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303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303A
KR20160006303A KR1020140085069A KR20140085069A KR20160006303A KR 20160006303 A KR20160006303 A KR 20160006303A KR 1020140085069 A KR1020140085069 A KR 1020140085069A KR 20140085069 A KR20140085069 A KR 20140085069A KR 20160006303 A KR20160006303 A KR 20160006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ssenger
seat
air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765B1 (ko
Inventor
박대근
백승호
이남준
이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5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76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6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19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left and right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액츄에이터 없이도 후석부분의 냉,난방을 제어하는 후석 도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이러한 부품수의 절감을 통해 원가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석측에 냉,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운전석 공기유로와, 조수석측에 냉,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조수석 공기유로와, 후석측에 냉,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후석 공기유로 및, 각 좌석별 공기유로에 설치되는 도어들을 포함하는 개별식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운전석 공기유로의 도어들과 상기 조수석 공기유로의 도어들 중 어느 하나를 후석 공기유로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후석 도어와 연동시켜, 후석측으로 공급되는 냉,온풍의 풍량을 운전석측 또는 조수석측으로 공급되는 냉,온풍의 풍량과 연동하여 제어하는 연동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츄에이터 없이도 후석부분의 냉,난방을 제어하는 후석 도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이러한 부품수의 절감을 통해 원가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차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공조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시켜 연비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차실내의 각 좌석마다 개별적으로 냉, 난방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공조장치로서, 개별식 공조장치가 있다.
개별식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로를 각 좌석별로 나눈 다음, 예를 들어, 운전석 공기유로(12)와 조수석 공기유로(14)와 후석 공기유로(16)로 각각 나눈 다음, 각 좌석별 공기유로(12, 14, 16) 상에 도어(20, 22, 24)들을 설치하는 것으로, 개별공조모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각 좌석별로 사람의 탑승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각 좌석별 사람의 탑승여부가 감지되면, 이에 맞춰 각 공기유로(12, 14, 16)의 도어(20, 22, 24)들을 제어한다. 이때, 사람이 탑승한 좌석측 공기유로는 개방하고,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좌석측 공기유로는 닫아주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후석부분에 사람이 탑승한 것으로 감지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된 후석 공기유로(16)의 후석 도어(24)를 제어한다.
그러면, 후석 공기유로(16)가 개방되면서 공조케이스(10)의 냉,온풍이 상기 공조케이스(10)로부터 인출되고, 인출된 냉,온풍은 콘솔덕트(Console Duct)(16a)를 통해 콘솔박스(Console Box)(16b)로 이송되며, 콘솔박스(16b)로 이송된 냉,온풍은, 콘솔박스(16b)의 형성된 토출벤트(16c)를 통해 차실내의 후석(A)부분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차실내의 후석(A)부분이 개별적으로 냉,난방된다. 이로써, 사람이 탑승한 후석(A)부분이 냉,난방된다. 그 결과, 공조장치의 냉,난방 부하를 줄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개별식 공조장치는, 후석 도어(24)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액츄에이터(24a)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제조원가가 증가된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제조원가의 절감을 위한 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위에서와 같이, 액츄에이터(24a)를 이용하여 후석 도어(24)를 제어하는 기술로는, 원가절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없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액츄에이터 없이도 후석 도어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츄에이터 없이도 후석 도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써,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운전석측에 냉,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운전석 공기유로와, 조수석측에 냉,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조수석 공기유로와, 후석측에 냉,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후석 공기유로 및, 상기 각 좌석별 공기유로에 설치되는 도어들을 포함하는 개별식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공기유로의 도어들과 상기 조수석 공기유로의 도어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후석 공기유로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후석 도어와 연동시켜, 상기 후석측으로 공급되는 냉,온풍의 풍량을 상기 운전석측 또는 조수석측으로 공급되는 냉,온풍의 풍량과 연동하여 제어하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전석 공기유로의 도어들은, 운전석 도어 캠(Cam)과 연결되어, 상기 운전석 도어 캠의 회전위치에 따라 특정모드로 회전되면서 상기 운전석측으로 공급되는 냉,온풍의 토출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조수석 공기유로의 도어들은, 조수석 도어 캠(Cam)과 연결되어, 상기 조수석 도어 캠의 회전위치에 따라 특정모드로 회전되면서 상기 조수석측으로 공급되는 냉,온풍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며;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조수석 도어 캠과 운전석 도어 캠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후석 도어를 연동시켜 상기 후석측으로 공급되는 냉,온풍의 풍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동수단은, 슬롯을 가지며, 상기 조수석 도어 캠과 연동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조수석 도어 캠과 연결되는 상기 조수석 공기유로의 도어들 중 특정 도어의 회전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후석 도어 캠과; 상기 후석 도어 캠의 회전 시에, 상기 후석 도어 캠의 슬롯을 따라 운동하면서 상기 후석 공기유로에 대한 후석 도어의 개도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후석 도어의 회전축에 일체로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후석 도어 캠의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수석 도어 캠은,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조수석 공기유로의 도어들을, 냉,온풍을 탑승객의 얼굴방향으로 토출하는 벤트 모드(Vent Mode), 냉,온풍을 창유리 방향으로 토출하는 디프 모드(Def. Mode), 냉,온풍을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플로어 모드(Floor Mode), 냉,온풍을 차실내의 바닥면과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하는 바이 레벨 모드(Bi-Level Mode), 냉,온풍을 창유리와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믹스 모드(Mix Mode), 냉,온풍을 모두 차단하는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제어하며; 상기 후석 도어 캠의 슬롯과 상기 아암은, 상기 조수석 도어 캠과 연동하여 상기 후석 도어를 제어하되, 상기 조수석 도어 캠이, 상기 조수석 공기유로의 도어들을 바이 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로 제어하는 위치로 회전될 시에는, 상기 후석 도어가 상기 후석 공기유로를 개방하여 후석의 냉,난방을 허용할 수 있게 제어하고, 상기 조수석 도어 캠이, 상기 조수석 공기유로의 도어들을 클로즈 모드, 디프 모드로 제어하는 위치로 회전될 시에는, 상기 후석 도어가 상기 후석 공기유로를 닫아서 후석의 냉,난방을 제한할 수 있게 제어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조수석 공기유로의 도어들 중 플로어 도어(Floor Door)와 상기 후석 도어를 연동시켜, 상기 플로어 도어가 닫히면, 상기 후석 도어도 동시에 닫히고, 상기 플로어 도어가 열리면, 상기 후석 도어도 동시에 열리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후석부분의 냉,난방을 제어하는 후석 도어를, 조수석 도어 캠과 연동시켜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액츄에이터 없이도 후석 도어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없이도 후석 도어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써,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운전석과 조수석과 후석부분을 개별적으로 냉,난방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후석부분에 냉,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후석 공기유로와, 이를 개폐하기 위한 후석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조수석 도어 캠과, 후석 공기유로에 설치된 후석 도어와, 상기 후석 도어와 조수석 도어 캠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을 나타내며, 상기 연동수단이, 후석 도어의 개도위치를 제어하여 후석 공기유로를 개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연동수단이, 후석 도어의 개도위치를 제어하여 후석 공기유로를 닫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개별식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개별식 공조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로를 운전석 공기유로(12)와 조수석 공기유로(14)와 후석 공기유로(16)로 각각 나눈 다음, 각 좌석별 공기유로(12, 14, 16)에 도어(20, 22, 24)들을 설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개별식 공조장치는, 개별공조모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각 좌석별로 사람의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각 좌석별 사람의 탑승여부가 감지되면, 이에 맞춰 각 공기유로(12, 14, 16)의 도어(20, 22, 24)들을 제어한다. 이때, 사람이 탑승한 좌석측 공기유로는 개방하고,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좌석측 공기유로는 닫아주도록 각 공기유로(12, 14, 16)의 도어(20, 22, 24)들을 제어한다.
여기서, 조수석 공기유로(14)의 도어(22)들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프 도어(22a)와 페이스 도어(22b)와 플로어 도어(22c)들을 포함하는데, 이들 도어(22a, 22b, 22c)들은, 공조케이스(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조수석 도어 캠(Cam)(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이렇게 연결된 도어(22a, 22b, 22c)들은, 조수석 도어 캠(30)의 "회전위치"에 따라 서로 유기적으로 회전되면서 "특정모드"로 제어된다.
예를 들면, 벤트 모드(Vent Mode), 디프 모드(Def. Mode), 플로어 모드(Floor Mode), 바이 레벨 모드(Bi-Level Mode), 믹스 모드(Mix Mode),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제어된다.
참고로, "벤트 모드"는, 공조케이스(10)의 냉,온풍을 탑승객의 얼굴방향으로 토출하는 모드이고, "디프 모드"는, 냉,온풍을 창유리 방향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며, "플로어 모드"는, 냉,온풍을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바이 레벨 모드"는, 냉,온풍을 차실내의 바닥면과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하는 모드이고, "믹스 모드"는 냉,온풍을 창유리와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며, "클로즈 모드"는, 냉,온풍을 모두 차단하는 모드이다.
통상적으로, 조수석 공기유로(14)의 도어(22a, 22b, 22c)들은, 조수석에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될 경우, 조수석 도어 캠(30)에 의해 "클로즈 모드"로 제어되며, 이렇게 제어되는 조수석 공기유로(14)의 도어(22a, 22b, 22c)들은, 조수석측으로의 각 유로(도시하지 않음)을 닫아서 조수석측으로 공급되는 냉,온풍을 완전히 차단한다. 따라서, 조수석의 냉,난방을 제한한다.
한편, 조수석 도어 캠(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슬롯(32)들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이들 각 슬롯(32)들은, 각 도어(22a, 22b, 22c)의 회전축(22a-1, 22b-1, 22c-1)에 설치된 아암(26)의 연결핀(26a)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수석 도어 캠(30)은, 특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30a)가 작동되면, 상기 액츄에이터(30a)에 의해 정,역회전운동하면서 각 도어(22a, 22b, 22c)들의 개도각을 유기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각 도어(22a, 22b, 22c)들을 "특정모드"로 제어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후석 공기유로(16)의 후석 도어(24)와, 조수석 도어 캠(30)을 서로 연동시키는 연동수단(40)을 구비한다.
연동수단(40)은, 조수석 도어 캠(30)과 연결되는 다수의 도어(22a, 22b, 22c) 중, 특정한 도어(22c), 예를 들어, 플로어 도어(22c)의 회전축(22c-1)에 설치되는 후석 도어 캠(42)과, 후석 도어 캠(42)과 연결되도록 후석 도어(24)에 설치되는 아암(44)을 포함한다.
후석 도어 캠(42)은, 플로어 도어(22c)의 회전축(22c-1)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플로어 도어(22c)와 함께 일체로 회전운동한다.
이러한 후석 도어 캠(42)은, 플로어 도어(22c)와 함께 일체로 회전운동함에 따라, 상기 플로어 도어(22c)에 전달된 조수석 도어 캠(30)의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받는다. 특히, 플로어 도어(22c)를 "특정모드"로 제어한 조수석 도어 캠(30)의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받는다.
따라서, 플로어 도어(22c)가, 조수석 도어 캠(30)에 의해 "특정모드"로 제어되면, 후석 도어 캠(42)도, 이와 연동되면서 "특정모드" 위치에 맞춰서 제어된다. 예를 들어, 플로어 도어(22c)가, 조수석 도어 캠(30)에 의해 "벤트 모드", "바이 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디프 모드", "클로즈 모드" 위치로 제어되면, 후석 도어 캠(42)도, 이와 연동되면서 "벤트 모드", "바이 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디프 모드", "클로즈 모드" 위치로 제어된다.
한편, 후석 도어 캠(42)은, 슬롯(42a)을 구비하고 있다. 슬롯(42a)은, 후석 도어 캠(42)의 회전중심축(C)으로부터 다른 거리를 가지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굴곡(屈曲)지게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슬롯(42a)에는, 후석 도어(24)의 아암(44)이 연결된다.
아암(44)은, 후석 도어(24)의 회전축(24a)에 일체로 조립되며, 그 단부에는 후석 도어 캠(42)의 슬롯(42a)에 끼워지는 연결핀(44a)을 구비한다.
이러한 아암(44)은, 후석 도어 캠(42)의 회전 시에, 상기 후석 도어 캠(42)의 슬롯(42a)을 따라 캠운동하면서 회전한다. 특히, 후석 도어 캠(42)이 조수석 도어 캠(30)과 연동되면서 "특정모드" 위치로 회전될 시에, "특정모드" 위치로 이동한 슬롯(42a)의 굴곡 형상에 맞춰서 "특정위치"로 회전운동한다.
따라서, 아암(44)과 연결된 후석 도어(24)도, 조수석 도어 캠(30)과 연동되면서 "특정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후석 공기유로(16)에 대한 후석 도어(24)의 개도위치를 조절한다.
그 결과, 후석 공기유로(16)의 후석 도어(24)가, 조수석 도어(22a, 22b, 22c)들과 연동되면서 후석 공기유로(16)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후석 도어(24)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액츄에이터 없이도 "후석부분"에 공급되는 냉,온풍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후석 도어 캠(42)의 슬롯(42a)은, 그 굴곡 모양에 따라 아암(44)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데, 이때, 후석 도어 캠(42)의 "회전위치"별로 상기 아암(44)을 2개의 위치(X, Y)로 캠운동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즉, 후석 도어 캠(42)의 슬롯(42a)은, 상기 후석 도어 캠(42)이, 조수석 도어 캠(30)과 연동되면서 "바이 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위치로 회전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44)을 제 1위치(X)로 캠운동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후석 도어 캠(42)이, 조수석 도어 캠(30)과 연동되면서 "클로즈 모드", "디프 모드" 위치로 회전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44)을 제 2위치(Y)로 캠운동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아암(44)의 제 1위치(X)는, 아암(44)과 연결된 후석 도어(24)가, 후석 공기유로(16)를 개방하는 위치이고, 아암(44)의 제 2위치(Y)는, 아암(44)과 연결된 후석 도어(24)가, 후석 공기유로(16)를 닫아서 폐쇄하는 위치이다.
결론적으로, 후석 도어 캠(42)의 슬롯(42a)은, 조수석 도어 캠(30)이 조수석측 도어(22a, 22b, 22c)들을 "바이 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로 제어할 시에는, 후석 도어(24)를 연동시켜 후석 공기유로(16)를 개방한다. 따라서, 후석부분의 냉,난방이, 조수석측의 냉,난방과 연동하여 제어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후석 도어 캠(42)의 슬롯(42a)은, 조수석 도어 캠(30)이 조수석측 도어(22a, 22b, 22c)들을 "클로즈 모드", "디프 모드"로 제어할 시에는, 후석 도어(24)를 연동시켜 후석 공기유로(16)를 닫아서 폐쇄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후석부분의 냉,난방 여부가, 조수석측의 냉,난방 "모드 상태"에 따라 제어될 있게 한다.
여기서, 조수석측 도어(22a, 22b, 22c)들을 "클로즈 모드"로 제어할 시에, 후석 공기유로(16)를 차단하여 후석부분의 냉,난방도 중지시키는 이유는, 조수석측 도어(22a, 22b, 22c)들을 "클로즈 모드"로 제어하여 조수석측 냉,난방을 중지한다는 것은, 조수석에 탑승객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조수석에 탑승객이 없으면, 대부분의 경우, 후석부분(A)에도 탑승객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수석측 도어(22a, 22b, 22c)들을 "클로즈 모드"로 제어할 시에는, 후석부분에 탑승객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후석 공기유로(16)를 차단하여 후석부분의 냉,난방도 중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조수석측 도어(22a, 22b, 22c)들을 "디프 모드"로 제어할 시에, 후석 공기유로(16)를 차단하여 후석부분의 냉,난방을 중지시키는 이유는, 조수석측 도어(22a, 22b, 22c)들을 "디프 모드"로 제어한다는 것은, 전면 창유리에 김서림이 발생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전면 창유리에 김서림이 발생되면,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므로, 후석부분의 냉,난방을 중지시킴으로써, 후석부분으로 공급되던 공기를 창유리로 집중시켜 창유리의 김서림을 신속하게 제거 처리하기 위함이다.
한편, 후석 도어 캠(42)의 슬롯(42a)은, 조수석 도어 캠(30)이 조수석측 도어(22a, 22b, 22c)들을 "벤트 모드"로 제어할 시에도, 후석 도어(24)를 연동시켜 후석 공기유로(16)를 닫아서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조수석측 도어(22a, 22b, 22c)들이 "벤트 모드"로 제어된 상태에서는, 후석 도어(24)가 후석 공기유로(16)를 닫더라도, 공조케이스(10)의 내부구조[후석 공기유로(16)의 상단부분이 페이스 벤트(도시하지 않음)와 연통됨]에 의해 후석 공기유로(16)에 냉,온풍이 공급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조수석측 도어(22a, 22b, 22c)들이 "벤트 모드"로 제어된 상태에서는, 후석 도어(24)가 후석 공기유로(16)를 닫더라도, 후석부분(A)에는 냉,온풍이 공급되면서 냉,난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에 의하면, 후석부분의 냉,난방을 제어하는 후석 도어(24)를, 조수석 도어 캠(30)과 연동시켜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액츄에이터 없이도 후석 도어(2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없이도 후석 도어(24)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써,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는, 후석 도어(24)를 조수석 도어 캠(30)과 연동시켜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후석 도어(24)를 운전석 도어 캠(50)(도 3참조)과 연동시켜 제어할 수도 있다. 이로써, 후석 도어(24)가 운전석 도어 캠(50)의 액츄에이터(50a)에 의해 구동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연동수단(40)은, 운전석 도어 캠(50)과 후석 도어(24)를 작동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후석 도어(24)는, 조수석 도어 캠(30)과 운전석 도어 캠(50) 중, 조수석 도어 캠(30)과 연동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후석부분(A)의 탑승객 탑승여부는, 운전석부분보다 조수석부분과 보다 더 관련성이 있기 때문이다.
즉, 조수석부분에 탑승객이 없으면, 대부분의 경우, 후석부분(A)에도 탑승객이 없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로써, 후석부분(A)은 운전석부분에 비해 조수석부분과 상대적으로 높은 관련성있다.
따라서, 후석 도어(24)를 조수석 도어 캠(30)과 연동시킴으로써, 후석부분(A)과 조수석부분을 서로 연동하여 냉,난방하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냉,난방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에너지 소모와, 불필요한 부품의 소비없이도 차실내의 냉,난방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10: 공조케이스 12: 운전석 공기유로
14: 조수석 공기유로 16: 후석 공기유로
20: 운전석측 도어 22: 조수석측 도어
22a: 디프 도어(Def. Door) 22b: 페이스 도어(Face Door)
22c: 플로어 도어(Floor Door) 24: 후석 도어(Door)
26: 아암(Arm) 26a: 연결핀(Pin)
30: 조수석 도어 캠(Cam) 32: 슬롯(Slot)
40: 연동수단 42: 후석 도어 캠(Cam)
42a: 슬롯(Slot) 44: 아암(Arm)
44a: 연결핀(Pin) 50: 운전석 도어 캠(Cam)

Claims (5)

  1. 운전석측에 냉,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운전석 공기유로(12)와, 조수석측에 냉,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조수석 공기유로(14)와, 후석측에 냉,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후석 공기유로(16) 및, 상기 각 좌석별 공기유로(12, 14, 16)에 설치되는 도어(20, 22, 24)들을 포함하는 개별식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공기유로(12)의 도어(20)들과 상기 조수석 공기유로(14)의 도어(22)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후석 공기유로(16)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후석 도어(24)와 연동시켜, 상기 후석측으로 공급되는 냉,온풍의 풍량을 상기 운전석측 또는 조수석측으로 공급되는 냉,온풍의 풍량과 연동하여 제어하는 연동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공기유로(12)의 도어(20)들은, 운전석 도어 캠(Cam)(50)과 연결되어, 상기 운전석 도어 캠(50)의 회전위치에 따라 특정모드로 회전되면서 상기 운전석측으로 공급되는 냉,온풍의 토출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조수석 공기유로(14)의 도어(22)들은, 조수석 도어 캠(Cam)(30)과 연결되어, 상기 조수석 도어 캠(30)의 회전위치에 따라 특정모드로 회전되면서 상기 조수석측으로 공급되는 냉,온풍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며;
    상기 연동수단(40)은,
    상기 조수석 도어 캠(30)과 운전석 도어 캠(50)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후석 도어(24)를 연동시켜 상기 후석측으로 공급되는 냉,온풍의 풍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40)은,
    슬롯(42a)을 가지며, 상기 조수석 도어 캠(30)과 연동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조수석 도어 캠(30)과 연결되는 상기 조수석 공기유로(14)의 도어(22a, 22b, 22c)들 중 특정 도어(22c)의 회전축(22c-1)에 일체로 설치되는 후석 도어 캠(42)과;
    상기 후석 도어 캠(42)의 회전 시에, 상기 후석 도어 캠(42)의 슬롯(42a)을 따라 운동하면서 상기 후석 공기유로(16)에 대한 후석 도어(24)의 개도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후석 도어(24)의 회전축(24a)에 일체로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후석 도어 캠(42)의 슬롯(4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아암(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수석 도어 캠(30)은,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조수석 공기유로(14)의 도어(22a, 22b, 22c)들을, 냉,온풍을 탑승객의 얼굴방향으로 토출하는 벤트 모드(Vent Mode), 냉,온풍을 창유리 방향으로 토출하는 디프 모드(Def. Mode), 냉,온풍을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플로어 모드(Floor Mode), 냉,온풍을 차실내의 바닥면과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하는 바이 레벨 모드(Bi-Level Mode), 냉,온풍을 창유리와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믹스 모드(Mix Mode), 냉,온풍을 모두 차단하는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제어하며;
    상기 후석 도어 캠(42)의 슬롯(42a)과 상기 아암(44)은,
    상기 조수석 도어 캠(30)과 연동하여 상기 후석 도어(24)를 제어하되, 상기 조수석 도어 캠(30)이, 상기 조수석 공기유로(14)의 도어(22a, 22b, 22c)들을 바이 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로 제어하는 위치로 회전될 시에는, 상기 후석 도어(24)가 상기 후석 공기유로(16)를 개방하여 후석의 냉,난방을 허용할 수 있게 제어하고,
    상기 조수석 도어 캠(30)이, 상기 조수석 공기유로(14)의 도어(22a, 22b, 22c)들을 클로즈 모드, 디프 모드로 제어하는 위치로 회전될 시에는, 상기 후석 도어(24)가 상기 후석 공기유로(16)를 닫아서 후석의 냉,난방을 제한할 수 있게 제어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40)은,
    상기 조수석 공기유로(14)의 도어(22a, 22b, 22c)들 중 플로어 도어(Floor Door)(22c)와 상기 후석 도어(24)를 연동시켜, 상기 플로어 도어(22c)가 닫히면, 상기 후석 도어(24)도 동시에 닫히고, 상기 플로어 도어(22c)가 열리면, 상기 후석 도어(24)도 동시에 열리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40085069A 2014-07-08 2014-07-08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40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069A KR102040765B1 (ko) 2014-07-08 2014-07-08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069A KR102040765B1 (ko) 2014-07-08 2014-07-08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303A true KR20160006303A (ko) 2016-01-19
KR102040765B1 KR102040765B1 (ko) 2019-11-06

Family

ID=5530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069A KR102040765B1 (ko) 2014-07-08 2014-07-08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7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784A (ko) *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의 독립 공조 장치
US10272735B2 (en) 2016-05-10 2019-04-30 Hyundai Motor Company Individual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51539A (ko) * 2017-04-04 2020-05-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내접 기어 링키지를 포함하는 공기 처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8639A (ja) * 1998-10-08 2000-04-18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ドア駆動機構
KR20120138927A (ko) * 2011-06-16 2012-12-2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8639A (ja) * 1998-10-08 2000-04-18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ドア駆動機構
KR20120138927A (ko) * 2011-06-16 2012-12-2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2735B2 (en) 2016-05-10 2019-04-30 Hyundai Motor Company Individual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51539A (ko) * 2017-04-04 2020-05-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내접 기어 링키지를 포함하는 공기 처리 시스템
KR20190033784A (ko) *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의 독립 공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765B1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7654B (zh) 车用空调
KR1014034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790703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53152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180141404A1 (en) Rear Seat Air Regulating Device for HVAC Module
CN110678338B (zh) 车用空调
KR2016000630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86258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EP2500192A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75872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104781A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1034214B2 (en) Integrated display and ventilation assembly
KR2014008910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2097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658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94041B1 (ko) 개별공조를 위한 후석 통합도어를 갖는 차량공조장치
JP4364581B2 (ja) 乗用車の空気案内構造
JP2008183959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501291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2368162A (zh) 要被安装在机动车辆门上的壳体以及包括这种壳体的门
KR201200191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5029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144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1949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75366B1 (ko) 차량의 독립 공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