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329A -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329A
KR20160009329A KR1020140089701A KR20140089701A KR20160009329A KR 20160009329 A KR20160009329 A KR 20160009329A KR 1020140089701 A KR1020140089701 A KR 1020140089701A KR 20140089701 A KR20140089701 A KR 20140089701A KR 20160009329 A KR20160009329 A KR 20160009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eolite
bean sprouts
beans
sprouts
soy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3652B1 (ko
Inventor
김봉호
Original Assignee
김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호 filed Critical 김봉호
Priority to KR1020140089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6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은 (a) 제올라이트 분말 및 콩을 혼합한 후, 편백나무 상자에 저장하여 콩을 숙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숙성된 콩을 제올라이트 배양액에 침지하여 콩을 불리는 단계; (c)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편백나무 시루에 상기 불린 콩을 넣고 재배기에 장착시키는 단계; 및 (d)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살수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콩나물은 발아율을 현저하게 증가시켜 짧은 시간에 콩나물을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의 유효성분들이 콩나물에 공급되어 인체에 유익한 여러 가지 영양을 함유한 영양식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콩나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린내, 부패취,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을 개선하여 농약이나 방부제의 사용 없이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Method for Cultivating Bean Sprout by Using Chamaecyparis obtusa and Zeolite}
본 발명은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에 함유되어 있는 피톤치드, 미네랄, 게르마늄 등의 유효성분을 지속적으로 콩나물에 접촉시킴으로써, 발아율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콩나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린내, 부패취,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을 개선하여 농약이나 방부제의 사용없이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콩나물(Bean sprouts)은 흰콩을 발아시켜 재배하는 것으로 옛날부터 가정에서 재배되어 섭취해온 우리나라 고유의 채소식품으로서, 비타민, 무기질, 단백질이 풍부하고, 섬유소가 많아 장의 작용을 돕고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어 철을 가리지 않고 우리민족이 가장 즐겨 찾는 식재료 중의 하나이다. 콩나물은 계절과 장소에 구애없이 단기간에 재배가 가능하고, 그 재배과정이 비교적 간단하여 매우 유용한 음식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콩나물의 재배방법을 간략히 살펴보면, 어두운 곳에서 콩알의 부피가 약 2배 정도로 될 때가지 물에 담가 놓았다가 이것을 시루처럼 밑으로 물이 잘 빠지는 용기에 모래와 콩을 깔아 놓고 그 위를 볏짚같이 통기성이 있는 것으로 엎어씌운 후 어두운 곳에서 27~30℃를 유지하면서 하루 2~3번 물을 주고, 2주 정도 지나면 싹이 나며 이후 계속 물을 부어주어 콩나물의 키가 10~13cm 자랐을 때 먹는 식품이다.
이때, 초기에 발아되지 못한 콩은 재배 도중에 용기의 바닥에서 썩게 되며, 썩은 콩은 부패취를 발생시키며 재배 중인 다른 콩나물의 부패 현상을 유도하므로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따라서 콩나물을 대량 재배할 경우 발아되지 못하고 부패된 콩으로 인하여 고품질의 콩나물을 대량으로 재배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콩나물은 국민이 즐겨 먹는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으로 재배와 유통상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아되지 않고 부패된 콩을 제거하는 공정을 도입하여 품질 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부패된 콩을 제거하는 번거로운 공정이 추가되기 때문에 재배 효율이 떨어지고, 통상적인 대량 생산공정에서는 재배용기에 콩을 투입하고 급수한 뒤 재배용기를 그대로 출하하기 때문에 이러한 공정을 도입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최근에는 콩나물의 발아율 촉진, 부패 방지, 비린내 제거 등 양질의 콩나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젖산, 키토산이나 천연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첨가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상기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3763호는「녹차와 영지버섯의 혼합환을 사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찹쌀풀을 이용하여 녹차와 영지버섯을 환으로 만들어 콩나물 재배과정에 투입시킴으로써, 녹차 및 영지버섯의 영양성분이 콩나물과 직접 접촉되어 영양성분을 흡수시키고 콩나물 특유의 비린내가 나지 않아 질적으로 우수한 콩나물을 제거할 수 있는 콩나물의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0426호는「인삼 콩나물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삼의 유효성분을 콩나물이 흡수할 수 있고, 온도, 습도, 콩의 미발아 등으로 인해 발생되었던 썩음병을 방지하며 색택이 우수하도록 하여 콩나물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콩나물콩의 발아율을 높여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콩나물의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외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9827호의 「헛개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콩나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2906호의 「황토성분을 포함하는 배양제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2411호의 「오가피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3802호의 「키토산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 산물」 등 다수의 기술이 콩나물의 발아율을 촉진시키고, 비린내 및 부패 방지 등 질적으로 우수한 콩나물을 재배하고자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발아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킴으로써 발아되지 않고 부패된 콩으로 인한 비린내, 부패취,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 전반적인 콩나물의 품질을 개선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피톤치드, 미네랄 및 게르마늄 등의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콩나물에 다양한 방법으로 공급시킴으로써, 콩나물의 발아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콩나물의 비린내, 부패취,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을 개선하여 농약이나 방부제의 사용없이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376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042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98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29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24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3802호
본 발명의 목적은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지속적으로 콩나물에 접촉시킴으로써, 콩나물의 발아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콩나물 특유의 비린내, 미발아로 인한 부패취,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을 개선하여 농약이나 방부제의 사용없이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콩나물의 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콩나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콩나물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a) 제올라이트 분말 및 콩을 혼합한 후, 편백나무 상자에 저장하여 콩을 숙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숙성된 콩을 제올라이트 배양액에 침지하여 콩을 불리는 단계; (c)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편백나무 시루에 상기 불린 콩을 넣고 재배기에 장착시키는 단계; 및 (d)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살수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은 250~350메쉬(Mesh)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콩을 숙성시키는 단계는 콩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올라이트 분말을 1 내지 5중량부로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콩을 숙성시키는 단계는 0~10℃에서 10~20일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 배양액은 25~35℃의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올라이트 분말을 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콩을 불리는 단계는 6~8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편백나무 시루는 두께가 20~50m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 살수액은 20~26℃의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올라이트 분말을 0.1~10중량부로 포함하고, 매 2시간마다 1회 15~20분 간격으로 살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 살수액은 두충잎가루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는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살수 시, 재배기 하단에 제올라이트 분말이 포함된 살수액 저장통에 저장되어 재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콩나물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콩나물은 발아율이 95%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은 편백나무에 다량 함유된 피톤치드 성분 및 제올라이트이 미네랄, 게르마늄 등 각종 유효성분을 콩나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콩에 침투시킴으로써 유효성분들이 콩나물에 흡수되어 인체에 유익한 여러 가지 영양을 함유한 영양식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발아율을 촉진시킴으로써 미발아된 썩은 콩으로 인한 비린내, 부패취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약이나 방부제의 사용없이 콩나물 재배시 발생될 수 있는 비린내, 부패취,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을 개선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로는, 콩나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살수 시, 제올라이트 분말이 포함된 살수액 저장통에 저장되어 이미 살포가 된 살포액 내의 불순물을 흡착시켜 제거함으로써 살포액의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의 사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살포액의 자체 수질정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콩나물에 함유된 성분들을 분석한 시험성적서이다.
본 발명은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농약이나 방부제의 사용없이 콩나물의 발아율을 촉진시키면서 콩나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린내, 부패취 및 갈반 현상 등 품질 저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콩나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콩에 침투시켜 제조하였을 때, 발아율을 촉진시키면서 품질이 우수한 양질의 콩나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올라이트 분말 및 콩을 혼합한 후, 편백나무 상자에 저장하여 숙성시킨 콩을 제올라이트 배양액에 침지하여 콩을 불린 다음, 상기 불린 콩을 편백나무 시루에 넣고 콩나물 재배기에 장착하여 제올라이트 살수액으로 살수하는 방법으로 콩나물을 재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콩나물은 농약이나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콩나물의 생육 상태 및 외관 형태가 우수하고 콩나물의 비린내 및 부패취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노송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40m, 지름 2m에 달하며, 가지는 수평으로 퍼져서 원뿔형의 수관을 하고 있다. 측백나무와 마찬가지로 편백도 암수한그루이다. 수피는 적갈색이고 섬유성이며 세로로 얇게 벗겨진다. 잎은 마주나고 두꺼우며 길이 1~1.5mm로 비늘같이 작고 뒷면의 기공조선(氣孔條線: 잎이 숨쉬는 부분으로 보통 잎 뒤에 흰 선으로 나타남)은 Y자형이다. 또한 잎 표면에 1개의 선(腺)이 있으며 뒷면에 흰 점이 있다. 열매는 구과(毬果)로 둥글고 지름 10∼12mm이며 홍갈색이고 8개 내외의 실편으로 구성된다. 각 실편에 종자가 2개씩 들어 있다. 종자는 길이 3mm 정도이고 2개의 지낭(脂囊)이 있으며 좁은 날개가 있다. 일본 특산종이며, 재질이 좋으므로 한국에서는 남부 지방의 조림수종으로 재배한다. 과거 일제식민지때 일본인들은 두가지 수종중에 편백나무를 7할과 삼나무를 3할로 심어 우리나라에 조림을 하였다고 전해진다. 측백나무는 뿔처럼 생긴 열매와는 달리 편백나무는 둥근모습의 배구공 모양을 하고 있어서 확실하게 구별할 수 있다.
편백나무의 가장 중요한 효능은 무독성이라는 점이다. 편백나무는 세균이나 각종 벌레로부터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서 피톤치드라는 성분이 뿜어져 나온다. 여기에서 피톤치드(Phytoncide)란 수목이 해충이나 미생물로부터 자기를 방어하기 위해 공기중에 발신하는 천연의 향균물질을 말한다. 피톤치드의 주성분은 휘발성이 강한 테르펜류가 주를 이루며, 향기 이외의 성분도 다수 함유되어 있다. 상기 피톤치드는 살균효과와 항생제 역할을 하며, 강력한 탈취효과를 가지고 있어 냄새를 제거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항균 작용이 뛰어나 인체에 도움되지 않는 병균, 세균들을 없애주는 효능이 있다. 편백 정유의 항균 효과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60여 종의 항생제와 비교할 때 상위 10군의 항생제와 유사할 뿐만 아니라, 레지오넬라균이나 칸디다균에서는 일반 항생제보다 우세하거나 비슷한 항균력을 나타낸다.
한편, 제올라이트 분말은 제올라이트(Zeolite)는 비석(沸石)이라 하며, 실리카(규소,Si)와 알루미늄(Al)로 이루어진 광물로서 물과 같은 다른 물질을 흡수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결정성 미네랄이다. 제올라이트는 규산염(규소에 미네랄 등의 성분이 부착한 물질)을 다량 함유한 물질로 표면에 무수한 구멍이 있어 강한 흡착, 탈취력을 가지며 유독가스, 암모니아, 악취 등을 흡착·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정화력을 가지고 있어 최근 수질정화 기술에서 흔히 사용되는 흡착물질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피톤치드가 다량 함유된 편백나무 및 천연 미네랄인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올라이트 분말 및 콩을 혼합한 후, 편백나무 상자에 저장하여 콩을 숙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숙성된 콩을 제올라이트 배양액에 침지하여 콩을 불리는 단계; (c)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편백나무 시루에 상기 불린 콩을 넣고 재배기에 장착시키는 단계; 및 (d)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제조한 후, 상기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살수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콩을 숙성시키는 단계는 콩은 제올라이트 분말에 혼합한 후, 편백나무 상자에 저장하여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제올라이트 분말은 250~350메쉬(Mesh)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이 250메쉬 미만일 경우에는 물에 용해시킬 때 가루가 침적되어 살수 노즐의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350메쉬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공비용이 늘고 물에 혼합할 때 덩어리가 엉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비효율적이다.
상기한 과정에서 얻은 제올라이트 분말을 콩과 혼합한 후 숙성시킬 때, 제올라이트 분말은 콩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중량부로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이 콩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콩에 비하여 제올라이트 분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제올라이트를 콩나물에 골고루 접촉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정제작용이 저하되고, 발아율의 촉진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반면에 제올라이트 분말이 콩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그 이상을 함유하지 않아도 콩과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져 정제작용 및 발아율의 촉진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다.
이렇게 제올라이트 분말과 혼합된 콩은 편백나무 상자에 저장하여 0~10℃에서 10~20일 동안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백나무 상자에 저장하는 이유는 편백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피톤치드 성분이 강력한 항균, 살균 및 탈취 효과가 있기 때문에 농약이나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발아율이 우수하고, 콩에 발생할 수 있는 해충이나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냄새 제거에 효과가 우수하여 부패취, 비린내 등의 잡내를 없애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때, 숙성 시 0~10℃의 저온창고에 유지시켜 10~20일 동안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을 경우에는 편백나무 상자와 제올라이트로 인한 콩의 정제작용과 발아율을 촉진시키는데 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에 적절하게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와 같이 제올라이트 분말 및 편백나무 상자를 이용하여 콩에 직접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편백나무에서 발산하는 피톤치드와 제올라이트의 미네랄 및 게르마늄 등의 성분으로 인하여 콩나물의 발아율을 촉진시키고, 각종 유효성분들이 콩나물에 공급되어 인체에 유익한 여러 가지 영양을 함유한 영양식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숙성된 콩을 불리는 단계는 숙성된 제올라이트 배양액에 침지하여 6~8시간동안 불리게 되는데, 이렇게 숙성된 콩을 불리는 과정에서 제올라이트에 함유된 유효성분들이 콩 내부에 골고루 흡수되게 된다.
여기에서 '제올라이트 배양액'이라 함은 제올라이트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콩을 불릴 때 침지시키는 배양액을 의미한다. 제올라이트 배양액에 침지할 경우 일반 물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콩 내부에 수분 뿐만 아니라 제올라이트의 유효성분을 함께 침투시켜 발아를 촉진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각종 영양성분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 배양액은 25~35℃의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올라이트 분말을 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올라이트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배양액을 제조할 경우 물의 온도가 발아율 및 제조 효율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 25℃ 미만의 물을 사용하여 제올라이트 분말과 혼합할 경우에는 발아가 되기까지 콩을 불리는 시간(10시간 이상)이 장시간 소요되어 제조 효율이 떨어지고, 35℃를 초과한 물을 사용하여 제올라이트 분말과 혼합할 경우에는 콩을 불리는 시간은 단축되지만 발아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25~35℃의 물을 사용할 경우 짧은 시간(6~8시간) 내에 가장 효과적으로 콩을 발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불린 콩을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편백나무 시루에 넣고 콩나물 재배기에 장착하여 재배할 수 있다. 편백나무는 두께가 20~50mm인 판재를 사용하여 만든 시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백나무 시루의 두께가 20mm 미만일 경우에는 콩나물의 냄새, 맛, 외관 형상 등의 품질을 개선하기에는 피톤치드의 양이 부족하고, 3~4회 재배 후에는 피톤치드의 양이 거의 없어져 수명이 떨어지기 때문에 시루를 자주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반면에, 50mm를 초과할 경우에는 두꺼울수록 피톤치드를 방출할 수 있는 양이 많아져 효과는 있지만, 편백나무 시루의 무게가 무거워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재배기에 장착 시 내부 공간이 축소되어 비합리적이다. 편백나무 시루에 불린 콩을 넣고 재배한 콩나물은 일반 콩나물 재배기에서 재배한 콩나물보다 콩나물의 뿌리가 길고 뿌리부분의 갈반 현상이 없으며, 특유의 비린내 및 부패취 등의 냄새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식감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 단계로, 상기 다수의 편백나무 시루에 불린 콩을 넣고 콩나물 재배기에 장착한 다음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살수하여 콩나물을 재배한다.
여기에서'제올라이트 살수액'이라 함은 제올라이트 분말과 물을 혼합한 살수액을 의미하는데, 제올라이트의 효능은 앞서 기재된 내용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 살수액은 20~26℃의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올라이트 분말을 0.1~1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추가적으로 제올라이트에 함유되어 있는 미량원소의 활성보완 효능이 있는 두충잎가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20~26℃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 콩나물의 생육 기간을 줄이면서 콩나물의 생육 상태가 양호한 양질의 콩나물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콩나물 재배기 상부에 매 2시간마다 1회 15~20분 간격으로 살수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수 간격을 매 시간마다 할 경우에는 수분과다공급으로 인하여 콩이 발아되지 않고 부패할 확률이 높아지고, 살수 간격을 2시간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콩나물 뿌리 부분에 황화현상이 발생하고 생장이 느려지며 식감이 질긴 콩나물이 재배될 확률이 높아진다.
이렇게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살수하여 콩나물을 재배하게 되는데, 콩나물 재배기 하단에 제올라이트 분말이 포함된 살수액 저장통을 장착하여 살수된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정화시켜 재사용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 자체가 표면에 무수한 구멍이 있어 강한 흡착, 탈취력을 가지며 유독가스, 암모니아, 악취 등을 흡착ㅇ제거하는 불순물을 흡착하는 효과가 있어 정화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은 발아율이 95% 이상으로 일반 콩나물에 비해 발아율을 현저하게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콩나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린내, 부패취 및 갈반 현상을 개선하여 농약이나 방부제의 사용없이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1) 콩 및 제올라이트 분말 준비
콩은 오프라인 마켓에서 구입한 국내산 콩나물 콩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제올라이트는 경북 울진에서 채취하여 상위등급 원석을 선별하였고, 상기 제올라이트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분쇄한 후, 250~350메쉬의 분말이 되도록 분말화하였다.
(2) 콩의 숙성 단계
상기와 같이 준비된 콩나물 콩 10kg에 250~350메쉬로 이루어진 제올라이트 분말 300g을 혼합한 다음, 편백나무 상자에 넣고 저장하여 0~10℃에서 15일 동안 숙성시켰다.
(3) 콩을 불리는 단계
온도별(20℃, 25℃, 30℃, 35℃, 40℃)로 준비된 물 20리터에 제올라이트 분말을 500g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배양액을 만들었다, 상기 제올라이트 배양액에 숙성된 콩을 혼합하여 8시간 동안 침지하여 콩을 불렸다.
(4) 콩을 콩나물 재배기에 장착하는 단계
편백나무 시루는 전남 순천시 외서면 산에서 벌목한 수령 40년 이상된 국내산 편백나무를 두께가 20mm의 판재로 만든 다음,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 준비된 다수개의 편백나무 시루에 불린 콩을 넣고 콩나물 재배기에 장착하였다.
(5)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
20~26℃의 물 300리터에 제올라이트 분말 1.5kg 및 두충잎가루 50g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만들었다, 상기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콩나물 재배기에 매 시간, 2시간, 3시간마다 1회 15~20분 간격으로 6일간 살수하여 재배하였다. 살수된 제올라이트 살수액은 콩나물 재배기 하단에 제올라이트 분말이 포함된 살수액 저장통에 저장되어 재사용하여 살수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콩나물을 재배하되, (2)콩의 숙성 단계에서 편백나무 상자 대신 일반 상자를 사용하고, (3)콩을 불리는 단계에서 제올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지 않고 물만을 이용한 물배양액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콩나물을 재배하되, (2)콩의 숙성 단계에서 편백나무 상자 대신 일반 상자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콩나물을 재배하되, (3)콩을 불리는 단계에서 제올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지 않고 물만을 이용한 물배양액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콩나물을 재배하되, (4) 콩을 콩나물 재배기에 장착하는 단계에서 편백나무 시루 대신 일반 시루를 사용하고, (5)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에서 제올라이트 살수액 대신 물만을 사용한 물 살수액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콩나물을 재배하되, (4) 콩을 콩나물 재배기에 장착하는 단계에서 편백나무 시루 대신 일반 시루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콩나물을 재배하되, (5)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에서 제올라이트 살수액 대신 물만을 사용한 물 살수액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발아율(Germination) 측정 결과
숙성된 콩을 3일 동안 온도별(20℃, 25℃, 30℃, 35℃, 40℃)로 준비된 배양액에 침지하여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3의 발아율(%, Germination)을 확인하였다. 발아율(%)은 사용된 종자의 수 중에서 발아가된 종자의 수를 세어 수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발아율(%) = 발아가된 종자의 수 / 사용된 종자의수 X 100
콩 숙성 상자 콩 배양액 발아율(%, Germination days)
20℃ 25℃ 30℃ 35℃ 40℃
실시예 1 편백나무
상자
제올라이트
배양액
91 96 99 98 92
비교예 1 일반 상자 물 배양액 75 76 79 78 76
비교예 2 일반 상자 제올라이트
배양액
81 87 88 88 82
비교예 3 편백나무
상자
물 배양액 80 84 82 83 77
그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모든 온도 조건에서 발아율이 90% 이상으로 발아되었고, 특히 25~35℃의 온도에서 발아율이 95% 이상으로 발아율이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3과 같은 경우에는 모든 온도별 처리구에서 발아율이 90% 미만으로 매우 낮아, 실시예 1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일반 상자를 이용하여 콩을 숙성하고, 숙성된 콩을 물 배양액에 침지한 비교예 1과 같은 경우에는 발아율이 80% 미만으로 가장 발아율이 떨어졌고, 편백나무 상자와 제올라이트 배양액 중에서 택일하여 사용한 비교예 2 및 3은 실시예 1보다는 효과가 떨어지지만, 비교예 1보다는 발아율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과 같이 편백나무 상자와 제올라이트 배양액을 사용하였을 때,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의 유효성분이 콩 내에 흡수되어 발아율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다양한 온도 조건 중 25~35℃에서 발아율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콩나물의 생육 상태
콩나물을 재배 시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재배된 콩나물의 생육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4 내지 6으로부터 재배된 콩나물의 생육 상태를 살수 시간 및 간격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콩나물의 총 중량, 길이, 두께 및 외관 상태를 평가항목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콩 시루 콩 살수액 생육상태
살수 시간 및 간격 1시간 간격,
1회씩 15~20분
2시간 간격.
1회씩 15~20분
3시간 간격,
1회씩 15~20분
실시예 1 편백나무
시루
제올라이트
살수액
총 중량(g) 180.25±3.6 181.38±4.1 180.05±5.6
길이(cm) 13.26±33.2 14.26±26.3 10.64±36.4
두께(mm) 2.21±24.6 2.37±53.7 2.28±25.6
외관 상태 양호하나,
일부 미발아됨
매우 양호 양호하나,
길이가 짧음
비교예 4 일반
시루
물 살수액 총 중량(g) 162.14±3.2 163.58±5.1 159.58±5.1
길이(cm) 8.88±22.6 8.25±4.0 7.25±4.0
두께(mm) 1.37±37.2 1.67±5.0 1.63±3.6
외관 상태 대부분의 콩이
미발아되어
부패
뿌리 부분에 갈반 현상,
일부 붉은반점 및 줄무늬 현상
황화 현상,
길이가 짧고 잔뿌리 많음
비교예 5 일반
시루
제올라이트
살수액
총 중량(g) 170.66±3.5 171.25±2.5 170.26±3.7
길이(cm) 10.47±23.2 11.68±24.9 8.36±46.7
두께(mm) 2.01±24.6 2.03±81.9 2.01±24.5
외관 상태 일부 미발아
되어 부패
양호 길이가 짧고 잔뿌리 많음
비교예 6 편백나무
시루
물 살수액 총 중량(g) 170.12±3.6 170.16±6.2 170.26±3.7
길이(cm) 10.25±62.7 10.26±15.6 8.36±46.7
두께(mm) 2.00±46.2 2.01±26.3 2.01±24.5
외관 상태 일부 미발아
되어 부패
양호하나,
일부 약간의 갈반 현상
길이가 짧고 잔뿌리 많음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편백나무 시루 및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이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한 실시예 1의 경우, 일반 시루 및 물 살수액을 이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한 비교예 4 및 편백나무 시루 및 제올라이트 살수액 중에서 택일하여 사용한 비교예 5 및 6과 비교하였을 때, 콩나물의 길이, 두께 및 총 중량이 월등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편백나무와 제올라이트의 유효성분이 콩에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콩나물의 생육이 촉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로부터 재배한 콩나물의 발아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미발아된 콩이 감소되어 발아되지 않고 부패된 콩에서 발생되는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및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 외관 상태의 문제점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콩나물을 재배 시 살수 시간 및 간격에 따라 콩나물의 생육 상태가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과 비교예 4 내지 6 모두 살수 시간 및 간격을 매 2시간마다 1회씩 15~20분 살수하였을 때 외관 상태가 가장 우수하였고, 특히 실시예 1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발아되지 않고 부패된 콩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및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의 현상이 확인되지 않아 외관 상태가 매우 양호하였다.
또한, 살수 시 살수 간격을 매시간으로 하게 되면, 수분이 과다공급되어 일부에서 콩이 발아되지 않고 부패되는 양상을 보였고, 살수 간격을 매 3시간으로 하게 되면 살수 간격이 넓어 수분이 부족하여 생육 속도가 상대적으로 늦고, 일부 뿌리부분에서 황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길이는 짧고 잔뿌리만 많이 생겨 생육상태가 양호하지 않았다. 따라서, 살수 시간 및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재배할 경우 생육상태가 우수한 양질의 콩나물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기호도 평가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재배된 콩나물과 비교예 4 내지 6에서 재배된 콩나물의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살수액의 살수 시간 및 간격은 실험예 2의 결과를 토대로 매 2시간마다 1회씩 15~20분간 살수하였다.
평가는 관능검사로 하였으며, 냄새, 식감 및 외관상태를 평가항목으로 하였다. 점수는 1~5점(5점:좋다, ~3점:보통, ~1점:나쁘다)으로 하였고, 15명의 패널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15명의 패널들의 평가점수를 평균으로 하여 수치화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냄새 식감 외관 상태
실시예 1 4.8점 4.7점 4.9점
비교예 4 3.4점 3.9점 3.6점
비교예 5 4.4점 4.2점 4.1점
비교예 6 4.3점 4.0점 4.0점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방법으로부터 재배한 콩나물은 냄새, 식감 및 외관 상태가 비교예 4 내지 6에 비하여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냄새 평가에서 일부 패널들은 실시예 1에서 약간의 인삼향이 나서 향이 좋다는 평가가 있었다. 이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의 유효성분이 콩나물이 흡수되어 기호도가 우수한 냄새가 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콩나물을 씹었을 때 아삭한 느낌 때문에 식감이 좋다는 평가가 있었고, 외관은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콩나물의 전체적인 상태가 우수하였기 때문에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편백나무 시루 및 제올라이트 살수액 중에서 택일하여 사용한 비교예 5 및 6은 실시예 1보다는 기호도가 떨어지지만, 비교예 4와 비교하였을 때 편백나무 시루 또는 제올라이트 살수액의 영향으로 인하여 냄새, 식감 및 외관 상태가 개선이 되었다.
이상 실험예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은 발아율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여러 가지 영양을 함유한 영양식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으로부터 제조된 콩나물이 게르마늄, 칼슘 및 마그네슘 등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콩나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린내, 부패취,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 을 개선하여 농약이나 방부제의 사용없이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다.

Claims (12)

  1. 콩나물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a) 제올라이트 분말 및 콩을 혼합한 후, 편백나무 상자에 저장하여 콩을 숙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숙성된 콩을 제올라이트 배양액에 침지하여 콩을 불리는 단계;
    (c)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편백나무 시루에 상기 불린 콩을 넣고 재배기에 장착시키는 단계; 및
    (d)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살수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은 250~350메쉬(Mesh)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콩을 숙성시키는 단계는 콩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올라이트 분말을 1 내지 5중량부로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콩을 숙성시키는 단계는 0~10℃에서 10~20일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 배양액은 25~35℃의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올라이트 분말을 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콩을 불리는 단계는 6~8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나무 시루는 두께가 20~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 살수액은 20~26℃의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올라이트 분말을 0.1~10중량부로 포함하고, 매 2시간마다 1회 15~20분 간격으로 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 살수액은 두충잎가루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는 제올라이트 살수액을 살수 시, 재배기 하단에 제올라이트 분말이 포함된 살수액 저장통에 저장되어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11. 제 1항 내지 10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재배된 콩나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은 발아율이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KR1020140089701A 2014-07-16 2014-07-16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KR101613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701A KR101613652B1 (ko) 2014-07-16 2014-07-16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701A KR101613652B1 (ko) 2014-07-16 2014-07-16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329A true KR20160009329A (ko) 2016-01-26
KR101613652B1 KR101613652B1 (ko) 2016-04-19

Family

ID=5530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701A KR101613652B1 (ko) 2014-07-16 2014-07-16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6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426A (ko) 2002-12-10 2004-06-16 조순여 인삼 콩나물의 재배방법
KR100569827B1 (ko) 2004-03-30 2006-04-11 이재천 헛깨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콩나물
KR100693802B1 (ko) 2005-03-21 2007-03-12 노홍균 키토산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 산물
KR100862906B1 (ko) 2005-10-07 2008-10-15 엠오지메이트(주) 황토성분을 포함하는 배양제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KR20110013763A (ko) 2009-08-03 2011-02-10 박종권 녹차와 영지버섯의 혼합환을 사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KR101062411B1 (ko) 2009-03-26 2011-09-06 강산영농조합법인 오가피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44B1 (ko) 2008-09-18 2009-03-18 (주)동원식품 콩나물 재배장치 및 콩나물 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426A (ko) 2002-12-10 2004-06-16 조순여 인삼 콩나물의 재배방법
KR100569827B1 (ko) 2004-03-30 2006-04-11 이재천 헛깨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콩나물
KR100693802B1 (ko) 2005-03-21 2007-03-12 노홍균 키토산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 산물
KR100862906B1 (ko) 2005-10-07 2008-10-15 엠오지메이트(주) 황토성분을 포함하는 배양제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KR101062411B1 (ko) 2009-03-26 2011-09-06 강산영농조합법인 오가피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KR20110013763A (ko) 2009-08-03 2011-02-10 박종권 녹차와 영지버섯의 혼합환을 사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652B1 (ko) 201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88799A (zh) 一种富硒黑木耳的栽培方法
KR100698282B1 (ko) 천기토를 함유하는 비료 조성물
KR100612641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채소의 재배방법
KR101065484B1 (ko) 작물재배용 양액 및 그 제조방법
CN107148850A (zh) 一种延长玫瑰花期的方法
CN107996242A (zh) 一种辣木容器育苗方法
KR100678559B1 (ko)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CN107580951A (zh) 一种富硒油茶的种植方法
CN107396654A (zh) 一种紫薇种子的处理方法
Rana et al. Biostimulatory effect of seaweed extract on the fruiting and runner production of Strawberry
CN111316854A (zh) 一种促进金花茶实生幼树开花的方法
KR101613652B1 (ko)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CN102792977A (zh) 一种防治圣女果蚜虫的配制方法
CN101933452A (zh) 一种苗木用基质土消毒方法
KR102459660B1 (ko) 땅콩나물 재배방법
JP2007161586A (ja) カバノアナタケ抽出液、カバノアナタケ抽出液の製造方法、カバノアナタケ抽出液を水田に使用する方法、カバノアナタケ抽出液を果実・野菜・花卉に使用する方法、カバノアナタケ抽出液をファレノプシスに対して使用する方法
Sharma et al. Technologies Developed by ICAR-DMR for Commercial Use
KR0137878B1 (ko) 오존수를 이용한 무공해 콩나물 및 숙주나물의 제조방법
CN106900507A (zh) 富硒袋制黄豆芽的培育方法
CN106852248A (zh) 一种龟背竹叶斑病的防治方法
CN106106192A (zh) 一种嘉宝果组织培养体系的建立方法
CN106069684A (zh) 一种土豆的无土栽培方法
KR101496343B1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콩나물 및 재배방법
CN110627573A (zh) 以茶毫为原料制备改良土壤板结专用肥的方法
KR102236588B1 (ko) 솔잎액 소독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해 재배된 콩나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