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901A -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901A
KR20160005901A KR1020140084959A KR20140084959A KR20160005901A KR 20160005901 A KR20160005901 A KR 20160005901A KR 1020140084959 A KR1020140084959 A KR 1020140084959A KR 20140084959 A KR20140084959 A KR 20140084959A KR 20160005901 A KR20160005901 A KR 20160005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means
faucet
function
supplying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예림
Original Assignee
도예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예림 filed Critical 도예림
Priority to KR102014008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5901A/ko
Publication of KR20160005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물 공급 배관이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좌, 우, 상, 하방 변위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세정수단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수단 공급부는, 소정의 세정수단이 수용되는 세정수단 수용부분; 상기 세정수단 수용부분의 상부에 결합되며, 가압에 의해 세정수단 수용부분에 수용된 세정수단을 펌핑하는 세정수단 펌핑부분; 및 상기 세정수단 펌핑부분으로부터 펌핑된 세정수단이 이송 및 토출되는 세정수단 토출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세면대 주변 잔여물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누 및 세제통 등의 세정수단 공급을 담당하는 구성의 공간을 없앰으로써 세면대 공간이 확장됨과 동시에 세정수단 사용의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Faucet with Function of Supply the Washing Agent}
본 발명은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는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 또는 하나만 선택하여 필요한 온도의 물을 필요한 양만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즉,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보일러를 통한 온수 포함)의 양을 조절하는 한편, 냉/온수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수온을 조절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개폐조절기구이다.
여기서, 상기 수도꼭지는 주방의 싱크대 상부에 설치되거나, 욕실(목욕탕 포함)에 설치되어 필요한 경우에 조작하여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15224호(2011.02.15. 공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수도꼭지는 수돗물을 토출하는 기본적인 역할만을 수행하였으며, 비누, 세척제 등과 같은 세정수단은 수도꼭지가 설치된 세면대 상에 독립적으로 배치되거나 세정수단을 토출하는 토출기를 세면대 상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세정수단의 독립 배치 또는 세면대 상의 일체 설치 방식은 세면대 상에 떨어지는 비눗물에 의한 오염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도꼭지 내부에 세정수단을 공급하는 구성을 부가하여 비눗물이 세면대 상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물 공급 배관이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좌, 우, 상, 하방 변위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세정수단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수단 공급부는, 소정의 세정수단이 수용되는 세정수단 수용부분; 상기 세정수단 수용부분의 상부에 결합되며, 가압에 의해 세정수단 수용부분에 수용된 세정수단을 펌핑하는 세정수단 펌핑부분; 및 상기 세정수단 펌핑부분으로부터 펌핑된 세정수단이 이송 및 토출되는 세정수단 토출부분; 을 포함하는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정수단 토출부분은 상기 물 공급 배관을 따라 배치되어 토출구까지 연장되되, 물 공급 배관과는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는, 상기 손잡이부가 들어 올려지는 상방변위에 의해 물 공급이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가 눌러 내려지는 하방변위에 의해 세정수단 공급부에 의한 세정수단 토출이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가 중단에 위치될 경우, 물 공급 및 세정수단 토출이 차단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세정수단 펌핑부분은 상기 몸체부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몸체부와 손잡이부의 결합부분 전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하방변위에 의해 가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수단 토출부분은 세정수단이 이송되기 위한 고무 재질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 배치되는 금속 재질의 세정수단 토출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와 손잡이부의 결합부분에는 손잡이부의 상방변위, 하방변위 및 중단의 위치를 소정의 외력 작용으로부터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세면대 주변 잔여물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누 및 세제통 등의 세정수단 공급을 담당하는 구성의 공간을 없앰으로써 세면대 공간이 확장됨과 동시에 세정수단 사용의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의 정면도이며,
도 3 (a), (b), (c) 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의 손잡이부의 하방변위, 중단, 상방변위에 대한 각각의 위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의 정면도이며, 도 3 (a), (b), (c) 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의 손잡이부의 하방변위, 중단, 상방변위에 대한 각각의 위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100)는, 내부에 물 공급 배관(미도시)이 마련된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좌, 우, 상, 하방 변위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손잡이부(20); 및 상기 본체부(10) 내부에 배치되는 세정수단 공급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수단 공급부(30)는, 소정의 세정수단이 수용되는 세정수단 수용부분(32); 상기 세정수단 수용부분(32)의 상부에 결합되며, 가압에 의해 세정수단 수용부분(32)에 수용된 세정수단을 펌핑하는 세정수단 펌핑부분(34); 및 상기 세정수단 펌핑부분(34)으로부터 펌핑된 세정수단이 이송 및 토출되는 세정수단 토출부분(36);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100)는, 손잡이부(20)의 좌, 우, 상, 하방 변위를 통해 물 공급 여부가 결정되는 수도꼭지의 기본적 구성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디스크식 수도꼭지 또는 카트리지식 수도꼭지 또는 볼식 수도꼭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적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는 물 공급 배관 및 입수구가 구비되는 몸체와 몸체 상부에 결합되며, 온수, 냉수 및 이들의 공급여부를 손잡이부(20)의 변위상태에 따라 결정하는 볼, 카트리지, 실린더, 밸브 등의 구성을 덮는 보닛(미도시)의 구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구성 외에 세정수단 공급부(30)가 본체부(10) 내부에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좌, 우, 상, 하방 변위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손잡이부(20)의 변위에 따라 물 공급(온/ 냉수 공급 포함), 세정수단 공급, 공급 차단 등의 역할을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세정수단 공급부(30)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으로 본체부(1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부(20)의 변위 동작에 따라 수용된 세정수단을 본체부(10)의 토출구 일측을 통해 토출시키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세정수단 공급부(30)는, 소정의 세정수단이 수용되는 세정수단 수용부분(32); 상기 세정수단 수용부분(32)의 상부에 결합되며, 가압에 의해 세정수단 수용부분(32)에 수용된 세정수단을 펌핑하는 세정수단 펌핑부분(34); 및 상기 세정수단 펌핑부분(34)으로부터 펌핑된 세정수단이 이송 및 토출되는 세정수단 토출부분(36); 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정수단 토출부분(36)은 상기 물 공급 배관을 따라 배치되어 토출구까지 연장되되, 물 공급 배관과는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100)는, 상기 손잡이부(20)가 들어 올려지는 상방변위에 의해 물 공급이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20)가 눌러 내려지는 하방변위에 의해 세정수단 공급부(30)에 의한 세정수단 토출이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20)가 중단에 위치될 경우, 물 공급 및 세정수단 토출이 차단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세정수단 펌핑부분(34)은 도 1 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10)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몸체부(10)와 손잡이부(20)의 결합부분 전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부(20)의 하방변위에 의해 가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20)가 사용자에 의해 아래로 눌려지면 도 3 (a) 에서와 같이, 손잡이부(20) 하부 전면부가 세정수단 펌핑부분(34)을 직접 가압하게 되며, 세정수단 펌핑부분(34)의 가압에 의해 세정수단이 세정수단 토출부분(36)을 통해 토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정수단 토출부분(36)은 세정수단이 이송되기 위한 고무 재질의 튜브(37)와 상기 튜브(37)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 배치되는 금속 재질의 세정수단 토출구(38)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수단 토출구(38)의 토출면을 격자 형태의 그물망으로 형성시켜, 세정수단의 과도한 토출 및 흘러 내림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와 손잡이부(20)의 결합부분(손잡이부 또는 본체부의 내측)에는 손잡이부의 상방변위, 하방변위 및 중단의 위치를 소정의 외력 작용으로부터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세정수단을 토출을 원할 경우, 손잡이부(20)를 하방변위->중단->하방변위 순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양 만큼의 세정수단을 토출시키며, 세정수단이 필요한 만큼 토출되면 세정수단을 이용하여 손 및 얼굴을 세척할 수 있고, 이 경우, 손잡이부(20)의 상방변위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세정수단을 이용(예를 들면 물비누칠)하는 도중에는 물이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과도한 물 사용 또한 방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는, 세면대 주변 잔여물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누 및 세제통 등의 세정수단 공급을 담당하는 구성의 공간을 없앰으로써 세면대 공간이 확장됨과 동시에 세정수단 사용의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20 : 손잡이부
30 : 세정수단 공급부
32 : 세정수단 수용부분
34 : 세정수단 펌핑부분
36 : 세정수단 토출부분
37 : 튜브
38 : 세정수단 토출구
100 : 수도꼭지

Claims (6)

  1. 내부에 물 공급 배관이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좌, 우, 상, 하방 변위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세정수단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수단 공급부는,
    소정의 세정수단이 수용되는 세정수단 수용부분;
    상기 세정수단 수용부분의 상부에 결합되며, 가압에 의해 세정수단 수용부분에 수용된 세정수단을 펌핑하는 세정수단 펌핑부분; 및
    상기 세정수단 펌핑부분으로부터 펌핑된 세정수단이 이송 및 토출되는 세정수단 토출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단 토출부분은 상기 물 공급 배관을 따라 배치되어 토출구까지 연장되되, 물 공급 배관과는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는,
    상기 손잡이부가 들어 올려지는 상방변위에 의해 물 공급이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가 눌러 내려지는 하방변위에 의해 세정수단 공급부에 의한 세정수단 토출이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가 중단에 위치될 경우, 물 공급 및 세정수단 토출이 차단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단 펌핑부분은 상기 몸체부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몸체부와 손잡이부의 결합부분 전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하방변위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단 토출부분은 세정수단이 이송되기 위한 고무 재질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 배치되는 금속 재질의 세정수단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손잡이부의 결합부분에는 손잡이부의 상방변위, 하방변위 및 중단의 위치를 소정의 외력 작용으로부터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
KR1020140084959A 2014-07-08 2014-07-08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 KR20160005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959A KR20160005901A (ko) 2014-07-08 2014-07-08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959A KR20160005901A (ko) 2014-07-08 2014-07-08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901A true KR20160005901A (ko) 2016-01-18

Family

ID=5530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959A KR20160005901A (ko) 2014-07-08 2014-07-08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59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101B1 (ko) * 2016-08-01 2016-10-06 이충현 세정액 토출이 가능한 수도꼭지
WO2018117708A1 (ko) * 2016-12-23 2018-06-28 이충현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101B1 (ko) * 2016-08-01 2016-10-06 이충현 세정액 토출이 가능한 수도꼭지
WO2018117708A1 (ko) * 2016-12-23 2018-06-28 이충현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31399A3 (ko)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KR20160005901A (ko)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
KR20160003378U (ko) 수전부의 손 건조장치
KR20140128569A (ko) 욕조의 스마트 수전장치
US20190104917A1 (en) Handheld Retractable Cleaning Sprayer
JP6187912B2 (ja) 浴室用吐水装置
JP2011179292A (ja) 水栓装置
KR20110057617A (ko) 분수형 세면장치
JP2022508181A (ja) シャワー付き便器のスプレーノズルの自動的な消毒
KR101114176B1 (ko) 발 세척용 수전
KR200487843Y1 (ko) 수전매립형 다목적 급수부 선반
JP2007270507A (ja) 給水栓
JP7467073B2 (ja) 水抜き装置及び水抜き装置の取り付け方法
US20060130918A1 (en) No water waste valve
KR101635402B1 (ko)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
KR101117488B1 (ko) 수전금구
KR100992711B1 (ko) 샤워기헤드
KR20180098860A (ko) 중수 재활용 시스템
JP2009035924A (ja) 節水用給水装置
JP6444703B2 (ja) 水栓
TWM585585U (zh) 蓮蓬頭改良結構
KR200344204Y1 (ko)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
KR20170027143A (ko) 솔레노이드밸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수 장치
JP6367093B2 (ja) 自動水栓
KR20200131110A (ko) 물 절약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