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402B1 -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402B1
KR101635402B1 KR1020150073844A KR20150073844A KR101635402B1 KR 101635402 B1 KR101635402 B1 KR 101635402B1 KR 1020150073844 A KR1020150073844 A KR 1020150073844A KR 20150073844 A KR20150073844 A KR 20150073844A KR 101635402 B1 KR101635402 B1 KR 101635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leaning liquid
pressure
wash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준
Original Assignee
이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준 filed Critical 이명준
Priority to KR102015007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정액을 배출하여 세척시 간편하게 세정액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공급되는 수도관로와 연결되는 배출관로를 가지며 상기 배출관로에는 세척수의 이동을 개폐하도록 된 주개폐밸브가 구비된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에 접속되어 고정되며 상기 수도관로와 연결되어 수압을 인가받도록 되며 보조개폐밸브가 배치되어 수압의 공급이 개폐되고 제1 일방향체크밸브를 통해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로가 연결되며 상기 공기유입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제2 일방향체크밸브를 통해 배출하도록 된 공기배출관이 연결된 압력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통로에는 상기 보조개폐밸브의 조절을 통해 인가되는 수압을 공급받아 상기 공기배출관측으로 이동되며 스프링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상기 압력통로 상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된 가압체가 배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내부에 세정액이 저장되며 상기 공기배출관이 연통됨과 아울러 내부에 저장된 세정액이 배출되는 토출관로가 연결된 수용공간을 가지는 '통' 형상의 저장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정액공급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토출관로와 연결되며 세척수가 배출되는 선단에 개구가 형성된 세정액공급관로가 형성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A faucet}
본 발명은, 주로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되어 그릇, 냄비 등과 같은 용기를 설거지하는 세수대 또는 욕실 등의 세면대에 설비되어 물을 공급하도록 된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정액을 배출하여 세척시 간편하게 세정액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는 욕실, 주방 등과 같이 수돗물이 필요한 공간에 설치되어 상수도에서 사용처로 물의 배출을 개폐하여 공급하도록 된 밸브장치의 하나이다.
이러한, 수도꼭지는 주로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관로와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관로에서 물을 유입받아 배출관로로 공급 및 폐쇄하도록 개폐하도록 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수와 냉수를 적합하게 혼합하여 배출하도록 된 것도 있다.
이와 같은 수도꼭지는, 통상적으로,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관로 및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관로가 연결되어 냉온수가 혼합되는 혼합실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혼합실에서 혼합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로가 연결되며, 상기 혼합실에 물의 공급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수도꼭지를 통해 세척물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세정액을 사용하여 세척을 하게 되는바, 기존에는 세정액 통 등과 같은 별도로 구비되는 세정액용기를 통해 공급되는 세정액을 공급받아 사용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척물을 세척할 때, 세정액을 별도로 공급받아야만 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세정액용기가 배치되는 공간을 별도로 마련해야만 하기 때문에 공간사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새정액용기를 수도꼭지의 주변에 항상 비치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기존의 수도꼭지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도꼭지와 세정액공급수단을 일체로 구성하는 다양한 수도꼭지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90713호(명칭: 다기능 수도꼭지)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세제가 공급되는 공급부와 수도꼭지를 일체로 형성하여 작동버튼을 누르면 세제가 물과 함께 섞여 나오도록 된 것이 기재되어 있다.
1.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90713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도꼭지들은 세제를 간편하게 공급받을 수는 있었으나, 세제와 물이 혼합되어 배출됨에 따라, 세제가 불필요하게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어, 과다하게 세제를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정액을 배출하여 세척시 간편하게 세정액을 공급받을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수도의 수압을 이용하여 세정액을 공급받음과 더불어, 세척수와는 별도로 세정액을 공급받을 수 있어, 세정액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수도관로와 연결되며 세척수의 이동을 개폐하도록 된 주개폐밸브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접속되어 고정되며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된 세정액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한 세정액공급수단은, 상기한 몸체에 접속되어 고정되며 상기 수도관로와 연결되어 수압을 인가받도록 되며 보조개폐밸브가 배치되어 수압의 공급이 개폐되는 압력통로가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내부에 세정액이 저장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면서 고정되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압력통로를 통해 압력을 인가받아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토출관로가 구비되는 '통' 형상의 저장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몸체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위가 접속하여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통의 토출관로가 위치된 부위가 끼움결합하며 연결됨과 동시에 세척수가 배출되는 선단에 개구가 형성된 세정액공급관로가 형성되며; 상기한 고정부재는, 상기 수도관로와 연결되어 수압을 인가받도록 되며 보조개폐밸브가 배치되어 수압의 공급이 개폐되고 제2 일방향체크밸브를 통해 배출하도록 된 공기배출관이 연결된 압력통로가 구비되며, 외부와 상기 압력통로를 연결함과 아울러 제1 일방향체크밸브의 제어를 통해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로가 형성되고; 상기 압력통로에는, 상기 보조개폐밸브의 조절을 통해 인가되는 수압을 공급받아 상기 공기배출관측으로 이동되며 스프링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상기 압력통로 상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된 가압체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통에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공기배출관이 연통되면서 끼움결합하여 상기 압력통로에 잔존하는 공기를 상기 제2 일방향체크밸브의 제어를 통해 공급받도록 되고; 상기 보조개폐밸브는, 전기적 신호의 구동에 따라 작동되는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보조개폐밸브를 제어하는 보조스위치가 배치되며; 상기한 세정액공급수단은, 상기 몸체에 2개 1조로 이루어진 한 쌍이 구비되어, 세척물을 세정하는 세척물세정액과, 사용자의 손을 세척하도록 된 세척액을 각각 별도로 공급하도록 되고; 상기한 세정액공급수단과 연결되는 수도관로는, 냉수와 온수가 각각 공급되는 냉수공급관로와 온수공급관로로 이루어져, 상기 세정액공급수단이 상기 냉수공급관로와 온수공급관로에 각각 연결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는, 상기 세정액공급수단을 통해, 상수도의 수압을 이용하여 세정액을 세척수와는 별개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정액을 배출하여 세척시 간편하게 세정액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세척수와는 별도로 세정액을 공급받을 수 있어, 세정액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는 보인 개략 정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를 보인 개략 측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에 적용되는 세정액공급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에 적용되는 세정액공급수단의 일 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일부 발췌 확대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개략 예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에 적용되는 세정액공급수단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는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1)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수도관로(2)와 연결되는 배출관로(31)를 가지며, 상기 배출관로(31)에는 세척수의 이동을 개폐하도록 된 주개폐밸브(32)가 구비된 몸체(3)를 가진다.
즉, 상기 몸체(3)가 욕실, 주방 등과 같은 사용처에 설비되어, 상기 주개폐밸브(32)의 조절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에서 주개폐밸브(32)는, 전기적 신호의 구동에 따라 작동되는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기적 신호의 구동은 터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1)는, 상기한 몸체(3)에 접속되어 고정되며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된 세정액공급수단(4)을 더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세정액공급수단(4)을 통해 필요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정액을 공급받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어, 세정액의 사용을 최소화하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1)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수도관로(2)와 연결되며 세척수의 이동을 개폐하도록 된 주개폐밸브(32)가 구비된 몸체(3)와, 상기 몸체(3)에 접속되어 고정되며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된 세정액공급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1)에서, 상기한 세정액공급수단(4)은, 상기한 몸체(3)에 접속되어 고정되며 상기 수도관로(2)와 연결되어 수압을 인가받도록 되며 보조개폐밸브(411)가 배치되어 수압의 공급이 개폐되는 압력통로(412)가 구비된 고정부재(41)를 가진다.
즉, 상기 고정부재(41)를 통해 상기 몸체(3)에 결합하여 일체로 위치되며, 상기 보조개폐밸브(411)를 통해 상기 수도관로(2)의 수압을 상기 압력통로(412)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몸체(3)에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1)의 일부위가 접속하여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에 상기 고정부재(41)의 일 부위가 접속하면서 끼움 결합된다.
상기에서 보조개폐밸브(411)는, 전기적 신호의 구동에 따라 작동되는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기적 신호의 구동은 터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압력통로(412)는 제1 일방향체크밸브(413)를 통해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로(414)가 연결되어 상기 공기유입로(414)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공급받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로(414)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제2 일방향체크밸브(415)를 통해 배출하도록 된 공기배출관(416)이 연결되어 있다.
즉,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유입로(414)와 상기 공기배출관(416)을 통해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압력통로(412)에는, 상기 보조개폐밸브(411)의 조절을 통해 인가되는 수압을 공급받아 상기 공기배출관(416)측으로 이동되며 스프링(417)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상기 압력통로(412) 상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된 가압체(418)가 구비된다.
즉, 상기 가압체(418)가 수도관로(2)의 수압과 스프링(417)의 탄성압력을 통해 상기 압력통로(412)에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공기유입로(414)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관(416)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1)에서, 상기한 세정액공급수단(4)은, 상기 고정부재(41)에 고정되며 내부에 세정액이 저장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통' 형상의 저장통(42)을 더 가진다.
즉, 상기 저장통(42)에 세정액을 수용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저장통(42)에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공기배출관(416)이 연통되면서 끼움결합하여, 상기 압력통로(421)에 잔존하는 공기를 상기 제2 일방향체크밸브(415)의 제어를 통해 공급받도록 되어 있으며, 일 측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저장된 세정액이 배출되는 토출관로(42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관(416)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공기압을 통해 수용공간에 저장된 세정액이 상기 토출관로(421)를 통해 토출된다.
즉, 상기 토출관로(421)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1)를 관통하면서 고정되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압력통로(412)를 통해 압력을 인가받아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3)에는, 상기 토출관로(421)와 연결되며 세척수가 배출되는 선단에 개구(33)가 형성된 세정액공급관로(34)가 형성된다.
즉, 상기 토출관로(421)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은 세척수가 배출되는 선단에 형성된 개구(33)들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공급받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도꼭지(1)에서, 상기 몸체(3)에는 상기 주개폐밸브(32)를 제어하는 주스위치(35)와, 상기 보조개폐밸브(411)를 제어하는 보조스위치(43)가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1)에서, 상기한 세정액공급수단(4)은 상기 몸체(3)에 2개 1조로 이루어진 한 쌍이 구비되어, 세척물을 세정하는 세척물세정액과, 사용자의 손을 세척하도록 된 세척액을 각각 별도로 공급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1)에서 상기한 세정액공급수단(4)과 연결되는 수도관로(2)는, 냉수와 온수가 각각 공급되는 냉수공급관로와 온수공급관로로 이루어져, 상기 세정액공급수단(4)이 상기 냉수공급관로와 온수공급관로에 각각 연결되게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1)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물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저장통(42)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저장한 후, 상기 고정부재(41)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주스위치(35)를 스위칭하여 상기 주개폐밸브(32)를 구동하면, 상기 수도관로(2)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상기 배출관로(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세척하게 된다.
이때, 필요시 세정액을 공급받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보조스위치(43)를 스위칭하면, 상기 보조개폐밸브(411)가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되어 상기 수도관로(2)에 형성되는 수압이 상기 압력통로(412)로 유입되어 상기 가압체(418)가 공기배출관(416)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체(418)가 상기 공기배출관(416)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공기유입로(414)를 통해 상기 압력통로(412)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관(416)을 통해 상기 저장통(42)으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장통(42)의 수용공간에는 공기압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용공간에 저장된 세정액이 상기 토출관로(421)를 통해 토출되며, 상기 몸체(3)의 세정액공급관로(34)를 통해 개구(33)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면, 상기 보조개폐밸브(411)가 상기 압력통로(412)를 폐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가압체(418)가 상기 스프링(417)의 탄성압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보조개폐밸브(411)의 폐쇄구동은 개방구동시간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압력통로(412)의 폐쇄가 서서히 이루어져 수압이 서서히 줄어듬에 따라, 상기 가압체(418)의 복귀가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압이 상기 수도관로(2)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체(418)가 원위치 되는 중에 상기 공기유입로(414)를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압력통로(412)로 유입되어 수용되며, 상기 저장통(42)의 수용공간에 공기압의 발생이 없어져 세정액의 배출이 중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는 상수도의 수압을 이용하여 세정액을 세척수와는 별개로 공급하도록 된 세정액공급수단이 구비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수도꼭지 2 : 수도관로
3 : 몸체 31 : 배출관로
32 : 주개폐밸브 33 : 개구
34 : 세정액공급관로 35 : 주스위치
4 : 세정액공급수단 41 : 고정부재
411 : 보조개폐밸브 412 : 압력통로
413 : 제1 일방향체크밸브 414 : 공기유입로
415 : 제2 일방향체크밸브 416 : 공기배출관
417 : 스프링 418 : 가압체
42 : 저장통 421 : 토출관로
43 : 보조스위치

Claims (1)

  1. 세척수가 공급되는 수도관로(2)와 연결되며 세척수의 이동을 개폐하도록 된 주개폐밸브(32)가 구비된 몸체(3)와, 상기 몸체(3)에 접속되어 고정되며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된 세정액공급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1)에 있어서;
    상기한 세정액공급수단(4)은,
    상기한 몸체(3)에 접속되어 고정되며 상기 수도관로(2)와 연결되어 수압을 인가받도록 되며 보조개폐밸브(411)가 배치되어 수압의 공급이 개폐되는 압력통로(412)가 구비된 고정부재(41)와, 상기 고정부재(41)에 고정되며 내부에 세정액이 저장된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재(41)를 관통하면서 고정되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압력통로(412)를 통해 압력을 인가받아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토출관로(421)가 구비되는 '통' 형상의 저장통(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몸체(3)에는,
    상기 고정부재(41)의 일부위가 접속하여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통(42)의 토출관로(421)가 위치된 부위가 끼움결합하며 연결됨과 동시에 세척수가 배출되는 선단에 개구(33)가 형성된 세정액공급관로(34)가 형성되며;
    상기한 고정부재(41)는,
    상기 수도관로(2)와 연결되어 수압을 인가받도록 되며 보조개폐밸브(411)가 배치되어 수압의 공급이 개폐되고 제2 일방향체크밸브(415)를 통해 배출하도록 된 공기배출관(416)이 연결된 압력통로(421)가 구비되며, 외부와 상기 압력통로(421)를 연결함과 아울러 제1 일방향체크밸브(413)의 제어를 통해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로(414)가 형성되고;
    상기 압력통로(421)에는,
    상기 보조개폐밸브(411)의 조절을 통해 인가되는 수압을 공급받아 상기 공기배출관(416)측으로 이동되며 스프링(417)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상기 압력통로(412) 상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된 가압체(418)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통(42)에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공기배출관(416)이 연통되면서 끼움결합하여 상기 압력통로(421)에 잔존하는 공기를 상기 제2 일방향체크밸브(415)의 제어를 통해 공급받도록 되며;
    상기 보조개폐밸브(411)는,
    전기적 신호의 구동에 따라 작동되는 전자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3)에는,
    상기 보조개폐밸브(411)를 제어하는 보조스위치(43)가 배치되며;
    상기한 세정액공급수단(4)은,
    상기 몸체(3)에 2개 1조로 이루어진 한 쌍이 구비되어, 세척물을 세정하는 세척물세정액과, 사용자의 손을 세척하도록 된 세척액을 각각 별도로 공급하도록 되고;
    상기한 세정액공급수단(4)과 연결되는 수도관로(2)는,
    냉수와 온수가 각각 공급되는 냉수공급관로와 온수공급관로로 이루어져, 상기 세정액공급수단(4)이 상기 냉수공급관로와 온수공급관로에 각각 연결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
KR1020150073844A 2015-05-27 2015-05-27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 KR101635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844A KR101635402B1 (ko) 2015-05-27 2015-05-27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844A KR101635402B1 (ko) 2015-05-27 2015-05-27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402B1 true KR101635402B1 (ko) 2016-07-01

Family

ID=5650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844A KR101635402B1 (ko) 2015-05-27 2015-05-27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4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264A (ja) * 1992-01-22 1993-08-03 Kansei Corp 液体供給装置
KR100397440B1 (ko) * 1995-06-07 2003-11-19 슬로안 밸브 캄파니 세척대 및 작동법
KR20110090713A (ko) 2010-02-04 2011-08-10 김재호 다기능수도꼭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264A (ja) * 1992-01-22 1993-08-03 Kansei Corp 液体供給装置
KR100397440B1 (ko) * 1995-06-07 2003-11-19 슬로안 밸브 캄파니 세척대 및 작동법
KR20110090713A (ko) 2010-02-04 2011-08-10 김재호 다기능수도꼭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0891B2 (en) Washing fluid supply structure of water outlet device and shower device
ATE452576T1 (de) Geschirrspüler mit ausziehbarem geschirrkorb und korb dafür
KR20060126413A (ko) 식기 세척기
US20160289933A1 (en) Easy rinse sink
US20180318886A1 (en) Shower-cleaning system
JP5179447B2 (ja) 洗浄水吐出装置
JP2009165761A (ja) ソープディスペンサー
WO2009128292A1 (ja) 洗浄水吐出水栓システム
JP4858433B2 (ja) 洗浄液吐出装置
KR101635402B1 (ko)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
KR101663101B1 (ko) 세정액 토출이 가능한 수도꼭지
KR101057793B1 (ko) 개폐 밸브를 이용한 리모컨식 직수형 양변기
CN110319248B (zh) 能出功能液的龙头
US20230125224A1 (en) Descaling device, system, and descaling method of electronic toilet and liquid supply device, system, and cleaning method of electronic toilet
KR20060063841A (ko) 핸들 겸용 토수구 세면기 수전
US20210403305A1 (en) Faucet device with a self-cleaning function and a method of supplying a beverage therefrom
KR20170000693U (ko) 수전
JP4893687B2 (ja) 洗浄水吐出装置
KR102063927B1 (ko) 싱크대 수전용 샤워기
KR101945403B1 (ko)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
KR20160005901A (ko) 세정수단 공급 기능을 구비하는 수도꼭지
KR200384101Y1 (ko) 물청소용 밀대솔
CN212641624U (zh) 一种防滴漏给液装置及水龙头
KR101811672B1 (ko)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CN220228026U (zh) 推杯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