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244B1 -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244B1
KR101752244B1 KR1020150039074A KR20150039074A KR101752244B1 KR 101752244 B1 KR101752244 B1 KR 101752244B1 KR 1020150039074 A KR1020150039074 A KR 1020150039074A KR 20150039074 A KR20150039074 A KR 20150039074A KR 101752244 B1 KR101752244 B1 KR 101752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uav
output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785A (ko
Inventor
장원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민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민토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민토시스
Priority to KR102015003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244B1/ko
Priority to PCT/KR2016/002745 priority patent/WO2016153223A1/ko
Publication of KR20160112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91Housing and user interface of child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B64C2201/12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저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가 송신되는 유저 단말기, 상기 유저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비행중에 상기 유저의 신체부위를 터치하거나, 상기 유저와 대화하고, 상기 유저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기 및 상기 무인기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전달받는 의료기관 서버와 가족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USER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본 발명은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기가 유저의 이동에 따라 동행하면서 유저의 등, 머리, 및 손과 같은 신체부위를 터치하거나 대화를 통해 유저의 무료함을 해소시켜주거나, 유저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해당 유저가 망각하기 쉬운 약먹을 시간 등 각종 정보를 알려주고, 모니터링 중, 갑자기 발생하는 응급상황 등을 외부 의료기관 및 가족에게 알릴 수 있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가장 큰 이슈 중, 하나이며 해결 해야할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인구 고령화인데, 이러한 고령화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되어 그 심각성이 날로 높아질 전망이다.
무엇보다, 이러한 고령화와 맞물려 이미 십수년 전부터 진행되어온 핵가족화로 인해, 홀로 사는 노인들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한 상태이며, 홀로 삶으로 인해 느끼는 외로움 등으로 인해 심각한 우울증에 시달리게 되고 결국에는 자살에 이르러 최악의 사태로 치닫는 경우를 각종매체를 통해 종종보게 된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우리 사회의 취약 계층 중, 하나로 자리 매김한 홀로 사는 노인들의 관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각 지역의 복지기관에서는 복지사들이 홀로 사는 노인들을 정기적으로 방문하거나, 전화를 걸어 대화를 시도하면서 홀로 사는 노인들의 외로움을 달래주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대책은 언급한 바와 같이 가속화되고 있는 고령화에 충분한 인력을 충원할 수 없어 장기간의 유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인력으로 수 많은 이들을 관리하기에는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대책으로 홀로사는 노인의 거주지에 로봇 등을 비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사회적 문제 해결을 시도해 볼 수도 있지만, 로봇은 이동상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7705호(2011. 08. 1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인기가 실시간으로 유저의 이동에 따라 동행하면서, 유저의 등, 머리, 및 손과 같은 신체부위를 터치하거나 대화를 통해 유저의 무료함을 해소시켜주거나, 유저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해당 유저가 망각하기 쉬운 약먹을 시간 등 각종 정보를 알려주고, 모니터링 중, 갑자기 발생하는 비상상황 등을 외부 의료기관 및 유저의 가족에게 알릴 수 있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저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가 송신되는 유저 단말기, 상기 유저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비행중에 상기 유저의 신체부위를 터치하거나, 상기 유저와 대화하고, 상기 유저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기 및 상기 무인기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전달받는 의료기관 서버와 가족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은 고령화와 핵가족화로 인해, 증가하는 홀로 사는 노인들의 적적함을 달래주어 외로움 등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유저의 건강을 모니터링하여 유저에게 알려주거나, 갑작스런 응급상황 발생시에도 의료기관 및 가족에게 알려주어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의 무인기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저 단말기(100), 무인기(200), 의료기관 서버(300), 가족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상기 유저 단말기(100)는 유저의 제어에 따라 무인기(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저 단말기(100)는 손목에 착용하는 스마트 시계와 같이, 유저의 신체부위 일부에 착용되는 기기로 블루투스 또는 NFC(Near Field Conmmunication)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무인기(20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유저 단말기(100)는 스마트 시계일 수도 있지만, 스마트폰일 수도 있고, 스마트 안경일 수도 있으며, 지팡이를 소지한 유저인 경우 지팡이일 수도 있고, 스마트 시계에서 불필요한 기능을 빼고 최소한을 기능만을 갖춘 스마트 밴드일 수도 있다.
상기 유저 단말기(100)가 스마트 시계인 경우, 상기 유저의 터치조작을 따라 상기 무인기(2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유저 단말기(100)가 스마트 안경인 경우, 상기 유저의 뇌파신호에 따라 상기 무인기(200)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유저 단말기(100)가 지팡이인 경우, 지팡이 손잡이에 구비된 버튼의 조작이나, 지팡이의 말단부위의 지면에 닿는 횟수에 따라 상기 무인기(200)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저 단말기(100) 지팡이인 경우, 지팡이 손잡이에 구비된 버튼의 조작과 동시에 지팡이 말단부위의 지면에 닿는 횟수를 조작하여 상기 무인기(200)에 다양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지팡이 손잡이에 구비된 버튼의 조작과 동시에 지팡이 말단부위의 지면에 닿는 횟수를 조작하는 것은 유저가 그냥 지팡을 짚고 걷는 것과 구별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지팡이 손잡이에 구비된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지팡이 말단부위를 지면에 한번 닿도록하면, 무인기가 유저의 등부위를 터치하게 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지팡이 말단부위를 지면에 두번 닿도록하면 체온을 측정하게 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예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지팡이 손잡이에 구비된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지팡이의 말단부위가 지면에 닿는 횟수를 변경하여 상이한 제어신호를 얼마든지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기(100)를 통해 무인기(200)를 제어할 수도 있지만, 상기 무이기(200)에 저장된 명령신호에 따라 자동모드로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무인기(200)는 상기 유저 단말기(100)와 지속적으로 근거리 통신을 통해 통신을 하면서 유저를 추적함으로써, 소정 거리범위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유저를 따라 동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인기(200)는 주제어부(210), 비행 추진부(220), 프레임(230), 유저 인식부(240), 통신부(250), 생체정보 측정부(260), 모드 선택부(270), 출력부(280), 및 데이터 베이스부(290)를 포함한다.
상기 주제어부(210)는 상기 통신부(250)를 통해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비행 추진부(220), 유저 인식부(240), 생체정보 측정부(260), 모드 선택부(270), 출력부(280) 및 데이터 베이스부(29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비행 추진부(220)는 블레이드(221), 모터(222), 전원부(223), 및 조향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221)는 상기 모터(222)의 회전축에 형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하방으로 추진력을 발생시커 상기 무인기(200) 상방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터(222)는 상기 전원부(223)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주제어부(210)는 상기 전원부(223)에서 상기 모터(222)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221)에서 발생시키는 추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향부(224)는 상기 블레이드(221)와 상이한 위치에 서브의 블레이드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주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인기(200)의 방향을 전환한다.
상기 프레임(2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기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고, 무엇보다 상기 블레이드(221)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무인기(200)가 유저의 신체에 터치되더라고, 회전하는 블레이드(221)에 의해 상기 유저가 다치지 않도록 한다.
뿐만아니라, 상기 프레임(230)은 상기 무인기(220)가 외부 물체와 충돌하더라도 상기 블레이드(221)의 회전이 멈추지않도록하여 비행 추진력이 보존될 수 있도록한다.
상기 유저 인식부(240)는 카메라 모듈(241), 및 마이크 모듈(242), 냄새 모듈(243)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241)은 유저를 촬영하여 촬영한 영상속 형상으로 유저를 인식하고, 마이크 모듈(242)은 유저의 보이스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보이스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유저를 인식한다.
한편, 상기 마이크 모듈(242)는 상기 무인기(220)와 유저와의 대화시, 상기 유저의 보이스를 수신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또한, 상기 냄새 모듈(243)은 상기 유저의 인체에서 발생하는 고유의 냄새를 분석하여 유저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인체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아니고 유저가 사용하는 향수 등을 분석하여 유저를 인식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무인기(200)는 유저 인식부(240)의 카메라 모듈(241)을 통해 유저를 인식함과 함께 인식된 유저를 카메라 모듈(241)을 통해 추적함으로써, 유저와 소정 거리범위를 유지한 상태로 유저를 따라 동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50)는 상기 유저 단말기(100), 상기 의료기관 서버(300), 및 상기 가족 단말기(400)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통신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유저 단말기(100)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기도 하고, 유저의 응급상황 발생시, 상기 의료기관 서버(300) 및 상기 가족 단말기(400)에 상기 응급상황을 알리기도 한다.
특히, 상기 통신부(250)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유저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또는 NFC(Near Field Conmmunication) 또는 뇌파와 같은 방식의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 서버(300) 및 가족 단말기(400)와는 원거리 통신을 통해 유저의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삭제
상기 생체정보 측정부(260)는 동행하는 유저의 혈압, 체온 등 기본적인 생체정보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면서 유저의 건강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생체정보 측정부(260)는 이동중에도 상기 유저의 이마 밑에 흐르고 있는 측두동맥에서 발생하는 열을 적외선 측정을 통한 비접촉 방식으로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상기 생체정보 측정부(260)는 발광부를 통하여 빛을 발산시킨 후, 반사되는 적외선의 속도 또는 양이 수광부로 입력되면, 입력되는 적외선의 속도 또는 양에 따라 전류 및 전압이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을 이용하여 광용적맥파를 측정함으로써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드 선택부(270)는 유저 인식부(240)에서 인식된 유저에 따라 무인기(200)의 작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270)는 유저 인식부(240)에서 인식된 유저가 노인, 또는 어린이, 상기 노인 중에서도 치매를 가진 노인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무인기(200)가 그에 맞에 작동할 수 있도록 작동모드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모드 선택부(2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기준이 아닌 지역(서초구, 동작구, 송파구, 서초동, 사당동, 천호동, 등)기준으로 무인기(200)의 작동반경을 선택할 수 있고, 유저가 선택된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유저의 가족 또는 지인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모드 선택부(270)는 유저의 지역기준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GPS 등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구성을 통하여 무인기(200)의 현재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무인기(200)가 동행하는 유저의 현재 위치 또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드 선택부(270)는 무인기(200)가 미리 설정된 지역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유저가 선택된 지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유저의 가족 또는 지인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280)는 음향 출력부(281) 및 화면 출력부(282)를 포함하는데, 상기 음향 출력부(281)는 유저에게 음성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생체정보 측정부(260)가 측정한 생체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유저에게 전달하거나, 후술되는 질의정보, 응답정보 및 이동경로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화면 출력부(282)는 유저에게 영상 또는 메세지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생체정보 측정부(260)가 측정한 생체정보를 영상 또는 메세지로 출력하여 유저에게 전달하거나, 후술되는 질의정보, 응답정보 및 이동경로를 영상 또는 메세지로 출력하여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음향 출력부(281)는 눈이 어두운 유저에게 유용하고, 상기 화면 출력부(282)는 귀가 어두운 유저에게 유용하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290)는 맵_DB(291), 명령신호_DB(292),Q&A_DB(293), 및 비상연락망_DB(294)를 포함한다.
상기 맵_DB(291)는 상기 유저가 이동하는 경우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탐색할 수 있는 위성지도 등을 저장관리한다.
상기 명령신호_DB(292)는 상기 무인기(200)가 상기 유저를 추종하면서, 유저의 머리, 및 손과 같은 특정 신체부위를 능동적으로 터치하거나, 대화를 시도할 수 있도록 명령하는 명령신호를 저장관리한다. 이때, 상기 무인기(200)는 유저 단말기(100)에서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명령신호_DB(292)에 저장된 명령신호에 따라 자동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Q&A_DB(293)는 유저와 대화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질의정보 및 응답정보가 저장관리된다. 이때, 상기 무인기(200)는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Q&A_DB(293)에 저장된 질의정보를 음향 출력부(281)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여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 모듈(242)를 통해 수신되는 유저의 질의에 상응하는 응답정보를 상기 Q&A_DB(293)에서 검색하고, 이를 음향 출력부(281)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여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연락망_DB(294)는 유저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250)를 통해 의료기관 응급실 또는 가족에게 유저의 응급상황을 알리 수 있도록, 복수의 의료기관 연락처와 가족의 연락처를 저장관리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인기(200)는 상기 유저 인식부(240)로 유저를 인식하여 근거리에서 유저 주변를 비행한다.
이때, 상기 무인기(200)는 유저 인식부(240)가 아닌 상기 유저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통해 유저의 주변을 비행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아니라, 상기 무인기(200)는 상기 비행 추진부(220)의 작동이 잠시 멈춘경우, 구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구르면서 상기 유저를 따라다닐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무인기(200)는 상기 명령신호_DB(292)에 프로그램으로 DB화되어 기저장된 명령신호에 따라 유저의 등, 머리, 및 손과 같은 특정 신체부위를 능동적으로 터치하거나, 상기 유저 단말기(100)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동적으로 특정 신체부위를 터치하여 친근감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무인기(200)는 수 만가지 이상의 묻고 답할 수 있는 질의정보 및 응답정보가 상기 Q&A_DB(293)에 프로그램으로 DB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 모듈(243)을 통해 유저의 질의가 입력되면, 상기 음향 출력부(281) 또는 화면 출력부(282)를 통해 응답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음향 출력부(281) 또는 화면 출력부(282)를 통해 유저에게 질의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마이크 모듈(242)를 통해 유저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무엇보다, 상기 무인기(200)는 생체정보 측정부(260)를 통해 이동중에도 상기 유저의 체온과 혈압을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함으로써, 기본적인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인기(200)는 각종 센서와 무선 고주파(RFID) 칩이 부착된 메디컬 디바이스를 입은 유저로부터, 보다 쉽게 해당 유저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유저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인기(200)는 유저의 특정 목적지 동행시 상기 유저 단말기(100)로 입력된 목적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마이크 모듈(242)를 통해 목적지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인기(200)의 상기 주제어부(210)는 상기 맵_DB(291)에 기 저정된 위성지도에서 목적지에 대한 이동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음향 출력부(281) 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282)를 제어하여 상기 유저에게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무인기(200)의 주제어부(210)는 상기 맵_DB(291)의 상기 위성지도에서 이동경로의 탐색시, 차량의 이동량, 건널목 수 등을 고려하여 안전을 선순위, 그리고 최단거리를 후순위로하여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무인기(200)는 유저의 특정 목적지 동행시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음성 출력부(281)의 음성 출력 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282)의 화면 출력을 통해 유저가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유저에게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유저가 치매환자인 경우, 가족들에 의해 상기 모드 선택부(270)가 조작되어 상기 무인기(200)의 모드가 치매환자 동행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무인기(200)가 탐색한 이동경로에서 유저가 벗어나는 경우, 신체부위 터치나, 상기 음성 출력부(281)의 음성 출력 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282)의 화면 출력을 통해 이동경로 이탈을 알리고, 동시에 상기 비상연락망_DB(294)에 저장된 집 전화번호 또는 가족 구성원 단말번호로 상기 통신부(250)를 통해 연락해 유저의 이동경로 이탈을 알린다.
한편, 상기 의료기관 서버(300) 및 상기 가족 단말기(400)는 원거리 통신 방식을 통하여 상기 무인기(2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예컨대, 상기 무인기(200)와 위성통신 또는 통신사 기지국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인기(2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무인기(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와 동행하면서, 유저에게 고혈압, 교통사고 등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의료기관 서버(300) 및 가족 단말기(400)에 응급상황을 전달하여 상기 응급상황이 발생한 곳으로 의료진이 긴급파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무인기(200)는 상기 통신부(250)를 통해 상기 의료기관 서버(300) 및 가족 단말기(400)와 통신을 하는 과정에서 통신장애가 발생하여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통신 불가능한 지역을 벗어나, 통신 가능한 지역에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300) 및 가족 단말기(400)와 통신 후, 상기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GPS 정보로 수신하여, 유저가 위치한 장소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유저 단말기
200 : 무인기
210 : 주제어부 220 : 비행 추진부
221 : 블레이드 222 : 모터
223 : 전원부 224 : 조향부
230 : 프레임
240 : 유저 인식부
241 : 카메라 모듈 242 : 마이크 모듈
243 : 냄새 모듈
250 : 통신부
260 : 생체정보 측정부
270 : 모드 선택부
280 : 출력부
281 : 음향 출력부 282 : 화면 출력부
290 : 데이터 베이스부
291 : 맵_DB 292 : 명령신호_DB
293 : Q&A_DB 294 : 비상연락망_DB
300 : 의료기관 서버
400 : 가족 단말기

Claims (22)

  1. 유저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가 송신되는 유저 단말기(100);
    형상을 이루는 완충수단(230)이 형성되어, 상기 유저 단말기(100)와 통신하면서 비행중에 상기 유저의 신체부위를 터치하거나, 상기 유저와 대화하고, 상기 유저를 모니터링하여 비접촉으로 수집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기(200); 및
    상기 무인기(200)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전달받는 의료기관 서버(300)와 가족 단말기(400);를 포함하되,
    상기 유저 단말기(100)는
    손잡이에 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서 말단부위가 지면에 닿는 횟수에 따라 제어신호를 상기 무인기(200)에 송신하는 스마트 지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기(200)는
    상기 완충수단(230) 내부에 형성된 비행 추진부(220);
    상기 유저를 인식하는 유저 인식부(240);
    상기 유저 단말기(100), 상기 의료기관 서버(300) 및 상기 가족 단말기(4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250);
    상기 유저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정보 측정부(260);
    상기 생체정보 측정부(260)가 측정한 생체정보를 상기 유저에게 알리는 출력부(280);
    각종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부(290); 및
    상기 비행 추진부(220), 상기 유저 인식부(240), 상기 통신부(250), 상기 생체정보 측정부(260), 상기 출력부(280)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290)를 제어하는 주제어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기(200)는
    상기 유저 인식부(240)에서 인식된 유저에 따라 작동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추진부(220)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22);
    상기 모터(222)의 상기 회전동력에 따라 하방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블레이드(221);
    상기 모터(22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3); 및
    상기 블레이드(221)와 상이한 위치에 서브의 블레이드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주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부(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210)는
    상기 전원부(223)에서 상기 모터(222)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221)에서 발생시키는 추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식부(240)는
    상기 유저를 촬영하여 촬영한 영상속 형상으로 상기 유저를 인식하는 카메라 모듈(241);
    상기 유저의 보이스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보이스와 비교분석을 통해 상기 유저를 인식하는 마이크 모듈(242); 및
    상기 유저의 인체에서 발생하는 고유의 냄새, 또는 상기 유저가 사용하는 향수를 분석하여 유저를 인식하는 냄새 모듈(243);을 포함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부(260)는
    상기 유저의 체온을 적외선 측정을 통한 비접촉 방식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부(260)는
    발광부를 통하여 빛을 발산시킨 후, 반사되는 적외선의 속도 또는 양이 수광부로 입력되면, 입력되는 적외선의 속도 또는 양에 따라 전류 및 전압이 다르게 나타나는 광용적맥파를 측정함으로써 혈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280)는
    상기 생체정보 측정부(260)가 측정한 생체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281); 및
    상기 생체정보를 영상 또는 메세지로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2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290)는
    상기 유저가 이동하는 경우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탐색하는 위성지도가 저장관리되는 맵_DB(291);
    상기 유저를 추종하면서, 상기 유저의 신체부위를 터치하거나, 대화를 시도하도록 명령하는 명령신호가 저장관리되는 명령신호_DB(292);
    상기 유저와 대화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질의정보 및 응답정보가 저장관리되는 Q&A_DB(293); 및
    상기 유저를 추종시, 상기 유저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는 연락처가 저장관리되는 비상 연락망_DB(2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기(200)는
    상기 마이크 모듈(242)를 통해 상기 유저의 질의가 입력되면, 상기 음향 출력부(281) 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282)를 통해 상기 Q&A_DB(293)에 저장된 응답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기(200)는
    상기 음향 출력부(281) 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282)를 통해 상기 Q&A_DB(293)에 저장된 상기 질의정보가 출력되고, 상기 마이크 모듈(242)를 통해 상기 유저의 응답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기(200)는
    상기 유저의 특정 목적지 동행시 상기 유저 단말기(100)로 입력된 목적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마이크 모듈(242)를 통해 목적지를 직접 입력받아 상기 맵_DB(291)에 기 저장된 위성지도에서 상기 목적지에 대한 이동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유저에게 상기 음향 출력부(281) 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282)를 통해 상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기(200)는
    차량의 이동량, 건널목 수를 고려하여 안전을 선순위, 그리고 최단거리를 후순위로하여 상기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기(200)는
    상기 유저가 상기 이동경로를 벗어나면, 상기 유저의 신체부위를 터치하거나, 상기 음향 출력부(281)의 음성 출력 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282)의 화면 출력을 통해 상기 이동경로 이탈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기(200)는
    상기 유저가 상기 이동경로를 벗어나면, 상기 비상연락망_DB(294)에 저장된 집 전화번호 또는 가족 구성원 단말번호로 연락해 상기 유저의 경로 이탈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50039074A 2015-03-20 2015-03-20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52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074A KR101752244B1 (ko) 2015-03-20 2015-03-20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PCT/KR2016/002745 WO2016153223A1 (ko) 2015-03-20 2016-03-18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074A KR101752244B1 (ko) 2015-03-20 2015-03-20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734A Division KR101802188B1 (ko) 2017-03-03 2017-03-03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785A KR20160112785A (ko) 2016-09-28
KR101752244B1 true KR101752244B1 (ko) 2017-06-29

Family

ID=5710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074A KR101752244B1 (ko) 2015-03-20 2015-03-20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330A (ko) * 2018-04-12 2019-10-22 황순신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382B1 (ko) * 2017-03-10 2021-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인 비행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무인 비행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275B1 (ko) * 2001-08-24 2007-03-20 뉴로스카이 인코포레이션 뇌-기계 인터페이스 작동을 위한 무선 시스템 및 그의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8492B2 (ja) 2003-07-03 2008-02-20 ソニー株式会社 音声対話装置及び方法並びにロボッ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275B1 (ko) * 2001-08-24 2007-03-20 뉴로스카이 인코포레이션 뇌-기계 인터페이스 작동을 위한 무선 시스템 및 그의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330A (ko) * 2018-04-12 2019-10-22 황순신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KR102074448B1 (ko) * 2018-04-12 2020-02-06 황순신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785A (ko)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1715B2 (en) Adaptive visual assistive device
CN104867309A (zh) 一种中老龄人安康服务智能穿戴设备及深度学习方法
EP2369436A2 (en) Robot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arried out by the robot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a
US1196028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robot, and recording medium
KR101752244B1 (ko)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Dalsaniya et al. Smart phone based wheelchair navigation and home automation for disabled
KR101802188B1 (ko)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US2024014299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robot, and recording medium
KR20160112789A (ko) 유저 추종 무인기
JP6730087B2 (ja) 監視システム
WO2016153223A1 (ko)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US11087613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n emergency event
KR102420549B1 (ko) 치매노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968548B1 (ko)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JP7130230B2 (ja) 協力補助システム及び協力補助方法
Bolla et al. Object Detection in Computer Vision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EP4269047A1 (en) Robot control method, robo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Vivek et al. A Smart Wearable Guiding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US20200281771A1 (en) Movement Aid for the Visually Impaired
Pham et al. Intelligent Helmet Supporting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Obstacle Detection and Communication Techniques
JP6927567B2 (ja) 行動評価情報蓄積システム及び行動評価情報蓄積方法
Kumar et al. IoT-BLE Based Indoor Navigation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Kbar Smart behavior tracking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t the work place
Nirmala IoT Based Alert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KR20160024689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분실물 찾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