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899A -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899A
KR20160009899A KR1020140090398A KR20140090398A KR20160009899A KR 20160009899 A KR20160009899 A KR 20160009899A KR 1020140090398 A KR1020140090398 A KR 1020140090398A KR 20140090398 A KR20140090398 A KR 20140090398A KR 20160009899 A KR20160009899 A KR 20160009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directional
devices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431B1 (ko
Inventor
김호준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0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4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3/00Devices allowing competitions between several pers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중증 장애인이나 노인의 치매 치료에 도움이 되는 놀이 기구를 개발하여 장애인과 노인의 지적 능력을 발달시켜줄 수 있는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있는 경로 지점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는 방향물 장치; 상기 목적지에 배치되는 목적지 장치; 상기 출발지에 대한 출발지 정보와 상기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를 인식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출발 명령에 따라 상기 출발지 정보에서 출발하여 상기 방향물 장치 중 첫번째 방향물 장치로 이동하는 이동 기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기구 장치는 각 상기 방향물 장치에서 안내하는 방향에 따라 다음의 경로 지점에 위치한 방향물 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목적지 장치에 도달하는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장애인(중증 장애인)과 노인 및 어린이의 인지 능력(지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중증 장애인과 치매 노인에 대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및 방법{AN CURE APARATUS FOR IMPROVING OF THE INTELLECTUAL CAPAC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증 장애인이나 노인의 치매 치료에 도움이 되는 놀이 기구를 개발하여 장애인과 노인의 지적 능력을 발달시켜줄 수 있는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달 장애인은 자기표현, 자기결정 등의 자립역량이 부족하거나 불가능하고 장애의 정도가 중증 장애(지적, 자폐성 장애등)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중복장애 비율도 높을 뿐만 아니라, 장애가 평생 지속되어 본인을 비롯한 가족과 사회에 어려움을 초래하였다. 아울러, 최근에는 노인성 치매에 걸리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중증 장애인의 증가로 인하여, 자녀양육부담과 스트레스의 과도함, 스트레스의 반복적인 경험은 가족의 경제적, 사회적 활동기회의 축소뿐만 아니라 심리정서적인 측면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왔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최근에는 중증 장애인과 노인 치매를 예방하고자 이들의 기능 증진과 유지 향상 및 장애 치료를 위해 보조 공학 제품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었으나, 보조 공학 제품들과 게임을 접목한 치료 장치는 아직까지 미미한 수준이었다.
1. 한국공개특허 : 제2013-0004621호, 공개일자 : 2013년 01월 14일, 발명의 명칭 : 장애인용 게임 보조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게임의 즐거움과 휴대단말기의 흥미로움 및 데이터 수집을 접목한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있는 경로 지점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는 방향물 장치; 상기 목적지에 배치되는 목적지 장치; 상기 출발지에 대한 출발지 정보와 상기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를 인식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출발 명령에 따라 상기 출발지 정보에서 출발하여 상기 방향물 장치 중 첫번째 방향물 장치로 이동하는 이동 기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기구 장치는 각 상기 방향물 장치에서 안내하는 방향에 따라 다음의 경로 지점에 위치한 방향물 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목적지 장치에 도달하는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이동 기구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출발 명령을 인식하고, 상기 출발 명령에 따라 직진 이동되어 상기 첫번째 방향물 장치에 도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이동 기구 장치는 9축 센서를 이용하여 방향 및 균형을 자동으로 인식한 후 상기 직진 이동을 수행하여 복수개의 방향물 장치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이동 기구 장치는 RF 통신을 통해 상기 각 방향물 장치를 인식한후, 인식된 각 방향물 장치가 상기 RF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방향 정보에 따라 다음의 방향물 장치로 직진 이동하여 복수개의 방향물 장치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이동 기구 장치는 오랜동안 복수개의 방향물 장치를 통과하기 위하여 목적지 장치를 통해 충전한 다음 직진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이동 기구 장치가 출발지에서 출반한 시작 시간과 상기 이동 기구 장치가 상기 목적물 장치에 도달한 도착 시간 및 상기 방향물 장치를 통과한 방향물 장치 개수를 카운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복수개로 구비될 경우 상기 복수개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각각 상기 시작 시간, 도착 시간 및 방향물 장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고, 각각의 상기 시작 시간, 도착 시간 및 방향물 장치 개수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를 소유한 장애인에 대하여 순위를 매겨 각 휴대 단말기로 알려주는 놀이 치료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a) 휴대 단말기에서 출발지에 대한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b)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휴대 단말기의 출발 명령에 따라 상기 출발지 정보에서 이동 기구 장치가 출발하여 방향물 장치 중 첫번째 방향물 장치로 직진 이동하는 단계; (c) 상기 이동 기구 장치를 RF 통신을 통해 상기 첫번째 방향물 장치에서 인식하는 단계; (d) 인식된 상기 이동 기구 장치에 대하여 다음의 방향물 장치로의 진행 방향을 상기 첫번째 방향물에서 안내하는 단계; 및 (e) 상기 안내에 따라 상기 이동 기구 장치가 직진 이동하여 다음의 경로 지점에 위치한 방향물 장치들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목적지에 위치한 목적지 장치에 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적 능력 향상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지적 능력 향상 치료방법은 (f) 상기 이동 기구 장치가 상기 목적지 장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 기구 장치가 출발지에서 출반한 시작 시간과 상기 이동 기구 장치가 상기 목적물 장치에 도달한 도착 시간 및 상기 방향물 장치를 통과한 방향물 장치 개수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카운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지적 능력 향상 치료방법은 (g) 상기 휴대 단말기가 복수개로 구비될 경우 상기 복수개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각각 상기 시작 시간, 도착 시간 및 방향물 장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놀이 치료 서버에서 제공받는 단계; 및 (h) 각각의 상기 시작 시간, 도착 시간 및 방향물 장치 개수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를 소유한 장애인의 순위를 놀이 치료 서버에서 매겨 각 휴대 단말기로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출발지에서 목적지에 이르기까지 경로 지점을 따라 이동 기구 장치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이동시킴으로써, 장애인(중증 장애인)과 노인 및 어린이의 인지 능력(지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중증 장애인과 치매 노인에 대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출발지에서 목적지에 이르기까지 경로 지점을 따라 이동 기구 장치를 면밀하게 이동시켜야 하므로 장애인(중증 장애인)과 노인 및 어린이의 집중력, 목표의식, 자기주도, 협동력, 사회력등을 배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놀이 치료 서버에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장애별 치료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1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100)에 추가된 놀이 치료 서버(15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적 능력 향상 치료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1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100)는 복수개의 방향물 장치(110), 목적지 장치(120), 휴대 단말기(130) 및 이동 기구 장치(14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방향물 장치(110)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있는 경로 지점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된다. 이때, 경로 지점은 놀이 치료의 강도에 따라 임의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목적지 장치(120)는 목적지에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사용자(장애인, 노인 및 어린이등)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에 위치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목적지 장치(12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30)는 출발지에 대한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를 인식한다. 이때, 상기 출발지 정보는 위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면, 상기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 장치(120)를 인식한 결과의 인식 정보이거나 목적지 장치(120)가 위치한 지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 장치(120)의 위치 또는 인식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의 정보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30)는 이후에 설명될 이동 기구 장치(140)와 연동되어 이동 기구 장치(140)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동 기구 장치(140)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블루투스 통신으로 상기 이동 기구 장치(1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은 2400~2483.5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휴대 단말기(130)와 이동 기구 장치(140)간 간섭을 막기 위하여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2480MHz에서 총 79개 채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기구 장치(14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앞서 설명한 휴대 단말기(130)로부터 출발 명령 신호를 제공받아 출발 명령 신호의 출발 명령에 따라 출발지 정보에서 출발하는 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출발 동작이 행해지면, 복수개의 방향물 장치(110) 중 첫번째 방향물 장치(111)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의 이동은 직진 이동을 의미한다.
상기 직진 이동은 9축 센서(자이로스코프, 가속센서 및 나침반을 포함함)를 통해 가능하게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기구 장치(140)는 외면에 장착된 9축 센서를 이용하여 방향 및 균형을 자동으로 인식한 후 이에 맞게 흔들리지 않고 직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전하게 이동 기구 장치(140)가 목적하는 위치의 첫번째 방향물 장치(111)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첫번째 방향물 장치(111)에 이동 기구 장치(140)가 접근하게 되면, 상기 첫번째 방향물 장치(111)가 이동 기구 장치(140)를 RF 통신을 통해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RF 통신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근거리 통신의 한 기법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여기서의 RF 통신 대신 다른 근거리 통신 방식이 이동 기구 장치(140)와 방향물 장치(110) 사이에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기구 장치(140)와 방향물 장치(110)는 RF 데이터 송수신용 통신 모듈을 구비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이동 기구 장치(140)가 접근해오면,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방향물 장치(111)는 이동 기구 장치(140)의 다음의 경로 지점에 위치한 방향물 장치(112)로의 이동과 관련한 방향을 결정하고, 이를 접근한 이동 기구 장치(140)로 알려준다.
따라서, 본 본발명에 따른 이동 기구 장치(140)는 첫번째 방향물 장치(111)에서 안내해준 방향 정보에 따라 다시 이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의 이동은 이동 기구 장치(140)에 구비된 모터 드라이버(미도시)를 해당하는 방향만큼 회전시켜 직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 원리를 각 경로 지점에 위치한 복수개의 방향물 장치(111~112)마다 이동(통과)하게 되면, 목적지에 위치한 목적지 장치(120)에 최종적으로 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본발명에 따른 이동 기구 장치(140)는 목적지 장치(120)에 도착하게 되면 목적지 장치(120)를 통해 밧테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목적지 장치(120)에서의 밧테리를 충전하는 이유는 다음의 놀이 게임을 위하여 미리 준비하기 위함이다.
놀이 치료 서버의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100)에 추가된 놀이 치료 서버(15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100)의 놀이 치료 서버(150)는 놀이 치료 정보 수집부(151) 및 순위 정보 전송부(152)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놀이 치료 정보 수집부(151)는 앞서 설명한 휴대 단말기(130)가 복수개로 구비될 경우 복수개의 휴대 단말기(130)를 통해 각각 시작 시간, 도착 시간 및 방향물 장치(110)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망(160)을 통해 제공받는다.
이때, 상기 시작 시간은 복수개의 휴대 단말기(130)가 출발지에서 이동 기구 장치(140)를 동작시킬때 발생된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시작 시간은 복수개의 휴대 단말기(130)마다 각기 다른 시간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반면, 상기 도착 시간은 이동 기구 장치(140)가 목적지 장치(120)에 도착하여 발생된 정보를 정보로서 이는 RF 통신을 통해 목적지 장치(120)로부터 도착 시간을 복수개의 휴대 단말기(130)가 획득하여 앞서 설명한 놀이 치료 정보 수집부(151)로 보내온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도착 시간은 수개의 휴대 단말기(130)마다 각기 다른 시간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상기 방향물 장치(110)의 개수는 복수개의 이동 기구 장치(140)마다 방향물 장치(110)를 통과한 개수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기 방향물 장치(110)의 개수는 각 휴대 단말기(130)의 소유자마다 각기 거쳐온 개수가 다름은 물론이다.
이때, 어떤 이동 기구 장치(140)는 해당하는 임의의 경로 지점에 위치한 방향물 장치(110)를 거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더욱더 각 사용자마다 방향물 장치(110)의 개수는 다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순위 정보 전송부(152)는 앞서 설명한 놀이 치료 정보 수집부(151)에서 수집한 각각의 시작 시간, 도착 시간 및 방향물 장치 개수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30)를 소유한 장애인들에 대하여 순위를 매겨 각 휴대 단말기(130)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수집 획득되는 놀이 치료 정보와 순위 정보들은 각 장애별로 치료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적 능력 향상 치료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적 능력 향상 치료방법(S100)은 장애인, 노인 및 어린이의 놀이 치료를 위하여 S110 단계 내지 S180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는 휴대 단말기(130)에서 출발지에 대한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를 인식한다. 상기 인식은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은 결과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출발지 정보는 위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면, 상기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 장치(120)를 인식한 결과에 해당하는 인식 정보이거나 목적지 장치(120)가 위치한 지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 장치(120)의 위치 또는 인식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의 정보일 수도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20 단계에서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휴대 단말기(130)의 출발 명령에 따라 앞서 설명한 S110 단계에 의한 출발지 정보에서 이동 기구 장치(140)가 출발하여 방향물 장치(110) 중 첫번째 방향물 장치(111)로 직진 이동하게 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30 단계에서는 이동 기구 장치(140)를 RF 통신을 통해 첫번째 방향물 장치(111)에서 인식하게 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40 단계에서는 S130 단계에 의해 인식된 이동 기구 장치(140)에 대하여 다음의 방향물 장치로(112)의 진행 방향을 첫번째 방향물(111)에서 안내하게 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50 단계에서는 S140 단계의 안내에 따라 이동 기구 장치(140)가 직진 이동하여 다음의 경로 지점에 위치한 방향물 장치(110)들을 차례로 통과하여 목적지에 위치한 목적지 장치(120)에 도달하게 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60 단계에서는 이동 기구 장치(140)가 목적지 장치(120)에 도달하게 되면, 이동 기구 장치(140)가 출발지에서 출반한 시작 시간과 이동 기구 장치(140)가 목적물 장치(120)에 도달한 도착 시간 및 방향물 장치(110)를 통과한 방향물 장치(110)의 개수를 휴대 단말기(130)에서 카운터하게 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70 단계에서는 휴대 단말기(130)가 복수개로 구비될 경우, 복수개의 휴대 단말기(130)를 통해 각각 시작 시간, 도착 시간 및 방향물 장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놀이 치료 서버(150)에서 제공받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S180 단계에서는 S170 단계에 의해 획득한 각각의 시작 시간, 도착 시간 및 방향물 장치(110)의 개수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30)를 소유한 장애인의 순위를 놀이 치료 서버(150)에서 매겨 각 휴대 단말기(130)로 알려주게 된다.
따라서, 각 휴대 단말기(130)의 소유자 및 그 주변인은 놀이 치료를 참가하여 자신의 등수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능성 게임과 같은 원리로 놀이 치료를 제공하여 장애인(중증 장애인)과 노인 및 어린이의 인지 능력(지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중증 장애인과 치매 노인에 대한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110 : 방향물 장치
111 : 첫번째 방향물 장치 112 : 두번째 방향뮬 장치
120 : 목적지 장치 130 : 휴대 단말기
140 : 이동 기구 장치 150 : 놀이 치료 서버
151 : 놀이 치료 정보 수집부 152 : 순위 정보 전송부

Claims (10)

  1.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있는 경로 지점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는 방향물 장치;
    상기 목적지에 배치되는 목적지 장치;
    상기 출발지에 대한 출발지 정보와 상기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를 인식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출발 명령에 따라 상기 출발지 정보에서 출발하여 상기 방향물 장치 중 첫번째 방향물 장치로 이동하는 이동 기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기구 장치는,
    각 상기 방향물 장치에서 안내하는 방향에 따라 다음의 경로 지점에 위치한 방향물 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목적지 장치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출발 명령을 인식하고, 상기 출발 명령에 따라 직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 장치는,
    9축 센서를 이용하여 방향 및 균형을 자동으로 인식한 후 상기 직진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 장치는,
    RF 통신을 통해 상기 각 방향물 장치를 인식한후, 인식된 각 방향물 장치가 상기 RF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방향 정보에 따라 다음의 방향물 장치로 직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 장치는,
    상기 목적지 장치를 통해 충전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이동 기구 장치가 출발지에서 출반한 시작 시간과 상기 이동 기구 장치가 상기 목적물 장치에 도달한 도착 시간 및 상기 방향물 장치를 통과한 방향물 장치 개수를 카운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복수개로 구비될 경우 상기 복수개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각각 상기 시작 시간, 도착 시간 및 방향물 장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고,
    각각의 상기 시작 시간, 도착 시간 및 방향물 장치 개수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를 소유한 장애인에 대하여 순위를 매겨 각 휴대 단말기로 알려주는 놀이 치료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8. (a) 휴대 단말기에서 출발지에 대한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b)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휴대 단말기의 출발 명령에 따라 상기 출발지 정보에서 이동 기구 장치가 출발하여 방향물 장치 중 첫번째 방향물 장치로 직진 이동하는 단계;
    (c) 상기 이동 기구 장치를 RF 통신을 통해 상기 첫번째 방향물 장치에서 인식하는 단계;
    (d) 인식된 상기 이동 기구 장치에 대하여 다음의 방향물 장치로의 진행 방향을 상기 첫번째 방향물에서 안내하는 단계; 및
    (e) 상기 안내에 따라 상기 이동 기구 장치가 직진 이동하여 다음의 경로 지점에 위치한 방향물 장치들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목적지에 위치한 목적지 장치에 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적 능력 향상 치료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f) 상기 이동 기구 장치가 상기 목적지 장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 기구 장치가 출발지에서 출반한 시작 시간과 상기 이동 기구 장치가 상기 목적물 장치에 도달한 도착 시간 및 상기 방향물 장치를 통과한 방향물 장치 개수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카운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 능력 향상 치료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g) 상기 휴대 단말기가 복수개로 구비될 경우 상기 복수개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각각 상기 시작 시간, 도착 시간 및 방향물 장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놀이 치료 서버에서 제공받는 단계; 및
    (h) 각각의 상기 시작 시간, 도착 시간 및 방향물 장치 개수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를 소유한 장애인의 순위를 놀이 치료 서버에서 매겨 각 휴대 단말기로 알려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 능력 향상 치료방법.
KR1020140090398A 2014-07-17 2014-07-17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및 방법 KR101629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398A KR101629431B1 (ko) 2014-07-17 2014-07-17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398A KR101629431B1 (ko) 2014-07-17 2014-07-17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899A true KR20160009899A (ko) 2016-01-27
KR101629431B1 KR101629431B1 (ko) 2016-06-10

Family

ID=5530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398A KR101629431B1 (ko) 2014-07-17 2014-07-17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4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264A (ja) * 1992-02-24 1993-09-07 Namco Ltd サーキットレース型ゲーム装置
KR20030022558A (ko) * 2001-09-11 2003-03-17 정화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이동체 게임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20100069971A (ko) * 2008-12-17 2010-06-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로봇의 위치추적방법
KR20120120647A (ko) * 2011-04-25 2012-11-02 (주) 퓨처로봇 지능형 로봇 자동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04621A (ko) 2011-07-04 2013-01-14 심형보 장애인용 게임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264A (ja) * 1992-02-24 1993-09-07 Namco Ltd サーキットレース型ゲーム装置
KR20030022558A (ko) * 2001-09-11 2003-03-17 정화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이동체 게임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20100069971A (ko) * 2008-12-17 2010-06-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로봇의 위치추적방법
KR20120120647A (ko) * 2011-04-25 2012-11-02 (주) 퓨처로봇 지능형 로봇 자동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04621A (ko) 2011-07-04 2013-01-14 심형보 장애인용 게임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431B1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32787A1 (en) Smart necklace with stereo vision and onboard processing
KR101481378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지하철역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EP3611124B1 (en) Automatic method of detecting visually impaired, pregnant, or disabled elevator passenger(s)
KR101082161B1 (ko) 보행 보조 장치
JP6977545B2 (ja) 自動運転システム及び移動体、サーバ
JP2003141676A (ja) 車両自動誘導システム、車両自動誘導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装置、車両自動誘導方法および自動誘導処理プログラム。
WO2014137016A1 (ko) Rfid/nfc태그에 고유번호 및 문자를 부여한 알고리즘 점자블록 시각장애인 안내유도시스템 및 안내방법
Ng et al. Development of an autonomous BCI wheelchair
CN106074102A (zh) 一种导盲机器人
WO2018230559A1 (ja) 医療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外部装置
KR101629431B1 (ko) 지적 능력 향상 치료장치 및 방법
CN111712863B (zh) 运行管理装置、运行管理方法以及运行管理系统
CN208448079U (zh) 一种基于智能交互的导盲系统
KR101371246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CN112088036B (zh) 具有基站的同步装置、具有这种同步装置的游乐设施以及操作这种游乐设施的方法
JP2012203646A (ja) 流れ状態判別装置、流れ状態判別方法、流れ状態判別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
KR20170035742A (ko) 전자식 보행 보조 장치
CN111787987B (zh) 玩具及使用者定制型玩具系统
KR101752244B1 (ko)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WO2016080616A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버스 정류장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CN113885704B (zh) 一种用于导盲车的人机交互方法和系统
KR101802188B1 (ko)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US20220113541A1 (en) Synchronization device for synchronizing head-mounted displays with a virtual world in an amuse-ment ride, amusement ride having a synchronization device of this typ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musement ride of this type
TW201905486A (zh) 腦波導引盲人如廁之系統及方法
JP7156457B1 (ja) 乗客コンベアの通知システム、携帯型端末装置、サーバ、および通知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