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711A -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 Google Patents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711A
KR20160007711A KR1020140077804A KR20140077804A KR20160007711A KR 20160007711 A KR20160007711 A KR 20160007711A KR 1020140077804 A KR1020140077804 A KR 1020140077804A KR 20140077804 A KR20140077804 A KR 20140077804A KR 20160007711 A KR20160007711 A KR 20160007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offshore wind
wind turbine
wind power
power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181B1 (ko
Inventor
이한용
안당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7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1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7/00Transporting or installing offshore structures on site using buoyancy forces, e.g. using semi-submersible barges, ballasting the structure or transporting of oil-and-gas platforms
    • B63B77/10Transporting or installing offshore structures on site using buoyancy forces, e.g. using semi-submersible barges, ballasting the structure or transporting of oil-and-gas platform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power plants, e.g. wind turbines or tidal turbine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39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 E02B2017/0043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on a pre-installed foundation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해상 풍력발전기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이 개시된다.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은,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메인 데크 상부에 설치되는 소정 높이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며, 서로 상이한 직경의 링 형상을 가지고 있어 해상 풍력발전기의 타워 하단부의 삽입이 가능한 복수의 타워 삽입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타워 삽입홈은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Foundation structure for offshore wind turbine tower and offshore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본 발명은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세대 동력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풍력발전은 전세계적으로 그 규모와 시장성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은 풍력 터빈을 이용하여, 바람을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생산하는 발전 방식으로, 풍력이 전력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차세대 동력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풍력발전 시스템은 구조나 설치 등이 간단하여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고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도입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서 육상에 설치되는 육상용 풍력발전기 및 해상에 설치되는 해상용 풍력발전기로 분류된다.
해상용 풍력발전기의 경우, 타워, 나셀 및 블레이드가 조립된 상태로 적재되어 운송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해상용 풍력발전기의 크기 및 적재 안정성에 의하여 해상용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한 선박에 각 구성요소가 분리되어 적재된 상태로, 해상용 풍력발전기가 설치될 장소까지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설치 예정 장소에 설치선박이 도착하면, 선박에 구비된 크레인 등의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용 풍력발전기의 각 구성요소를 조립하여, 해상에 대한 해상용 풍력발전기의 설치를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6804호에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선박이 개시되어 있다.
국내외에 개발되어 있는 풍력발전기 용량별(예를 들어, 3MW, 5MW, 5.5MW, 7MW) 타워 직경이 업체 모델별로 다 상이하여, 설치선박(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혹은 잭업 바지(Jack-up Barge) 위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메인 데크(main deck) 위에 고정하거나 설치하는 경우 각 타워에 적합한 기초구조물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풍력발전기 용량이 변경될 때마다 설치선박 상에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을 착탈해야 해서 추가 관리공수(M/H, Man Hour) 및 비용이 발생하고, 메인 데크의 페인트가 손상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6804호
본 발명은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박의 메인 데크 상에 설치되며, 복수의 직경을 가지는 동심원 홈이 마련된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해상 풍력발전기 타워를 하나의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을 겸용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암 길이 조정이 가능한 고정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해상 풍력발전기 타워를 하나의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을 겸용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메인 데크 상부에 설치되는 소정 높이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며, 서로 상이한 직경의 링 형상을 가지고 있어 해상 풍력발전기의 타워 하단부의 삽입이 가능한 복수의 타워 삽입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타워 삽입홈은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타워 삽입홈에 의해 구분되는 상기 몸체의 각 부분들이 독립적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의 상면 중 복수의 타워 삽입홈의 외측에 설치되는 쐐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워 삽입홈의 두께는 상기 타워 하단부의 프레임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타워 하단부가 상기 복수의 타워 삽입홈 중 하나에 삽입된 이후, 상기 타워 하단부가 삽입된 타워 삽입홈의 여유공간에 뾰족한 끝단이 끼움 설치되는 쐐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하면 중심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방사상 대칭 구조로 연장되면서,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전후진 이동 가능한 암(arm)을 포함하는 타워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의 끝단에 상기 타워 하단부의 내측면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패킹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회전축에 피니언이 설치된 모터이고, 상기 암은 상기 피니언에 치합하는 랙이 형성된 로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부는 유압 실린더이고, 상기 암은 상기 유압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로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이 메인 데크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박의 메인 데크 상에 설치되며, 복수의 직경을 가지는 동심원 홈이 마련된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해상 풍력발전기 타워를 하나의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을 겸용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에 암 길이 조정이 가능한 고정 장치가 설치된 경우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해상 풍력발전기 타워를 하나의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을 겸용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1), 선박몸체(10), 거주구(11), 레그 유닛(13), 메인 데크(15), 설치홀(17), 해상 풍력발전기(20), 블레이드(21), 나셀(22), 타워(23), 갠트리 크레인(31), 크레인 몸체(31), 크레인 이동부(32), 클램핑부(33), 레일부(40),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1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1)에는 메인 데크(15) 상부에 복수의 고정용 홈이 마련된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100)이 설치되어 있어 다양한 직경의 해상 풍력발전기(20)의 타워(23)에 대해서도 겸용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1)은 타워(23), 타워(23)에 지지되는 나셀(22), 나셀(2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21)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해상 풍력발전기(20)를 육상으로부터 해상 풍력발전기(20)가 설치되는 해상까지 운송한다.
이때 해상에서는 해상 풍력발전기(2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 위치를 제공하는 기초부(2)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기초부(2)는 예를 들어 해저에 고정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된 기초부(2)에 해상 풍력발전기(20)의 타워(23)가 예를 들어 체결부재 또는 용접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해상에 대한 해상 풍력발전기(20)의 설치가 수행될 수 있다. 기초부(2)의 일부는 해상에서 노출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1)은 선박몸체(10)와, 레일부(40)와, 갠트리 크레인(31)과,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100)을 포함한다.
선박몸체(10)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1)의 외형을 형성하며,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1)을 운전하기 위한 거주구(11)와, 선박몸체(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상 풍력발전기(20)를 설치하는 과정 중에 선박몸체(10)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하강되어 해저면에 대하여 선박몸체(10)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레그 유닛(13)과, 해상 풍력발전기(20)가 적재되는 메인 데크(15)을 포함한다.
선박몸체(10)의 후방측에는 후방을 향하여 개구되며, 메인 데크(15)으로부터 선박몸체(10)의 하측을 향하여 관통 형성되는 설치홀(17)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설치홀(17)에는 해상에 노출된 기초부(2)의 일부가 위치된다.
레일부(40)는 선박몸체(10)의 메인 데크(15)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설치홀(17)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며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40)들을 포함한다. 해상 풍력발전기(20)는 레일(40)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메인 데크(15)의 상부에 설치된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100)에 의해 고정 적재된다.
갠트리 크레인(31)은 레일부(40)를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 데크(15)에 적재된 해상 풍력발전기(20)의 타워(23)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설치홀(17) 측으로 해상 풍력발전기(20)를 이송한 다음, 설치홀(17)에 위치되는 기초부(2)와 타워(23)를 정렬시켜, 해상 풍력발전기(20)를 기초부(2)에 설치할 수 있다.
갠트리 크레인(31)은 해상 풍력발전기(2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크레인 몸체(31)와, 크레인 몸체(31)의 양단에 마련되어 레일(40)들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레인 이동부(32)와, 크레인 몸체(31)에 설치되며 해상 풍력발전기(20)의 타워(23)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부(33)를 포함한다.
클램핑부(33)는 크레인 몸체(31)에 대하여 가이드레일을 통해 연결되어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해상 풍력발전기(20)는 타워(23)의 하단부가 메인 데크(15) 상부에 마련된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1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해상 운송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해상 풍력발전기(20)가 조립된 상태로 운송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타워(23)만이 기립 상태로 운송되고, 설치 해상에서 나셀(22) 및 블레이드(21)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크레인(31)이 갠트리 타입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타입의 크레인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100)에 대해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타워(23),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100a), 몸체(110), 타워 삽입홈(120a, 120b, 120c, 이하 '120'으로 통칭함)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100a)은 메인 데크(15) 상부에 설치되며, 소정 높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몸체(110)에는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복수의 타워 삽입홈(120)이 동심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고정시키고자 하는 해상 풍력발전기(20)의 타워 직경에 적합한 타워 삽입홈(120) 내에 타워(23) 하단부가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몸체(110)의 외측에는 메인 데크(15) 상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미도시)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타워 삽입홈(120)은 링 형상을 가지며 몸체(11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소정 깊이만큼 형성된다. 타워 삽입홈(120)의 두께는 타워(23) 하단부의 프레임 두께에 상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워 삽입홈(120a)은 3MW 용량의 타워가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가지고, 제2 타워 삽입홈(120b)은 5MW 용량의 타워가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가지며, 제3 타워 삽입홈(120c)은 7MW 용량의 타워가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면에 예시된 것과 같이 5MW 용량의 타워(23)의 경우 제2 타워 삽입홈(120b)에 하단부가 삽입되어 해상 풍력발전기(20)가 메인 데크(15)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타워 삽입홈(120)에 의해 구분되는 몸체(110)의 각 부분들이 메인 데크(15)를 기준으로 하여 승강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 동작이 가능한 몸체(110)의 각 부분들 중 최내측에 위치한 몸체 부분은 소정 높이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나머지는 소정 높이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승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타워(23)가 우선 자리 잡은 이후 몸체(110)의 각 부분들이 개별적인 상승 동작을 수행하여 타워(2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몸체 부분들은 내측에서 타워(23)의 내측면에 대해서 마찰력을 제공하고, 타워(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몸체 부분들은 외측에서 타워(23)의 외측면에 대해서 마찰력을 제공하여 타워(23)의 하단부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몸체(110)의 각 부분들의 측면에는 패킹이 부착되어 있어 타워(23) 하단부의 내측면 및/또는 외측면과의 접촉 시에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을 이용해서도 다양한 용량을 가지는 해상 풍력발전기의 타워를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운송 대상이 되는 해상 풍력발전기의 용량이 변경되더라도 새롭게 기초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기존에 풍력발전기 용량이 변경될 때마다 설치선박 상에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을 착탈해야 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추가 관리공수 및 비용이 절감되고, 메인 데크의 페인트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타워(23),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100b), 몸체(110), 타워 삽입홈(120a, 120b, 120c, 이하 '120'으로 통칭함), 쐐기부재(1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100a)과 비교할 때, 몸체(110) 상면의 타워 삽입홈(120) 외측에 쐐기부재(130)가 더 설치되어 있다.
타워 삽입홈(120) 내에 고정 설치하고자 하는 해상 풍력발전기의 타워(23)가 삽입된 이후 쐐기부재(130)가 예를 들어 볼팅(bolting) 등의 체결 방식을 통해 몸체(110)의 상면과 타워(23)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타워(23)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쐐기부재(130)의 경사면이 타워(23) 외측면과 몸체(110)의 상면 사이에서 경사 지지되어 타워(23)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쐐기부재(135)가 몸체(11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타워 삽입홈(120) 내에 타워(23)가 삽입된 이후 생기는 타워 삽입홈(120)의 여유공간에 쐐기부재(135)가 끼움 설치되도록 하여 타워(23)가 타워 삽입홈(120)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해상 풍력발전기의 타워(23)의 경우,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타워 삽입홈(120)의 두께가 타워(23) 하단부의 프레임 두께보다 커서 타워 삽입홈(120)의 상측에서 어느 정도의 여유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여유공간에 쐐기부재(135)의 뾰족한 끝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끼움 설치함으로써 타워(23)가 여유공간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100d)의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타워 고정 장치(140)의 평면도이다.
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100d)의 경우 몸체(110)의 하부에 타워 고정 장치(140)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몸체(110)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만 타워 삽입홈(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10)의 하부에는 소정 높이의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공간에 타워 고정 장치(140)가 설치되어 있어, 타워 삽입홈(120)에 삽입된 타워(23)의 최하단부의 내측을 사방에서 밀어주어 타워(23)를 고정시키게 된다.
타워 고정 장치(140)는 구동부(141) 및 암(arm)(143)을 포함한다.
몸체(110)의 하면 중심에 구동부(141)가 위치하며, 구동부(141)로부터 방사상으로 암(143)이 대칭 구조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암(143)은 구동부(141)의 구동 동작에 따라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며, 암(143)의 끝단에는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패킹(145)이 설치되어 있어 타워(23)의 내측면의 일부 혹은 전체와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100d)에 그 하단부가 삽입된 타워(23)의 직경에 따라 암(143)의 연장 길이가 조절되어 타워(23)의 내측면에 대해 암(143)의 끝단이 접촉하면서 강한 외력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41)는 회전축에 피니언이 설치된 모터이고, 암(143)은 상기 피니언에 치합하는 랙이 형성된 로드(rod)일 수 있다.
또는 구동부(141)는 유압 실린더이고, 암(143)은 유압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로드(rod)일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15: 메인 데크
100, 100a, 100b, 100c, 100d: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110: 몸체 120a, 120b, 120c: 타워 삽입홈
130, 135: 쐐기부재 140: 타워 고정 장치
141: 구동부 143: 암
145: 패킹

Claims (10)

  1.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메인 데크 상부에 설치되는 소정 높이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며, 서로 상이한 직경의 링 형상을 가지고 있어 해상 풍력발전기의 타워 하단부의 삽입이 가능한 복수의 타워 삽입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타워 삽입홈은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워 삽입홈에 의해 구분되는 상기 몸체의 각 부분들이 독립적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타워 고정용 기초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 중 복수의 타워 삽입홈의 외측에 설치되는 쐐기부재를 포함하는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 삽입홈의 두께는 상기 타워 하단부의 프레임 두께보다 큰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 하단부가 상기 복수의 타워 삽입홈 중 하나에 삽입된 이후, 상기 타워 하단부가 삽입된 타워 삽입홈의 여유공간에 뾰족한 끝단이 끼움 설치되는 쐐기부재를 더 포함하는 포함하는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면 중심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방사상 대칭 구조로 연장되면서,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전후진 이동 가능한 암(arm)을 포함하는 타워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의 끝단에 상기 타워 하단부의 내측면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패킹이 설치되어 있는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축에 피니언이 설치된 모터이고, 상기 암은 상기 피니언에 치합하는 랙이 형성된 로드인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유압 실린더이고, 상기 암은 상기 유압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로드인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이 메인 데크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KR1020140077804A 2014-06-25 2014-06-25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KR101635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804A KR101635181B1 (ko) 2014-06-25 2014-06-25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804A KR101635181B1 (ko) 2014-06-25 2014-06-25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711A true KR20160007711A (ko) 2016-01-21
KR101635181B1 KR101635181B1 (ko) 2016-07-01

Family

ID=5530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804A KR101635181B1 (ko) 2014-06-25 2014-06-25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1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905A (ko) * 2017-04-18 2018-10-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풍력발전기 설치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563B1 (ko) 2021-03-30 2022-1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풍력발전 장치
KR20220170027A (ko) 2021-06-22 2022-12-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기둥형 화물 적재용 격자식 복도 갑판 선박
KR20230030205A (ko) 2021-08-25 202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보조 발전부가 마련되는 해상 풍력발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55B1 (ko) * 2009-03-09 2009-07-13 삼성에스피(주) 가로등의 지주 고정구조
CN102146975A (zh) * 2011-01-27 2011-08-10 同济大学 阻尼减振装置及使用该装置的风力发电高塔
KR20110116804A (ko) 2010-04-20 2011-10-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선박
KR20130104235A (ko) * 2012-03-13 2013-09-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 적재용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55B1 (ko) * 2009-03-09 2009-07-13 삼성에스피(주) 가로등의 지주 고정구조
KR20110116804A (ko) 2010-04-20 2011-10-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선박
CN102146975A (zh) * 2011-01-27 2011-08-10 同济大学 阻尼减振装置及使用该装置的风力发电高塔
KR20130104235A (ko) * 2012-03-13 2013-09-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 적재용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905A (ko) * 2017-04-18 2018-10-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풍력발전기 설치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181B1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679B1 (ko) 정렬 수단을 구비한 수력 터빈 시스템 및 배치 방법
KR101635181B1 (ko)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KR101390933B1 (ko)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KR101439520B1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EP2662497A1 (en) Wind turbine foundation
JP2012525538A (ja) 洋上の風車の設置
JP2015004351A (ja) 洋上風力発電設備の基礎頂部、及び、洋上風力発電設備の基礎構造部材
KR20180063107A (ko) 해양 풍력 단지
KR101657224B1 (ko)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KR101635177B1 (ko)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CN106460782B (zh) 将功率控制模块装设在风力单元塔架中的方法及总成部件
JP2018504548A (ja) 適応型水力発電タービンシステム
KR101484121B1 (ko)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KR102182302B1 (ko)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KR101619246B1 (ko) 타워, 나셀 및 로터 결합체의 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 방법
GB2524054A (en) Connector
KR101299971B1 (ko) 운항안정성이 향상된 잭업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작업방법
KR20130107707A (ko) 해상 풍력발전기용 하이브리드 부유식 지지구조
KR101291358B1 (ko) 해상풍력발전기, 해상풍력발전기 설치크레인 및 이들을 이용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방법
KR101863794B1 (ko) 풍력발전기 설치선
SE533146C2 (sv) Metod för att installera en toppmodul på en offshore stödstruktur
CN104334870A (zh) 用来收获再生能源的设备和方法
KR100990128B1 (ko) 조류 발전장치
KR102438693B1 (ko)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DE102012005137A1 (de) Offshore-Wellen-Energie-Konverter "Wave Sp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