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376A -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376A
KR20160007376A KR1020150095062A KR20150095062A KR20160007376A KR 20160007376 A KR20160007376 A KR 20160007376A KR 1020150095062 A KR1020150095062 A KR 1020150095062A KR 20150095062 A KR20150095062 A KR 20150095062A KR 20160007376 A KR20160007376 A KR 20160007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ntifungal
gypsum board
compound represen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9783B1 (ko
Inventor
이진형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이진형
이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3080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00737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형, 이재명 filed Critical 이진형
Publication of KR2016000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6Sulfur-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7Biocides
    • C04B2103/69Fungic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저독성방균제 BIT(1,2-benzisothiazone-3-one), DTBTA(dithio-2,2'-bis(benzmethylamide), NaPT(sodium pyrithione)를 200nm(나노크기) 이하로 수분산하여 투입함으로써 저용량으로 고효율 방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균제 조성물은, 입자크기를 조절하고 입자표면전하를 소듐 이온으로 교환(change)시킨 콜로이달-졸(colloidal-sol) 상태로 제공됨으로써 저장 안정성 및 물희석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WATER-SOLUBLE BIOCIDES COMPOSITION FOR GYPSUM BOARD}
본 발명은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독성 방균제 BIT(1,2-benzisothiazone-3-one), DTBTA(dithio-2,2'-bis(benzmethylamide), NaPT(sodium pyrithione)를 200nm(나노크기) 이하로 수분산하여 투입함으로써 저용량으로 고효율 방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새집증후군, 콘트리트, 환경호르몬 등 건축 자재의 유해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실내 환경오염 문제 해결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실내 환경오염의 가장 큰 원인은 실내를 구성하는 건축 구조 재료와 다양한 실내 마감 및 장식재이다. 건축 재료의 선정시, 건축 재료에 의한 유해물질의 성질과 배출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물리적 성능을 가지면서 유해성이 적은 화학적 성능을 갖는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표 1와 같이 천정제와, 벽마감재에 사용되는 석고보드, 벽지에서 오염 물질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문제점의 해결이 필요하다.
실내 부위별 주요 건축재료 및 방출오염물질
공사 부위 재료 오염원 방출 오염물질
천정제 판재(합판, 석고보드, 각종 보드류 접착제, 혼화제. 시멘트 톨루엔, 노말헥산, 초산에틸, 시클로헥산, 아세톤, 석면, HCHO, 곰팡이 등
PVC 천정재 접착제, 용제, 가소제 가소제, 톨루엔, 메탄올, 환경호르몬
타일 접착제 HCHO, VOCs
벽마감재 섬유류(프린터 직물, 파일조 직물, 부직포 벽지 등) 첨가제, 섬유속 화학물질, 접착제, 먼지 등 곰팡이, 진드기, 세균, HCHO, 톨루엔 & 자이렌 등의 VOCs, 틈새먼지
석고보드란 소석고를 주원료로 하여 톱밥, 섬유, 펄라이트 등을 혼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발포제(發泡劑)를 첨가하고 물로 반죽하여 두 장의 시트(종이 또는 다른 섬유 재료) 사이에 부어서 석고를 샌드위치 모양으로 끼워 맞추어 판상(板狀)으로 굳힌 것을 가리킨다.
석고보드는 타 건축자재에 비해 방화성, 단열성, 시공성 및 치수안정성이 좋고, 경제적이므로 내장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습기를 함습하면 취약한 물성을 나타낸다. 특히, 여러 가지 시공법 중 석고본드 공법은 종래의 목상공법에 비해 반죽된 석고 본드를 접착제로 사용하므로 창호공사가 제대로 되지 않고, 바닥 모르타르 작업 수행시 수분이 석고보드 심재를 타고 이동 확산되어 습기가 많은 보드로 변해버린다. 이때 흡수된 수분을 충분히 건조시키지 못하거나 곧바로 벽지를 부착하면 수분이 대기로 증발되지 않고, 내부에 정체되어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에 놓이게 된다. 그 결과 석고보드 뒷면의 곰팡이가 표면까지 확대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곰팡이가 생길 수 있는 조건은 수분 65 %이상, 온도 5 ~ 45 ℃, 유기물에 의한 영양분, pH 2 ~ 8.5가 적당하나, 곰팡이는 건조 조건하에서는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석고보드 시공 후 충분히 건조를 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므로 공사 진행상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어 일부에서는 석고보드용 항균제 에멀젼의 적용도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균일한 도포처리가 어렵고, 방균 효력 및 효과의 안정성이 충분치 않다. 또한 방균제의 안전성, 지속성 및 경제성 등의 문제도 아직 충분하게 해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석고보드 표면의 곰팡이 발생을 막기 위해서는 표면만 방균제로 처리 하면 충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실제로 석고보드 이면에서도 곰팡이가 발생되므로 표면에만 방균제로 처리하는 경우 방균 효과가 지속되기 어렵다. 왜냐하면 석고보드 표면에 콘크리트 벽체와 석고보드 이면으로부터 수분과 더불어 영양분이나 곰팡이 포자, 균사가 옮겨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석고보드 뒷면은 통풍이 되지 않아 습도가 높고 곰팡이가 번식하기 쉽기 때문에 이면의 곰팡이 방지가 표면에 발생되는 곰팡이를 방지하는데 핵심 요소가 된다. 특히, 석고보드 자체에는 제조시 투입되는 펄프와 석고를 피복하는 원지, 전분 등이 포함되어 있어 주영양원이 된다. 또 석고보드는 pH가 4 ~ 7이므로 영양원과 수분, 온도가 알맞게 유지되기만 하면 곰팡이는 언제나 발생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석고보드용 방균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013758호
본 발명은 방균 효과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친환경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성분 A;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성분 B 를 포함하는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방균제 조성물에서 성분 A는 항세균성을 나타낼 수 있고, 성분 B는 항곰팡이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방균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유지하는 경우 석고보드용 원지에 포함되는 산화전분을 먹이로 이용하는 세균의 부패 및 번식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아울러 세균이 감염된 상태에서 번식률이 상승하는 곰팡이의 활성화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석고보드 제조에 사용되는 석고슬러리 내에 50 ~ 5000 ppm 범위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 1000 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 350 ppm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방균제 투입량이 50 ppm 미만 시 방균 효과가 떨어지며 3000 ppm 초과 시에는 방균 효과는 월등히 우수하나, 경제적 측면 부담이 될 수 있다.
참고로 U.S EPA 규정은 방균제 각 성분에 대하여 표 2과 같이 투입량을 제한하고 있다.
BIT/MBIT SPT
라벨링 리미트
(Labelling limit)
< 500PPM < 1000PPM
블루 엔젤
(Blue Angel)
< 200PPM < 380PPM
* 라벨링 리미트(Labelling limit)는 최대 투입 허용량(PPM, mg/kg)임.
* 투입량이 블루 엔젤(Blue Angel) 규격에 해당되면 폐기물부담금(PL법)이 제외되고 재활용(Recycle)이 가능하며 친환경 상품으로 등록할 수 있음.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휘발성 유기성분과 할로겐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은 종래 제품에서 발생되는 실내공기오염(Sick building syndrome)의 주원인이 되는 포름알데하이드비산(phase out formaldehide)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에 심각한 위험이 될 수 있는 곰팡이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유기용제가 포함될 경우 석고보드 제조 라인에서 유기용제 휘발로 인한 화재, 폭발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작업장에 유기용제 잔존으로 작업장 환경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석고 내에 잔존 시에는 새집증후군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할로겐 화합물은 열풍 건조시에 부식성물질(Cl,Br 음이온이 발생)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나트륨이온으로 수용화(Water-Colloidal Dispersion)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의 입자 크기는 20 ~ 5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 20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80㎚일 수 있다. 입자 크기를 상기 범위로 유지하는 하는 경우, 석고 생산 라인에서 투입된 방균제 조성물의 석출 현상(shocking)이 발생하지 않고 양호한 방부력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입자 크기가 20 nm 미만 시에는 응집력이 강하여 응집현상에 의하여 소듐이온이 석출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하여 pH가 급격하게 상승함으로써 수분산물의 저장 안정성 저하 및 물성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500㎚ 초과 시에는 저온상태에서 입자 응집을 침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는 유기,무기 성분을 결합시키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로는 실란이 사용될 수 있다. 에폭시계 실란으로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2-(3,4-epoxycyclohexyl)),에틸트리메톡시실란(ethyltrim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다이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알콕시계 실란으로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MTMS), 다이메틸다이메톡시실란(dimethyldimethoxysilane), 트리메톡시실란(trimethoxysilane), 트리에톡시(triethoxysilane),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oxysilane), 메틸트리에톡시실란(methyltriethoxysilane), 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propyltrimethoxysilane), N-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N-propyltriethoxysilane),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s)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닐계로는 비닐트리클로로실란(vinyltrichlorosilane), 비닐트리메톡시실란(vinyltrimethoxysilane), 비닐트리에톡시실란(vinyltriethoxysilane), 페닐계로는 페닐트리클로로실란(phenyltrichlorosilane), 페닐트리메톡시실란(phenyltrimethoxysilane), 페닐트리에톡시실란(phenyltriethoxysilane), 메틸페닐다이클로로실란(methylphenyldichlorosilane), 다이페닐다이메톡시실란( diphenyldimethoxysilane), 메틸페닐다이메톡시실란(methylphenyldimethoxysilane), 메틸페닐다이메톡시실란(methylphenyldimethoxysilane),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p-styryltrimethoxysilane),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아미노계 실란으로는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클로로실란(Chlorosilane)계로는 메틸트리클로로실란(methyltrichlorosilane), 다이메틸다이클로로실란(dimethyldichlorosilane), 트리메틸클로로실란(trimethylchlorosilane), 메틸다이클로로실란(methyldichlorosilane), 트리클로로실란(trichlorosilane), 테트라클로로실란(tetrachlorosila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클로로프로필(Chloropropyl)계로는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chloropropyltrimethoxysilane)이 사용될 수 있다. 머캅토(Mercapto)계로는 3-머캅토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란(3-mercaptopropylmethyldimethoxysilane), 3-머캅토프로필메틸트리메톡시실란(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란 중 pH가 알칼리인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ethoxysilane) 또는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이 안정성에 가장 양호하므로 더욱 바람직일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는 상기 고형분 중량대비 0.2 ~ 2% 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실란의 응집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석고보드 제조에 수성 또는 수분산 방균제를 사용하는 경우, 물에 의해 방균제가 쉽게 용출되어 방곰팡이 효과의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커플링제를 적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였다.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2-Methyl-4-isothiazolin-3-one; MIT),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5-chloro-2-methyl-4-isothiazolin-3-one; CMIT), 2-브로모-2-니트로-1,3-프로판디올(2-Bromo-2-nitro-1,3-propanediol; Bronopol), 1,2-디브로모-2,4-디시아노부탄(1,2-Dibromo-2,4-dicyanobutane; DBDCB), 2-아이도-2-프로파인일 부틸 카바메이트(2-iodo-2-propynyl butyl carbamate; IPBC), n-옥틸-이소치아졸온-3-온(n-Octyl-isothiazolone-3-one; OIT), n-부틸-1,2-벤즈이소치아졸리논(n-Butyl-1,2-benzisothiazolinone; BBIT), 2,2-디브로모-2-니트로에탄올(2,2-Dibromo-2-nitroethanol; DBNE), 징크 디메틸 디치오카바메이트(zinc dimethyl dithiocarbamate; Ziram), 비스-(디메틸치오카바모일)디설파이드(bis-(dimethylthiocarbamoyl)disulfide; thiram), 징크 피리티온(zinc pyrithione; ZPT), 프로피카오나졸(propicaonazole; PCA), 티아벤다졸(Thiabendazol; TBZ), 다조메트(Dazomet), 2-벤즈이미다졸일 카바믹 애시드 메틸 에스터(2-Benzimidazolyl carbamic acid methyl ester; BCM), O-페닐페놀(O-phenylphenol; OPP), 상기 OPP의 Li, K, Na 이온염, 벤질-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Benzyl-dimethyl ammonium chloride; BDAC), 디클로로록틸이소치아졸린온(Dichlorooctylisothiazolinone; DCOIT) 및 디요오도메틸-p-톨릴설폰(diiodomethyl-p-tolylsulfone; DIMT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석고보드는 원지와 석고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석고보드에 사용되는 원지는 셀룰로오스(Cellulose) 계통과 전분(starch)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것이 곰팡이 발생에 영향을 크다. 따라서 석고보드에 사용되는 원지는 방균, 방곰팡이 성능을 갖는 원지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항균 원지 생산시 폐수 및 폐기물이 발생하게 된다. 통상적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퇴비화는 기본적으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발생하는 산화열에 의하여 내부온도를 상승시켜(60 ~ 70℃) 유기물을 분해함과 동시에 수분을 증발시켜 감량화시키고, 분해 잔재물을 안정화시켜 퇴비로서 사용한다. 하지만 향균 원지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경우 방균제가 함유되었으므로 호기성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문제가 있어 항균 원지생산에 대단히 어려움이 있다. 또 다른 항균 원지 생산 방법 중 방균제를 침전(dipping) 및 살포(spray bar), off-machine coating(수작업)이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제조공정이 고비용, 저효율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석고보드용 방균제 조성물은 물 안에 방균제가 콜로이드 입자로 존재하는 수분산 타입이 때문에, 석고 슬러리에 투입되어 석고보드 제조에 사용되는 경우 오븐 내에서 수분이 건조될 때 원지와 내부 석고의 교착성 결합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원지 내부에 방균제가 높은 분산도도 포함되는 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종전의 방식과 달리 석고보드의 제조과정에서 원지에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적은 함량의 방부제투입으로 높은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균제 조성물의 분해온도는 220 ~ 250℃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석고보드 제조 과정에서 분해되지 않는다. 즉 석고보드 제조시 150 ~ 200℃의 건조단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방균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80℃까지 내열성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방균제의 분해온도는 220 ~ 250℃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석고보드 제조과정 중 방균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방균제는 여러 가지 성분을 혼합하여 방균제로 적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성분들의 최소 생육 억제 농도(MIC)에 의해 시너지 효과를 발생 시킬 수 있다.
방균제의 방균 상승작용은 Kull.F C,Eisman,P C,Sylwestrowicz,H D and Mayer,R L, in Applied Microbiology. 9: 538-541 (1961))에 발표된 방법에 따라,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여, QA /Qa 와 QB / Qb 의 합이 1보다 작은 경우 살균 상승작용이 나타난다.
[수학식 1]
상승지수(SI) = (QA /Qa) + (QB / Qb)
상기 식에서, 는 화합물 A단독의 MIC값(ppm)이며, Qb는 화합물 B단독의 MIC값(ppm)이며, QA는 혼합물 중 화합물 A의 MIC값(ppm)이며, QB는 혼합물 중 화합물 B의 MIC값(ppm)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균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미생물에 대한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가진다. 열안정성이 우수하며, pH 2 ~ 12정도에서 우수한 항세균 및 항곰팡이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성분은 물에 대한 용해력이 0.1% 이하 이므로 일반적으로 PG(Propylene glycol), DPG(Dipropylene glycol), ED(Ethylene diamine) 등의 유기용제에 녹여 사용하거나 이러한 유기용제와 물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이온교환물질로 Na+를 이용한 이온교환법을 적용하여 입도 200nm 이하의 수분산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원료의 특성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비슷한 방균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물에 대한 용해력은 2.5% 이내이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산소를 이용한 불균화(Disproportionation) 반응에 의해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변환시켜 수분산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주로 항곰팡이제로 사용된다. 상기 화학식 4는 피리티온을 Na+이온으로 수분산 시킨 제품으로 SPT(Sodioum salt of 2-mercaptopyridine-N-oxide, Sodium 2-pyridinethiol-1-oxide, Sodium pyrithione)라고 명명하며 CAS넘버는 CAS-NO.3811-73-2, CAS-NO. 116503-44-3, 로 표기된다. 일반적으로 피리티온(pyrithione; 2-mercaptopyridine-N-oxide)은 오마딘(Omadine)혹은 HPT로 판매되고 있으며 2-mercaptopyridine-N-oxide, 1-hydroxypyridine-2-thione, 2-pyridinethiol-1-oxide (CAS NO. 1121-31-9), 1-hydroxy-2(1H)-pyridinethione (CAS NO.1121-30-8)으로 명명된다.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SPT)의 수분산물은 pH가 6.5 ~ 10 범위 내에서 안정하다. pH 값이 6.5 이하일 경우에는 서서히 프리 피리티온(free Pyrithione)으로 변환(conversion)되어 BIT 함께 응집(seeding)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pH 값이 10 이상일 경우 처음에는 2,2'-디치오-비스-피리딘-1,1-다이옥사이드(2,2'-dithio-bis-pyridine-1,1-dioxide)로 변환 된 후 방부력이 없는 피리티온 설피닉(pyrithione sulphinic) 또는 설포닉산(sulphonic acid)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화합물은 모두 수분산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를 가지는 방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화합물은 수분산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2-Methyl-4-isothiazolin-3-one; MIT),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5-chloro-2-methyl-4-isothiazolin-3-one; CMIT), 2-브로모-2-니트로-1,3-프로판디올(2-Bromo-2-nitro-1,3-propanediol; Bronopol), 1,2-디브로모-2,4-디시아노부탄(1,2-Dibromo-2,4-dicyanobutane; DBDCB), 2-아이도-2-프로파인일 부틸 카바메이트(2-iodo-2-propynyl butyl carbamate; IPBC), n-옥틸-이소치아졸온-3-온(n-Octyl-isothiazolone-3-one; OIT), n-부틸-1,2-벤즈이소치아졸리논(n-Butyl-1,2-benzisothiazolinone; BBIT), 2,2-디브로모-2-니트로에탄올(2,2-Dibromo-2-nitroethanol; DBNE), 징크 디메틸 디치오카바메이트(zinc dimethyl dithiocarbamate; Ziram), 비스-(디메틸치오카바모일)디설파이드(bis-(dimethylthiocarbamoyl)disulfide; thiram), 징크 피리티온(zinc pyrithione; ZPT), 프로피카오나졸(propicaonazole; PCA), 티아벤다졸(Thiabendazol; TBZ), 다조메트(Dazomet), 2-벤즈이미다졸일 카바믹 애시드 메틸 에스터(2-Benzimidazolyl carbamic acid methyl ester; BCM), O-페닐페놀(O-phenylphenol; OPP), 상기 OPP의 Li, K, Na 이온염, 벤질-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Benzyl-dimethyl ammonium chloride; BDAC), 디클로로록틸이소치아졸린온(Dichlorooctylisothiazolinone; DCOIT) 및 디요오도메틸-p-톨릴설폰(diiodomethyl-p-tolylsulfone; DIMT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냉각탑의 미생물 제어, 항균력을 요구하는 수처리분야, 수성 슬러리, 수성에멜젼 도료, 라텍스용 수성접착제, 화장품용 첨가제, 섬유 제직용 낙호방지제, 제지 슬라임 콘트롤제, 목재용 수성 방균제, 금속 가공유용 방균제 또는 항균섬유조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균제 조성물은, 입자크기를 조절하고 입자표면전하를 소듐 이온으로 교환(change)시킨 콜로이달-졸(colloidal-sol) 상태로 제공됨으로써 저장 안정성 및 물희석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석고보드 작업라인에서 수분 증발시 석고원지의 미세한 기공에 함침되어 교착성(interlocking matrix)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석고 양면에 붙어있는 원지의 항방균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견딜수 있도록 커플링제를 투입함으로써 원지와 석고에 방균제 결합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는 방균제 조성물에는 휘발성 유기용제(VOC: Volatile organic compound) 및 할로겐(AOX: Adsorbable organohalogens)이 함유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고 본 발명에 따른 방균 효과는 100℃ 이상의 고온에서도 유지될 수 있으며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석고보드용 방균제 조성물로 가장 적합하다.
도 1a ~ 1c는 제조된 시편의 방균 효과를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실제로 사용되는 석고보드와 벽지에서 추출한 세균과 곰팡이를 배양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제조된 시편의 항세균성 효과를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제조된 시편의 방균성 효과를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온도계, 냉각기와 진공증류기 가변혼합형, 온도조절기 및 교반기가 연결된 500mL 4구 넥의 반응기에 BIT(1,2-benzisothiazolin-3-one) 1.18g, DMSO 28g, 증류수 26g를 적재 후 150RPM에서 150도 2시간 동안 환류시켜 (A)를 제조하였다. 피리티온(pyrithione; 2-mercaptopyridine-N-oxide) 19g에 가성소오다 6.3g, 증류수 225g를 투입하여 혼합물 (B)를 제조하였다. 상기 (A)를 70 ~ 80도로 유지하면서 450RPM에서 4시간 동안 (B)에 적하시켰다. pH를 8~10으로 조정하고 100℃에서 진공증류기로 물과 DMSO를 제거하였다. 용제류 제거 후, 순수 물(전기저항: 10 Siemen 이하)로 희석시킨 후 필터(제오나이트 Curo-sieve)로 불순물을 제거한 후 중량비 5:95가 되는 석고보드용 수분산(WS : Water-solution, 수성 콜로이달(Colliodal)화 시킴)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4, 시편 1, 시편 2).
* pH ; 8 ~ 10, 평균입자크기 : 50 ~ 100m
<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BIT(1,2-benzisothiazolin-3-one) 2.3g, DMSO 28g, 증류수 25g, 피리티온(pyrithione; 2-mercaptopyridine-N-oxide) 17.6g, 가성소오다 6g, 증류수 226g을 사용하여 중량비 10:90가 되는 석고보드용 수분산(WS)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3, 시편 14).
* pH ; 8 ~ 10, 평균입자크기 : 50 ~ 100nm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BIT(1,2-benzisothiazolin-3-one) 6.8g, DMSO 28g, 증류수 76g, 피리티온(pyrithione; 2-mercaptopyridine-N-oxide) 13g, 가성소오다 6g, 증류수 177g을 사용하여 중량비 30:70가 되는 석고보드용 수분산(WS)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4, 시편 3, 시편 4 ).
* pH ; 8 ~ 10, 평균입자크기 : 50 ~ 100nm
<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BIT(1,2-benzisothiazolin-3-one) 8.9g, DMSO 29g, 증류수 100g, 피리티온(pyrithione; 2-mercaptopyridine-N-oxide) 11.2g, 가성소오다 6g, 증류수 151g을 사용하여 중량비 40:60가 되는 석고보드용 수분산(WS)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4, 시편 5, 시편 6).
* pH ; 8 ~ 10, 평균입자크기 : 50 ~ 100nm
<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BIT(1,2-benzisothiazolin-3-one) 12.8g, DMSO 29g, 증류수 151g, 피리티온(pyrithione; 2-mercaptopyridine-N-oxide) 7.2g, 가성소오다 5.6g, 증류수 100g을 사용하여 중량비 90:10가 되는 석고보드용 수분산(WS)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3, 시편 13).
* pH ; 8 ~ 10, 평균입자크기 : 50 ~ 100nm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BIT(1,2-benzisothiazolin-3-one)를 사용하여 석고보드용 수분산(WS)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3, 시편 2).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MBIT(Methyl-1,2-benzisothiazolin-3-one)를 사용하여 석고보드용 수분산(WS)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3, 시편 4).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SPT(sodium pyrithione)를 사용하여 석고보드용 수분산(WS)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3, 시편 7, 시편 8).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BIT(1,2-benzisothiazolin-3-one)와 MBIT(Methyl-1,2-benzisothiazolin-3-one)를 중량비 50:50으로 사용하여 석고보드용 수분산(WS)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3, 시편 11).
<실시예 10>
온도계, 냉각기와 진공증류기 가변혼합형, 온도조절기 및 교반기가 연결된 500mL 4구 넥의 반응기에 BIT(1,2-benzisothiazolin-3-one) 3.32g, MBIT(Methyl-1,2-benzisothiazolin-3-one) 3.63g, DMSO 28g, 증류수 76g를 적재 후 150RPM에서 150도 2시간 동안 환류시켜 (A)를 제조하였다. 피리티온(pyrithione; 2-mercaptopyridine-N-oxide) 13g에 가성소오다 5.9g, 증류수 176g를 투입하여 혼합물 (B)를 제조하였다. 상기 (A)를 70 ~ 80도로 유지하면서 450RPM에서 4시간 동안 (B)에 적하시켰다. pH를 8~10으로 조정하고 100℃에서 진공증류기로 물과 DMSO를 제거하였다. 용제류 제거 후, 순수 물(전기저항: 10 Siemen 이하)로 희석시킨 후 필터(제오나이트 Curo-sieve)로 불순물을 제거한 후 중량비(BIT,MBIT/SPT) 30:70가 되는 석고보드용 수분산(WS : Water-solution, 수성 콜로이달(Colliodal)화 시킴)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3 시편 17, 시편 18, 시편 19, 시편 20).
* pH ; 8 ~ 10, 평균입자크기 : 50 ~ 100m
< 실시예 11>
BIT(1.2-벤즈이소치아졸-3-온)를 소듐 폴리나프탈렌 설포네이트(Sodium polynaphthalene sulfonate)로 분산시켜(호모게나이저 분산기에 SPS분산제, 글래스 비드(glass bead), 방균제를 함께 투입하여 속도는 3000RPM정도에서 30분간 분산하여 최대입도가 5 Micron이하가 되도록 함) 석고보드용 WD(water dispersion)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3, 시편 3).
<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7와 동일한 방법으로 DTBTA(dithio-2,2'-bis(benzmethylamide)을 석고보드용 WD(water dispersion)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3, 시편 5).
<실시예 13>
상기 실시예 7와 동일한 방법으로 ZPT(zinc pyrithione)을 석고보드용 WD(water dispersion)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3, 시편 6).
< 실시예 14>
상기 실시예 7와 동일한 방법으로 IPBC(Iodopropylbutylcarbamate)을 석고보드용 WD(water dispersion)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3, 시편 9).
<실시예 15>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BIT(1,2-benzisothiazolin-3-one)와 ZPT(zinc pyrithione)을 중량비 50:50으로 석고보드용 WD(water dispersion)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3, 시편 10).
<실시예 16>
상기 실시예 7와 동일한 방법으로 ZPT(zinc pyrithione)와 IPBC(Iodopropylbutylcarbamate)을 중량비 50:50으로 석고보드용 WD(water dispersion)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3, 시편 15).
< 실시예 17>
상기 실시예 7와 동일한 방법으로 BBIT(n-Butyl-1,2-benzisothiazolinone)와 IPBC(Iodopropylbutylcarbamate)을 중량비 75:25으로 석고보드용 WD(water dispersion)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3, 시편 16).
< 실시예 18>
BIT(1,2-benzisothiazolin-3-one)와 OIT(n-octhlyisothiazon-3-one)를 유화제(Isotridecanol ethoxylate)를 첨가하여 물에 완전 혼용시켰다(유화제를 투입하여 수용화시킴). 중량비 25:75으로 석고보드용 WE(Water Emulsion) 방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3, 시편 12).
시험예1 : 방균 효과 테스트
하기와 같이 방균제가 내첨된 시편을 제조하고 방균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시편의 제조) 소석고 300 g, 경화제(K2SO4) 1.5g, 원지부착력증진제 및 지연제로 전분 2g, 경화지연제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1g을 혼합한 다음 배합된 원료를 100㎛이하로 분쇄하고 물을 석고 중량 대비 50% 투입하였다. 그 다음 분산제로 고분자 알킬 나프탈렌 설폰산을 나트륨으로 중성화시킨 TAMOL 819(R&H사제품) 0.6g 넣어 혼련하여 석고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에 하기 표 3에 따른 방균제를 첨가하고 하이 스피드 디졸버(high speed dissolver)로 200 RPM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back 원지(원지는 185g/m2 중량을 가진 방균처리가 없는 2겹 이상의 원지층으로 구성됨) 위에 방균제가 혼합된 석고슬러리를 붓고 조절식 베이커 어플리케이터(baker applicater)로 DFT(dry film thickness)가 300㎛ 두께로 되게끔 도장하고, top 원지를 접착 시킨 후에 상온에서 3시간 건조 후에 150도 열풍 오븐에서 60분 간 베이킹(baking)시킨 후 약 1.2 x 1.2 inch(3.0 x 3.0 ㎝)로 절단하여 시편으로 사용할 석고도막을 제조하였다(2-stage dry process).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석고도막을 시편으로 하여 방부 효과 테스트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표 3 및 도 1a ~ 1c에 나타내었다. 테스트는 ASTM D5590 테스트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석고도막을, 페니실리움 푸니쿨로섬(Penicillium funiculosum ATCC # 11797 ),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CC # 6275),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ATCC # 15233),채도미움 글로비스움(Chaetomium globisum ATCC # 6205) 및 페니실리움 에스피(Penicillium SP. ATCC # 12667)가 혼합된 혼합균주가 접종(접종 균체수는 2.00X104spores/㎖, 균주수 Haemocytometer로 측정 하여 100㎕ 접종)된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 올리고 온도 28℃, 습도 85%에서 4주간 항온항습조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그 결과를 표 3 (1 ~ 20) 및 도 1a ~ 1c (1 ~ 20)에 나타내었다. 표 3에서 생장률(Growth rating) 수치는 낮을수록, 억제지대(Inhibition zone) 수치는 클수록 우수한 방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다만 표 3의 결과는 세균 감염여부는 고려되지 않았다(세균 감염 여부는 도 1a ~ 1c 참조). 표 3 및 도 1a ~ 1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방균제가 포함된 석고도막 시편에서 가장 우수한 방균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150℃에서 1시간 건조시킨 석고도막에서도 우수한 방균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바(특히 시편 17 ~ 20에서 투입량에 따른 우수한 효과가 확인됨), 방균 효과가 오랜 시간 경과 후에도 지속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방균제로 소듐 피리티온만을 적용한 시편 8에서도 억제지대(Inhibition zone) 수치는 우수하게 나타났으나(표 3 참조), 도 1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균에 감염된 결과를 나타내었는 바, 세균 억제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5
상기 표 3에 사용된 방균제 성분은 다음과 같다.
1.BIT : 1.2-벤즈이소치아졸린(1,2-benzisothiazolin-3-one)
[화학식 1]
Figure pat00006
2.DTBMA :디치오-2-2-비스 벤즈메칠아마이드 (dithio-2,2'-bis(benzmethylamide)
[화학식 2]
Figure pat00007
3. MBIT : 메칠-1,2-벤즈이소치아졸린-3-온(Methyl-1,2-benzisothiazolin-3-one)
[화학식 3]
Figure pat00008
4. OIT: 노말-옥틸이소치아졸린 (n-octhlyisothiazon-3-one)
5. IPBC : 요오드 프로필부틸카바마아트(Iodopropylbutylcarbamate)
6. SPT: 소듐 피리티온(sodium pyrithione)
[화학식 4]
Figure pat00009
7. ZPT: 징크 피리티온(zinc pyrithione)
8. BBIT :부틸1.2-벤즈이소티아졸(n-Butyl-1,2-benzisothiazolinone)
* 농도는 A.I (Active ingredient)값 :활성화성분,
측정은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으로 함.
농도는 석고 슬러리에 내에 포함된 방균제의 함량을 ppm 값으로 나타낸 것이고, 2종 이상의 성분이 혼합된 방균제의 경우 혼합된 각 성분의 중량비를 표기하였다.
시험예2 : 항세균성 및 항곰팡이성 효과 테스트
하기와 같이 항세균제가 내첨된 시편을 제조하고 항세균성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석고 슬러리의 제조) 소석고 300 g, 경화제(K2SO4) 1.5g, 원지부착력증진제 및 지연제로 전분 2g, 경화지연제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1g을 혼합한 다음 배합된 원료를 100㎛이하로 분쇄하고 물을 석고 중량 대비 50% 투입하였다. 그 다음 분산제로 고분자 알킬 나프탈렌 설폰산을 나트륨으로 중성화시킨 TAMOL 819(R&H사제품) 0.6g 넣어 혼련하여 석고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에 실험방법을 ASTM D2574-06에 준하여 하기 표 4에 따른 항세균제를 첨가하였다. 일반 석고에서 검출된 세균들 중 우점종을 분리하여 도 2와 같이 배양하여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접종원(균주수 Haemocytometer로 측정, 균체수 1.8×109 CFU/ml)은 10배 희석하여 100㎕(접종원 최종농도는 ~106CFU/g이 된다)를 항세균제가 첨가된 석고 슬러리에 접종하였다. 멸균된 면봉으로 준비된 시료를 TSA agar plate에 도말하여 도말된 plate를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온도 30℃로 1 ~ 5일 배양한다. 후 그 결과를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였다.
하기와 같이 방균제가 내첨된 시편을 제조하고 방균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시편의 제조) 시편의 제조는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에 실험방법을 ASTM D5590-00에 준하여 표 4에 따른 방균제를 첨가하였다. 일반 석고에서 검출된 혼합 곰팡이 균주들을 분리하여 도 2와 같이 배양하여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접종 균체수는 2.00×105 spores/㎖, 균주수 Haemocytometer로 측정 하여 100㎕ 접종)된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 올리고 온도 28℃, 습도 85%에서 4주간 항온항습조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그 결과를 표4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시 편 성 분 성상 농도
( ai,ppm )
혼합물의
중량비
1~4주 경과 시 결과
Growth rating* Growth rating**
1day 5day 2week 4week
1 BIT/SPT WS 150 5/95 2 0 0 0
2 200 1 0 0 0
3 150 30/70 0 0 0 0
4 200 0 0 0 0
5 150 40/60 0 0 0 0
6 200 0 0 0 0
*GROWTH RATINGS
0 = No growth (No colonies evident)
1 = Very scant (Approximately 1 to 10 colonies)
2 = Scant (Up to approximately 100 colonies)
3 = Slight (Approximately 100 to 300 colonies)
4 = Light (Approximately 300 to 400 colomies)
5 = Heavy (Too many colonies to count but insufficient to cover the total area of the sample streak)
6 = Dense (A blanket of growt evident. Difficult to distinguish individual colonies, Sometimes growth may extend beyond the edge of the streak)

** GROWTH RATINGS(observed growth on specimens)
0 = No growth.
1 = Trace of growth (<10%).
2 = Light growth (10~30%).
3 = Moderate growth (30~60%)
4 = Heavy growth (60% complete coverage)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성분 A;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성분 B를 포함하는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0

    [화학식 2]
    Figure pat00011

    [화학식 3]
    Figure pat00012

    [화학식 4]
    Figure pat00013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방균제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방균제 조성물 100 중량% 기준)으로 고형분을 5 ~ 30 중량% 포함하고,
    상기 고형분의 전체 중량 기준(고형분 100 중량% 기준)으로,
    상기 성분 A가 5 ~ 40 중량%, 상기 성분 B가 60 ~ 9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석고보드 제조에 사용되는 석고 슬러리 내에 50 ~ 5000 ppm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휘발성 유기성분과 할로겐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나트륨이온으로 수용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의 입자 크기는 20 ~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제는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또는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며,
    상기 커플링제는 상기 고형분 중량의 0.2 ~ 2% 중량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2-브로모-2-니트로-1,3-프로판디올, 1,2-디브로모-2,4-디시아노부탄, 2-아이도-2-프로파인일 부틸 카바메이트, n-옥틸-이소치아졸온-3-온, n-부틸-1,2-벤즈이소치아졸리논, 2,2-디브로모-2-니트로에탄올, 징크 디메틸 다이티오카바메이트, 비스-(디메틸치오카바모일)디설파이드, 징크 피리티온, 프로피카오나졸, 티아벤다졸, 다조메트, 2-벤즈이미다졸일 카바믹 애시드 메틸 에스터, O-페닐페놀, 상기 O-페닐페놀의 Li, K, Na 이온염, 벤질-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클로로옥틸이소치아졸리논 및 디요오도메틸-p-톨릴설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상기 고형분 조성물의 1 ~ 20중량%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
  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화합물은 모두 수분산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를 가지는 방균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4

    [화학식 2]
    Figure pat00015

    [화학식 3]
    Figure pat00016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은 수분산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를 가지는 방균제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pat00017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2-브로모-2-니트로-1,3-프로판디올, 1,2-디브로모-2,4-디시아노부탄, 2-아이도-2-프로파인일 부틸 카바메이트, n-옥틸-이소치아졸온-3-온, n-부틸-1,2-벤즈이소치아졸리논, 2,2-디브로모-2-니트로에탄올, 징크 디메틸 다이티오카바메이트, 비스-(디메틸치오카바모일)디설파이드, 징크 피리티온, 프로피카오나졸, 티아벤다졸, 다조메트, 2-벤즈이미다졸일 카바믹 애시드 메틸 에스터, O-페닐페놀, 상기 O-페닐페놀의 Li, K, Na 이온염, 벤질-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클로로옥틸이소치아졸리논 및 디요오도메틸-p-톨릴설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를 가지는 방균제 조성물.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방균제 조성물은 냉각탑의 미생물 제어, 항균력을 요구하는 수처리분야, 수성 슬러리, 수성에멜젼 도료, 라텍스용 수성접착제, 화장품용 첨가제, 섬유 제직용 낙호 방지제, 제지 슬라임 콘트롤제, 목재용 수성 방균제, 금속 가공유용 방균제 또는 항균섬유조제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균제 조성물.







KR1020150095062A 2014-07-11 2015-07-03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 KR101609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777 2014-07-11
KR20140087777 2014-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376A true KR20160007376A (ko) 2016-01-20
KR101609783B1 KR101609783B1 (ko) 2016-04-06

Family

ID=5530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062A KR101609783B1 (ko) 2014-07-11 2015-07-03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593B1 (ko) * 2022-08-31 2023-05-26 아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석고보드형 비유독 수용성 방균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349A (ko) 2022-10-17 2024-04-24 주식회사 케이씨씨 방균 석고 보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방균 석고 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735B1 (ko) 1997-04-17 2005-03-16 독터. 인제니어.하.체.에프.포르쉐악티엔게젤샤프트 루프래크용장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3752B2 (en) * 2002-06-28 2005-05-17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old-resistant gypsum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EP2213166B1 (de) * 2009-01-29 2012-03-21 THOR GmbH Biozidzusammensetzungen enthaltend 2-Methylisothiazolin-3-on und ein Haloalkylsulf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735B1 (ko) 1997-04-17 2005-03-16 독터. 인제니어.하.체.에프.포르쉐악티엔게젤샤프트 루프래크용장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593B1 (ko) * 2022-08-31 2023-05-26 아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석고보드형 비유독 수용성 방균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783B1 (ko)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9834B2 (ja) グリホサート化合物とzptとの相乗的組み合わせ
JP6266645B2 (ja) 乾燥フィルム保護用のレナシルおよびdcoitまたはoitの1つの相乗的組合せ物
JP5529831B2 (ja) グリホサート化合物とipbcとの相乗的組み合わせ
KR20120049321A (ko) 상승적 항균 조성물
JP2014122227A (ja) 相乗的抗微生物組成物
KR101609783B1 (ko) 석고보드용 수분산 방균제 조성물
JP2016502541A5 (ko)
JP5529832B2 (ja) Dcoitまたはoitまたはbbitの1種と、グリホサート化合物との相乗的組み合わせ
JP5511093B2 (ja) グリホサート化合物とtbzとの相乗的組み合わせ
JP2016502542A5 (ko)
KR20160052579A (ko) 건조 막 보호를 위한 레나실 화합물 및 플루로클로리돈의 상승작용성 조합물
AU2014240887B2 (en) Synergistic combination of a flurochloridone compound and zinc pyrithione for dry film protection
JP5529833B2 (ja) グリホサート化合物とdmitsとの相乗的組み合わせ
EP2953459A1 (en) Synergistic combination of a flurochloridone compound and ipbc for dry film protection
EP2950656B1 (en) Synergistic combination of a chlorotoluron compound and zinc pyrithione for dry film protection
KR20150138247A (ko) 건조막을 보호하기 위한 클로로톨루론과 옥틸이소티아졸리논 (oit)의 상승적 배합물
AU2014240890B2 (en) Synergistic combination of a flurochloridone compound and OIT for dry film protection
EP2953471B1 (en) Synergistic combination of chlorotoluron and iodopropynyl butylcarbamate (ipbc) for dry film protection
JP2016504298A (ja) 乾燥フィルム保護用のゾキサミドおよびdcoitまたはoitの1つの相乗的組合せ物
KR20220082834A (ko) 살진균제 혼합물
JP2016500366A (ja) 乾燥フィルム保護用のゾキサミド化合物およびジンクピリチオンの相乗的組合せ物
KR20150135364A (ko) 건조막을 보호하기 위한 클로로톨루론 화합물과 터부트린의 상승적 배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