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794B1 - 풍력발전기 설치선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 설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794B1
KR101863794B1 KR1020160080960A KR20160080960A KR101863794B1 KR 101863794 B1 KR101863794 B1 KR 101863794B1 KR 1020160080960 A KR1020160080960 A KR 1020160080960A KR 20160080960 A KR20160080960 A KR 20160080960A KR 101863794 B1 KR101863794 B1 KR 101863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deck
leg
wind turbi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892A (ko
Inventor
신상명
김병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7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4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Abstract

풍력발전기 설치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해상에서 풍력발전기 설치 작업을 하는 것으로서 하단에 스퍼드캔이 구비된 레그를 내려 상기 스퍼드캔을 해저에 박아 작업 해역에 설치되는 작업데크 및 상기 작업데크를 실어 이동시키는 모선을 포함하며, 작업 해역에 설치된 상기 작업데크를 상기 모선에 싣기 위하여 상기 모선이 상기 작업데크의 하부로 일정 위치까지 진입하면 상기 스퍼드캔이 상기 모선의 하부와 맞닿고 상기 작업데크의 하부가 모선의 상부와 맞닿을 때까지 상기 레그를 들어올려 상기 스퍼드캔과 상기 작업데크가 상기 모선을 압착하는 힘에 의해 상기 작업데크와 상기 모선이 결합된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 설치선{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선과 작업데크로 이루어지는 풍력발전기 설치선에서 작업데크와 스퍼드캔의 압착력에 의해 작업데크와 모선이 고정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화석연료의 지속적인 비용 증가와 화석연료의 소모로 인한 연소가스에 의해 환경 오염을 초래함으로써 친환경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생에너지의 비율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재생에너지 중에서 풍력에너지를 사용하는 풍력발전기는 포스트(post) 상단에 장착되는 풍력터빈을 풍력에 의해 구동시킴으로써 직접 전기를 생성하거나 풍력터빈의 동력을 발전기에 전달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상기 풍력발전기는 지면에 대한 회전축의 방향에 따라 수평형 및 수직형으로 분류되며, 이를 구성하는 요소로는 블레이드(Blade)와 허브(Hub)로 구성된 회전자, 회전을 증속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증속 장치(Gearbox),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Generator)로 구성된다.
풍력발전기의 효율은 풍속이 강하면서 풍향의 변화가 적을수록 높아진다. 해상에서는 바람의 유동을 저하시키는 지형 등에 따른 영향이 적으므로, 해상풍의 평균풍속이 지상풍의 풍속보다 높고 해상풍의 풍량 또한 지상풍의 풍량보다 풍부하다. 특히, 내륙에서 먼 곳의 해상풍일수록 난류의 특성이 작아지므로 풍력발전에 더욱 유리하다. 따라서,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주로, 육상보다는 해상에 설치된다.
또한, 풍력발전기를 지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소음 및 미관 등의 제약에 의해 풍력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가 한정되나, 풍력발전기를 해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이러한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따라서, 현재 대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가 건설되기도 하며, 이를 위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풍력발전기를 해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선박에 의해 풍력발전기를 운반한 다음, 선박에 구비된 타워 컨트롤 데릭(Tower control derrick) 등을 이용하여 그 설치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기 설치를 위한 선박은 동력을 스스로 발생하여 항해하는 자항선으로서, 육지에서 풍력발전기 및 풍력발전기의 설치에 필요한 설비들을 싣고 해상으로 나가 해저에 레그를 내려 선체를 고정하고 풍력발전기 설치 작업을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설치 도중 육지로 돌아왔다가 자시 해상으로 나가기 어렵기 때문에 풍력발전기의 설치에 필요한 모든 설비를 한번에 싣고 나가야 하며, 동력을 스스로 발생하여 항해하는 선박이기 때문에 해상에서 오랜 작업 시 유지비용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작업데크와 레그 하부에 구비된 스퍼드캔의 압착력을 이용하여 작업데크와 모선을 고정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 설치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작업데크 및 모선을 포함한다.
상기 작업데크는 해상에서 풍력발전기 설치 작업을 하는 것으로서, 하단에 스퍼드캔이 구비된 레그를 내려 상기 스퍼드캔을 해저에 박아 작업 해역에 설치된다.
상기 모선은 상기 작업데크를 실어 이동시킨다.
그리고, 작업 해역에 설치된 상기 작업데크를 상기 모선에 싣기 위하여 상기 모선이 상기 작업데크의 하부로 일정 위치까지 진입하면 상기 스퍼드캔이 상기 모선의 하부와 맞닿고 상기 작업데크의 하부가 모선의 상부와 맞닿을 때까지 상기 레그를 들어올려 상기 스퍼드캔과 상기 작업데크가 상기 모선을 압착하는 힘에 의해 상기 작업데크와 상기 모선이 결합된다.
상기 작업데크와 상기 모선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레그와 상기 모선을 서로 체결하여 상기 레그와 상기 모선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퍼드캔과 상기 모선 중 하나에는, 상기 스퍼드캔과 상기 모선이 서로 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어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레그와 상기 모선이 수평 방향으로 상대이동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데크와 상기 모선 중 하나에는, 상기 작업데크와 상기 모선이 서로 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어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작업데크와 상기 모선이 수평 방향으로 상대이동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선의 하부에는 상기 스퍼드캔이 수용되는 스퍼드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레그의 하단부는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모선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부와 대응되어 상기 경사부가 수용되는 경사부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선에서 상기 레그 ?? 상기 작업데크와 접하는 부분에는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이 교차되어 나타나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레그 및 상기 작업데크에는 상기 요철부와 접하는 부분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레그와 상기 작업데크가 상기 모선을 압착하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요철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모선과 상기 작업데크의 상대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모선이 레그 하부의 일정 위치까지 진입 시 레그를 들어올려 모선에 설치선을 싣게 되는데, 이 때 레그가 모선의 저면과 맞닿을 때까지 레그를 들어올려 레그 하부에 위치한 스퍼드캔과 작업데크가 모선을 압착하는 힘에 의해 모선과 작업데크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데크와 모선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지닌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와 모선이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설치선과 모선이 분리되어 있는 모습은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와 모선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와 모선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와 모선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와 모선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와 모선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와 모선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모선에 설치되는 요철부의 확대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모선에 요철부가 설치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와 모선이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설치선과 모선이 분리되어 있는 모습은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와 모선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와 모선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작업데크(100) 및 모선(200)을 포함한다,
작업데크(100)는 해상에서 풍력발전기 설치 작업을 하는 것으로서, 자체적인 추진력은 가지지 않기 때문에 스스로 이동할 수는 없고, 후술할 모선(200)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다. 후술한 모선(200)이 작업데크(100)를 싣고 작업 해역에 도착하면 작업데크(100)는 하단에 스퍼드캔(120)이 구비된 레그(110)를 내려 스퍼드캔(120)을 해저에 박아 작업 해역에 설치된다.
모선(200)은 자체적인 추진력을 가지며, 작업데크(100)를 실어 작업해역으로 이동시킨다. 모선(200)이 작업데크(100)를 작업해역으로 이동시켜 작업데크(100)가 레그(110)를 내려 작업해역에 설치되면 모선(200)은 작업데크(100)와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데크(100)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모선(200)은 다시 작업데크(100)와 결합될 수 있다.
모선(200)의 선미 부분에는 작업데크(100)의 레그(110)가 위치하는 레그(110) 수용홈(202)이 형성된다. 레그(110) 수용홈(202)은 모선(200)의 후방으로부터 모선(200)의 길이 방향으로 내입되어, 모선(200)이 작업데크(100)를 작업해역에 하역할 경우에는 전진하고, 모선(200)이 작업데크(100)를 이동시키기 위해 실을 경우에는 레그(110) 수용홈(202)에 레그(110)가 위치하도록 후진하여 작업데크(100)의 하부로 진입할 수 있다.
해상에 풍력발전기의 설치가 완료된 후 작업데크(100)가 육지로 돌아오기 위하여 모선(200)과 결합되기 위한 과정 중, 모선(200)이 작업데크(100) 하부의 일정 위치까지 진입한 후 레그(110)를 들어올려 작업데크(100)와 모선(200)이 결합된다.
이 때, 본 실시예의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의하면 작업 해역에 설치된 작업데크(100)를 모선(200)에 싣기 위하여 모선(200)이 작업데크(100)의 하부로 일정 위치까지 진입하면 스퍼드캔(120)이 모선(200)의 하부와 맞닿고 작업데크(100)의 하부가 모선(200)의 상부와 맞닿을 때까지 레그(110)를 들어올려 스퍼드캔(120)과 작업데크(100)가 모선(200)을 압착하는 힘에 의해 작업데크(100)와 모선(200)이 결합된다.
작업데크(100)와 모선(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레그(110)와 모선(200)을 서로 체결하여 레그(110)와 모선(20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재는 레그(110)와 레그(110) 수용홈(202)의 내면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돌기(112)와 고정돌기(112) 수용홈(204)일 수 있다. 고정돌기(112)와 고정돌기(112) 수용홈(204)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레그(110)가 끝까지 상승하면 고정돌기(112)가 고정돌기(112) 수용홈(204)에 수용됨으로써 레그(110)와 모선(200)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레그(11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레그(110)의 상, 하 방향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재는 상술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레그(110)와 모선(200)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와 모선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작업데크(100) 및 모선(2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스퍼드캔(120)과 모선(200) 중 하나에는, 스퍼드캔(120)과 모선(200)이 서로 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제 1 돌기(122)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 1 돌기(122)와 대응되어 제 1 돌기(122)를 수용하는 제 1 돌기 수용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돌기(122)는 사각뿔 형상을 가지며, 돌기 수용홈은 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1 돌기(122)는 스퍼드캔(120)의 상면에 레그(110)의 로드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데크(100)와 모선(200) 중 하나에는, 작업데크(100)와 모선(200)이 서로 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제 2 돌기(102)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 2 돌기(102)와 대응되어 제 2 돌기(102)를 수용하는 제 2 돌기 수용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돌기(102)는 사각뿔 형상을 가지며, 제 2 돌기 수용홈(214)은 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작업데크(100)와 스퍼드캔(120)이 모선(200)을 압착하는 힘에 의해 모선(200)과 작업데크(100)의 상하 방향 상대 이동은 방지될 수 있지만, 작업데크(100)와 모선(200)에 서로 다른 수평 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 작업데크(100)와 모선(200)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작업데크(100)와 모선(200)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작업데크(100)와 모선(200)이 큰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돌기(122), 제 2 돌기(102), 제 1 돌기 수용홈(212), 제 2 돌기 수용홈(214)을 통해 레그(110)와 모선(200)의 수평 방향 상대 이동이 방지됨으로써 작업데크(100)와 모선(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돌기(122)와 제 1 돌기 수용홈(212), 제 2 돌기(102)와 제 2 돌기 수용홈(214)의 형상 및 개수는 상술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작업데크(100)와 레그(110)의 크기 등에 따라 작업데크(100)와 모선(200)을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면 형상 및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와 모선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작업데크(100) 및 모선(2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모선(200)의 하부에는 스퍼드캔(120)이 수용되는 스퍼드캔 수용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스퍼드캔 수용홈(220)은 스퍼드캔(120)의 전체가 수용되어 스퍼드캔(120)이 모선(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깊이를 가질 수도 있고, 스퍼드캔(120)의 일부만 수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스퍼드캔(120)이 스퍼드캔 수용홈(220)의 내벽에 맞닿아 지지됨으로써 작업데크(100)와 모선(200)의 수평 방향 상대 이동이 방지되며, 이로써 작업데크(100)와 모선(2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와 모선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작업데크(100) 및 모선(2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레그(110)의 하단부는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경사부(114)가 형성되며, 모선(200)의 하부에는 경사부(114)와 대응되어 경사부(114)가 수용되는 경사부(114) 수용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부(114)가 경사부(114) 수용홈(230)의 내벽에 맞닿아 지지됨으로써 작업데크(100)와 모선(200)의 수평 방향 상대 이동이 방지되며, 이로써 작업데크(100)와 모선(2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데크와 모선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모선에 설치되는 요철부의 확대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모선에 요철부가 설치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작업데크(100) 및 모선(2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모선(200)에서 레그(110) ?? 작업데크(100)와 접하는 부분에는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이 교차되어 나타나는 요철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그(110) 및 작업데크(100)에는 요철부(240)와 접하는 부분에 탄성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로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압착 가능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 10에서는 요철부(240)가 사각뿔 형태의 요철이 복수 개 모여 면을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요철부(24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톱니 형태 등 탄성부재(130)를 압착하여 작업데크(100)와 모선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로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230)는 레그 수용홈(202)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탄성부재(130) 또한 요철부(240)와 대응되는 면에 베치될 수 있다.
이로써, 레그(110)와 작업데크(100)가 모선(200)을 압착하면 탄성부재(130)가 요철부(240)에 의해 압착되어 모선(200)과 작업데크(100)의 상대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모선(200)과 작업데크(100), 모선(200)과 스퍼드캔(120)이 서로 접하는 면에는 강함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손상이 생기기 쉬운데, 본 실시예와 같이 요철부(240)와 탄성부재(130)가 구비됨으로써 모선(200), 작업데크(100) 및 스퍼드캔(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작업데크 102: 제 2 돌기
110: 레그 112: 고정돌기
114: 경사부 120: 스퍼드캔
122: 제 1 돌기 130: 탄성부재
200: 모선 202: 레그 수용홈
204: 고정돌기 수용홈 212: 제 1 돌기 수용홈
214: 제 2 돌기 수용홈 220: 스퍼드캔 수용홈
230: 경사부 수용홈 240: 요철부

Claims (7)

  1. 스퍼드캔이 구비된 레그를 포함하는 작업데크; 및
    상기 레그가 진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스퍼드캔의 상부와 상기 작업데크의 하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데크를 운송 하는 모선;을 포함하며,
    상기 스퍼드캔과 상기 모선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스퍼드캔과 상기 모선이 서로 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어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레그와 상기 모선이 수평 방향으로 상대이동 하는 것을 방지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와 상기 모선을 서로 체결하여 상기 레그와 상기 모선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데크와 상기 모선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작업데크와 상기 모선이 서로 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어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작업데크와 상기 모선이 수평 방향으로 상대이동 하는 것을 방지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의 하부에는 상기 스퍼드캔이 수용되는 스퍼드캔 수용홈이 형성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하단부는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모선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부와 대응되어 상기 경사부가 수용되는 경사부 수용홈이 형성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은, 상기 레그 및 상기 작업데크와 접하는 부분에는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이 교차되어 나타나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레그 및 상기 작업데크에는 상기 요철부와 접하는 부분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레그와 상기 작업데크가 상기 모선을 압착하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요철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모선과 상기 작업데크의 상대이동을 방지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KR1020160080960A 2016-06-28 2016-06-28 풍력발전기 설치선 KR101863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960A KR101863794B1 (ko) 2016-06-28 2016-06-28 풍력발전기 설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960A KR101863794B1 (ko) 2016-06-28 2016-06-28 풍력발전기 설치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92A KR20180001892A (ko) 2018-01-05
KR101863794B1 true KR101863794B1 (ko) 2018-06-01

Family

ID=6100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960A KR101863794B1 (ko) 2016-06-28 2016-06-28 풍력발전기 설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7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8563A (zh) * 2022-07-18 2022-10-11 交通运输部广州打捞局 一种海上风机安装船及海上风机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440B1 (ko) * 2013-05-31 2016-06-24 이레엔지니어링(주) 선박고정용 레그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그 설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5455A (en) * 1997-07-09 1999-01-05 Ensco International, Inc. Submersible and semi-submersible dry lift carrier and method of operation for carrying a drilling rig and platform
KR101215520B1 (ko) * 2010-08-30 2012-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및 그를 이용한 해상 플랫폼 해체 방법
KR101368873B1 (ko) * 2012-06-20 2014-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매트형 레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440B1 (ko) * 2013-05-31 2016-06-24 이레엔지니어링(주) 선박고정용 레그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그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92A (ko)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676B1 (ko) 수력 터빈 지지 시스템 및 방법
CN113428307B (zh) 一种半潜浮式风机基础和半潜浮式风机
KR101390933B1 (ko)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WO2008084971A1 (en) Method of establishing sea wind power generator using the leading rail
CN114620194B (zh) 海上浮式光伏系统多体间多步运动补偿连接方法
CN106014874B (zh) 海上风力发电机组的安装方法
KR101488292B1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시스템
CN103986406A (zh) 一种水上光伏组件承载单元方阵及使用其的发电系统
CN201763532U (zh) 一种海上可再生能源转换装置
CN114086592B (zh) 一种装配式海上风电浮动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863794B1 (ko) 풍력발전기 설치선
KR101635181B1 (ko)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KR200450521Y1 (ko) 태양광 발전용 모듈 프레임 지지장치
CN102146682B (zh) 一种螃蟹式的海洋潮流能发电海底固定装置及方法
KR20120038708A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설비
KR20130039826A (ko) 해상 풍력 발전기의 지지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20130047950A (ko) 해상 풍력 발전기의 지지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20120139932A (ko)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및 시스템
KR101963233B1 (ko) 해상 풍력발전용 말뚝기초
JP2019217801A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及びその準備方法
KR20130107707A (ko) 해상 풍력발전기용 하이브리드 부유식 지지구조
Li et al. Concept design and analysis of wind-tracing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s
KR101635177B1 (ko)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KR20220104358A (ko) 부유식 지지 구조를 갖는 해상 풍력 발전기
CN103850885B (zh) 风力发电机的离岸安装方法及其组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