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448B1 -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448B1
KR102074448B1 KR1020180042647A KR20180042647A KR102074448B1 KR 102074448 B1 KR102074448 B1 KR 102074448B1 KR 1020180042647 A KR1020180042647 A KR 1020180042647A KR 20180042647 A KR20180042647 A KR 20180042647A KR 102074448 B1 KR102074448 B1 KR 102074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e
drone
event
venue
visi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330A (ko
Inventor
황순신
이경민
Original Assignee
황순신
이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신, 이경민 filed Critical 황순신
Priority to KR1020180042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4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64C2201/12
    • B64C2201/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드론을 이용한 행사 무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행사장 내 구획된 각 사이트별로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행사장에 방문한 방문객의 무선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 상기 행사장 및 상기 각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복수개의 무선송신기; 상기 행사장 상공을 비행하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행사장의 방문객들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복수개의 무선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안내요청에 따라 비행경로를 결정하는 드론; 및 상기 드론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드론이 촬영한 영상 및 상기 드론이 상기 복수개의 무선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전달받아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무인시스템을 이용하여 행사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FESTIVAL UNMANNED MANAGEMENT SYSTEM USING DRONES}
개시된 기술은 드론을 이용하여 행사장을 무인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드론은 기체에 사람이 타지 않는 소형 비행체로, 원격으로 관리자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목적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 사람이 갈 수 없는 지형지물에 접근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초기에는 드론을 이용하는 목적이 군사적인 목적으로 한정되어 있었으나 이제는 일반인들도 드론을 이용하여 원격탐사나 레저활동 등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드론은 사람이 탑승하지 않기 때문에 무인 시스템에 접목하여 사람대신에 특정 시설이나 장소 또는 특정한 사람을 대상으로 감시활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사람의 힘으로 대부분을 커버하고는 있으나 일부 사각지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람의 역할을 보조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한국 공개특허 10-2016-0119956호(발명의 명칭 : 드론을 이용한 추적 시스템)을 참조하면 복수의 드론을 이용하여 각 드론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토대로 대상인물을 추적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어느 특정 대상을 은밀하게 추적한다는 점에서는 용이할 수 있으나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 예컨대 공연 관람객들이나 행사 방문객들을 따라다니면서 행사장을 안내하는데 있어서는 다소 부적절한 점이 있고, 드론의 역할만으로는 세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단점도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6-0119956호
개시된 기술은 드론과 비콘을 이용하여 행사장을 무인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1 측면은 행사장 내 구획된 각 사이트별로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행사장에 방문한 방문객의 무선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 상기 행사장 및 상기 각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복수개의 무선송신기, 상기 행사장 상공을 비행하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행사장의 방문객들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복수개의 무선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안내요청에 따라 비행경로를 결정하는 드론 및 상기 드론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드론이 촬영한 영상 및 상기 드론이 상기 복수개의 무선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전달받아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은 드론과 복수개의 비콘을 이용하여 행사장을 무인으로 관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드론의 비행경로를 조정하여 효율적으로 행사장을 관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론과 비콘에서 획득된 정보를 토대로 행사장에 대한 결산 및 피드백을 수행하여 데이터화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드론의 비행경로를 결정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드론의 비행경로를 결정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100)에 대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100)은 무선송신기(110), 드론(120) 및 관제서버(130)를 포함한다.
무선송신기(110)는 행사장 내 구획된 사이트별로 하나 이상씩 구비된다. 사이트는 행사장 내에서 특정 목적에 따라 임의로 구획된 영역으로서 예컨대, 매표소, 화장실, 공연장 등과 같이 그 장소에 대한 특성에 따라 구분지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획된 사이트마다 무선송신기(110)를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트 A에는 2개의 무선송신기(110)를 배치하고, 사이트 B에는 3개, 사이트 C에는 하나, 사이트 D에는 둘, 사이트 E에는 하나를 배치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수의 무선송신기(110)를 같은 사이트에 배치할 수도 있다. 만약 사이트 B가 공연장이고 사이트 D가 화장실이라면 많은 방문객들이 밀집되어 있는 공연장에는 여러 사람이 원활하게 공연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3개 이상의 무선송신기(110)를 배치할 수 있고 화장실과 같이 성별에 따라 입구가 나뉘어 있는 곳이라면 각각의 입구에 무선송신기(110)를 배치하여 입장하거나 퇴장하는 사람들을 카운팅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동일한 사이트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무선송신기(110)는 해당 사이트에 방문한 방문객의 무선단말기와 통신하여 행사장에 대한 정보와 해당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무선송신기(110)는 비콘을 포함하고 방문객이 소지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자동으로 연결하여 사이트에서 진행되는 행사 정보, 사이트에 대한 안내 및 행사 이벤트를 푸시할 수 있다. 무선송신기(110)는 사이트 내 특정 위치에서 다양한 정보를 방문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방문객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광고판이나 키오스크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송신기(110)는 드론통신부(110a), 단말통신부(110b), 단말카운터(110c) 및 이벤트DB(110d)를 포함한다. 드론통신부(110a)는 행사장의 상공을 비행중인 드론(120)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유닛으로 예컨대, LTE 기반의 무선통신 환경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통신부(110b)는 방문객의 무선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유닛으로 예컨대, 무선단말기와 자동으로 연결되어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행사장이나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카운터(110c)는 무선송신기(110)가 배치된 사이트에 몇 명의 사용자가 입장하였는지를 파악하는 유닛이다. 일 실시예로, 단말통신부(110b)가 방문객의 무선단말기와 연결되면 카운트값을 하나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접속되는 모든 단말의 수를 카운팅한다. 이때, 타 단말기와 구분하거나 같은 단말기가 중복처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단말의 ID값을 파악하여 카운팅에 이용할 수 있다. 이벤트DB(110d)는 행사장이나 행사장 내 특정 사이트에서 일정마다 진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일 실시예로, 곧 해당 사이트에서 이벤트가 진행될 예정이라면 단말통신부(110b)를 통해 방문객의 무선단말기로 이벤트관련 정보를 푸시할 수 있다.
드론(120)은 행사장 상공을 비행하며 행사장의 방문객들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론(120)은 카메라(120a), 영상DB(120b), 통신부(120c) 및 배터리(120d)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드론(120)은 행사장 상공에서 카메라(120a)를 이용하여 방문객들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된 영상을 영상DB(120b)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20c)는 무선송신기(110)의 드론통신부(110a)와 통신하여 무선송신기(110)에서 획득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통신부(120c)는 드론통신부(110a)와 마찬가지로 LTE 방식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120d)는 드론(120)의 동작 전반에 따른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만약 임계값 미만으로 잔여전력이 떨어지게 되면 통신부(120c)를 통해 관제서버(130)로 배터리교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드론(120)은 방문객들에 대한 영상을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연속으로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속으로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방문객들에 대한 인원수 및 상기 방문객들의 이동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1분단위로 연속촬영하여 얻어진 영상들에 소정의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하여 그룹 내지는 군집 형태로 촬영된 방문객들이 이동하는 방향을 파악하여 그쪽에 어떤 사이트가 위치하는지 혹은 어떤 사이트에서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드론(120)은 각 사이트마다 배치된 복수개의 무선송신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안내요청에 따라 비행경로를 결정한다. 비행경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이하의 도 3 및 도 4를 통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드론(120)은 S310 단계에 따라 무선송신기(110)로부터 안내요청을 수신한다. 여기에서 안내요청은 무선송신기(110)가 방문객의 무선단말기와 일정 수 이상 연결되면 드론(120)에 전송하는 신호로서, 무선송신기(110)가 해당 사이트에 방문객이 모여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자신이 배치된 사이트로 드론(120)이 이동하게끔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드론(120)은 이러한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모여있는 방문객들에게 행사장에 따른 안내방송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드론(120)은 S320 단계에 따라 무선송신기(110)에 포함되어 있는 비콘과의 거리를 비교한다. 일 실시예로, 거리에 따른 기준값을 미리 저장하고, 요청신호를 전송한 비콘과 현재 드론(120) 자신이 위치한 거리를 계산하여 계산된 거리가 기준값 미만이면 S330 단계에 따라 다른 비콘과의 거리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계산된 거리가 기준값을 초과한다면 S340 단계에 따라 해당 비콘이 위치하는 사이트의 상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값 미만 또는 기준값 초과에 따른 드론(120)의 동작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거리가 먼 순서대로 이동경로를 결정할 수도 있고 거리가 가까운 순서대로 이동경로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S340 단계에 따라 요청신호를 전송한 비콘의 위치로 이동하면 드론(120)은 S350 단계에 따라 방문객에게 안내방송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 드론(120)은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스피커를 통해 행사장이나 사이트에 대한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드론(120)은 비콘간의 거리를 비교하여 비행경로를 결정하는것 뿐만 아니라 각 무선송신기(110)들마다 무선단말기와의 연결횟수에 따라서도 비행경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S410 단계에서 각 비콘들로부터 카운팅값을 포함한 안내요청을 수신하면, S420 단계에 따라 안내요청에 포함된 카운팅값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카운팅값이 기준값 미만이면 해당 비콘이 위치한 사이트에는 방문객이 기준값 미만이라는 뜻이므로 S430 단계에 따라 다음 비콘의 카운팅값을 비교할 수 있다. 반면 카운팅값이 기준값을 초과한다면 해당 비콘이 위치한 사이트에 방문객이 일정 수 이상 모여있다는 의미이므로 S440 단계에 따라 카운팅값을 초과하는 요청신호를 전송한 비콘이 위치한 사이트로 비행할 수 있다. 그리고 S350 단계와 마찬가지로 S450 단계에 따라 방문객에게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를 이용하여 방문객들에게 행사장의 일정, 각 사이트에 대한 안내방송 및 이동경로에 대한 안내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관제서버(130)는 드론(120)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드론(120)이 촬영한 영상 및 드론(120)이 복수개의 무선송신기(1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전달받아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관제서버(130)는 통신부(130a), 모니터(130b), 프로세서(130c) 및 행사장DB(130d)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관제서버(130)는 통신부(130a)를 이용하여 드론(120)의 통신부(120c)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앞서 드론통신부(110a) 및 통신부(120c)와 마찬가지로 관제서버(130)의 통신부(130a) 역시 LTE 기반의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드론(120)이 촬영한 영상과 방문객에 대한 정보, 드론(120)이 무선송신기(110)로부터 수신한 무선단말기의 카운팅정보 및 안내요청을 전달받아서 행사장의 각 사이트별 방문객 수, 각 사이트별 선호도 및 시간대별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데이터의 연산은 관제서버(130)의 프로세서(130c)를 통해서 수행되며 산출된 결과는 모니터(130b)를 통해 출력되고, 행사장DB(130d)에 저장된다. 따라서, 산출된 결과를 일정에 따라 저장하여 행사장에 대한 피드백이나 결산하는 정보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이러한 정보들을 다수의 행사장에서 처리된 정보들과 통합하여 행사 등급을 설정하거나, 효율적인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100)을 운영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110 : 무선송신기
110a : 드론통신부 110b : 단말통신부
110c : 단말카운터 110d : 이벤트DB
120 : 드론 120a : 카메라
120b : 영상DB 120c : 통신부
120d : 배터리 130 : 관제서버
130a : 통신부 130b : 모니터
130c : 프로세서 130d : 행사장DB

Claims (7)

  1. 복수개의 사이트로 구획되는 행사장의 무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행사장 내 구획된 각 사이트별로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행사장에 방문한 방문객들의 무선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 상기 행사장 및 상기 각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복수개의 무선송신기;
    상기 행사장 상공을 비행하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행사장의 방문객들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복수개의 무선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안내요청에 따라 비행경로를 결정하는 드론; 및
    상기 드론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드론이 촬영한 영상 및 상기 드론이 상기 복수개의 무선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전달받아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은, 상기 방문객들에 대한 영상을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연속으로 촬영하고, 상기 연속으로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상기 행사장을 방문한 방문객들의 인원수 및 상기 방문객들의 상기 행사장 내에서의 이동경로를 파악하는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무선송신기는 사이트에서 진행되는 행사 정보, 사이트에 대한 안내 및 행사 이벤트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푸시하는 비콘을 포함하는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복수개의 무선송신기들 중 일부에서 안내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일부의 무선송신기와의 거리를 비교하여 가까운 순서대로 상기 비행경로를 결정하는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복수개의 무선송신기들 중 일부에서 안내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일부의 무선송신기 각각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무선단말기와 연결된 횟수를 파악하여 상기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상기 비행경로를 결정하는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를 이용하여 상기 방문객들에게 상기 행사장의 일정, 상기 각 사이트에 대한 안내방송 및 이동경로에 대한 안내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영상 및 상기 무선송신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행사장의 각 사이트별 방문객 수, 각 사이트별 선호도 및 시간대별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를 일정에 따라 저장하는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KR1020180042647A 2018-04-12 2018-04-12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KR102074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647A KR102074448B1 (ko) 2018-04-12 2018-04-12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647A KR102074448B1 (ko) 2018-04-12 2018-04-12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330A KR20190119330A (ko) 2019-10-22
KR102074448B1 true KR102074448B1 (ko) 2020-02-06

Family

ID=6842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647A KR102074448B1 (ko) 2018-04-12 2018-04-12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4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244B1 (ko) * 2015-03-20 2017-06-29 주식회사 민토시스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88411B1 (ko) * 2015-11-25 2017-10-1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업재해 대응을 위한 드론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1810964B1 (ko) * 2016-02-29 2017-12-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에서 안전한 법 집행을 위한 드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896A (ko) * 2006-06-23 2007-12-28 주식회사 골든오일 행사장 운영 방법
KR20160037470A (ko) *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인텐스 네트웍스 행사 관리 방법
KR101690502B1 (ko) 2015-04-07 2016-12-28 (주)코아텍 드론을 이용한 추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244B1 (ko) * 2015-03-20 2017-06-29 주식회사 민토시스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88411B1 (ko) * 2015-11-25 2017-10-1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업재해 대응을 위한 드론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1810964B1 (ko) * 2016-02-29 2017-12-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에서 안전한 법 집행을 위한 드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330A (ko)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401B2 (en) Real time location system
US20190339709A1 (en) Method for updating a localization map for a fleet of autonomous vehicles
US9485404B2 (en) Timing system and method with integrated event participant tracking management services
DE112018006556T5 (de) Trainieren eines maschinenlernmodells mit digitalem audio und/oder video
DE112018006501T5 (de) Verfahren, vorrichtung und system zum adaptiven trainieren von maschinenlernmodellen über erfasste ereigniskontextsensorvorkommnisse und assoziiertes lokalisiertes und wiedergewonnenes digitales audio- und/oder video-imaging
US9237267B2 (en) Imaging systems, moving bodies, and imaging control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of a moving target
KR102322004B1 (ko) 지오펜싱 기반 관광 플랫폼
JP7047374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
EP14074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based recordal of user activity
KR20170044162A (ko) 가상 큐잉 시스템 및 방법
US20180240151A1 (en) Electronic routing and messaging in a venue based on wait times
CN112135242B (zh) 基于5g与人脸识别的楼宇访客导航方法
KR101034643B1 (ko) 고객 관리시스템
JP2005059170A (ja) 情報収集ロボット
CN107046710A (zh) 通过uav网络来促进位置定位服务
KR20180040839A (ko) 공항 로봇 및 그를 포함하는 공항 로봇 시스템
US20190327579A1 (en) Real-time processing of spatiotemporal data
KR20160093504A (ko) 드론을 이용한 안전 경로 안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99348B2 (en) Air traffic tolling system
CN112008736A (zh) 迎宾机器人调配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JP2017152964A (ja) 監視装置および監視装置用プログラム
KR100583987B1 (ko) 정보 수집 로봇
JP6941457B2 (ja) 監視システム
KR20210041337A (ko) 순찰 출동 관제 시스템과 관제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074448B1 (ko)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무인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