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988A -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988A
KR20160009988A KR1020140090637A KR20140090637A KR20160009988A KR 20160009988 A KR20160009988 A KR 20160009988A KR 1020140090637 A KR1020140090637 A KR 1020140090637A KR 20140090637 A KR20140090637 A KR 20140090637A KR 20160009988 A KR20160009988 A KR 20160009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eyepiece
unit
marin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0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9988A/ko
Publication of KR2016000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양 플랫폼에 설치되는 선박 접안부; 상기 선박 접안부를 고정 위치와 변동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해양 플랫폼에서 해수면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위치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해수면 위치에 따라, 상기 선박 접안부에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상기 변동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BOAT LANDING APPARATUS FOR OFFSHORE PLANT}
본 발명은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 플랫폼, 예를 들어 고정식 플랫폼에는 고정식 플랫폼에 필요한 사람 또는 화물을 수송하는 선박이 수시로 접안할 수 있다. 선박이 고정식 플랫폼에 용이하게 접안할 수 있도록, 고정식 플랫폼의 하부 자켓(jacket)에는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접안 설비가 구비되고, 이러한 접안 설비는 자켓에서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접안 설비가 자켓에 고정 설치됨으로 인해, 접안 설비는 선박이 접안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해수에 노출됨으로써 파랑에 의한 환경 하중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다. 또한, 조석간만의 차이, 해상 환경의 변화 등으로 해수면의 높이가 달라지면 선박이 원하는 시간에 접안 설비에 접안하지 못하고 해수면의 높이가 안정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4475호(2014. 03. 20, 선박의 정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양 플랫폼에 설치되는 선박 접안부를 해수면 위치에 따라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위치로 이송할 수 있는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양 플랫폼에 설치되는 선박 접안부; 상기 선박 접안부를 고정 위치와 변동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해양 플랫폼에서 해수면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위치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해수면 위치에 따라 상기 선박 접안부에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상기 변동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선박 접안부는, 상기 해양 플랫폼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탑승 데크;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탑승 데크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탑승 데크;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방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 접안부의 상승 또는 하강 지시를 입력 받는 지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 입력부에 상승 지시가 입력되면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박 접안부를 상기 고정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지시 입력부에 하강 지시가 입력되면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박 접안부를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변동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선박 접안부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선박 접안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해양 플랫폼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랙 기어; 상기 선박 접안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랙 기어에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해양 플랫폼에서 해수면 위치를 감지하여 선박이 선박 접안부에 접안할 수 있는 변동 위치를 결정하고 선박 접안부를 변동 위치로 이송함으로써, 선박 접안부를 평상시에는 파랑에 의한 환경 하중을 받지 않는 고정 위치에 보관할 수 있고, 해수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선박이 접안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를 변동 위치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를 고정 위치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를 변동 위치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를 고정 위치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는 선박 접안부(100), 이송부(200), 지시 입력부(300), 위치 센서(310), 가속도 센서(320), 브레이크(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 접안부(100)는 해양 플랫폼에 설치될 수 있다.
해양 플랫폼은 해상에 설치되는 해양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양 플랫폼은 고정식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해양 플랫폼이 고정식 플랫폼인 경우, 선박 접안부(100)는 고정식 플랫폼의 하부 자켓(10)에 설치될 수 있다. 자켓(10)은 고정식 플랫폼의 선체가 해수면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부에 고정식 플랫폼의 선체가 결합되고 하부가 해저에 고정되는 트러스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선박 접안부(100)는 이송부(200)에 의해 자켓(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선박 접안부(100)는 메인 프레임(110), 제1 탑승 데크(120), 제2 탑승 데크(130) 및 방현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자켓(10)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이송부(200)에 의해 자켓(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탑승 데크(120)는 평평한 상면을 가질 수 있고,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탑승 데크(130)는 평평한 상면을 가질 수 있고,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탑승 데크(120)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방현재(140)는 메인 프레임(1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선박은 메인 프레임(110)의 측면에 접안할 수 있다. 선박이 메인 프레임(110)에 접안할 때 가해지는 충격은 방현재(140)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제1 탑승 데크(120) 또는 제2 탑승 데크(130)는 선박으로부터 사람이나 화물이 하역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선박 접안부(100)는 탑승 데크를 2단 이상으로 구비함으로써 접안하는 선박의 크기 또는 하역에 따른 홀수선 변화에 따라 탑승 데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선박 접안부(100)의 탑승 데크에 하역된 화물이나 사람은 자켓(10)에 설치된 사다리 또는 고정식 플랫폼의 선체에 설치된 크레인 등에 의하여 고정식 플랫폼의 선체 위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부(200)는 선박 접안부(100)를 상하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200)는 선박 접안부(100)를 고정 위치와 변동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이송할 수 있다.
고정 위치와 변동 위치는 자켓(10) 상의 위치일 수 있다.
고정 위치는 자켓(10) 상에 고정된 위치일 수 있고, 변동 위치는 자켓(10) 상에 해수면 위치에 따라 변동하는 위치일 수 있다.
고정 위치는 선박 접안부(100)가 파랑과 만나지 않는 위치로 정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해수면 위치와 고정식 플랫폼의 선체 위치 사이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변동 위치는 선박 접안부(100)에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위치로 정의될 수 있고, 해수면 위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동 위치는 해수면 위치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송부(200)는 랙 기어(210), 피니언 기어(220) 및 구동 모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랙 기어(210)는 자켓(10)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20)는 메인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랙 기어(210)에 치합될 수 있다. 그 결과, 피니언 기어(220)가 회전하면, 메인 프레임(110)은 랙 기어(21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 모터(230)는 피니언 기어(230)를 구동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지시 입력부(300)를 통해 작업자는 선박 접안부(100)의 상승 또는 하강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지시 입력부(300)는 고정식 플랫폼의 선체 또는 선박 접안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지시 입력부(300)가 고정식 플랫폼의 선체 또는 선박 접안부(100)에 설치됨으로써, 허가 받지 않은 선박 또는 해적선이 접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시 입력부(300)에서 입력되는 상승 또는 하강 지시 신호는 제어부(340)로 전송될 수 있다.
위치 센서(310)는 자켓(10)에서 해수면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 센서(310)는 자켓(10)에 설치될 수 있다.
위치 센서(310)에서 감지되는 해수면 위치 정보는 제어부(340)로 전송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320)는 선박 접안부(100)의 가속도, 특히 하강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320)는 선박 접안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320)에서 감지되는 가속도 정보는 제어부(340)로 전송될 수 있다.
브레이크(330)는 선박 접안부(100)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브레이크(330)는 자켓(10), 선박 접안부(100)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지시 입력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상승 또는 하강 지시 신호, 위치 센서(310)에서 감지되는 해수면 위치 정보 및 가속도 센서(320)에서 감지되는 가속도 정보를 기초로, 이송부(200) 또는 구동 모터(230) 및 브레이크(330)를 제어할 수 있다.
선박이 선박 접안부(100)에 접안하는 경우, 제어부(340)는, 일단 지시 입력부(300)를 통해 하강 지시 신호가 입력되면, 위치 센서(310)에서 감지되는 해수면 위치 정보를 기초로 변동 위치를 결정하고, 이송부(200) 또는 구동 모터(230)를 제어하여 선박 접안부(100)를 고정 위치에서 변동 위치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선박이 선박 접안부(100)에 접안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340)는, 일단 지시 입력부(300)를 통해 상승 지시 신호가 입력되면, 이송부(200) 또는 구동 모터(230)를 제어하여 선박 접안부(100)를 기 설정된 고정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가속도 센서(320)에서 감지되는 가속도 정보가 기 설정값 이상이면 자켓(10)과 선박 접안부(100) 사이의 결합구조 또는 이송부(200)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브레이크(330)를 제어하여 선박 접안부(1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는 이송부(200)의 세부 구성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와 거의 유사하다.
이송부(200)는 윈치(240) 및 와이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윈치(240)는 고정식 플랫폼의 선체에 탑재될 수 있다.
와이어(250)의 일단은 윈치(2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선박 접안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는 윈치(240)를 제어함으로써 선박 접안부(100)를 상하로 이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는 이송부(200)의 세부 구성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와 거의 유사하다.
이송부(200)는 유압실린더(2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260)는 자켓(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고, 유압실린더(260)의 피스톤 로드가 선박 접안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는 유압실린더(260)를 제어함으로써 선박 접안부(100)를 상하로 이송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자켓 100: 선박 접안부
110: 메인 프레임 120: 제1 탑승 데크
130: 제2 탑승 데크 140: 방현재
200: 이송부 210: 랙 기어
220: 피니언 기어 230: 구동 모터
240: 윈치 250: 와이어
260: 유압실린더 300: 지시 입력부
310: 위치 센서 320: 가속도 센서
330: 브레이크 340: 제어부

Claims (5)

  1. 해양 플랫폼에 설치되는 선박 접안부;
    상기 선박 접안부를 고정 위치와 변동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해양 플랫폼에서 해수면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위치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해수면 위치에 따라 상기 선박 접안부에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상기 변동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접안부는,
    상기 해양 플랫폼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탑승 데크;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탑승 데크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탑승 데크;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방현재를 포함하는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접안부의 상승 또는 하강 지시를 입력 받는 지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 입력부에 상승 지시가 입력되면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박 접안부를 상기 고정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지시 입력부에 하강 지시가 입력되면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박 접안부를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변동 위치로 하강시키는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접안부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선박 접안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해양 플랫폼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랙 기어;
    상기 선박 접안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랙 기어에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
KR1020140090637A 2014-07-17 2014-07-17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 KR20160009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637A KR20160009988A (ko) 2014-07-17 2014-07-17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637A KR20160009988A (ko) 2014-07-17 2014-07-17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988A true KR20160009988A (ko) 2016-01-27

Family

ID=5530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637A KR20160009988A (ko) 2014-07-17 2014-07-17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99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742B1 (ko) 2016-12-06 2017-04-12 박종춘 선박 접안용 레이저 센서 리프팅 장치
KR101954345B1 (ko) 2018-07-27 2019-06-11 한림코퍼레이션(주) 플로팅 플랫폼을 이용한 접안시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742B1 (ko) 2016-12-06 2017-04-12 박종춘 선박 접안용 레이저 센서 리프팅 장치
KR101954345B1 (ko) 2018-07-27 2019-06-11 한림코퍼레이션(주) 플로팅 플랫폼을 이용한 접안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21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tive motion compensation control of an articulated gangway
CN104114445B (zh) 提升物资的方法、回收物资的系统以及表面支援船
CN104229092B (zh) 船舶横倾平衡自动控制系统和方法
EP2776359B1 (en) Vessel and crane with full dynamic compensation for vessel and wave motion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N105923110A (zh) 一种波浪补偿智能登乘装置
US20110047723A1 (en) Closed-loop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device
US20150344273A1 (en) Crane with heave compensation
RU268488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пуска с кормы корабля-носителя дочернего судна и его подъема на борт
CN108105187B (zh) 一种位置补偿可伸缩式登船栈桥液压系统
CN108438150A (zh) 一种位置补偿可伸缩式登船栈桥的工作方法
CN108411766A (zh) 一种位置补偿可伸缩式登船栈桥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160009988A (ko) 해양 플랫폼의 선박 접안 장치
CN108425315A (zh) 一种位置补偿可伸缩式登船栈桥
CN110546064B (zh) 靠泊装置船舶
KR20160067465A (ko) 가변 스퍼드 캔
CN108412822A (zh) 一种位置补偿可伸缩式登船栈桥回转液压系统及工作方法
CN106429889B (zh) 应用于侧扫声纳拖鱼的自动收放装置
KR101222007B1 (ko) 선체형상정보를 이용한 선박 계류 장치
WO2018177886A1 (en) A lifting device
TW202306839A (zh) 用於從船舶轉移物體至離岸結構的系統以及方法
CA1100447A (en) Hook-mounted vertical motion compensation apparatus
KR101626332B1 (ko) 그린워터 유입 방지 장치 및 제어방법
CN110382345B (zh) 船只转移系统
FI70183C (fi) Anordning pao fartyg foer att lyfta oeverbord och ombord bojstationer eller andra liknande apparater eller apparatkombinationer
KR102508203B1 (ko) 높이 조절용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