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751A - 선박 비상탈출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비상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751A
KR20160008751A KR1020140088828A KR20140088828A KR20160008751A KR 20160008751 A KR20160008751 A KR 20160008751A KR 1020140088828 A KR1020140088828 A KR 1020140088828A KR 20140088828 A KR20140088828 A KR 20140088828A KR 20160008751 A KR20160008751 A KR 20160008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hip
escape
power unit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364B1 (ko
Inventor
진용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8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3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선박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이루는 벽체의 내벽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보통 때에는 상기 내벽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탈출 구조물 및 상기 선박 비상시 상기 탈출 구조물을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돌출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비상탈출 장치{APPARATUS FOR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은 선박이 파손되거나 기우는 등 비상상황에 사용되는 선박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 사고를 당할 때 예를 들어, 선박 간의 충돌 또는 파도의 충격과 같은 외부적인 사고 또는 화재 및 폭발과 같은 내부적인 사고를 당하게 되면 선박이 파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박이 사고를 당할 경우, 선원 및 승객들은 파손된 선박으로부터 신속히 탈출하고, 구조요원은 선박 내부로 진입하여 구조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비상시 사용되는 구명장비들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명장비는 주로 선체의 갑판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이 사고로 인해 기울기 시작하면, 선박의 바닥 또는 벽면이 경사지고 미끄러워 이를 통해 구명장비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거나 탈출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선박이 사고를 당하는 비상상황 특히 선박이 침수되어 기우는 상황에서 선박의 경사지고 미끄러운 바닥 또는 벽면 등을 통해 이동하여 탈출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020970 (공개일: 2014.02.1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이 사고로 인해 파손될 때, 미끄러운 바닥 또는 벽면을 통해 이동할 수 있는 선박 비상탈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선박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이루는 벽체의 내벽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보통 때에는 상기 내벽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탈출 구조물 및 상기 선박 비상시 상기 탈출 구조물을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돌출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 및 상기 기울기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의해 상기 선박의 비상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동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면에 복수의 홀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에 삽입되는 복수의 탈출 구조물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탈출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동력부에 의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탈출 구조물이 피스톤으로 형성되며, 상기 탈출 구조물의 수용공간을 향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의 일부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실린더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통하는 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실린더로 이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부는, 상기 탈출 구조물이 피스톤으로 형성되며, 상기 탈출 구조물의 수용공간을 향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의 일부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 내부에 물과 반응하여 기체를 생성하는 기체발생제를 포함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실린더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통하는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부는, 실린더로 형성되어 피스톤으로 형성된 상기 탈출 구조물의 수용공간을 향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실린더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물과 반응하여 기체를 발생하는 기체발생제를 포함하며, 상기 선박 비상시 상기 실린더에 유입된 물과 상기 기체발생제가 반응하여 발생한 기체를 이용하여 상기 탈출 구조물을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가 상기 선박의 갑판일 때, 상기 탈출 구조물은 상기 갑판에 상기 선박의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홀에 삽입되어, 보통 때에는 상기 갑판과 동일평면을 이루고, 상기 선박 비상시에는 상기 동력부에 의해 상기 갑판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탈출 구조물은, 상기 갑판의 홀에 삽입되는 복수의 로드, 상기 복수의 로드가 동일평면에 놓이도록, 상기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동력부에 의해 상기 갑판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탱크 및 상기 유체를 가압하여 상기 실린더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피스톤을 상기 실린더로부터 돌출시키는 가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탈출 구조물이 선박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이루는 벽체의 내벽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보통 때에는 상기 내벽면과 동일평면을 이루고, 비상시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돌출되어 선박이 기울더라도 사람들이 탈출 구조물을 손으로 잡거나 발로 밟으며 이동하여 탈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의 동력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의 동력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가 설치된 선박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탈출 구조물(100) 및 동력부(200)를 포함한다.
탈출 구조물(100)은 선박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이루는 벽체의 내벽면(10)에 형성된 홀(50)에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보통 때에는 상기 내벽면(10)과 동일평면을 이룰 수 있다.
벽체는 예를 들어, 바닥, 벽 또는 천정일 수 있으며, 선박에 형성된 수용공간은 이와 같은 벽체에 의해 형성된 선실, 엔진룸, 복도, 갑판 등 선원과 승객들이 거주하거나 이동 가능한 공간일 수 있다.
또한, 벽체는 선박의 갑판일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의 선박 비상탈출 장치가 갑판에 설치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박이 사고를 당하여 침수되거나 선박에 화재가 발생하면 수용공간에 위치한 사람들은 수용공간으로부터 신속히 탈출해야 하고, 구조요원은 수용공간으로 진입하여 구조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수용공간이 크고, 바닥이 미끄러우면 수용공간 내부에서 이동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선박이 침수로 인해 일측으로 기울게 되면 기운 내벽면(10)을 따라 이동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비상시 선박에 형성된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되어 사람들이 손으로 잡거나 발로 밟으며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동력부(200)를 포함하며, 동력부(200)는 선박 비상시 탈출 구조물(100)을 수용공간의 내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의 탈출 구조물(100)은 보통 때에는 수용공간의 홀(50)에 삽입되어 벽체와 동일평면을 이룸으로써 사람들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선박 비상시에는 동력부(200)에 의해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되어 사람들이 이동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기울기센서(350) 및 제어부(360)를 더 포함하여 선박의 비상상황을 체크할 수 있다.
기울기센서(350)는 수용공간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기울기센서(350)는 선박의 기울기를 센싱하여 제어부(360)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기울기센서(350)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의해 선박이 비상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동력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기울기센서(350) 및 제어부(360)를 이용하여 선박의 비상상황을 판단하고, 선박의 비상상황이 판단되면 제어부(360)가 동력부(200)에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탈출 구조물(100)이 동력부(200)에 의해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수용공간의 내벽면(10)에 복수의 홀(50)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복수의 탈출 구조물(100)이 구비되어 복수의 홀(5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탈출 구조물(100)은 적어도 하나의 동력부(200)에 의해 돌출될 수 있다.
즉, 사람들이 잡거나 밟기가 편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탈출 구조물(100)이 복수개가 형성되며, 탈출 구조물(100) 사이의 간격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탈출 구조물(100)은 하나의 동력부(200)에 의해 돌출되거나 또는 각각의 탈출 구조물(100)에 동력부(200)가 따로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의 동력부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의 동력부(200)는 실린더(210), 저장탱크(220) 및 펌프(230)를 포함할 수 있다.
탈출 구조물(100)이 피스톤(150)을 형성하며, 탈출 구조물(100)의 수용공간을 향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의 일부가 실린더(21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220)는 실린더(210)에 공급되는 유체가 저장될 수 있으며, 펌프(240)는 실린더(210)와 저장탱크(220)를 연통하는 파이프(230)에 설치되어, 유체를 실린더(2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제어부(360)가 기울기센서(350)의 신호를 분석하여 선박의 비상상황을 판단하게 되고, 선박의 비상상황이 판단되면 제어부(360)는 동력부(200)에 구동신호를 송신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360)의 구동신호는 동력부(200)의 펌프(240)에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240)가 구동되고, 저장탱크(220)에 저장된 유체가 파이프(230)를 통해 실린더(210)로 이동하여 실린더(21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선박 비상시 유체를 실린더(210)로 이동하여 실린더(210)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 피스톤(150)으로 형성된 탈출 구조물(100)이 실린더(21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탈출 구조물 및 동력부를 포함하며, 동력부는 실린더, 저장탱크(320) 및 파이프(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의 탈출 구조물 및 동력부의 실린더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탈출 구조물(100) 및 동력부(200)의 실린더(210)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동력부(200)의 실린더와 저장탱크(320)는 파이프(330)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320)는 내부에 물과 반응하여 기체를 생성하는 기체발생제(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320)는 상단에 물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단에 저장된 물과 하단에 저장된 기체발생제(300)를 구획하는 커버(39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90)는 저장탱크(320)에 힌지(370)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390)가 저장탱크(320)에 결합되는 방식은 힌지(370) 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390)에는 잠금장치(380)가 형성되어 보통 때에는 물과 기체발생제(300)가 차단될 수 있도록 저장탱크(320)에 고정되어 있으며, 선박 비상시 앞서 설명한 제어부(360)가 커버(390)의 잠금장치(380)에 해제신호를 송신하면, 잠금장치(380)가 열릴 수 있다.
이때, 상단에 저장된 물이 하단의 기체발생제(300)로 유입되고, 저장탱크(320) 내부에서 물과 기체발생제(300)가 반응하여 기체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기체는 저장탱크(320) 상단에 결합된 파이프(330)를 통해 실린더로 공급되며, 피스톤으로 형성된 탈출 구조물은 실린더의 압력 상승에 의해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를 나타낸다.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와 달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선박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기울기센서(350) 및 제어부(360)가 없이도 동력부(200)가 구동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부(200)는 피스톤(150)으로 형성된 탈출 구조물(100)의 수용공간을 향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의 일부를 수용하는 실린더(41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410)는 내부에 물과 반응하여 기체를 발생하는 기체발생제(300)를 포함하고, 외부의 물이 유입될 수 있는 파이프(420)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 비상시 선박에 침수된 물이 파이프(420)를 통해 실린더(410)에 유입되면, 실린더(410) 내부에 저장된 기체발생제(300)가 물과 반응하여 기체를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41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피스톤(150)으로 형성된 탈출 구조물(100)이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참조한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선박 비상시 동력부(200)의 실린더(210,41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피스톤(150)으로 형성된 탈출 구조물(100)이 압력에 의해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 비상시 사람들이 탈출 구조물(100)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하여 대피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가 설치된 선박을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본 발명의 선박 비상탈출 장치가 설치되는 벽체는 갑판(500)일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가 선박의 갑판(500)일 때, 탈출 구조물(100)은 갑판(500)에 선박의 폭방향(510)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홀(50)에 삽입되어, 보통 때에는 갑판(500)과 동일평면을 이루고, 선박 비상시에는 동력부에 의해 갑판(50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이 사고를 당하면 선박은 길이방향이 아닌 폭방향으로 기울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선박의 폭방향(510)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탈출 구조물(100) 및 동력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탈출 구조물(100)은 로드(520) 및 지지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520)는 갑판(500)의 홀(50)에 삽입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며, 지지판(530)은 복수의 로드(520)가 동일평면에 놓이도록, 로드(52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530)은 동력부(200)에 의해 갑판(500)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동력부(200)가 구동되어 지지판(530)에 힘을 가하면, 지지판(530)은 지지판(530)의 상부에 결합된 복수의 로드(520)에 힘을 가하여 로드(520)가 갑판(500)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의 동력부(200)는 피스톤(600), 실린더(610), 유체탱크(620) 및 가압장치(64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600)은 지지판(530)과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610)는 피스톤(600)을 수용하고, 유체탱크(620)는 유체가 저장되며, 가압장치(640)는 유체탱크(620)의 유체를 가압하여 파이프(630)를 통해 실린더(610)로 이동시켜, 피스톤(600)을 실린더(610)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선박 비상탈출 장치는 동력부(200)에 포함되는 실린더(610)의 압력이 상승하여 피스톤(600)이 실린더(6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판(530)이 갑판(500)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지지판(530)이 이동함에 따라 로드(520)가 갑판(50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 비상시 사람들이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된 탈출 구조물(100)을 손으로 잡거나 발로 밟으면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내벽면 50: 홀
100: 탈출 구조물 150,600: 피스톤
200: 동력부 210,410,610: 실린더
220,320: 저장탱크 230,330,420,630: 파이프
240,640: 펌프 300: 기체발생제
350: 기울기센서 360: 제어부
370: 힌지 380: 잠금장치
390: 커버 500: 갑판
510: 폭방향 520: 로드
530: 지지판 620: 유체탱크
640: 가압장치

Claims (9)

  1. 선박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이루는 벽체의 내벽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보통 때에는 상기 내벽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탈출 구조물; 및
    상기 선박 비상시 상기 탈출 구조물을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돌출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선박 비상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 및
    상기 기울기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의해 상기 선박이 비상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동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비상탈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면에 복수의 홀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에 삽입되는 복수의 탈출 구조물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탈출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동력부에 의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비상탈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탈출 구조물이 피스톤으로 형성되며, 상기 탈출 구조물의 수용공간을 향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의 일부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실린더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통하는 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실린더로 이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선박 비상탈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탈출 구조물이 피스톤으로 형성되며, 상기 탈출 구조물의 수용공간을 향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의 일부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
    내부에 물과 반응하여 기체를 생성하는 기체발생제를 포함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실린더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통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선박 비상탈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실린더로 형성되어 피스톤으로 형성된 상기 탈출 구조물의 수용공간을 향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실린더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물과 반응하여 기체를 발생하는 기체발생제를 포함하며,
    상기 선박 비상시 상기 실린더에 유입된 물과 상기 기체발생제가 반응하여 발생한 기체를 이용하여 상기 탈출 구조물을 돌출시키는 선박 비상탈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가 상기 선박의 갑판일 때,
    상기 탈출 구조물은 상기 갑판에 상기 선박의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홀에 삽입되어, 보통 때에는 상기 갑판과 동일평면을 이루고, 상기 선박 비상시에는 상기 동력부에 의해 상기 갑판으로부터 돌출되는 선박 비상탈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 구조물은,
    상기 갑판의 홀에 삽입되는 복수의 로드;
    상기 복수의 로드가 동일평면에 놓이도록, 상기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동력부에 의해 상기 갑판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선박 비상탈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는 피스톤;
    상기 로드를 수용하는 실린더;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탱크; 및
    상기 유체를 가압하여 상기 실린더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피스톤을 상기 실린더로부터 돌출시키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비상탈출 장치.
KR1020140088828A 2014-07-15 2014-07-15 선박 비상탈출 장치 KR101635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828A KR101635364B1 (ko) 2014-07-15 2014-07-15 선박 비상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828A KR101635364B1 (ko) 2014-07-15 2014-07-15 선박 비상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751A true KR20160008751A (ko) 2016-01-25
KR101635364B1 KR101635364B1 (ko) 2016-07-01

Family

ID=5530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828A KR101635364B1 (ko) 2014-07-15 2014-07-15 선박 비상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3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0970A (ko) 2011-03-29 2014-02-19 아스비욘 브레빅 뒵 전복된 선박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시스템
KR20140083953A (ko) * 2014-06-03 2014-07-04 윤종식 선박의 비상탈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0970A (ko) 2011-03-29 2014-02-19 아스비욘 브레빅 뒵 전복된 선박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시스템
KR20140083953A (ko) * 2014-06-03 2014-07-04 윤종식 선박의 비상탈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364B1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981B1 (ko) 잠수함으로부터의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
KR101258643B1 (ko)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KR101047978B1 (ko) 심해 설치선
RU2334650C1 (ru) Спасательный подводный аппарат
KR101905211B1 (ko) 모든 측면이 폐쇄될 수 있는 해양 컨테이너
KR20060119878A (ko) 잠수정 비상 대피 시스템
KR101497275B1 (ko) 선박용 사다리
KR20140020970A (ko) 전복된 선박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시스템
BR0311168A (pt) Aparelho para desdobrar e instalar equipamento submarino a partir de um navio de superfìcie no piso oceânico, e, método para posicionar um conjunto operacional submarino em um local desejado fora da costa em águas profundas
KR101877037B1 (ko) 모형 실험용 계류계 앵커의 위치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1635364B1 (ko) 선박 비상탈출 장치
GB2061192A (en) Evacuating personnel from offshore oil platforms
KR20120019084A (ko) 선박의 침몰 방지 시스템
KR102202064B1 (ko) 부양 장치
GB2061833A (en) Marine service vessels with an auxiliary boom for emergency evacuation of offshore platforms
WO2008032918A1 (en) Buoyancy occurring device for vessel salvage
KR20140004399A (ko) 구명보트의 격납구조물
KR101641033B1 (ko) 해양 선박의 선체에서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커버, 및 호이스팅 챔버의 하부 부분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KR20160017764A (ko) 선실구조
JP7074276B2 (ja) 船舶
KR101727787B1 (ko) 안전 수밀 시스템을 갖는 선박
JP2012236445A (ja) 係留ブイシステム、係留ブイ、および係留索の張力算出方法
CN215205250U (zh) 货船
KR20150027247A (ko) 선내 분리식 스러스터 장치
KR101959554B1 (ko) 침몰 선박의 수평화 작업용 머드 스키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