의 담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저수위센서(562)를 장착하고, 세척수의 최고수위를 한정하기 위한 부분에는 고수위센서(564)를 장착하여 저수위센서(562)와 고수위센서(564)에서 각각 격실(160)에 저장된 세척수의 저수위와 고수위를 감지하여 건조장치의 제어부(600)로 감지신호를 포워딩함으로써 제어부(600)에서 분사장치(520) 또는 배수장치(540)의 가동 여부 및 가동 타이밍을 설정하여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분사장치(52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즉시 배출시키거나, 또는 배수장치(540)를 차단하여 격실 내부에 세척수를 담수할 수 있게 되고, 격실에 세척수를 담수할 경우에 세척수가 일정한 수위에 도달하면 세척수 공급을 중단한 후 바스켓의 불림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수위센서(564)가 고장나거나 작동 오류로 인하여 세척수의 담수량이 고수위를 초과하게 될 경우를 대비하여 세척수의 오버플로우를 유도하기 위한 보조배수장치(5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보조배수장치(580)는 격실(160)의 일단에 개구부(582)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582)에 배수유로(584)를 형성하여 개구부(582)를 통하여 오버플로우되는 세척수가 배수유로(584)를 통하여 케이싱(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조배수장치(580)는 물기에 가장 취약한 송풍장치(400)의 송풍구(420) 전단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개구부(582)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없이 송풍구(420)가 보조배수장치(580)의 개구부(582)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장치(400)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구(420)로 세척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개폐장치(4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폐장치(440)는 송풍구(420)에 장착대(442)를 장착하고, 그 장착대(442)에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슬라이딩 셔터(444)를 장착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공간활용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이러한 개폐장치(440)의 구조는 측면으로 슬라이딩 작동하거나, 또는 절첩방식에 의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건조장치에서 바스켓 세척을 수행할 경우에는 개폐장치(440)를 차단하여 분사장치(520)를 이용하여 세척수를 분사하거나, 또는 불림이나 헹굼 단계에서 세척수가 튀면서 송풍구(420) 내부로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며, 세척수를 이용한 바스켓 세척이 완료된 이후에는 개폐장치(440)를 개방한 후 송풍장치(400)를 활용하여 바스켓(200)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싱(100)은 덮개(140)에 공기배출을 위한 배출구(1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배출구(142)에는 자중에 의하여 배출구(142)를 자동차단하는 개방수단(14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바스켓(200)을 불림하는 단계 또는 송풍장치(400)를 이용하여 바스켓(200)을 건조하는 단계에서 격실(160)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될 경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힌지 구조로 장착되어 절첩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개방수단(144)을 장착하여 격실(160)의 내부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만 공기배출을 위하여 배출구(142)가 개방되도록 하고, 공기배출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개방수단(144)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배출구(142)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장치(500)는 분사장치(520)가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탱크(526)와 연결되어 세척수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러 개의 건조장치(T)를 복수로 연결하여 구성할 경우 하나의 공급탱크(526)에서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또는 각각의 건조장치(T)에 공급탱크(526)를 장착하여 세척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공급탱크(526)는 도 8과 같이 하나의 탱크를 이용하여 세척 및 헹굼을 위한 세척수를 모두 공급하도록 하거나, 또는 도 9와 같이 세척용 탱크(526a)와 헹굼용 탱크(526b)로 분리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세척용 탱크(526a)와 헹굼용 탱크(526b)로 분리 구성하는 경우에는 헹굼용 탱크(526b)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가 세척용 탱크(526a)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보다 상대적으로 이물질이 적게 함유되어 있는 정제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급탱크(526)는 세제통(528)을 장착하여 자동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척장치(500)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장치(520)에 의하여 분사된 세척수가 배수장치(540)를 경유하여 분사장치(520)로 재공급되도록 순환라인(53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순환라인(530)에는 재공급되는 세척수를 임시 보관하기 위한 집진용 물탱크(532)가 형성되어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되며, 순환라인(530) 또는 물탱크(532)에 세척수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별도의 필터(534)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가 분사된 후 배출되는 세척수를 분사장치(520)로 재공급되도록 되므로 세척수를 순환 사용하여 세척과정에서 폐기되는 세척수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세척수의 재사용은 세척 공정에서만 순환되는 세척수를 사용하고, 헹굼 공정에서는 불순물이 함유되지 않은 정제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바스켓을 세척하는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스켓 세척방법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배출단계(S100)와, 제1고압 분사단계(S200)와, 담수단계(S300)와, 불림단계(S400)와, 배수단계(S500)와, 제2고압 분사단계(S600)와, 건조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캡슐 배출단계(S100)는 건조가 완료된 젤라틴 캡슐을 배출하기 위한 단계로서, 구동장치(300)를 이용하여 바스켓(200)의 회전방향을 건조시킬 때 회전하는 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젤라틴 캡슐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캡슐 배출이 완료된 후에 세척모드로 전환된다.
제1고압 분사단계(S200)는 바스켓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로서, 바스켓(200)을 구동장치(300)로 회전시키면서 분사장치(520)를 이용하여 세척수를 고압으로 바스켓(200) 표면에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제1고압 분사단계(S200)를 실시하기 이전에 송풍장치(400)에 형성된 개폐장치(440)를 이용하여 송풍구(420)를 차단하는 송풍구 차단단계(S150)를 실시하도록 함이 더 바람직하다.
제1고압 분사단계(S200)에서 세척수는 공급되는 물에 세제통(528)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제를 첨가하여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때 분사에 사용되는 세척수는 상온의 물(대략 25˚내외)을 사용하여도 가능하지만, 더 바람직하게는 바스켓(200)에 붙어있는 오일성분과 젤라틴 불순물를 용해시키면서 바스켓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40°로 가온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젤라틴의 제조를 위한 라인에서는 60~70°의 물이 사용되므로 별도의 가온장치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세척수의 온도를 60~70°로 유지할 수 있으며, 세척수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은 시간에 바스켓(200)의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더 쉽게 용해시키면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수의 온도가 부족한 경우에는 분사장치(520)에서 노즐(522)의 분사압을 더 높임으로써 이물질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분사장치(520)를 통하여 격실에 분사된 세척수는 배수장치(5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그 배출되는 세척수를 분사장치로 순환되어 재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세척수를 분사장치(520)로 순환시켜 재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척을 위한 세척수 공급라인과, 헹굼을 위한 세척수 공급라인을 분기시켜 헹굼을 실시할 경우에는 이물질이 전혀 함유되지 않은 정제수를 사용하여 헹굼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담수단계(S300)는 배수장치를 차단하고 케이싱 내부로 고압 분사된 세척수를 격실에 모아서 바스켓의 하단이 잠기도록 하는 단계로서, 제1고압 분사단계(S200)에서 분사장치(520)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분사가 이루어질 때 격실(160) 하단에 장칙된 배수장치(540)를 차단하면 격실(160)에 세척수가 채워지게 된다.
담수단계(S300)는 제1고압 분사단계(S200)를 먼저 실시한 후 담수단계(S300)를 수행하거나, 또는 제1고압 분사단계(S200)를 수행함과 동시에 드레인밸브(546)를 차단하여 담수단계(S300)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세척수는 먼저 분사하여 바스켓(200)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이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세척수를 즉시 배출하고, 어느 정도 이물질이 제거된 이후에 불림공정을 위해서 별도의 세척수를 추가분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세척수는 바스켓(200)의 하단부가 잠길 정도의 수위로 담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불림단계(S400)는 담수된 물에 바스켓의 하단이 잠긴 상태로 구동장치(300)를 가동시켜 바스켓(200)을 회전시키는 단계로서, 바스켓(200)의 망체(220)에 들러붙어 있는 오일성분이나 젤라틴 성분을 불려서 물에 용해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후술하는 제2고압 분사단게(S600)에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된다.
불림단계에서의 불림시간은 세척수의 온도를 60~70°로 가정할 때 대략 5~10분 정도로 실시함이 바람직하며, 세척수의 온도에 따라서 불림 시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배수단계(S500)는 격실(160)에 담겨져 불림이 이루어진 세척수를 드레인밸브(546)를 개방하여 배출하는 단계로서, 배수단계(S500)를 단독으로 실시하거나, 또는 배수단계(S500)와 함께 제2고압 분사단계(S600)를 실시할 수 있다.
제2고압 분사단계(S600)는 불림이 이루어진 바스켓에 분사장치(520)를 이용하여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바스켓 표면을 헹구는 단계로서, 송풍장치(400)의 송풍구(420)가 개폐장치(440)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고압 분사단계(S600)를 실시하기 이전에 개폐장치(440)를 개방하는 송풍구 개방단계(S650)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 제2고압 분사단계(S600)에서 사용되는 세척수는 이물질이 전혀 함유되지 않은 정제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건조단계(S700)는 송풍장치(400)를 이용하여 세척이 이루어진 바스켓(200)을 건조시키는 단계로서, 세척수 온도가 높거나 송풍 온도가 높을 경우 격실 내부에서 증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송풍장치(400)에 의하여 격실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하거나 또는 증가되는 압력은 배출구(142)와 개방수단(144)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T: 건조장치
100: 케이싱 120: 케이싱본체
140: 덮개 142: 배출구
144: 개방수단 160: 격실
200: 바스켓 220: 망체
240: 투입구 260: 배출구
280: 유도날개
300: 구동장치 320: 구동모터
340: 연동수단 360: 가이드롤러
400: 송풍장치 420: 송풍구
440: 개폐장치 442: 장착대
444: 슬라이딩셔터
500: 세척장치
520: 분사장치 522: 노즐
524: 공급관 526: 공급탱크
528: 세제통
530: 순환라인 532: 집진용 물탱크
534: 필터
540: 배수장치 542: 배수구
544: 배출관 546: 드레인밸브
560: 수위감지센서 562: 저수위센서
564: 고수위센서
580: 보조배수장치 582: 개구부
584: 배수유로
600: 제어부

Claims (8)

  1. 케이싱본체(120)에 덮개(140)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케이싱(100);
    케이싱(100)에 내장되는 바스켓(200);
    바스켓(200)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300);
    케이싱(100) 내부로 바람을 불어주기 위한 송풍장치(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케이싱본체(120)는 내공간의 실링이 이루어져 격실(160)이 구비되고,
    격실(160)에는 격실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장치(520)와 격실로 분사된 세척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장치(540)으로 이루어지는 세척장치(500)가 장착되어 세척수를 분사하여 격실 내부에서 바스켓 세척을 수행한 후 구동장치(300)와 송풍장치(400)를 가동시켜 바스켓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되는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500)는,
    배수장치(540)에 드레인밸브(546)가 장착되어 배수장치(540)의 유로 개폐가 이루어져 분사장치(520)를 통하여 분사된 세척수를 격실(160)에 저장할 수 있게 되고,
    격실(160)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560)가 장착되면서 그 수위감지센서(560)는 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분사장치(520)를 작동제어하여 격실(160)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조절이 가능케 되어 바스켓을 불림하여 세척할 수 있게 되는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500)는,
    수위감지센서(560)가 저수위센서(562)와 고수위센서(564)로 이루어져 격실(160)에 저장된 세척수의 저수위와 고수위를 감지하여 분사장치(520) 및 배수장치(540)를 제어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500)는,
    고수위센서(564)를 초과하여 담수되는 세척수의 오버플로우를 유도하기 위한 보조배수장치(5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400)는 송풍구(420)로 세척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개폐장치(4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400)는 송풍 온도를 높이기 위한 온풍 히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500)는,
    분사장치(520)에 의하여 분사된 세척수가 배수장치(540)를 경유하여 분사장치(520)로 재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순환라인(530) 및 그 순환라인(530)에 장착되어 재공급되는 세척수를 임시 보관하기 위한 집진용 물탱크(532)가 형성되어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은 덮개(140)에 공기배출을 위한 배출구(142)와 자중에 의하여 배출구(142)를 자동차단하는 개방수단(1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KR1020160003081A 2016-01-11 2016-01-11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KR101749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081A KR101749985B1 (ko) 2016-01-11 2016-01-11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081A KR101749985B1 (ko) 2016-01-11 2016-01-11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962A Division KR101637232B1 (ko) 2014-05-27 2014-05-27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를 이용한 바스켓 세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637A true KR20160010637A (ko) 2016-01-27
KR101749985B1 KR101749985B1 (ko) 2017-06-22

Family

ID=5530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081A KR101749985B1 (ko) 2016-01-11 2016-01-11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9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8384A (zh) * 2016-05-09 2016-07-06 中国民航大学 一种嵌入式助航灯具智能清洗装置
CN108655049A (zh) * 2018-05-02 2018-10-16 王长江 针对高粘性制药胶囊吹清自卸料设备
CN109357566A (zh) * 2018-11-14 2019-02-19 山东华鲁恒升化工股份有限公司 列管式换热器高效清洗设备及清洗方法
KR102369239B1 (ko) * 2021-10-25 2022-03-03 큐브젤 주식회사 온/습도 제어가 가능한 연질 캡슐 건조장치
CN115301615A (zh) * 2022-09-15 2022-11-08 盐城雅楠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生产线的玻璃清洗机及其清洗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543Y1 (ko) 2007-06-07 2009-05-20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건조통의 교환이 용이한 의료용 캡슐 건조기
KR200451881Y1 (ko) 2008-12-02 2011-01-18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건조통의 교환이 용이한 캡슐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305Y1 (ko) 1995-07-28 2000-02-01 전주범 세탁기 건조히터의 안전장치
JP3768885B2 (ja) 2002-01-08 2006-04-19 花王株式会社 易崩壊性粒子製造システム
KR200402311Y1 (ko) * 2005-09-21 2005-11-28 김화숙 소프트 젤라틴 캡슐 건조기
KR101224286B1 (ko) * 2012-03-19 2013-01-21 김경아 사료용 발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543Y1 (ko) 2007-06-07 2009-05-20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건조통의 교환이 용이한 의료용 캡슐 건조기
KR200451881Y1 (ko) 2008-12-02 2011-01-18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건조통의 교환이 용이한 캡슐건조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8384A (zh) * 2016-05-09 2016-07-06 中国民航大学 一种嵌入式助航灯具智能清洗装置
CN108655049A (zh) * 2018-05-02 2018-10-16 王长江 针对高粘性制药胶囊吹清自卸料设备
CN108655049B (zh) * 2018-05-02 2020-08-21 绍兴兰卡智能科技有限公司 针对高粘性制药胶囊吹清自卸料设备
CN109357566A (zh) * 2018-11-14 2019-02-19 山东华鲁恒升化工股份有限公司 列管式换热器高效清洗设备及清洗方法
CN109357566B (zh) * 2018-11-14 2023-10-10 山东华鲁恒升化工股份有限公司 列管式换热器高效清洗设备及清洗方法
KR102369239B1 (ko) * 2021-10-25 2022-03-03 큐브젤 주식회사 온/습도 제어가 가능한 연질 캡슐 건조장치
CN115301615A (zh) * 2022-09-15 2022-11-08 盐城雅楠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生产线的玻璃清洗机及其清洗方法
CN115301615B (zh) * 2022-09-15 2023-11-14 盐城雅楠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生产线的玻璃清洗机及其清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985B1 (ko)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985B1 (ko) 바스켓 세척기능을 갖는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TWI425130B (zh) Drum washing machine
US8511116B2 (en) Washing/drying machine
CN106283486B (zh) 衣物护理机及其防霉控制方法
KR10199322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96777B1 (ko) 이중 오버플로우관을 갖는 스팀 컨벡션 오븐용 청소용수 저장탱크
CN100399950C (zh) 清洗装置
JP4792374B2 (ja) 洗浄装置
KR101296774B1 (ko) 청소용수 저장탱크를 갖는 스팀 컨벡션 오븐
KR101637232B1 (ko)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를 이용한 바스켓 세척방법
KR20200029272A (ko) 메탈필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165900B1 (ko) 친환경 폐드럼통 자동세척장치
JP2518130B2 (ja) 食器洗浄器
KR101285781B1 (ko) 노체 냉각을 위한 프로세스 펌프용 여과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US6302123B1 (en) Rotary liquid diverter for industrial parts washer
JP5008575B2 (ja) 食器洗浄機
KR100849986B1 (ko) 호스의 세척건조장치 및 그 방법
CN110548680B (zh) 一种多工序大米清杂除尘工艺
KR20160135544A (ko) 금형의 냉각수 관로용 세정기
JPH1147710A (ja) 各種容器等の被洗浄物の自動洗浄装置
JP6929630B2 (ja) 洗浄機
KR100827565B1 (ko) 자동금형세척기
KR101580125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개방방지를 위한 운전방법
KR101982609B1 (ko)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븐
CN212041911U (zh) 一种全自动药桶清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