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128B1 - 조류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조류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128B1
KR100990128B1 KR1020100011254A KR20100011254A KR100990128B1 KR 100990128 B1 KR100990128 B1 KR 100990128B1 KR 1020100011254 A KR1020100011254 A KR 1020100011254A KR 20100011254 A KR20100011254 A KR 20100011254A KR 100990128 B1 KR100990128 B1 KR 100990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weight
weight
support
generato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휴섭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 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 에스 filed Critical (주)에이치. 에스
Priority to KR1020100011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0Submerged units incorporating electric generator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using the horizontal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tide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류나 조류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장치를 해저면에 신속 간편하면서 저렴한 시공비로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발전장치 고정구조물이 인공어초와 같은 어류의 서식공간을 제공하여 발전을 통한 에너지 확보와 더불어 어민들의 어획량 증대 효과를 덤으로 확보할 수 있는 조류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 조류 발전기는, 해류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수차(10)를 구비며, 상기 수차(10)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20)와;
상기 발전기(20)를 지지하는 지주(30)와;
충분한 면적과 중량을 가지고 해저면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지주(30)를 결합 고정하여 상기 지주(30)가 직립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초웨이트(40)와,
링크부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웨이트(40)를 지지하거나 무게를 부가하여 기초웨이트(40)의 지주(30)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보조기초웨이트(50)와,
상기 기초웨이트(40)와 보조기초웨이트(50)의 상부에 적재되어 무게를 가하여 상기 기초웨이트(40)를 고정함과 동시에 어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인공어초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류 발전장치{A tide generation of electricity}
본 발명은 조류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장치를 해저면에 신속 간편하면서 저렴한 시공비로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발전장치 고정구조물이 인공어초와 같은 어류의 서식공간을 제공하여 발전을 통한 에너지 확보와 더불어 어민들의 어획량 증대 효과를 덤으로 확보할 수 있는 해류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도한 에너지 소비로 인하여 부존자원인 화석연료의 고갈시점이 다가옴과 동시에 대기중으로 이산화탄소가 과다 배출됨에 따른 기후 온난화 현상이나 환경오염으로 많은 수의 동식물이 멸종위기에 처해짐은 물론이고 각종 자연재해의 발생 등으로 인류의 생존에 위기를 맞고 있는 오늘날, 이를 극복하고자 화석연료의 소비를 줄이는 반면 자연 에너지를 확보를 통해 지구환경을 지키고자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태양광, 풍력, 조력 등을 이용한 에너지를 일명 신재생에너지라 칭하는데, 태양광은 셀의 효율이 높지 않아 설치시 많은 설치면적을 필요로 하고,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어 국가적인 보조 없이는 활성화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고, 풍력발전의 경우에는 시공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바람이 적은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상 적당하지 않은 분야이다.
그렇지만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조석 간만의 차가 크고 다양한 해류의 흐름을 가진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를 이용한 조력발전이나 조류(해류를 포함)발전을 통한 에너지 확보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조력발전의 경우에는 시공상 어느정도 갯벌이 파괴되고 해류의 흐름이 바뀌는 등과 같은 자연피해를 어느정도 감수해야만 함과 동시에 많은 시공비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좀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반면, 조류발전의 경우에는 소규모이면서 갯벌이나 해류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거나 영향을 주더라도 미미하며, 시공비가 적게 소요되는 특징이 있어 조류발전에 많은 개발 및 투자가 이루어져야만 할 것이다.
조류발전에 관하여 국내공개번호 제10:2003:0050836호에 부유식 해류발전 장치에 관한 내용이 게재되어 있는데, 그 내용에 의하면,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에 발전 모듈을 장치하여 해류의 흐름이 발생되면 그 힘에 의해 발전모듈이 발전하여 전기에너지를 얻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부유식 해류발전장치는 이론적으로 연중 지속적인 해류를 이용하여 수심과 날씨에 상관없이 계속적인 발전이 가능하고, 제작비나 설치비가 저렴하다.
그렇지만 태풍과 같은 풍랑이 발생되면 부유식 해류발전장치의 안전을 보장할 수가 없고, 또 파도로 인한 흔들림으로 인하여 고장이 잦은 단점이 있다.
또한, 국내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04619호의 고정식 해류발전 부상 및 하강 장치에 의하면,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의 하부에 고정부재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되, 해류의 방향에 따라 회전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해류에 의해 동력을 생산하는 동력발생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동력발생부가 체결되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단부 원주 방향에는 다수개의 회전체가 구비된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이 유동 가능하게 상부에 체결 고정되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걸림턱의 하부에 밀착되게 체결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식 해류발전 부상 및 하강 장치는 상기 부유체에 의해 해류발전장치의 위치를 알림으로써 안전한 선박 운행을 도모함과 동시에 부력으로 부상되도록하여 간편하게 유지, 보수 및 점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해류의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항상 최적의 유체 입사각에 프로펠러가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 고정식 해류발전 부상 및 하강 장치는 해류발전장치를 탑재한 부유체를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유속이 빠른 해저면에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유속이 빠른 해저에서 기초작업을 해야함은 물론이고 또 그 기초상에 고정부재를 설치 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작업이 어렵고 위험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국내특허등록 제 10:067717호에 게재된 조류 발전 장치에 의하면, 해수면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플렛폼, 상기 플렛폼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수직 상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가이드 그리고 해수의 흐름에 의하여 전기를 발전하는 발전기가 구비된 발전기어셈블리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어셈블리가 해수면의 아래로 위치되거나 해수면의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다수의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송되도록 하여, 조수간만 즉 밀물과 썰물의 양 방향 조류를 이용하여 발전하고, 발전기 및 프로펠러 등의 고장 시 해수면 상으로 손쉽게 들어 올릴 수 있어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프로펠러에 의한 회전속도를 증대 또는 감소시켜 발전기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발전효율을 증대시키거나 또는 안정된 회전이 되도록 하여 발전기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조류발전장치는 발전기 및 프로펠러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은 있지만 플랫폼이 항상 해수면에 떠있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태풍이 나 풍랑으로인해 안전성을 담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파도로 흔들림이 많아 고장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류 발전기를 해저면에 설치하여 태풍이나 파도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함과 아울러 단순히 해저면에 가라앉히는 작업을 통해 간단히 설치가 가능하므로 시공비가 저렴한 조류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류 발전기를 고정하기 위해 해저면에 설치하는 구조물들이 조류 발전기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능과 아울러 어류가 서식하는 공간 기능을 겸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조류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해류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수차를 구비며, 상기 수차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를 지지하는 지주와;
충분한 면적과 중량을 가지고 해저면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지주를 결합 고정하여 상기 지주가 직립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초웨이트와,
상기 기초웨이트와 연결되는 링크부를 구성하여 무게를 보조적으로 부가하여 기초웨이트의 지주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보조기초웨이트와,
상기 기초웨이트와 보조기초웨이트의 상부에 적재되어 무게를 가하여 상기 기초웨이트를 고정함과 동시에 어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인공어초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초웨이트와 보조기초웨이트 상부로 씌워져 분리된 각각의 몸체를 서로를 결속하는 망체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기초웨이트에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기초웨이트의 링크부에는 상기 장공에 끼워지는 연결축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초웨이트와 보조기초웨이트의 하부에는 해저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돌출부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설치된 상기 보조기초웨이트 구조물 둘레에 포위와이어를 연결하고, 지주(30) 둘레에 다수의 고리를 갖는 고정링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링의 고리와 포위와이어 간에 복수의 연결와이어를 설치하여 각 구조물간을 결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조류 발전기는 비교적 평평한 해저면에 기초웨이트를 가라앉히고, 그 둘레에 보조기초웨이트를 링크시켜 설치한 후 상부에 인공어초구조물들을 쌓아 무게를 가하므로 해류의 물살이 크더라도 기초웨이트는 지주의 상단에 설치한 발전기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특히 수중에 설치되기 때문에 태풍이나 파도로부터의 영향을 최소로 받으므로 보다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전기의 설치시 각 구조물을 가라앉히는 것으로 완성되므로 적은 비용으로 신속 간편하면서 안전하게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조류발전기는 조류 발전기를 고정하기 위해 해저면에 설치하는 구조물들이 조류 발전기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능과 아울러 어류가 서식하는 공간 기능을 겸하여 수행하도록 하므로 어족자원을 보호하면서 어민들의 어획량증가 및 그로인한 소득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 발전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 발전장치의 시공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 발전장치의 기초웨이트에 보조기초웨이트를 사방으로 연결하는 상태의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 발전장치의 기초웨이트에 보조기초웨이트를 사방으로 연결 완료한 상태의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 발전장치의 기초웨이트에 보조기초웨이트를 사방으로 연결 완료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 발전장치의 구조물 보강구조도.
본 발명 조류 발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류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수차(10)를 구비며, 상기 수차(10)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20)와;
상기 발전기(20)를 지지하는 지주(30)와;
둘레에 복수의 제1링크홈(42)을 형성하고 상기 지주(30)를 결합 고정하여 상기 지주(30)가 직립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바닥에 해저면과 마찰되는 지지발(44)을 구성한 중량의 기초웨이트(40)와,
선단에 상기 기초웨이트(40)의 상면에 올라앉는 날개돌출부(56)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날개돌출부(56) 하부에 상기 제1링크홈(42)에 끼워지는 연결축(53)을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후속 연결될 또 다른 보조기초웨이트(50)의 연결축(53)이 결합되는 제2링크홈(52)을 형성하며, 하부에 해저면에 마찰되는 지지발(54)을 구성한 양측 중앙부가 잘록한 형태의 보조기초웨이트(50)와,
상기 기초웨이트(40)와 보조기초웨이트(50) 상부로 씌워져 서로를 결속하는 망체(70)와,
상기 기초웨이트(40)와 보조기초웨이트(50)의 상부에 적재되어 무게를 가하여 상기 기초웨이트(40)를 고정함과 동시에 어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인공어초 구조물로 구성된다.
상기 수차(10) 및 발전기(20)는 그 성능을 검증받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채택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차(10)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20)에서 발전된 전기는 해저면으로 연결된 전선케이블을 통해 부하로 송전하며, 송전에 필요한 주변장치들은 현재 알려진 다양한 방법들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이러한 수차(10) 및 발전기(20)는 지주(30)가 설치 완료된 후 지주(30)의 상단에 조립 설치된다.
상기 발전기(20) 이를 지지하는 구조물은 지주(30)와 상기 지주(30)를 지지하는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지주(30)는 기초웨이트(40)에 결합되어 일체화되는데, 재질은 염분에 강한 재질의 금속 또는 그 금속이 도금된 금속을 사용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이용한다. 물론 합성수지의 이용도 가능할 것이다. 기초웨이트(40)를 비롯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의 재질 또한 마찬가지이다.
기초웨이트(40)는 사각, 팔각, 원형 등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는데, 지주(30)가 받는 해류에 잘 버틸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을 갖는 판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무게를 위해 비중이 높거나 충분한 두께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고. 해저면이 최대한 노출될 수 있도록 상하가 뚫린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하며, 요철을 형성하여 표면적을 넓혀줌으로써 각종 부착생물들이 좀더 잘 생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기초웨이트(40)는 자중에 의해 해저면에 가라앉아 지주(30)를 고정하게 되는데, 기초웨이트(40) 자체만으로는 해류의 유속을 이기지 못해 불안하므로 보조기초웨이트(50) 및 인공어초구조물(60) 등의 지지력을 필요로 한다.
보조기초웨이트(50)는 일측에 상기 기초웨이트(40)나 다른 보조기초웨이트(50)와 연결되는 구성을 구비한다. 이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기초웨이트(50)의 일측을 단차지게 높이거나 그와 접하는 곳은 낮춤으로써 연결하고자하는 기초웨이트(30) 또는 보조기초웨이트(50) 상면에 적층연결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단차지게 높여 적층하는 부분을 양측으로 넓힌 구조를 갖추어 후술할 날개돌출부(56)로 구성한다.
아울러 보조기초웨이트(50)의 일측 하부에 도 3과 같이 연결축(53)을 돌출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기초웨이트(40)에 장공 형태의 제1링크홈(42)을 형성하여 서로가 대응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아울러 각 보조기초웨이트(50)의 다른 일측에 장공 형태의 제2링크홈(52)을 형성하여 후미부로 연결되는 보조기초웨이트(50)의 연결축(53)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류와 같은 외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서로의 결속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기초웨이트(50)는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중앙의 기초웨이트(40)를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배치 및 연결되어 후술할 날개돌출부(56)가 상기 기초웨이트(40)의 상부에 보조기초웨이트(50), 인공어초구조물(6) 등의 무게를 전달하여 누름으로써 기초웨이트(40)를 지지하게 된다.
또, 연결 설치되는 보조기초웨이트(50)는 방사형으로 설치되므로 바깥쪽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기초웨이트(50)의 사이에 또 다른 보조기초웨이트(50)를 끼워 배치할 수가 있다. 이때에는 거리상 기초웨이트(40)에 보조기초웨이트(50)를 링크시킬 공간이 없게 된다. 따라서 기초웨이트(40)를 근거로 연결된 상기 보조기초웨이트(50) 사이의 공간에 보조기초웨이트(50)를 끼워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에는 지지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해류에 의해 떠내려가거나 위치이동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기초웨이트(40)에 적층 연결되는 부위 또는 보조기초웨이트(50)의 후미부에 적층연결되는 날개돌출부(56)를 형성한다. 상기 날개돌출부(56)는 선단 상단이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전방의 구조물 즉, 기초웨이트(40) 또는 선 결합된 보조기초웨이트(50)의 후미부 상단에 올라앉게 된다. 이때, 보조기초웨이트(50)는 날개돌출부(56) 하부에 설치된 연결축(53)이 기초웨이트(40)의 제1링크홈(42)에 끼워지거나 선 설치된 보조기초웨이트(50) 후미부의 제2링크홈(52)에 끼워져 고정된다.
보조기초웨이트(50)의 평면 형상을 보면 전/후부 양측이 양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므로 중앙부가 잘록한 형태가 된다. 따라서 먼저 설치된 보조기초웨이트(50)의 후측 양측에 또다른 보조기초웨이트(50)가 설치되면, 먼저 설치된 보조기초웨이트(50)의 날개돌출부(56)가 후속으로 설치된 보조기초웨이트의 날개돌출부(56)에 간섭을 받아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좌우로의 이동도 간섭을 받아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 후속으로 설치된 보조기초웨이트(50)의 날개돌출부(56)는 선행 설치된 보조기초웨이트(50) 후미부 양측의 걸림턱(58)에 대응 걸림되므로 지주(30)를 중심으로 바깥쪽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기초웨이트(40)를 근거로 링크된 각 보조기초웨이트(50)들의 좌우 이동현상도 방지할 수가 있어 시간이 지나더라도 각 구조물들의 위치는 초기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초웨이트(40) 및 보조기초웨이트(50)는 도 2와 같이 저면부에 해저면에 지지되는 지지발(44)(54)을 형성하여 해저면에 안착시 해저면을 파고들거나 마찰력을 증가시켜 안정성을 높인다.
보조기초웨이트(5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2 및 도 7과 같이 그 위에 인공어초구조물(60)를 쌓아 그 구조물들의 하중에 의해 상기 기초웨이트(40)를 견고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서로가 군집을 이루면서 얽혀져 서로가 간섭내지는 지지를 하여 일체화되기 때문에 상기 지주(30) 및 지주(30)의 상부에 설치된 발전기(20)는 견고하면서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각 구조물들은 바지선 또는 선박을 통해 육지로부터 운송하여 조류 발전기(20)가 설치될 위치에서 기중기로 들어올려 바다속으로 가라앉혀 설치한다. 설치 순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30)를 갖는 기초웨이트(40)부터 가라앉히고(A), 그 다음은 보조기초웨이트(50)들을 가라앉히면서 링크시키고(B), 그 위에 망체(70)을 씌우고(C), 인공어초구조물(60)을 가라앉혀 쌓고(D), 최종적으로 지주(30)의 상단에 발전기(20)를 결합하는(E) 순으로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조물을 설치하면 빠른 해류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상부에 쌓은 인공어초구조물(60)들의 무게가 보조기초웨이트(50) 및 기초웨이트(40)에 작용하여 상기 기초웨이트(40)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지주(30)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좀더,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인공어초구조물(60)들을 쌓기 이전에 도 2의 (C)와 같이 상기 기초웨이트(40)와 보조기초웨이트(50)의 상부에 망체(70)을 포설하거나 또는 와이어를 깔고 그 위에 인공어초구조물(60)들을 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포설되는 상기 망체(70) 또는 와이어가 기초웨이트(40) 및 보조기초웨이트(50)를 결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더욱더 견고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기초웨이트(40)와 보조기초웨이트(50)의 하부에는 해저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돌출부(42)(52)를 더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인공어초구조물(60)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서로간의 지지력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공어초구조물(60)들이 쌓아지면 그 구조에 의해 서로간의 몸체를 얽어 결속하는 기능을 하지만, 이 또한 해류가 강하면에 떠내려가는 등 그 위치가 가변될 수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군집을 이루도록 설치된 구조물 둘레에 포위와이어(80)를 연결 설치하고, 지주(30) 둘레에 다수의 고리(84)를 갖는 고정링(82)을 설치한 후 상기 고정링(82)의 고리(84)와 포위와이어(80) 간에 복수의 연결와이어(86)를 연결하면서 긴장시켜 각 구조물간을 결속한다.
이와 같이 하면 지주(30)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연결되는 연결와이어(86)들이 인공어초구조물(60)들의 결속시키기 때문에 해류의 속도가 빠르더라도 위치가 가변되거나 떠내려가는 현상이 방지된다.
10 : 수차 20 : 발전기 30 : 지주
40 : 기초웨이트 42,52 : 제1,제2링크홈44,54 : 지지발
50 : 보조기초웨이트 53 : 연결축 56 : 날개돌출부
60 : 인공어초구조물 70 : 망체 80 : 포위와이어
82 : 고정링 84 : 고리 86 : 연결와이어

Claims (6)

  1. 해류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수차(10)를 구비며, 상기 수차(10)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20)와;
    상기 발전기(20)를 지지하는 지주(30)와;
    둘레에 복수의 제1링크홈(42)을 형성하고 상기 지주(30)를 결합 고정하여 상기 지주(30)가 직립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바닥에 해저면과 마찰되는 지지발(44)을 구성한 중량의 기초웨이트(40)와,
    선단에 상기 기초웨이트(40)의 상면에 올라앉는 날개돌출부(56)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날개돌출부(56) 하부에 상기 제1링크홈(42)에 끼워지는 연결축(53)을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후속 연결될 또 다른 보조기초웨이트(50)의 연결축(53)이 결합되는 제2링크홈(52)을 형성하며, 하부에 해저면에 마찰되는 지지발(54)을 구성한 양측 중앙부가 잘록한 형태의 보조기초웨이트(50)와,
    상기 기초웨이트(40)와 보조기초웨이트(50) 상부로 씌워져 서로를 결속하는 망체(70)와,
    상기 기초웨이트(40)와 보조기초웨이트(50)의 상부에 적재되어 무게를 가하여 상기 기초웨이트(40)를 고정함과 동시에 어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인공어초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발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군집을 이루는 인공어초구조물(60) 둘레에 포위와이어(80)를 연결하고, 지주(30) 둘레에 다수의 고리(84)를 갖는 고정링(82)을 설치한 후 상기 고정링(82)의 고리(84)와 포위와이어(80) 간에 복수의 연결와이어(86)를 설치하여 각 구조물간을 결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발전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11254A 2010-02-06 2010-02-06 조류 발전장치 KR100990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254A KR100990128B1 (ko) 2010-02-06 2010-02-06 조류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254A KR100990128B1 (ko) 2010-02-06 2010-02-06 조류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128B1 true KR100990128B1 (ko) 2010-11-02

Family

ID=4340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254A KR100990128B1 (ko) 2010-02-06 2010-02-06 조류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1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283B1 (ko) 2011-11-07 2014-0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상용 풍력발전장치의 설치구조
KR20200048782A (ko) * 2018-10-30 2020-05-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중력 기반 해양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543Y1 (ko) * 2003-11-29 2004-03-11 이상철 호안 기초콘크리트 블록
KR200413124Y1 (ko) * 2006-01-27 2006-04-05 주식회사 케이투기술단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KR200429763Y1 (ko) 2006-08-10 2006-10-27 주식회사신화콘크리트 세굴방지블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543Y1 (ko) * 2003-11-29 2004-03-11 이상철 호안 기초콘크리트 블록
KR200413124Y1 (ko) * 2006-01-27 2006-04-05 주식회사 케이투기술단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KR200429763Y1 (ko) 2006-08-10 2006-10-27 주식회사신화콘크리트 세굴방지블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283B1 (ko) 2011-11-07 2014-0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상용 풍력발전장치의 설치구조
KR20200048782A (ko) * 2018-10-30 2020-05-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중력 기반 해양구조물
KR102175552B1 (ko) * 2018-10-30 2020-1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중력 기반 해양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25233B2 (en) Solar power plant
CN105240221B (zh) 半潜筏式随风转向水上风力发电设备
US8118538B2 (en) Offshore vertical-axis wind turbin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9102434A1 (en) Self-aligning to wind facing floating platform supporting multi-wind turbines and solar for wind and solar power genera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n
KR101459649B1 (ko) 해상 지지구조물 설치를 위한 이중 부유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 시공 방법
US20100074750A1 (en) Floating Device for Production of Energy from Water Currents
JP2010508842A (ja) 人工漁礁の機能を有する海底固定型海洋構造物及びその製作方法
JP2004176626A (ja) 洋上風力発電設備
US8439641B2 (en) Flow driven engine
CN103225315A (zh) 一种由单桩、筒形基础和锚索组成的海上风电基础
JP2002285951A (ja) 洋上風力発電の浮体式基礎構造物
KR101044752B1 (ko) 해상 풍력 발전 시설물 설치시 기울기 보정 장치
CN115180082B (zh) 单柱式光伏发电阵列平台
CN102152841A (zh) 垂直立柱浮式风电平台及其构筑方法
KR20130130267A (ko) 트라이포드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WO2017118998A1 (en) Floating solar platform
JP2021032239A (ja) 着床式洋上風力発電装置とこの洋上風力発電装置のタワー部の交換方法、及び着床式洋上風力発電装置の製造方法
KR101509507B1 (ko) 다양한 직경의 멀티 실린더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150109947A (ko) 수상 태양광 발전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KR100990128B1 (ko) 조류 발전장치
US20140322012A1 (en) Flow Driven Engine
KR20120002184A (ko) 해상 풍력발전장치
KR20220148155A (ko) 나선형 앵커 그룹 설치 시스템
KR101202156B1 (ko) 수상 부유 풍력 발전기
CN108700018A (zh) 模块式波浪能发电装置及其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