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344B1 - 콩나물 재배장치 및 콩나물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콩나물 재배장치 및 콩나물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344B1
KR100889344B1 KR1020080091479A KR20080091479A KR100889344B1 KR 100889344 B1 KR100889344 B1 KR 100889344B1 KR 1020080091479 A KR1020080091479 A KR 1020080091479A KR 20080091479 A KR20080091479 A KR 20080091479A KR 100889344 B1 KR100889344 B1 KR 100889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ean sprouts
bean
cultivation
spro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주)동원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원식품 filed Critical (주)동원식품
Priority to KR1020080091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3Zeol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콩나물 재배수를 주기적으로 일정량씩 지속적으로 반복 순환시키면서 광물과의 지속적인 접촉을 통하여 광물로부터의 무기질 성분이 지속적으로 보충되도록 함과 동시에 콩나물 재배수의 pH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콩나물의 재배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콩나물이나 콩의 부패를 방지하여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콩나물의 생육에 필요한 무기질 성분들의 보충이 가능하도록 하는 콩나물 재배장치 및 콩나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재배장치는 그 저면에 다수의 통수구들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분말상의 여재가 여재층을 형성하도록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제1통부; 상기 제1통부의 하방에 위치하며, 그 내부에 콩나물을 재배하기 위한 콩을 수용하며, 그 저면에 다수의 통수구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통부; 및 그 하단부에 상기 제1통부에로 콩나물 재배수를 회귀시키기 위한 도관과 연결되는 출수구와, 내부의 콩나물 재배수를 방출하기 위한 방수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3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여재가 게르마늄-일라이트-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광물을 입상의 활성탄의 표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콩나물 재배, 여재, 혼합광물, 게르마늄,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알칼리성

Description

콩나물 재배장치 및 콩나물 재배방법 {Bean sprouts culturing apparatus and bean sprouts culturing method}
본 발명은 콩나물 재배장치 및 콩나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콩나물 재배수로서 무기질이 풍부하게 용해된 알칼리성의 광물침지수를 이용하되, 상기 광물침지수를 콩나물 재배장치 내에 광물침지수의 제조의 원료가 되는 광물이 코팅된 활성탄층으로 이루어지는 여재를 통과하도록 하고, 또한 콩나물이 재배되는 공간의 바닥에도 선택적으로 상기 광물의 분말로 이루어지는 광물층이 도포된 부직포층을 설치하여 콩나물이 상기 광물층 상에서 재배되도록 이루어지며, 덮개에 탑재되는 펌프의 간헐적인 동작에 의해 주기적으로 재배용수를 순환시키도록 하는 콩나물 재배장치 및 콩나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콩나물은 콩에 광선이 조사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발아시키고, 성장시킨 것으로서, 콩을 물에 담가 불린 다음 시루에 볏짚이나 시루 밑을 깔고, 그 위에 콩을 담아 어두운 곳에서 고온다습하게 하여 발아시키고, 계속해서 마르지 않도록 물을 자주 주고 5 내지 7㎝ 정도 자랐을 때부터 수확하여 식용이 가능하다.
콩나물은 단기간 동안 재배가 가능하고,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및 무기질 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콩나물이 자라는 과정 중 체내대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콩이 원래 포함하고 있는 지방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반면 비타민의 함량이 증가하고, 특히 비타민 C가 합성됨에 따라 주식인 쌀에서 부족하기 쉬운 영양분의 공급원으로서 그 영양학적 가치가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년중 이용할 수 있는 주년채소로서 국민식생활에 매우 친근한 식품의 하나이다.
종래 일반가정에서 콩나물을 재배할 때에는 물그릇 위에 시루를 올려놓고 시루 안에 베보자기를 깔아 콩을 받쳐 놓은 다음, 그 위에 주기적으로 물을 뿌리면서 재배하여 왔는데 이러한 종래의 재배방법은 시간을 맞추어서 물을 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불편이 있는 한편, 흘러내린 물을 다시 콩나물에 떠 붓는 등의 비위생적인 결점이 있었고, 물을 자주 주지 않으면 콩나물 자체에서 발생하는 부식열로 급속히 부패하는 폐단도 있었다.
또 다른 결점은 콩나물을 식용하기에 알맞게 성장되는 기간이 매우 단기간이어서 많은 양의 콩나물을 일시에 재배할 수 없는 문제점 때문에 대부분 상업적으로 재배한 콩나물은 생장과정에서 부패를 방지하는 약품(주로 농약)을 사용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1991-2243호에는 도자기 살수판에 의한 소량의 정수를 계속적으로 낙수케하여 콩나물이 썩지 않고 위생적으로 자랄 수 있게 하고 콩나물을 키우는 사각형기를 다단식으로 적층시켜 소량의 콩나물의 재배간격을 두고 층층으로 재배하여 먹기에 알맞은 때의 콩나물을 계속해서 재배 및 수확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정용 콩나물 재배기를 기술하고 있다.
한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1990-2544호에는 외광내협 형상으로 구성되고 저면에 다수의 살수공을 갖춘 살수관체를 재배기의 상부에 자유로이 회동되게 축설시키고 이 살수관체의 회동축봉에 수개의 익편을 설치함과 아울러 이의 익편에 급수의 송수압이 접선 방향으로 가해지게 하여 살수관체가 재배수의 양수압에 의해 회전되며 재배수를 고루 분재 살수시키도록 한 자동급수 콩나물 재배기의 살수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15962호에는 콩나물의 부패병이 콩나물 수량 및 품질의 저하를 가져오는 주원인이 된다는 점을 주목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콩나물 재배수를 바이오 세라믹을 통해 자연정화 시킨 후, 전해분리를 통한 알칼리수로 부패세균의 번식을 억제시키는 콩나물 및 숙주나물을 무공해 청정재배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출원은 바이오 세라믹이나 전해분리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실시가능한 정도로 기재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효과도 구체적으로 적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허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공고번호 제272788호에는 흡착침강형 정수제로서 사용되는 점토광물인 일라이트 분말을 급수탱크 내에서 물에 용해시켜 일라이트 수용액으로 만든 다음 그 일라이트 수용액을 콩나물에 수회 순환급수시켜 콩나물을 재배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4-78781호에는 맥반석, 규석 등의 자연 암석, 갑각류 껍질, 패류 껍질, 계란 껍질, 팩틴 및 나트륨염 첨가물을 혼합하여 바이오 미네랄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약 8 내지 10ppm 정도의 알칼리성을 갖는 용액을 제조하여 이를 콩나물 등의 재배에 이용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에서는 콩나물 재배수가 무기질 성분이나 알칼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광물과의 접촉에 의한 침지수가 단지 일회성의 접촉만으로 이루어지며, 콩나물 재배의 특성상 반복적인 순환에 의한 콩나물의 재배 과정에서 콩나물의 재배 동안에 pH의 변화 및 무기질 성분의 소모를 보충하기 위한 기술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아니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콩나물 재배수를 주기적으로 일정량씩 지속적으로 반복 순환시키면서 광물과의 지속적인 접촉을 통하여 광물로부터의 무기질 성분이 지속적으로 보충되도록 함과 동시에 콩나물 재배수의 pH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콩나물의 재배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콩나물이나 콩의 부패를 방지하여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콩나물의 생육에 필요한 무기질 성분들의 보충이 가능하도록 하는 콩나물 재배장치 및 콩나물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콩나물 재배장치는, 그 저면에 다수의 통수구들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분말상의 여재가 여재층을 형성하도록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제1통부; 상기 제1통부의 하방에 위치하며, 그 내부에 콩나물을 재배하기 위한 콩을 수용하며, 그 저면에 다수의 통수구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통부; 및 그 하단부에 상기 제1통부에로 콩나물 재배수를 회귀시키기 위한 도관과 연결되는 출수구와, 내부의 콩나물 재배수를 방출하기 위한 방수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3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여재가 게르마늄-일라이트-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광물을 입상의 활성탄의 표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통부의 상부에는 콩나물 재배수의 순환을 위한 펌프가 탑재되며, 상기 펌프는 그 유체입구가 상기 제3통부의 출수구에 연결되는 도관에 연결되고, 그 유체출구가 상기 제1통부에 연결되는 급수구에 연결되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부의 여재층을 형성하는 상기 여재들의 하부에는 부직포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부의 저면에는 그 상면에 상기 여재로 이루어지는 여재층이 형성된 부직포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부와 상기 제3통부 사이에는 상기 제2통부가 2 내지 5개의 범위 이내의 개수로 복수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덮개에는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스위치와 상기 펌프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및 상기 펌프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콩나물 재배방법은, (1) 콩나물 재배용 콩을 20 내지 30시간 동안 물에 침지시켜 불리는 전처리단계; (2) 콩나물 재배 수로서 게르마늄-일라이트-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광물을 입상의 활성탄의 표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여재를 통하여 통과시킨 재배여수를 사용하여 이 재배여수를 상기 전처리단계를 거친 콩나물 재배용 콩에 5 내지 15일 동안 매 20 내지 40분 간격으로 10 내지 20분간 살포하는 살포단계; 및 (2) 상기 살포단계가 종료하거나 육안으로 보아 콩나물이 수확가능한 정도로 성장한 경우에 상기 콩나물을 수확하는 수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포단계가 상기 재배여수를 순환시켜 반복사용하는 순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단계에서 상기 재배여수가 재살포 되기 전에 상기 여재와 재접촉시키는 여재접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콩나물 재배수를 주기적으로 일정량씩 지속적으로 반복 순환시키면서 광물과의 지속적인 접촉을 통하여 광물로부터의 무기질 성분이 지속적으로 보충되도록 함과 동시에 콩나물 재배수의 pH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콩나물의 재배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콩나물이나 콩의 부패를 방지하여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콩나물의 생육에 필요한 무기질 성분들의 보충이 가능하도록 하는 콩나물 재배장치 및 콩나물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콩나물 재배장치는, 그 저면에 다수의 제1통수구(12)들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분말상의 여재(13)가 여재층을 형성하도록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제1통부(11); 상기 제1통부(11)의 하방에 위치하며, 그 내부에 콩나물을 재배하기 위한 콩을 수용하며, 그 저면에 다수의 제2통수구(22)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통부(21); 및 그 하단부에 상기 제1통부(11)에로 콩나물 재배수를 회귀시키기 위한 도관(43)과 연결되는 출수구(32)와, 내부의 콩나물 재배수를 방출하기 위한 방수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3통부(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여재(13)가 게르마늄-일라이트-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광물을 입상의 활성탄의 표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재배장치는 게르마늄-일라이트-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광물을 입상의 활성탄의 표면에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여재(13)를 통하여 콩나물 재배수가 콩나물을 재배하기 위한 콩에 급수되도록 함으로써 활성탄에 의한 여과와 동시에 상기 활성탄의 표면에 코팅된 혼합광물 즉, 게르마늄-일라이트-제올라이트가 혼합된 광물과 접촉시킴으로써 이들 혼합광물에 의한 콩나물 재배수의 알칼리화 및 무기질 성분들의 공급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제1통부(11)는 그 저면에 다수의 제1통수구(12)들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분말상의 여재(13)가 여재층을 형성하도록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통부(11)는 콩나물의 재배를 위하여 콩나물을 재배하기 위한 콩을 수용하는 제2통부(2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통부(21) 내로 급수되는 콩나물 재배수를 여과하고, 동시에 콩나물 재배수의 알칼리화 및 무기질 성분들의 공급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통부(11)에 형성되는 상기 다수의 제1통수구(12)들은 상기 제1통부(11) 내에 수용되는 상기 여재(13)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콩나물 재배수는 그 하방으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상기 제1통부(11) 하방에 위치하는 제2통부(21) 내로 고르게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여재(13)는 게르마늄-일라이트-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광물을 입상의 활성탄의 표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제1통부(11)에 공급되는 콩나물 재배수는 일반적인 의미의 물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별히 물의 종류나 성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성탄 상에 코팅되어 상기 여재(13)를 구성하는 상기 혼합광물을 침지시킨 혼합광물 침지수가 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혼합광물 침지수는 물과 혼합광물의 비율이나 물의 양 및 침지시간 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물 1ℓ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혼합광물 5 내지 20g을 10 내지 30시간 정도 상온에서 담가두는 것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에서 게르마늄은 일반적으로 무기 게르마늄을 의미하며, 금속단결정 상태의 게르마늄은 IT산업에 많이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구입하여 사용이 가능한 게르마늄은 산화게르마늄으로서 최근에는 농사용 비료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산화게르마늄(GeO2)을 용매에 녹여 몇 천배를 회석하여 다른 영양물질과 함께 작물에 뿌려 주게 되면 과일은 튼튼하게 자라면서 당도가 아주 높아지고(특히 포도, 참외 등), 채소는 단단하고, 맛도 좋고, 병에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유기 게르 마늄(GeCH2CH2CHOOH)2O3)은 무기 게르마늄이 유기화된 것이고, 유기 게르마늄의 유기화율(식용가능 %율) 국제표준은 99.5% 이상이고, 불순물 함량기준의 Pb(납), As(비소), Hg(수은)은 1ppm이하이며, 무기 게르마늄(순도 99.9999% 이상)의 원료로 유기화한 것으로, WHO기준 불순물함량(중금속 포함) 총 1ppm이하로써 수돗물 기준보다 총량에서 더욱 낮은 것으로 인체에 큰 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기 게르마늄은 물에 잘 용해된다. 본 발명의 상기 혼합광물에서는 유기 게르마늄과 무기 게르마늄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기 게르마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게르마늄 즉, 유기 게르마늄과 무기 게르마늄은 국내외 유수의 업자들로부터 상용적으로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일라이트는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와 무스코바이트(Muscovite)의 중간구조로 캐나다 퀘백주, 미국 일리노이주, 펜실베니아주 그리고 호주 등에 소량 분포하지만, 선캄브리아기 변성 퇴적암류인 석영-운모편암 및 운모편암 내에 분포하고, 이를 모암으로 배태된 변성퇴적물(metamorphic sedimentary material)로서 맥상으로 매장된 곳은 대한민국 영동지역이 유일하다. 순수한 일라이트는 주성분이 규산(SiO2), 알루미나(Al2O3), 산화칼륨(K2O) 및 각종 미네랄(칼슘산화물(CaO), 철산화물(Fe2O3), 마그네슘산화물(MgO), 나트륨산화물(Na2O), 망간산화물(MnO), 오산화인(P2O5), 구리(Cu), 리튬(Li), 몰리브덴(Mo), 크롬(Cr), 니켈(Ni), 티타늄(Ti), 아연(Zn), 갈륨(Ga), 스트론튬(Sr) 등)을 함유하 며, 색상에 따라 백색 및 황색으로 나뉘며, 100% 천연 생물유기물질(natural bio-organic material)이다. 일라이트는 음이온 발생량에 있어서 지구상에서 발견된 어떤 광물보다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다량의 음이온과 상온에서 원적외선을 89 내지 92%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문헌상으로 알려진 일라이트의 효능으로는 1431년에 간행된 향약집성방에서 “맛은 없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몸의 피부에 군살이 생긴 것, 중풍(청혈),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오한, 발열), 수레나 배멀미 등을 치료하는 데 쓴다. 또한 사기(邪氣)를 제거하고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며, 눈을 밝게 한다. 또한 상기된 화기를 내리우고 살을 단단하게 하며 부러진 것을 이어주고, 중초 특히 비위를 보한다. 5로(勞-오장의 피로), 7상(傷-칠정의 손상), 허손(虛損)에서 오는 심신의 피로(스트레스)와 기운이 약한 것 등도 치료하며 이질도 그치게 한다. 무독하여 장기복용할 수 있고,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윤기가 돌며, 늙지 않고 오래 살 수 있다. 또 더위나 추위도 타지 않고 정신력이 강해진다.”와 같이 기술하고 있다.
상기에서 제올라이트는 알칼리와 알칼리토금속을 포함하는 수화된 규산알루미늄 광물군의 일종으로서, 비석은 큰 이온교환성과 가역적 탈수반응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큰 금속이온(양전하를 띰)과 물분자에 의해 채워진 상호 연결된 간극(間隙)을 갖는 망상구조(網狀構造)를 이루고 있다. 비석은 기본적으로 각 산소원자들이 2개의 사면체에 의해 공유되어 있는 3차원적 사면체 망상구조이다. 만약 모든 사면체가 규소를 포함한다면, 망상구조는 전기적으로 중성이 된다. 규소를 알루미늄이 치환하면 전하 불균형이 초래되며, 망상구조 내에 다소 큰 간극이 생기게 되어 다른 금속이온을 필요로 하게 된다. 천연산 비석의 경우, 이런 금속이온은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바륨과 같은 전형적인 1가나 2가 이온이다. 비석은 간극이 다소 크고, 물이 존재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장석광물과 비슷하다. 구조적으로 비석은 고리나 다면체 형태 같은 망상으로 구성된 구조단위의 형태로 분류된다. 망상구조단위에 의해 생기는 간극은 직경이 2 내지 8Å(옹스트롬)의 범위를 가지며, 이것은 간극 사이에서 이온들이 다소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망상구조 내에서 이온과 물이 쉽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은, 화학적·구조적 차이에 따라 변화가 큰 특성인 가역적 탈수반응과 양이온교환을 가능하게 해준다. 탈수반응은 구조 내에서 물이 결합된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물이 단단하게 결합된 비석은 다소 높은 온도에서 탈수가 일어난다. 이에 반해 큰 간극을 갖는 일부 비석은 낮은 온도에서 약간의 물이 탈수되기도 한다. 이온교환의 속도는 간극들의 연결상태와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어떤 이온은 특수한 구조적 성질 때문에 제한되기도 한다. 비석의 성질을 이용하여 특정한 구조적, 화학적 특성을 갖는 비석이 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이런 상업적인 용도에는 원유 정제(精製)에 이용되는 탄화수소의 분리, 기체와 액체의 건조, 선택적 분자 흡착에 의한 오염의 조절 등이 포함된다.
상기 여재(13)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기 혼합광물은 게르마늄 : 일라이트 : 제올라이트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1 : 1 내지 20 : 1 내지 20의 비율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부(11)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통수구(12)들의 개수 및 개개 통수 구들의 직경과 상기 제1통부(11) 내의 상기 여재(13)의 두께 등은 상기 제1통부(11)에서 상기 제2통부(21)에로 공급되는 콩나물 재배수의 통과속도를 조절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통부(11) 내에 채워진 전체 콩나물 재배수가 10 내지 20분 동안에 완전히 빠져나가 상기 제2통부(21) 내의 콩나물 재배를 위한 콩이나 성장 중인 콩나물 상에 분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콩나물 재배수가 통과하는 시간이 10분 미만으로 되는 경우, 주위 온도 등의 변화나 기타 콩나물 생육조건에 따라 원료인 콩이나 성장 중인 콩나물이 부패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20분을 초과하는 경우, 재배되는 콩나물의 잔뿌리가 너무 많아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상기 통과시간 10 내지 20분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2통부(21) 내의 원료인 콩이나 성장 중인 콩나물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확율을 높임과 동시에 상품성을 위하여 콩나물의 잔뿌리가 많아지지 않게 하는 최적의 시간범위 임을 반복적인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것이다.
상기 제2통부(21)는 상기 제1통부(11)의 하방에 위치하며, 그 내부에 콩나물을 재배하기 위한 콩을 수용하며, 그 저면에 다수의 제2통수구(22)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2통부(21)는 실질적으로 그 내부에서 콩나물 재배를 위한 콩을 지지하고, 실질적으로 콩나물이 성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2통부(2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통부(1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콩나물 재배를 위한 콩이나 성장 중인 콩나물에 고르게 적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3통부(31)는 상기 제2통부(21)의 하단에 위치하며, 그 하단부에 상기 제1통부(11)에로 콩나물 재배수를 회귀시키기 위한 도관(43)과 연결되는 출수 구(32)와, 내부의 콩나물 재배수를 방출하기 위한 방수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출수구(32)는 상기 제1통부(11)에 연결되는 도관(43)에 연결되어 상기 제2통부(21)를 거쳐 상기 제3통부(31) 내로 수집되는 콩나물 재배수를 수집하여 이를 다시 상기 제1통부(11)에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여재(13)를 구성하는 상기 혼합광물에 의해 공급된 무기질 성분들과 pH가 조절된 콩나물 재배수를 순환시킴으로써 혼합광물의 이용을 극대화하고, 또한 콩나물 재배수를 순환 사용토록 함으로써 자동화된 간단한 콩나물의 재배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출수구(32)에 연결되는 상기 도관(43)은 가요성의 관과 같이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관으로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상기 제2통부(21)의 적층갯수에 따라 상기 제3통부(31)의 상기 출수구(32)와 상기 제1통부(11)까지의 간격의 변화를 수용하면서 상기 제3통부(31)에 수집된 콩나물 재배수를 상기 제1통부(11)에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통부(31)에는 또한 방수구(33)가 형성되며, 일정 시간 또는 일정 횟수 이상 또는 1회의 콩나물의 재배의 완료 후, 순환에 의해 반복 사용된 콩나물 재배수를 폐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콩나물의 재배를 위한 콩나물 재배수가 일단 상기 제1통부(11)에 공급되면, 그 콩나물 재배수는 상기 여재(13)를 통과하면서 상기 여재(13)를 구성하는 상기 혼합광물과의 접촉에 의해 그로부터 무기질 성분이 보충되도록 함과 동시에 콩나물 재배수의 pH를 알칼리화시켜 콩나물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반복 사용에 의해 불순물들이나 분비물 등은 상기 여재를 구성하는 활성탄에 의해 여과, 제거되어 콩나물 재배수가 콩나물의 재배 에 적합한 상태로 항상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부(11)의 상부에는 콩나물 재배수의 순환을 위한 펌프(42)가 탑재되며, 상기 펌프(42)는 그 유체입구가 상기 제3통부(31)의 출수구(32)에 연결되는 도관(43)에 연결되고, 그 유체출구가 상기 제1통부(11)에 연결되는 급수구(44)에 연결되는 덮개(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41)는 상기 제1통부(11)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서 외부로부터 불순물 등이 상기 제1통부(11)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상면에 상기 제3통부(31)의 출수구(32)와 연결된 도관(43)에 연결되는 펌프(4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42)는 또한 상기 제1통부(11)에 연결되는 급수구(44)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42)는 간헐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제3통부(31)에 수집된 콩나물 재배수를 다시 끌어 올려 상기 제1통부(11) 내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통부(11)에 공급된 콩나물 재배수가 상기 제1통부(11) 내에 수용된 상기 여재(13)를 통과하면서 다시 무기질 성분이 용해되도록 하고, 그리고 그의 pH가 알칼리성으로 조정되도록 하며, 다시 상기 제2통부(21) 내로 공급되도록 하여 콩나물 재배수를 반복 순환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부(11)의 여재층을 형성하는 상기 여재(13)들의 하부에는 제1부직포층(1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부직포층(14)은 상기 여재층을 구성하는 상기 여재(13)들이 상기 제1통부(11)에 형성된 제1통수구(12)들을 통하여 빠져나와 상기 제1통부(11)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통부(21)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통부(21)의 저면에는 그 상면에 상 기 여재(13)로 이루어지는 제2여재층(51)이 형성된 제2부직포층(5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부(21) 내의 상기 제2부직포층(52) 상에 형성되는 제2여재층(51)은 상기 제1통부(11) 내에 위치되는 여재층을 구성하는 상기 여재(13)들을 상기 제1통부(11) 내에 수용되는 제1부직포층(14) 상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여재층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통부(21) 내의 상기 제2여재층(51) 및 제2부직포층(52)은 상기 제1통부(11) 내의 여재층 및 제1부직포층(14)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통부(11)와 상기 제3통부(31) 사이에는 상기 제2통부(21)가 2 내지 5개의 범위 이내의 개수로 복수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부(21)를 복수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실제로 콩나물이 성장되는 공간을 증대시켜 단기간 내에 다량의 콩나물을 재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부(21)들이 복수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1통부(11)로부터 공급되는 콩나물 재배수는 상기 제1통부(11)의 하방에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복수개로 연결된 상기 제2통부(21)들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그 내부에 위치하는 콩나물의 재배를 위한 콩 또는 성장 중인 콩나물에 콩나물 재배수를 간헐적으로 고르게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덮개(41)에는 상기 펌프(4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스위치(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펌프(44)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펌프(42)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파일럿램프(발광다이오드 ;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의 펌프(42), 펌프(4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작동스위치, 상기 펌프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및 상기 펌프(42)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파일럿램프들은 모두 당업자에게는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양수용 펌프, 스위치, 타이머 및 램프들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은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펌프(42)는 매 20 내지 40분 마다 가동되어 상기 제3통부(31)에 수집된 콩나물 재배수를 상기 제1통부(11) 내로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통부(11) 내의 여재(13)와의 접촉에 의한 여과, 무기질 성분의 용해 및 pH의 조절에 의한 알칼리화가 수행되도록 한 후, 다시 제2통부(21) 내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일 20 내지 40분 마다 상기 제2통부 내의 콩나물 재배용 콩이나 성장 중인 콩나물에 급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급수조건에 의해 부패를 방지하면서도 잔뿌리가 적은 콩나물을 효과적으로 재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콩나물 재배방법은, (1) 콩나물 재배용 콩을 20 내지 30시간 동안 물에 침지시켜 불리는 전처리단계; (2) 콩나물 재배수로서 게르마늄-일라이트-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광물을 입상의 활성탄의 표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여재를 통하여 통과시킨 재배여수를 사용하여 이 재배여수를 상기 전처리단계를 거친 콩나물 재배용 콩에 5 내지 15일 동안 매 20 내지 40분 간격으로 10 내지 20분간 살포하는 살포단계; 및 (3) 상기 살포단계가 종료하거나 육안으로 보아 콩나물이 수확가능한 정도로 성장한 경우에 상기 콩나물을 수확하는 수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의 전처리단계는 콩나물 재배용 콩을 20 내지 30시간 동안 물에 침지시켜 불리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사용되는 물은 일반적인 물이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통부(11) 내의 여재를 구성하는 혼합광물을 침지시킨 혼합광물 침지수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혼합광물 침지수는 물 1ℓ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혼합광물 5 내지 20g을 10 내지 30시간 정도 상온에서 담가두는 것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단계는 콩을 팽윤시키고, 물과의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콩이 쉽게 발아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기 (2)의 살포단계는 게르마늄-일라이트-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광물을 입상의 활성탄의 표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여재를 통하여 콩나물 재배수로서 물 또는 상기 혼합광물 침지수를 통과시킨 재배여수를 사용하여 이 재배여수를 상기 전처리단계를 거친 콩나물 재배용 콩에 5 내지 15일 동안 매 20 내지 40분 간격으로 10 내지 20분간 살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살포단계에 의해 콩나물 재배용 콩이나 성장 중인 콩나물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고, 콩나물이 원활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재배기간으로서 언급된 상기 살포단계의 수행기간 5 내지 15일은 콩나물의 생육조건 특히 주변 온도 및 수확하고자 하는 콩나물의 크기 등 상품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서, 대한민국의 하절기에는 주로 7 내지 10일 전후하여 적어도 6㎝ 이상의 길이로 성장한 콩나물을 수확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의 동절기에서도 15일 이상 재배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콩의 종자나 주위 환경, 온도 등에 따라 그 이상의 기간이 소요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살포주기로서 언급된 매 20 내지 40분 간격으로 10 내지 20분간 콩나물 재배수로서의 재배여수의 공급간격(매 20 내지 40분 간격) 및 공급시간(10 내지 20분간)의 범위 한정은 잔뿌리가 거의 없 고, 부패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높은 수율로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살포조건으로서 본 발명자들이 반복되는 실험을 통하여 결정한 수치이며, 속성재배나 잔뿌리의 다소, 수확된 콩나물의 상품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재배여수의 공급간격 및 공급시간을 적의 변경시킬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3)의 수확단계는 상기 살포단계가 종료하거나 육안으로 보아 콩나물이 수확가능한 정도로 성장한 경우에 상기 콩나물을 수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살포단계가 상기 재배여수를 순환시켜 반복사용하는 순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단계는 일단 콩나물 재배용 콩이나 성장 중인 콩나물에 살포된 후, 폐기되는 재배여수를 다시 수집하여 다시 콩나물 재배용 콩이나 성장 중인 콩나물에 살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콩나물 재배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콩나물의 재배조건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순환단계에서 상기 재배여수가 재살포 되기 전에 상기 여재와 재접촉시키는 여재접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재접촉단계를 통하여 일단 콩나물 재배용 콩이나 성장 중인 콩나물에 살포되어 부분적으로나마 재배여수 중에 포함되어 있다가 콩이나 콩나물에 흡수된 무기질 성분들을 보충하고, 또한 상기 콩이나 콩나물의 재배 동안 배출되는 대사산물 등의 불순물들을 제거하고, 콩이나 콩나물의 부패를 방지하도록 pH를 다시 염기성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게르마늄-일라이트-제올라이트를 1 :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광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혼합광물을 입상의 활성탄의 표면에 코팅하여서 여재(13)를 준비하였다. 또한 상기 혼합광물 10g을 물 1ℓ에 담가둔 채 상온에서 20시간 동안 침지시킨 혼합광물 침지수를 준비하였다.
저면에 다수의 제1통수구(12)들이 형성된 제1통부(11) 내에 상기 여재(13)를 적층시켜 여재층을 형성하되, 상기 제1통수구(12)와 여재(13)의 두께를 조절하여 상기 제1통부(11) 내의 콩나물 재배용수가 15분 동안에 모두 제2통부(21) 내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상기 제1통부(11)의 하방에는 저면에 다수의 제2통수구(22)들이 형성된 제2통부(21)를 위치시키되, 상기 제2통부(21) 내에는 상기 혼합광물 침지수를 사용하여 25시간 동안 불린 콩을 적치시켰다. 상기 제2통부(21)의 하방에는 제3통부(31)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3통부(31)를 도관(43)을 통하여 상기 제1통부(11)와 연결시키되, 상기 도관(43)에는 펌프(42)를 연결시켜, 상기 펌프(42)에 의해 상기 제3통부(31)에 수집되는 콩나물 재배용수를 상기 제1통부(11)에로 공급하도록 하되, 상기 펌프(42)의 가동을 매 30분마다 가동시켜 제3통부 내에 수집되는 콩나물 재배용수를 모두 제1통부(11)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재배장치를 가동시키면서 콩나물의 성장을 측정하였다. 특히, 콩나물 재배 개시부터 4일간 동안 매일 샘플을 추출하여 콩나물의 중량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게르마늄-일라이트-제올라이트를 1 : 10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광물을 준비하여 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3
게르마늄-일라이트-제올라이트를 1 : 20 : 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광물을 준비하여 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대조군으로서 혼합광물을 사용치 않은 경우를 고려하여, 제1통부(11)에는 단순히 혼합광물이 코팅되지 않은 활성탄으로 여재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콩나물의 중량변화 즉, 콩나물의 성장의 정도에 있어서, 혼합광물에서 일라이트와 제올라이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단위시간 당 콩나물의 중량이 더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부패된 콩이 하나의 통(제2통부)에서 1 내지 3개 정도로 거의 부패현상을 찾아볼 수 없는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 하나의 통(제2통부)에서 20 내지 30개 정도의 부패된 콩을 찾아볼 수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경우에서는 콩의 부패현상을 최소화시키면서도 단위 시간 당 콩나물의 중량 증가가 크고, 특히 콩나물 재배용수의 공급시간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잔뿌리가 거의 없는 상품성이 우수한 콩나물의 재배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콩나물 재배수를 주기적으로 일정량씩 지속적으로 반복 순환시키면서 광물과의 지속적인 접촉을 통하여 광물로부터의 무기질 성분이 지속적으로 보충되도록 함과 동시에 콩나물 재배수의 pH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콩나물의 재배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콩나물이나 콩의 부패를 방지하여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콩나물의 생육에 필요한 무기질 성분들의 보충이 가능하도록 하는 콩나물 재배장치 및 콩나물 재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콩나물 재배와 같은 식료품 제조산업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재배장치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재배장치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혼합광물을 활성탄에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여재를 사용하는 실시예 1 내지 3들과 대조군으로서 혼합광물이 코팅되지 않은 활성탄 만을 사용하는 비교예들에서 재배되는 콩나물의 단위 시간 당 체중 증량의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9)

  1. 그 저면에 다수의 통수구들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분말상의 여재가 여재층을 형성하도록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제1통부; 상기 제1통부의 하방에 위치하며, 그 내부에 콩나물을 재배하기 위한 콩을 수용하며, 그 저면에 다수의 통수구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통부; 및 그 하단부에 상기 제1통부에로 콩나물 재배수를 회귀시키기 위한 도관과 연결되는 출수구와, 내부의 콩나물 재배수를 방출하기 위한 방수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3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여재가 게르마늄-일라이트-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광물을 입상의 활성탄의 표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부의 상부에는 콩나물 재배수의 순환을 위한 펌프가 탑재되며, 상기 펌프는 그 유체입구가 상기 제3통부의 출수구에 연결되는 도관에 연결되고, 그 유체출구가 상기 제1통부에 연결되는 급수구에 연결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부의 여재층을 형성하는 상기 여재들의 하부에는 부직포층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부의 저면에는 그 상면에 상기 여재로 이루어지는 여재층이 형성된 부직포층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부와 상기 제3통부 사이에는 상기 제2통부가 2 내지 5개의 범위 이내의 개수로 복수개 연결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스위치와 상기 펌프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및 상기 펌프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장치.
  7. (1) 콩나물 재배용 콩을 20 내지 30시간 동안 물에 침지시켜 불리는 전처리단계;
    (2) 콩나물 재배수로서 게르마늄-일라이트-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광물을 입상의 활성탄의 표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여재를 통하여 통과시킨 재배여수를 사용하여 이 재배여수를 상기 전처리단계를 거친 콩나물 재배용 콩에 5 내지 15일 동안 매 20 내지 40분 간격으로 10 내지 20분간 살포하는 살포단계; 및
    (3) 상기 살포단계가 종료하거나 육안으로 보아 콩나물이 수확가능한 정도로 성장한 경우에 상기 콩나물을 수확하는 수확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단계가 상기 재배여수를 순환시켜 반복사용하는 순환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단계에서 상기 재배여수가 재살포 되기 전에 상기 여재와 재접촉시키는 여재접촉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방법.
KR1020080091479A 2008-09-18 2008-09-18 콩나물 재배장치 및 콩나물 재배방법 KR100889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479A KR100889344B1 (ko) 2008-09-18 2008-09-18 콩나물 재배장치 및 콩나물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479A KR100889344B1 (ko) 2008-09-18 2008-09-18 콩나물 재배장치 및 콩나물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344B1 true KR100889344B1 (ko) 2009-03-18

Family

ID=4069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479A KR100889344B1 (ko) 2008-09-18 2008-09-18 콩나물 재배장치 및 콩나물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3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333B1 (ko) * 2010-07-06 2010-12-28 마소영 멀티 재배장치
KR101613652B1 (ko) 2014-07-16 2016-04-19 김봉호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CN109042281A (zh) * 2018-08-16 2018-12-21 甘燕 一种家用豆芽菜培育桶
CN111011202A (zh) * 2019-12-31 2020-04-17 内蒙古汉生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泡豆功能的全自动豆芽机及泡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960U (ko) * 1998-11-10 1999-02-25 곽영일 가정용 콩나물재배기 급수장치
KR200162011Y1 (ko) 1997-07-22 1999-12-01 고영은 콩나물 재배기
KR200179665Y1 (ko) 1999-11-18 2000-04-15 안영규 숯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장치
KR200220365Y1 (ko) 2000-06-13 2001-04-16 클린월드하이테크주식회사 소형 콩나물 재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011Y1 (ko) 1997-07-22 1999-12-01 고영은 콩나물 재배기
KR19990007960U (ko) * 1998-11-10 1999-02-25 곽영일 가정용 콩나물재배기 급수장치
KR200179665Y1 (ko) 1999-11-18 2000-04-15 안영규 숯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장치
KR200220365Y1 (ko) 2000-06-13 2001-04-16 클린월드하이테크주식회사 소형 콩나물 재배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333B1 (ko) * 2010-07-06 2010-12-28 마소영 멀티 재배장치
WO2012005431A2 (ko) * 2010-07-06 2012-01-12 마소영 멀티 재배장치
WO2012005431A3 (ko) * 2010-07-06 2012-03-01 마소영 멀티 재배장치
KR101613652B1 (ko) 2014-07-16 2016-04-19 김봉호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CN109042281A (zh) * 2018-08-16 2018-12-21 甘燕 一种家用豆芽菜培育桶
CN109042281B (zh) * 2018-08-16 2020-06-30 刘猛 一种家用豆芽菜培育桶
CN111011202A (zh) * 2019-12-31 2020-04-17 内蒙古汉生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泡豆功能的全自动豆芽机及泡豆方法
CN111011202B (zh) * 2019-12-31 2023-09-01 内蒙古汉生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泡豆功能的全自动豆芽机及泡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84397B (zh) 一种水培营养液及制备方法和应用
CN108719033B (zh) 一种冰菜水培栽培方法
CN107711343A (zh) 一种富硒甜瓜的种植方法
CN101707965A (zh) 富硒有机大麦苗种植方法
KR100889344B1 (ko) 콩나물 재배장치 및 콩나물 재배방법
CN103636479A (zh) 一种自己动手培育绿豆芽的方法
CN104871946A (zh) 一种富硒豆芽的培育方法
CN107409674A (zh) 一种改善玉米品质的种植方法
CN108739328A (zh) 一种富硒生菜的水培其种植方法
CN107032877A (zh) 一种富硒百香果的高效种植方法
CN103960427B (zh) 一种睡莲花茶及其制备方法
CN109197419A (zh) 一种辣椒种子的人工培育方法
CN105706875A (zh) 一种辣木芽苗菜的生产方法
CN108184541A (zh) 黄芪功能性食用菌的生产方法
CN107852889A (zh) 一种提高红芹菜发芽速度和生长速度的种子处理方法
CN105580718A (zh) 一种利用黄秋葵果荚提取液提高绿豆芽产量的方法
CN108575605A (zh) 一种西红柿的催芽育苗方法
CN110012807B (zh) 有机富硒食用或茶用睡莲栽培方法
CN107306782B (zh) 一种富含微量元素的蕹菜水培方法
CN106630088A (zh) 一种防治柑橘类黄龙病的制剂及其制备方法
CN107690865A (zh) 一种向日葵种子的萌发方法
CN105104135A (zh) 一种速生豆芽培育方法
CN105850618A (zh) 一种弱碱性生态大米及其种植方法
CN105075830A (zh) 一种混合弯豆芽的制作方法
CN105612971A (zh) 西红柿绿色高产种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