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738A -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738A
KR20160009738A KR1020140089654A KR20140089654A KR20160009738A KR 20160009738 A KR20160009738 A KR 20160009738A KR 1020140089654 A KR1020140089654 A KR 1020140089654A KR 20140089654 A KR20140089654 A KR 20140089654A KR 20160009738 A KR20160009738 A KR 20160009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present
collagen synthesis
skin wrink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367B1 (ko
Inventor
강현종
신희정
김지원
정의택
조형진
강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089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3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6Disaccharides, e.g. lactose, lact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 피부 주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식 1]
시알산-갈락토스-글루코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향상시키고, 피부 주름을 개선하며,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wrinkle}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 피부 주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식 1]
시알산-갈락토스-글루코스
세포외 기질(matrix)의 주요 구성 성분인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외 간질에 존재한다. 또한,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견고한 3중 나선구조를 가지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 건(tendon), 뼈 및 치아의 유기물질의 대부분을 형성하는데, 특히 뼈와 피부(진피)에 그 포함량이 높다. 대부분의 다른 체 구조물에서는 섬유상 봉입체로서 존재한다.
콜라겐은 비교적 약한 면역원인데, 콜라겐의 나선구조에 의한 잠재성 항원 결정인자의 차폐가 그 일부 원인이고, 이 나선 구조는 또한 콜라겐이 단백질 분해에 대한 내성을 갖도록 한다.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Van der Rest 등, 1990).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Arthur K. Balin et al., "Aging and the skin", 1989). 또한 근래에 들어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피부에서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다.
종래에는 콜라겐의 피부 보습 효과를 이용하기 위하여 화장품 등에 콜라겐을 배합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왔으나, 이들 화장품 등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고분자 물질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가 어려워 보습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본질적인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종래에 알려진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로는 비타민 C,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발암증식인자(TGF : transforming growth factor)(Cardinale G. et al, Adv. Enzymol., 41, p. 425, 1974), 동물 태만 유래의 단백질(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6-231370호), 베툴린산(betulinic acid)(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6-208424호), 클로렐라 추출물(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7-04052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8-036283호)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피부적용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기존의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보다 생체에 안전하고 효과가 높은 새로운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갖는 물질을 개발하던 중,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강력한 콜라겐 합성촉진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화합물의 콜라겐 합성 촉진능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에 관해서는 기존의 어떠한 연구도 없었다.
[일반식 1]
시알산-갈락토스-글루코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6-231370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6-20842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7-04052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8-036283호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식 1]
시알산-갈락토스-글루코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식 1]
시알산-갈락토스-글루코스
본 발명의 용어 "시알산(sialic acid)"은 뉴라민산의 N -아실체와 그 유도체의 총칭이다. N-아세틸뉴라민산(Neu5Ac)과 N-글리콜뉴라민산(Neu5Gc)이 있고, 또한 히드록실기가 아세틸기, 황산기, 인산기 등으로 변형된 유도체가 있다. 시알산을 포함한 특정 당사슬은 세포접착과 세포인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시알산은 N-아세틸뉴라민산 또는 N-글리콜뉴라민산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N-아세틸뉴라민산 일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의 화합물에서 시알산은 다양한 방식으로, 갈락토스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α-2,3 결합 또는 α-2,6 결합으로 갈락토스에 결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α-2,3 결합으로 갈락토스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시알산은 변형된(modified) 시알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알산의 4번 탄소에 있는 OH기가 변형(예컨대, C1-C4 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의 화합물에서 단당류인 갈락토스 및 글루코스는 D- 또는 L-형태의 입체이성질체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D-형태의 입체이성질체일 수 있다.
상기 갈락토스와 글루코스는 글리코시드 결합(glycosidic linkage)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글리코시드 결합은 α- 또는 β- 글리코시드 결합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β- 글리코시드 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반식 1의 화합물은 시알릴락토오스일 수 있다. 시알릴락토오스는 시알산에 결합된 갈락토오스와 글루코오스가 β-1,4 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연결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알릴락토오스는 2,3-시알릴락토오스(2,3-sialyllactose : Neu5Ac-a-2-3-Gal-b-1-4-Glc, NANA-Lactose, 3'-N-Acetylneuraminyl-D-lactose) 또는 2,6-시알릴락토오스(2,6-sialyllactose : Neu5Ac-a-2-6-Gal-b-1-4-Glc)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3-시알릴락토오스일 수 있다. 2,6-시알릴락토오스는 2,3-시알릴락토오스의 이성질체이다.
본 발명의 용어 "2,3-시알릴락토오스(2,3-sialyllactose : Neu5Ac-a-2-3-Gal-b-1-4-Glc, NANA-Lactose, 3'-N-Acetylneuraminyl-D-lactose)"는 여러 동물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며 세포인식,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의 인식과 흡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알릭 슈가(Sialic sugar)의 한 종류로, 천연상태의 2,3-시알릴락토오스는 모유 성분에 다량 존재하는 성분이다. 2,3-시알릴락토오스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미생물에서 유래된 당 전이 효소를 이용한 효소합성법 등을 통해 그 전구체로부터 2,3-시알릴락토오스를 얻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제시된 2,3-시알릴락토오스에 대한 실험은 ㈜진켐에서 구매한 2,3-시알릴락토오스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상기 2,3-시알릴락토오스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상기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에서, 상기 일반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전체 중량 대비 0.0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0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포함량의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미치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콜라겐(collagen)"은 동물에서 발견되는 천연 단백질(naturally occurring proteins) 군으로, 특히 척추동물의 피부와 결합조직에 존재한다. 결합조직의 주요 구성성분이며 포유동물에서 가장 풍부한 단백질로, 전체 생체 단백질의 25 내지 35%를 차지한다. 콜라겐은 연장된 섬유 형태로 힘줄(tendon), 인대(ligament) 및 피부와 같은 섬유조직에서 주로 관찰되며 각막(cornea), 연골, 뼈, 혈관, 내장(gut) 및 추간판(intervertebral disk)에도 풍부하다. 섬유아세포(fibroblast)는 콜라겐을 생성하는 세포로 잘 알려져 있다. 피부가 노화되거나 자외선, 열 등에 노출이 되면 콜라겐 합성능력이 떨어지고 콜라겐 양이 급속히 감소하게 된다. 콜라겐 양이 줄어들게 되면, 근육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피부 노화, 피부 탄력 약화 및 주름이 생기게 된다.
즉, 피부섬유아세포의 콜라겐의 합성이 촉진되면,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재생, 상처 치유, 손상된 피부 조직의 수복 및 재생; 및 피부 노화 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3-시알릴락토오스와 양성 대조군으로 형질전환생장인자-β(TGF-β :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를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콜라겐 생합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2,3-시알릴락토오스는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우수한 콜라겐 생합성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콜라겐 합성 능력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형질전환생장인자-β를 적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우수한 콜라겐 합성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2).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강력한 콜라겐 합성 촉진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부 주름 개선제, 상처 치유제 또는 노화 방지제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 주름"이란, 피부가 쇠하여 생긴 잔줄을 의미하는데, 유전자에 의한 원인,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의 감소, 외부 환경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부 주름 개선"이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2,3-시알릴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엣센스를 제조하였으며(실시예 3), 건강한 35세에서 5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상기 엣센스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 피험자의 설문을 통해 상기 엣센스를 사용한 경우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표 4), 영상분석을 통해 상기 엣센스를 도포한 경우 피부 주름의 밀도가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크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표 5). 따라서 2,3-시알릴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매우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학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피부 주름의 발생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용연고, 폼, 화장수,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유액,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오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로서, 상기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피부 주름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에 더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다는 것은, 이를 투여 시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투여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약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담체와 함께 제제화되어, 의약품, 사료 첨가제, 음용수 첨가제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말토덱스트린,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필요한 경우, 부형제, 희석제, 항산화제, 완충액 또는 정균제 등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 들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또는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적합한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트로키제(troches), 로젠지(lozenge), 정제, 수용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조제 분말, 과립, 에멀젼, 하드캡슐,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Amylopectin), 셀룰로오스(Cellulose) 또는 젤라틴(Gelatin) 등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Dicalcium phosphate) 등과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 등과 같은 붕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스테아르산 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릴 푸마르산 나트륨(Sodium stearyl fumarate)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Polyethylene glycol wax) 등과 같은 윤활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 방향제, 시럽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캡슐제의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주사액,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연고, 도포용 파우더, 오일, 크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비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 제제, 외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주사액으로 제제화하는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ampoule) 또는 바이알(vial)의 단위 투여용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에어로졸제로 제제화하는 경우, 수분산된 농축물 또는 습윤 분말이 분산되도록 추진제 등이 첨가제와 함께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연고, 크림 등으로 제제화하는 경우에는,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을 담체로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유효 투여량은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의 보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한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0.01 mg/kg 내지 100,0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g/kg 내지 500 mg/k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 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각각 독립적일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약학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정맥 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국소 도포, 경피 투여 또는 피하 투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질환 부위에 도포하거나 분무, 흡입하는 방법 또한 이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질환 부위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로서, 상기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바디 클렌저, 소독 청결제,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청소용 세정제, 치약, 가글제, 물티슈, 세제, 비누, 핸드 워시, 헤어세정제, 헤어 유연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및 필터 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로서, 상기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비롯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 방법에서, 상기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의 투여량, 투여 경로, 투여 방식 등은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콜라겐 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촉진제로서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여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합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향상시키고, 피부 주름을 개선하며,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일반식 1]
시알산-갈락토스-글루코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세포독성 시험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로서의 1차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2,3-시알릴락토오스에 대하여 V79-세포(차이니스 햄스터, 폐조직 섬유아세포의 연속 세포주)를 배양하여 MTT 방법(Mossma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 survival :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 55~63)을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2,3-시알릴락토오스의 세포독성 시험 결과
시료 IC50(%, W/V)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LS) 0.006
2,3-시알릴락토오스 5.89
상기 표 1에서, IC50은 Inhibitory Concentration 50으로 50%의 세포를 사멸시키는 농도를 의미한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3-시알릴락토오스의 IC50 값은 5.89로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에 비하여 900배 이상 세포독성이 낮게 나타나 안전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2,3- 시알릴락토오스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2,3-시알릴락토오스를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효과를 실험하였다. 생합성된 콜라겐의 측정은 PICP EIA kit(Procollagen Type Ⅰ C-Peptide Enzyme 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2,3-시알릴락토오스를 최종농도 0.01μg/ml, 0.1μg/ml, 1μg/ml, 10μg/ml이 되도록 하여 양성 대조군인 형질전환생장인자-β(TGF-β :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및 음성 대조군과 함께 각각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1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KIT로 각 농도에서 콜라겐 생합성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성량은 UV 흡광도(absorbance, Abs)로서 측정하고,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은 음성 대조군(무첨가)에 대한 상대적인 합성능의 %값으로 계산하여 표 2에 정리하였다.
농도에 따른 세포수준에서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
첨가시료 적용 농도(μg/ml) 콜라겐 생성량(Abs) 증가율(%)
대조군 - 185.98 -
2,3-시알릴락토오스 0.01 219.1 18
0.1 268.42 44
1 287.78 55
10 286.58 54
형질전환생장인자-β 0.01 228.20 23
표 2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2,3-시알릴락토오스는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우수한 콜라겐 생합성 촉진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콜라겐 합성 촉진 능력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형질전환생장인자-β를 적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1.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엣센스의 제조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
1)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엣센스의 제조
2,3-시알릴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엣센스를 제조하였으며(실시예 3), 2,3-시알릴락토오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비교예 1의 화장료 엣센스를 제조하였다. 상세한 조성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조 성 물 실시예 3 (중량%) 비교예 1 (중량%)
2,3-시알릴락토오스 1 -
프로필렌글리콜 10.0 10.0
글리세린 10.0 10.0
히아루론산나트륨수용액(1%) 5.0 5.0
에탄올 5.0 5.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0.1
0.05 0.05
정제수 to 100 to 100
2) 패널 테스트를 통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3과 비교예 1의 엣센스에 대해서 건강한 35세에서 5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35세에서 50세까지의 여성 30명을 15명씩 2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1군은 2,3-시알릴락토오스를 1 중량% 포함하는 실시예 3의 엣센스를, 2군은 비교예 1의 엣센스를 안면부에 1일 1회 3개월간 도포하였다.
3개월 후 피부 주름의 개선 정도를 피험자의 설문 및 피부 주름의 영상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설문은 피부 주름개선 및 탄력증진에 관하여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3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3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명)
시 료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
비교예 1 8 6 1
실시예 3 - 9 6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3의 엣센스를 사용한 경우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3) 영상분석을 통한 주름 개선 효과 실험
주름의 영상분석에 의한 평가는 실험이 시작되기 전 눈 밑의 레플리카(replica)를 채취하고(Xantopren, Bayer) 실험이 종료된 직후 레플리카를 눈밑의 동일 부위에서 채취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피부 주름의 2차원적 분석으로 피부 주름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영상분석에 의한 피부 주름 밀도의 측정 결과는 표 5에 사용전 피부 주름밀도 대비 사용후 피부 주름 밀도의 감소율을 평균하여 나타내었다.
피부 주름 개선 효과(영상분석)
시 료 피부 주름밀도 감소율 (%)
비 교 예 1 8
실 시 예 3 36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2,3-시알릴락토오스를 첨가한 실시예 3의 엣센스를 도포한 경우 피부 주름의 밀도가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크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2,3-시알릴락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매우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하 2,3-시알릴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피부 주름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4.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외용연고
2,3-시알릴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외용연고의 제형을 실시예 4로 제조하였으며, 상세한 조성은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조 성 물 실시예 4(중량%)
2,3-시알릴락토오스 2
디에틸 세바케이트 8
경납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6
벤조산 나트륨 0.1
와셀린 to 100
실시예 5.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크림
2,3-시알릴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크림의 제형을 실시예 5로 제조하였으며, 상세한 조성은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조 성 물 실시예 5(중량%)
2,3-시알릴락토오스 0.5
스테아린산 15.0
세탄올 1.0
수산화칼륨 0.7
글리세린 5.0
프로필렌글리콜 3.0
방부제 0.05
0.05
정제수 to 100
실시예 6. 피부 주름 개선용 유연화장수
2,3-시알릴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유연화장수의 제형을 실시예 6로 제조하였으며, 상세한 조성은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조 성 물 실시예 6(중량%)
2,3-시알릴락토오스 0.2
에탄올 10.0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6.0
0.05
색소 0.05
정제수 to 100
실시예 7. 피부 주름 개선용 영양화장수
2,3-시알릴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영양화장수의 제형을 실시예 7로 제조하였으며, 상세한 조성은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조 성 물 실시예 7(중량%)
2,3-시알릴락토오스 0.1
와세린 2.0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8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2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프로필렌글리콜 5.0
에탄올 3.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8.0
수산화칼륨 0.1
색소 0.05
0.05
정제수 to 100
실시예 8.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2,3-시알릴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팩의 제형을 실시예 8로 제조하였으며, 상세한 조성은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조 성 물 실시예 8(중량%)
2,3-시알릴락토오스 0.2
글리세린 5.0
프로필렌글리콜 4.0
폴리비닐알코올 15.0
에탄올 8.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색소 0.05
0.05
정제수 to 100
실시예 9. 피부 주름 치료용 캡슐제
2,3-시알릴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치료용 캡슐제를 실시예 9로 제조하였으며, 상세한 조성은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조 성 물 실시예 9(mg)
2,3-시알릴락토오스 10.0
전분 10.0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00.0
실시예 10. 피부 주름 치료용 주사제
2,3-시알릴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치료용 주사제를 실시예 10으로 제조하였으며, 상세한 조성은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조 성 물 실시예 10(mg)
2,3-시알릴락토오스 10.0
산성아황산나트륨 10.0
메틸파라벤 6.0
푸로펜파라벤 4.0
제일인산나트륨 12.0
제이인산나트륨 8.0
수산화나트륨 10.0
주사용 수 10.0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일반식 1]
    시알산-갈락토스-글루코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시알릴락토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알릴락토오스는 2,3-시알릴락토오스(Neu5Ac-α-2-3-Gal-β-1-4-Glc) 또는 2,6-시알릴락토오스(Neu5Ac-α-2-6-Gal-β-1-4-Gl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외용연고, 크림, 폼,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엣센스, 비누, 액체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및 선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 방법.
KR1020140089654A 2014-07-16 2014-07-16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4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654A KR102204367B1 (ko) 2014-07-16 2014-07-16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654A KR102204367B1 (ko) 2014-07-16 2014-07-16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738A true KR20160009738A (ko) 2016-01-27
KR102204367B1 KR102204367B1 (ko) 2021-01-19

Family

ID=5530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654A KR102204367B1 (ko) 2014-07-16 2014-07-16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367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8424A (ja) 1994-12-20 1996-08-13 Unilever Nv ベツリン酸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H08231370A (ja) 1995-02-23 1996-09-10 Taiyo Kagaku Co Ltd 皮膚化粧料
JP2557240B2 (ja) * 1987-12-21 1996-11-27 雪印乳業株式会社 皮膚老化予防剤
JPH0940523A (ja) 1995-07-28 1997-02-10 Ichimaru Pharcos Co Ltd クロレラ水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物質
JPH1036283A (ja) 1996-07-18 1998-02-10 Ichimaru Pharcos Co Ltd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WO1998048817A1 (en) * 1997-05-01 1998-11-05 Cytel Corporation Use of sialyl galactosides and related compounds as anti-angiogenic agents
KR20010015628A (ko) * 1998-07-27 2001-02-26 존 이. 앤더슨 시알일 당(糖) 및 이의 유도체를 함유한 국소성 조성물
KR20080092662A (ko) * 2007-04-13 2008-10-16 주식회사 진켐 신규 2,3―시알릭 전이효소 및 이를 이용한 말단에갈락토오스를 포함하는 물질의 제조방법
KR20120046719A (ko) * 2009-06-23 2012-05-10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콜라겐 생산 저하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 조성물 및 화장료
KR20120106703A (ko) * 2009-06-23 2012-09-26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콜라겐 생산 촉진제,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 조성물 및 화장료
KR20140054160A (ko) * 2011-08-03 2014-05-08 로터스 티슈 리페어 인코포레이티드 콜라겐 7 및 관련 방법들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7240B2 (ja) * 1987-12-21 1996-11-27 雪印乳業株式会社 皮膚老化予防剤
JPH08208424A (ja) 1994-12-20 1996-08-13 Unilever Nv ベツリン酸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H08231370A (ja) 1995-02-23 1996-09-10 Taiyo Kagaku Co Ltd 皮膚化粧料
JPH0940523A (ja) 1995-07-28 1997-02-10 Ichimaru Pharcos Co Ltd クロレラ水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物質
JPH1036283A (ja) 1996-07-18 1998-02-10 Ichimaru Pharcos Co Ltd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WO1998048817A1 (en) * 1997-05-01 1998-11-05 Cytel Corporation Use of sialyl galactosides and related compounds as anti-angiogenic agents
KR20010015628A (ko) * 1998-07-27 2001-02-26 존 이. 앤더슨 시알일 당(糖) 및 이의 유도체를 함유한 국소성 조성물
KR20080092662A (ko) * 2007-04-13 2008-10-16 주식회사 진켐 신규 2,3―시알릭 전이효소 및 이를 이용한 말단에갈락토오스를 포함하는 물질의 제조방법
KR20120046719A (ko) * 2009-06-23 2012-05-10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콜라겐 생산 저하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 조성물 및 화장료
KR20120106703A (ko) * 2009-06-23 2012-09-26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콜라겐 생산 촉진제,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 조성물 및 화장료
KR20140054160A (ko) * 2011-08-03 2014-05-08 로터스 티슈 리페어 인코포레이티드 콜라겐 7 및 관련 방법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367B1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00282A (ja) ケンペロールおよびケルセチンを含むヒアルロン酸の生成を促進するための組成物
KR102042967B1 (ko) 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088075A (ja) プロフィラグリン/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剤、表皮/角層正常化用皮膚外用剤、プロフィラグリン及び/又は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方法、及び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方法
KR20140042587A (ko) 제니포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8202A (ko)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소듐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나노 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0006844A (ja) インスリン様成長因子−1分泌促進剤
JP6238190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用、エラスチン産生促進用および/またはケラチノサイト遊走促進用組成物
KR101699127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102204367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1226B1 (ko) 레바우디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225728A1 (ja) 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産生促進剤及び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産生促進用組成物
JP2013040218A (ja) シリビン配糖体含有皮膚外用組成物
JP5167042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保湿剤及び皮膚外用剤
KR20240073879A (ko)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의 이용, 그리고 피부 외용 조성물 원료
KR101656322B1 (ko) 가르데노시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00040107A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801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2016037453A (ja) 皮膚保湿剤
KR102274487B1 (ko) 피부주름 및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56321B1 (ko) 디오스메틴 7-o-베타-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1629504B1 (ko) 사이토카인 조합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2023529683A (ja) リゼンタイド-034及びリゼンタイド-041を含む皮膚保護またはシワ改善用組成物
KR20230076874A (ko)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434034B1 (ko) 홀시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5712B1 (ko) 히파코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