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104A -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104A
KR20160007104A KR1020140087266A KR20140087266A KR20160007104A KR 20160007104 A KR20160007104 A KR 20160007104A KR 1020140087266 A KR1020140087266 A KR 1020140087266A KR 20140087266 A KR20140087266 A KR 20140087266A KR 20160007104 A KR20160007104 A KR 20160007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work
lesson
review
teacher
stu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396B1 (ko
Inventor
방일권
Original Assignee
방일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일권 filed Critical 방일권
Priority to KR1020140087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3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수업의 3대 영역인 복습, 레슨, 숙제 진행 및 관리를 수동으로 진행하던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언어수업 자동화 개념을 도입하여 궁극적으로는 수업시간에 참여한 학생의 언어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로그인 단계와, 사용자가 원하는 수업의 종류를 선택하는 수업 선택단계와, 상기 수업 선택단계에서 선택되어 실행되는 복습단계와, 상기 수업 선택단계에서 선택되어 실행되거나 상기 복습단계 이후 실행되는 레슨단계와, 상기 수업 선택단계에서 선택되어 실행되거나 상기 레슨단계 이후 실행되는 숙제단계와, 종료확인단계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집중력 강화 및 언어 숙달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방법이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방법{Language Class Operating System on the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수업의 3대 영역인 복습, 레슨, 숙제 진행 및 관리를 수동으로 진행하던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언어수업 자동화 개념을 도입하여 궁극적으로는 수업시간에 참여한 학생의 언어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 수업은 복습, 진도, 숙제 3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실제 교실 현장에서는 교사가 수업시간에 써야 할 에너지의 8,90%는 이 3가지를 관리하고 운영하는데 쓰인다. 각각의 영역으로 전환될 때 학생들을 집중시키고 전체 그룹 단위 또는 개별 학생 단위를 점검하는데 자동화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수업시간이 50분이라면, 이와 같은 수업진행에 필요한 부수적인 에너지 소모는 결국 학생들에게 집중분산 요인이 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한정적인 에너지를 쓸 수밖에 없는 교사는 결국 에너지가 고갈되어 학생들의 학습효과가 부진한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수업 시간에 통용되는 시스템 개발의 핵심은 자동화에 있다. 특히 영역별 전환 시 지체되는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야 수업의 탄력성과 역동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개발된 수업 운영 자동화 시스템은 언어 이외의 수업에도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시스템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언어 수업 특유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모처럼 개발된 시스템 가운데 대부분의 기능을 언어수업현장에서는 전혀 쓸 수 없는 기능이 되어 이를 사용하는 교사들은 다시 전통적인 수업 방식으로 복귀하려는 현상이 초래되고 있다. 특히, 자동화 시스템은 교재와 연관된 자료 즉, 소리/문자/영상 자료가 출력되어야될 뿐만 아니라, 학년별/반별/스킬별/월별/출력타입/출력방식/시간간격/정렬방식/교재 페이지 등과 같이 교재 즉, 인쇄물로는 구현될 수 없는 영상 및 소리 자료가 세분화되어 교재의 내용을 시스템으로 관련 자료를 출력할 정도로 정교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자동화 시스템 고유의 특성을 살린 교재의 보완 시스템으로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런 보완 시스템이 있다 하더라도 랩실처럼 개인별 활용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학생을 하나의 모니터나 시스템에 집중시키는 집단수업에 적합한 시스템은 아직도 그 기술 수준이 교실현장의 니즈(needs)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44827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교재와 연관된 언어 수업 운영을 자동 시스템화하고, 수업 중 영역간 전환을 지체 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수업 연계성 측면으로는 실제 언어 수업 시와 동일한 진행방식에 맞춰 수업을 3대 영역(예, 복습진행, 레슨진행, 숙제진행)으로 구분하되, 시스템의 흐름이 복습진행, 레슨진행, 숙제진행 순으로 자동 진행되도록 설계하고, 수업에 기본이 되는 교재 즉, 인쇄물에서는 구현될 수 없는 소리/영상 자료만을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현하고, 교재와의 연계성을 위해 교재 구성 순서와 일치하도록 교재 및 수업 관련 기초 정보(예, 학년/반/스킬/월/출력타입/출력방식/시간간격/정렬방식/교재 페이지 등)를 바코드와 같은 시리얼 넘버로 프로그램을 설정해두는 방식과, 신속한 영역 전환 측면으로는 교사가 관련된 정보를 찾아 수동으로 입력하는 시간 소모성 작업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 정보(예, 학년/반/스킬/월/출력타입/출력방식/시간간격/정렬방식/교재 페이지 등)를 수치화하여, 시리얼 넘버로 표기하되, 영역(복습진행/레슨진행/숙제진행 영역)별 진입시 기존 자료가 없을 때는 스캐너로 입력해서 이를 DB에서 검색 후 출력하고, 영역 전환 시 전환 이전 영역정보를 DB에 저장하거나 프린터 출력작업이 자동으로 실행되고, 각각의 영역은 실제 교실 현장의 수업시간(예, 50분 수업시간)을 고려하여, 일정한 분량(예, 매회 30개씩)의 학습자료(소리/문자/영상 자료)가 구현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으로 제어 값을 미리 설정해놓고, 영역 전환 시 수동으로 제어하지 않으면, 다음 영역으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는 방식과, 역할 구분 측면으로는 교사와 학생으로 역할을 양분화하고, 교사 1인이 다수의 학생에게 학습자료를 시연할 때는 교사용 모니터(또는 모바일 폰)에만 수업운영 제어창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참여자가 접속할 때 임의의 사람이 교사 역할을 선택하면, 나머지 접속자는 자동으로 학생 역할로 설정되어, 교사 역할의 PC(또는 모바일 폰)에만 수업운영 제어창이 출력되고 , 나머지 접속자의 PC(또는 모바일 폰)에는 학습용 창이 출력되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사용자가 바코드 또는 수동정보 입력을 통한 로그인 단계와,사용자가 원하는 수업의 종류를 선택하는 수업 선택단계와, 상기 수업 선택단계에서 선택되어 실행되는 복습단계와, 상기 수업 선택단계에서 선택되어 실행되거나 상기 복습단계 이후 실행되는 레슨단계와, 상기 수업 선택단계에서 선택되어 실행되거나 상기 레슨단계 이후 실행되는 숙제단계와, 종료확인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복습단계는 복습 진행 여부를 선택하는 복습 선택단계와, 복습바코드 출력단계와, 복습진도 자동검색 단계와, 복습자료 출력단계와, 복습 교사/학생 선택단계와, 복습 교사화면 출력단계와, 복습 학생화면 출력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복습바코드는 학년번호와, 반(Class) 번호와, 작동시간간격과, 정렬방식과, 시작번호와, 종료번호로 구성된 시리얼 넘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레슨단계는 레슨 선택단계와, 레슨바코드 출력단계와, 레슨진도 자동검색 단계와, 레슨자료 출력단계와, 레슨 교사/학생 선택단계와, 레슨 교사화면 출력단계와, 레슨 학생화면 출력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레슨바코드는 학년번호와, 반(Class) 번호와, 스킬번호와, 월(month) 번호와, 출력타입과, 정렬방식과, 시간간격으로 구성된 시리얼넘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숙제단계는 숙제 선택단계와, 숙제바코드 출력단계와, 숙제진도 자동검색 단계와, 숙제자료 출력단계와, 숙제 교사/학생 선택단계와, 숙제 교사화면 출력단계와, 숙제 학생화면 출력단계와, 숙제 승인단계와, 다음 진도 바코드 출력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숙제바코드는 숙제 학년번호와, 숙제 반(Class) 번호와, 숙제종류번호와, 숙제 등급(grade)번호와, 숙제 시작번호와, 숙제 끝번호로 구성된 시리얼 넘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복습 바코드와, 상기 레슨 바코드 및 숙제바코드는 QR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업현장의 교사에게는 순수하게 지식전달에 전념할 수 있게 하고, 수업 운영에 부수적으로 따르는 일련의 소모성 단순 작업을 최소화하여, 한정된 교사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집중 투입할 수 있도록 하고, 학생에게는 교사에게만 집중되지 않고, 학생들에게 보편화된 화면 또는 모바일 폰과 같은 미디어 활용으로 인해 수업의 단조로움 탈피가 가능해져 수업의 역동성과 몰입감을 향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수업영역별 전환 시 교사의 수동 작업으로 인한 시간 지체를 다수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수업 영역 간 전환, 이로 인한 시간지체, 수업의 맥의 단절, 학생들의 집중분산, 분산된 집중 회복을 위한 에너지 소모 등의 고질적인 악순환 고리에서 탈피하게 될 뿐만 아니라 언어 특유의 자동 반복 훈련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학생들의 집중력 강화 및 언어 숙달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발명인 인터넷을 통한 언어 교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인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시스템의 순서도.
도 3의 a,b,c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복습바코드와 레슨바코드 및 숙제바코드의 예시도.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언어수업 운영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바코드 또는 수동정보 입력을 통한 로그인 단계(S10);와, 사용자가 원하는 수업의 종류를 선택하는 수업 선택단계(S20);와, 상기 수업 선택단계(S20)에서 선택되어 실행되는 복습단계(S30);와, 상기 수업 선택단계(S20)에서 선택되어 실행되거나 상기 복습단계(S30) 이후 실행되는 레슨단계(S40);와, 상기 수업 선택단계(S20)에서 선택되어 실행되거나 상기 레슨단계(S40) 이후 실행되는 숙제단계(S50);와, 종료확인단계(S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 운영방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구성단계 및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시스템의 순서도로서, 수업운영을 원하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접속을 하면, 로그인 단계(S10)을 통하여 바코드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스캐너, 바코드판독기, 스마트폰, 블루투스 모바일 스캐너 등을 통하여 바코드를 인식시키거나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단계에 맞는 정보를 입력하면 수업선택 단계(S20)에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복습단계(S30), 레슨단계(S40), 숙제단계(S50)로 이동하게 되며, 선택하지 않을시 복습단계(S30)로 자동선택된다. 상기 로그인 단계(S10)에서 입력된 정보가 복습단계(S30)일 경우 복습 선택단계(S31)로 이동하게 되어 복습을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게 되고, 복습 진행을 원하지 않는 경우 복습바코드 출력단계(S32)로 이동하여 현재의 복습 진도 내역을 복습바코드(10)로 출력한다. 상기 복습바코드(10)는 복습학년번호(11), 복습 반(Class) 번호(12), 작동시간간격(13), 정렬방식(14), 시작번호(15), 종료번호(16)가 기재된 시리얼 넘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추후 상기 로그인 단계(S10)에서 상기 복습바코드(1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정보입력 할 필요 없이 로그인할 수 있다. 상기 복습바코드 출력단계(S32) 이후 종료 확인단계(S60)로 이동하여 학습을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복습 선택단계(S31)에서 복습 진행을 원하는 경우 복습진도 자동 검색단계(S33)로 이동하여 상기 로그인 단계(S10)에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복습진도를 자동으로 검색하게 되고, 복습자료 출력단계(S34)로 이동하여 진도에 맞는 복습자료가 문자, 영상, 소리 등으로 출력된다. 상기 복습자료 출력단계(S34) 진행 이후 복습 교사/학생 확인단계(S35)로 이동되어 상기 로그인 단계(S10)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교사인지 학생인지 확인하고, 교사인 경우 복습 교사화면 출력단계(S36)로 이동하여 교사 화면이 출력되고 학생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복습 교사/학생 확인단계(S35)에서 학생인 경우 복습 학생 화면 출력단계(S37)로 이동하여 복습 화면이 출력되어 복습을 할 수 있다. 동시접속자 중 상기 복습 교사/학생 확인단계(S35)에서 교사가 없는 경우 학생을 선택한 사용자가 본인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단계(S10)에서 입력된 정보가 레슨단계(S40)이거나 상기 복습단계(S30)를 종료한 경우 레슨 선택단계(S41)로 이동하게 되어 레슨을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게 되고, 레슨 진행을 원하지 않는 경우 레슨바코드 출력단계(S42)로 이동하여 현재의 레슨 진도 내역을 레슨바코드(20)로 출력한다. 상기 레슨바코드(20)는 9개의 시리얼넘버로 구성되어, 레슨 학년번호(21), 레슨 반(Class) 번호(22), 학생의 언어 스킬을 나타내는 스킬번호(23), 월(month) 번호(24), 소리/문자/영상등의 출력타입(25), 정렬방식(26), 시간간격(2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추후 상기 로그인 단계(S10)에서 상기 레슨바코드(2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정보입력 할 필요 없이 로그인할 수 있다. 상기 레슨바코드 출력단계(S42) 이후 종료 확인단계(S60)로 이동하여 학습을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레슨 선택단계(S41)에서 레슨 진행을 원하는 경우 레슨진도 자동 검색단계(S43)로 이동하여 상기 로그인 단계(S10) 입력된 정보 및 상기 복습단계(S30)의 정보를 바탕으로 레슨진도를 자동으로 검색하게 되고, 레슨자료 출력단계(S44)로 이동하여 진도에 맞는 레슨자료가 문자, 영상, 소리 등으로 출력된다. 상기 레슨자료 출력단계(S44) 진행 이후 레슨 교사/학생 확인단계(S45)로 이동되어 상기 로그인 단계(S10)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교사인지 학생인지 확인하고, 교사인 경우 레슨 교사화면 출력단계(S46)로 이동하여 교사 화면이 출력되고 학생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레슨 교사/학생 확인단계(S45)에서 학생인 경우 레슨 학생 화면 출력단계(S47)로 이동하여 레슨 화면이 출력되어 레슨을 할 수 있다. 동시접속자 중 상기 레슨 교사/학생 확인단계(S45)에서 교사가 없는 경우 학생이 본인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단계(S10)에서 입력된 정보가 숙제단계(S50)이거나 상기 레슨단계(S40)를 종료한 경우 숙제 선택단계(S51)로 이동하게 되어 숙제를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게 되고, 숙제 진행을 원하지 않는 경우 숙제바코드 출력단계(S52)로 이동하여 현재의 숙제 진도 내역을 숙제바코드(30)로 출력한다. 상기 숙제바코드(30)는 추후 상기 로그인 단계(S10)에서 상기 숙제바코드(3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정보입력 할 필요 없이 로그인할 수 있다. 상기 숙제바코드 출력단계(S52) 이후 종료 확인단계(S60)로 이동하여 학습을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숙제 선택단계(S51)에서 숙제 진행을 원하는 경우 숙제진도 자동 검색단계(S53)로 이동하여 상기 로그인 단계(S10)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숙제진도를 자동으로 검색하게 되고, 숙제자료 출력단계(S54)로 이동하여 개인의 진도에 맞는 숙제자료가 문자, 영상, 소리 등으로 출력된다. 상기 숙제자료 출력단계(S54) 진행 이후 숙제 교사/학생 확인단계(S55)로 이동되어 상기 로그인 단계(S10)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교사인지 학생인지 확인하고, 교사인 경우 숙제 교사화면 출력단계(S56)로 이동하여 교사 화면이 출력되고 학생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숙제 교사/학생 확인단계(S55)에서 학생인 경우 숙제 학생화면 출력단계(S57)로 이동하여 숙제 화면이 출력되어 숙제를 할 수 있다. 상기 숙제 학생화면 출력단계(S57)에서 숙제를 완료하면 숙제를 저장하게 되고, 숙제 승인단계(S58)로 이동하여 교사가 저장된 숙제를 검사하고 이상이 없을시 승인하게 되면, 다음 진도 숙제바코드 출력단계(S59)로 이동하게되어 상기 숙제자료 출력단계(S54)에서 출력된 자료 다음 진도의 바코드가 개인별로 출력되게 되고, 종료 확인단계(S60)로 이동하게 된다. 교사가 저장된 숙제를 검사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상기 숙제바코드 출력단계(S52)로 이동하여 현재 숙제의 개인별 진도내역을 바코드로 출력하게 되며 종료 확인단계(S6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종료 확인단계(S60)는 학습을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묻고 종료를 원하는 경우 모든 단계는 종료되며, 학습 종료를 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로그인 단계(S10)로 이동하여 실행되게 된다.
도 3의 a,b,c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복습바코드와 레슨바코드 및 숙제바코드의 예시도로서, 복습바코드(10)와, 레슨바코드(20) 및 복습바코드(30)의 구성요소를 알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로 인하여 바코드의 입력뿐 아니라 시리얼번호 입력만으로도 로그인을 할 수 있다.
상기 복습 바코드(10)와, 상기 레슨 바코드(20) 및 숙제바코드(30)는 QR코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수업운영을 자동 시스템화하고, 복습에서 수업진도로의 전환 등의 학습의 전환을 매끄럽게 하여 학생이 더욱 집중할 수 있고 학습진도 파악이 쉽게 되어 결과적으로 그룹수업은 물론, 개인수업시 학생들의 수업집중 분위기 조성 및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인쇄물로 구현될 수 없는 영상 및 소리 자료가 세분화되어 다양한 내용의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S10. 로그인 단계 S20. 수업 선택단계
S30. 복습단계 S31. 복습 선택단계
S32. 복습바코드 출력단계 S33. 복습진도 자동 검색단계
S34. 복습자료 출력단계 S35. 복습 교사/학생 확인단계
S36. 복습 교사화면 출력단계 S37. 복습 학생화면 출력단계
S40. 레슨단계 S41. 레슨 선택단계
S42. 레슨바코드 출력단계 S43. 레슨진도 자동 검색단계
S44. 레슨자료 출력단계 S45. 레슨 교사/학생 확인단계
S46. 레슨 교사화면 출력단계 S47. 레슨 학생화면 출력단계
S50. 숙제단계 S51. 숙제 선택단계
S52. 숙제바코드 출력단계 S53. 숙제진도 자동 검색단계
S54. 숙제자료 출력단계 S55. 숙제 교사/학생 확인단계
S56. 숙제 교사화면 출력단계 S57. 숙제 학생화면 출력단계
S58. 숙제 승인단계 S59. 다음 진도 숙제바코드 출력단계
S60. 종료 확인단계
10. 복습바코드 11. 복습 학년번호
12. 복습 반(Class) 번호 13. 작동 시간간격
14. 정렬방식 15. 시작번호
16. 종료번호 20. 레슨바코드
21. 레슨 학년번호 22. 레슨 반(Class)번호
23. 스킬번호 24. 월(month) 번호
25. 출력타입 26. 정렬방식
27. 시간간격 30. 숙제바코드
31. 숙제 학년번호 32. 숙제 반(Class)번호
33. 숙제 종류번호 34. 숙제 등급(grade)번호
35. 숙제 시작번호 36. 숙제 끝번호

Claims (7)

  1. 인터넷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언어수업 운영방법에 있어서,
    바코드 또는 수동정보 입력을 통한 로그인 단계(S10);와,
    수업의 종류를 선택하는 수업 선택단계(S20);와,
    상기 수업 선택단계(S20)에서 선택되어 실행되는 복습단계(S30);와,
    상기 수업 선택단계(S20)에서 선택되어 실행되거나 상기 복습단계(S30) 이후 실행되는 레슨단계(S40);와,
    상기 수업 선택단계(S20)에서 선택되어 실행되거나 상기 레슨단계(S40) 이후 실행되는 숙제단계(S50);와,
    종료확인단계(S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 운영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습단계(S30)는 복습 진행 여부를 선택하는 복습 선택단계(S31)와, 상기 복습 선택단계(S31)에서 복습 진행을 원하지 않는 경우 복습 진도를 복습바코드(10)로 출력하는 복습바코드 출력단계(S32)와, 상기 복습 선택단계(S31)에서 복습 진행을 원하는 경우 상기 로그인 단계(S10)를 통하여 복습진도를 자동으로 검색하는 복습진도 자동검색 단계(S33)와, 복습에 관련된 자료를 소리, 문자, 영상으로 출력하는 복습자료 출력단계(S34)와, 교사인지 학생인지 확인하는 복습 교사/학생 확인단계(S35)와, 상기 복습 교사/학생 확인단계(S35)에서 교사인 경우 교사 화면이 출력되고 복습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복습 교사화면 출력단계(S36)와, 상기 복습 교사/학생 확인단계(S35)에서 학생을 선택한 경우 복습 화면이 출력되고 복습을 할 수 있는 복습 학생화면 출력단계(S3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 운영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습바코드(10)는 복습 학년번호(11)와, 복습 반(Class)번호(12)와, 작동시간간격(13)과, 정렬방식(14)과, 시작번호(15)와, 종료번호(16)로 구성된 시리얼 넘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 운영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슨단계(S40)는 레슨 진행 여부를 선택하는 레슨 선택단계(S41)와, 상기 레슨 선택단계(S41)에서 레슨 진행을 원하지 않는 경우 레슨 진도를 레슨바코드(20)로 출력하는 레슨바코드 출력단계(S42)와, 상기 레슨 선택단계(S41)에서 레슨 진행을 원하는 경우 상기 로그인 단계(S10) 또는 상기 복습단계(S30) 통하여 레슨진도를 자동으로 검색하는 레슨진도 자동검색 단계(S43)와, 레슨에 관련된 자료를 소리, 문자, 영상으로 출력하는 레슨자료 출력단계(S44)와, 교사인지 학생인지 확인하는 레슨 교사/학생 확인단계(S45)와, 상기 레슨 교사/학생 확인단계(S45)에서 교사인 경우 교사 화면이 출력되고 레슨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레슨 교사화면 출력단계(S46)와, 상기 레슨 교사/학생 확인단계(S45)에서 학생인 경우 레슨 화면이 출력되고 레슨을 할 수 있는 레슨 학생화면 출력단계(S4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 운영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슨바코드(20)는 레슨 학년번호(21)와, 레슨 반(Class) 번호(22)와, 스킬번호(23)와, 월(month) 번호(24)와, 출력타입(25)과, 정렬방식(26)과, 시간간격(27)으로 구성된 시리얼 넘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 운영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제단계(S50)는 숙제 진행 여부를 선택하는 숙제 선택단계(S51)와, 상기 숙제 선택단계(S51)에서 숙제 진행을 원하지 않는 경우 숙제 진도를 숙제 바코드(30)로 출력하는 숙제바코드 출력단계(S52)와, 상기 숙제 선택단계(S51)에서 숙제 진행을 원하는 경우 상기 로그인 단계(S10) 또는 상기 레슨단계(S40)를 통하여 숙제진도를 자동으로 검색하는 숙제진도 자동검색 단계(S53)와, 숙제에 관련된 자료를 소리, 문자, 영상으로 출력하는 숙제자료 출력단계(S54)와, 교사인지 학생인지 확인하는 숙제 교사/학생 확인단계(S55)와, 상기 숙제 교사/학생 확인단계(S55)에서 교사인 경우 교사 화면이 출력되고 숙제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숙제 교사화면 출력단계(S56)와, 상기 숙제 교사/학생 확인단계(S55)에서 학생인 경우 숙제 화면이 출력되고 숙제를 할 수 있는 숙제 학생화면 출력단계(S57)와, 상기 숙제 학생화면 출력단계(S57)에서 숙제를 완료하면 교사를 선택한 사용자가 숙제를 승인하는 숙제 승인단계(S58)와, 숙제를 완료하면 다음 진도 바코드를 출력하는 다음 진도 숙제바코드 출력단계(S5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 운영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숙제바코드(30)는 숙제 학년번호(31)와, 숙제 반(Class) 번호(32)와, 숙제종류번호(33)와, 숙제 등급(grade)번호(34)와, 숙제 시작번호(35)와, 숙제 끝번호(36)로 구성된 시리얼 넘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 운영방법.
KR1020140087266A 2014-07-11 2014-07-11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방법 KR101626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266A KR101626396B1 (ko) 2014-07-11 2014-07-11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266A KR101626396B1 (ko) 2014-07-11 2014-07-11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104A true KR20160007104A (ko) 2016-01-20
KR101626396B1 KR101626396B1 (ko) 2016-06-01

Family

ID=5530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266A KR101626396B1 (ko) 2014-07-11 2014-07-11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3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827A (ko) 2001-03-29 2001-06-05 임범준 인터넷을 통한 언어 교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10104890A (ko) * 2000-05-16 2001-11-28 김기대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의 4단계 학습방법
KR20090003085A (ko) * 2007-01-02 2009-01-09 이건용 인터넷을 이용한 레슨 방식의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10062A (ko) * 2011-07-17 2013-01-25 (주)예지스정보기술 인식 코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학습 진행 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101409795B1 (ko) * 2013-03-19 2014-06-24 신종우 큐알코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890A (ko) * 2000-05-16 2001-11-28 김기대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의 4단계 학습방법
KR20010044827A (ko) 2001-03-29 2001-06-05 임범준 인터넷을 통한 언어 교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3085A (ko) * 2007-01-02 2009-01-09 이건용 인터넷을 이용한 레슨 방식의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10062A (ko) * 2011-07-17 2013-01-25 (주)예지스정보기술 인식 코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학습 진행 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101409795B1 (ko) * 2013-03-19 2014-06-24 신종우 큐알코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396B1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reira et al. Andragogy in the 21st century: Applying the assumptions of adult learning online
Räisänen et al. Assessment of learning outcomes in Finnish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Lam Enacting feedback utilization from a task-specific perspective
Huizinga Developing curriculum design expertise through teacher design teams
Ngo Sociopolitical contexts of EFL writing assessment in Vietnam: Impact of a national project
KR20170124085A (ko) 미세 oid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 및 그에 대응되는 전자문서 파일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축한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콘텐츠 마켓 서비스 시스템
Forsythe et al. The framework for analyzing video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FAVSTE)
KR101626396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수업운영 방법
Bishop et al. Using qualitative data to identify student learning barriers and alleviate instructor burnout in an online information literacy course
Brito Transformative leadership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s implementation: Leadership practices in instructional design for online learning
JP2002268529A (ja) 学習支援方法および装置と学習支援プログラム
Mesterjon et al. Analysis of Industrial Revolution 4.0 Technology-Bas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JP2021110773A (ja) 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Smith et al. What account of science shall we give? A case study of scientists teaching first-year university subjects
Davis Support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teaching science for equity and justice: A practical framework
Martinovic et al. Teacher knowledge in the era of change
JP2001084308A (ja) 受講者選定装置及び受講者選定方法
Eguia Collective knowledge and skills of planning and executing future-proof curriculum design of outcomes-based graduate education
Afrilyasanti et al. Multilingual interventions in feedback: communication strategy i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KR100557304B1 (ko) 온라인 교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Nehez et al. Teachers translating new knowledge about middle leading in a school and a preschool
Jefferies et al. Enhancing learning and teaching using electronic voting systems–The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an institutional approach for their introduction
Epure et al. Adapt2jobs-a solution for raising accountability and providing project sustainability
Pitsikalis et al. Apprenticeship in Greece: Focusing on E-Learning of a Blended Learning Approach for Training VET Teachers And Trainers
Johnson " What I'm going to need you to do is…" Analyzing Teacher Talk to Improve Communication Clar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