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672B1 -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 Google Patents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672B1
KR101811672B1 KR1020160164580A KR20160164580A KR101811672B1 KR 101811672 B1 KR101811672 B1 KR 101811672B1 KR 1020160164580 A KR1020160164580 A KR 1020160164580A KR 20160164580 A KR20160164580 A KR 20160164580A KR 101811672 B1 KR101811672 B1 KR 101811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control valve
water
washing liquid
wat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범
김수현
손우석
Original Assignee
권기범
김수현
손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범, 김수현, 손우석 filed Critical 권기범
Priority to KR102016016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 E03C1/0465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by mounting an independent soap dispenser to outlet of t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세정액 저장통이 형성된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는 수도조절밸브; 상기 수도조절밸브의 조작에 의해 냉,온수가 배출되는 출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수도조절밸브에는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펌핑작용으로부터 상기 세정액 저장통으로부터 세정액을 이송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압송시키는 세정액 펌핑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수도조절밸브의 내부에는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과 연통하여 세정액을 외부로 안내하는 세정액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세정액 저장통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별도의 세척액 배출부를 구성할 필요가 없어 세면대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주변을 미관상 깔끔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Water tap with a liquid type detergent supplier}
본 발명은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액 공급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세척액 사용시 수돗물이 낭비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금구는 급수전과 연결되어 급수전의 수돗물을 욕실이나 세면대, 싱크대 등에 공급하며, 수돗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구조에 따라 투핸들식과 싱글레버식, 그리고 자폐식, 자동센서식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투핸들식은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냉수핸들과 온수핸들로 구성된 구조이며, 싱글레버식은 내부에 냉·온수를 혼합하는 카트리지가 설치되어 하나의 레버를 조작하여 냉·온수를 공급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자폐식은 조작버튼을 한번 누르면 일정시간 물이 나오는 구조이며, 자동센서식은 인체감지센서가 부착되어 인체가 감지되는 동안 자동으로 물이 공급되는 구조이다.
한편, 세척액 공급기는 욕실이나 세면대, 싱크대 등에 수전금구와는 별개로 마련되어 물비누나 합성세제 등의 세척액을 펌핑에 의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전금구와 세척액 공급기는 서로 별개로 형성됨에 따라, 설치 역시 별개로 하여야 하므로 이중의 설치비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즉, 세면대를 가공하여 수전금구를 설치하여야 하고, 또다시 세면대의 일측을 가공하여 세척액 공급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전금구에 세척액 공급기를 일체형으로 개선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공개특허공보 제2004-0091451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는 본체의 상부에 펌핑용 세척액 공급기를 단순히 병합시킨 구조로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세척액 배출부의 구성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공장소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조작레버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에서 세척액 공급기를 이용하여 세정을 실시하는 것일 일반적이다. 따라서, 세정하는 동안 사용하지 않는 물이 지속적으로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91451호(2004.10.2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손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액 공급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세척액 사용시 수돗물이 낭비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는, 일측에 세정액 저장통이 형성된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는 수도조절밸브; 상기 수도조절밸브의 조작에 의해 냉,온수가 배출되는 출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수도조절밸브에는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펌핑작용으로부터 상기 세정액 저장통으로부터 세정액을 이송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압송시키는 세정액 펌핑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수도조절밸브의 내부에는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과 연통하여 세정액을 외부로 안내하는 세정액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은 상기 출수관이 단수(斷水)되는 상기 수도조절밸브의 중립위치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은 일측에 세정액 유입구멍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수도조절밸브와 연결되는 압력플레이트와, 상기 압력플레이트를 탄성지지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정액 통로의 토출구측 단부에는 세정액이 과다하게 토출되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정액 저장통에는 상부로부터 세정액을 주입하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에는 개페단속을 위한 마감캡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도조절밸브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펌핑작용으로부터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을 작동시키고, 상기 수도조절밸브를 통해 세정액이 공급되도록 세정액 통로를 구성함으로써, 세정액 저장통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별도의 세척액 배출부를 구성할 필요가 없어 세면대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주변을 미관상 깔끔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은 수돗물이 단수(斷水)되는 수도조절밸브의 중립 위치에서 작동하게 됨으로써, 세정액을 이용한 세정시간 동안 수돗물이 지속적으로 낭비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수돗물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방향키부재와 키홈부를 구비한 돌출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는 일측에 세정액 저장통(110)이 형성된 하우징 본체(100)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타측에 설치되는 수도조절밸브(200)와, 상기 수도조절밸브(200)의 조작에 의해 냉,온수가 배출되는 출수관(300)과, 상기 세정액 저장통(110)으로부터 세정액을 이송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압송시키는 세정액 펌핑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욕실, 세면대, 싱크대 등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써, 내부에는 냉,온의 수돗물이 각각 공급될 수 있도록 냉수배관(101) 및 온수배관(10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는 냉수배관(101) 및 온수배관(102)을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을 선택적으로 택일하거나 혼합시키는 배출시키는 카트리지(120)가 설치된다.
상기 카트리지(120)는 냉수배관(101) 및 온수배관(102)으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는 혼합부(121)와, 상기 혼합부(121) 내에 설치되며 각 배관(101,102)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돗물을 개폐단속 하는 밸브디스크(122)로 구성되며, 상기 밸브디스크(122)는 후술할 수도조절밸브(200)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동작을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120)와 출수관(300) 사이에는 냉,온수 또는 혼합수가 배출되는 혼합배출관(103)이 설치된다.
즉, 상기 카트리지(120)는 수도조절밸브(200)의 좌,우방향의 회전조작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냉,온수 또는 혼합수를 상기 출수관(30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출수관은 상기 세정액 저장통(110)과 수도조절밸브(200)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일측에는 세정액을 저장하는 세정액 저장통(110)이 형성된다.
즉, 세정액 저장통(110)을 별도의 장소에 배치시킬 필요 없이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 내장시킴으로써, 세면대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주변을 미관상 깔끔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정액 저장통(110)에는 상부로부터 세정액을 주입하는 주입구(111)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111)에는 개페단속을 위한 마감캡(112)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세정액 저장통(110)과 후술할 세정액 펌핑유닛(400) 사이에는 세정액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튜브(113)가 설치된다.
상기 수도조절밸브(200)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냉,온수 또는 혼합수를 상기 출수관(300)으로 공급 및 차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수도조절밸브(200)는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400)을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활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도조절밸브(2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400)과 연결되는 직선연결부재(210)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직선연결부재(210)에는 방향키부재(211)가 형성되며,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400)의 몸체(410) 상부에는 상기 방향키부재(211)에 대응하여 상보적 결합이 이루어지는 키홈부(C)를 구비한 돌출부(410a)가 형성된다.
상기 방향키부재(211)와 돌출부(410a)를 구성한 이유는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400)의 작동이 수도조절밸브(200)가 중립 위치에서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도조절밸브(200)의 내부에는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400)과 연통하여 세정액을 외부로 안내하는 세정액 통로(2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세정액 저장통(110)에 저장된 세정액은 별도의 세정액 배출관을 구성하지 않고 상기 수도조절밸브(200)의 세정액 통로(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상기 세정액 통로(220)의 토출구측 단부에는 세정액이 과다하게 토출되거나 흘러내리는 것에 의해 세정액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부재(2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부재(230)는 토출구측 단부에 끼워지는 고깔 모양의 망사부재(230a)로 제작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재(230)는 토출구측 단부에 설치되어 힌지 개폐운동하는 탄성힌진부재(230b)로 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힌지부재(230b)는 평상시 상기 세정액 통로(220)의 토출구측을 마감하는 상태로 가로막고 있으며,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400)의 작용시 세정액이 분출되는 압력에 의해 개방되고 분출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토출구측을 마감하는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400)은 상기 수도조절밸브(200)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것으로,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펌핑작용으로부터 상기 세정액 저장통(110)으로부터 세정액을 이송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압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400)은 일측에 세정액 유입구멍(411)이 형성된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 내에 위치하며 상기 수도조절밸브(200)와 연결되는 압력플레이트(420)와, 상기 압력플레이트(420)를 탄성지지 하는 스프링(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플레이트(420)의 상부는 상기 수도조절밸브(200)의 직선연결부재(210)와 연결되고, 하부에는 상기 밸브디스크(122)와 연결되는 승강회전부재(4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400)의 펌핑작용은 상기 출수관(300)이 단수(斷水)되는 상기 수도조절밸브(200)의 중립위치에서만 작동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수도조절밸브(200)가 냉,온수를 공급하는 회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하방향의 누름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단수되는 중립 위치에서만 펌핑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방향키부재(211)와 키홈부(C)의 상보적 결합구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정액 펌핑유닛(40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수도조절밸브(200)가 단수되는 중립위치에 있어야 하므로 세정액을 이용한 세정시간 동안 수돗물이 지속적으로 낭비되는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수돗물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하우징 본체 110 : 세정액 저장통
120 : 카트리지 200 : 수도조절밸브
210 : 직선연결부재 211 : 방향키부재
220 : 세정액 통로 230 : 스토퍼부재
300 : 출수관 400 : 세정액 펌핑유닛
410 : 몸체 410a : 돌출부
420 : 압력플레이트 430 : 스프링

Claims (5)

  1. 일측에 세정액 저장통이 형성된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는 수도조절밸브;
    상기 수도조절밸브의 조작에 의해 냉,온수가 배출되며 상기 세정액 저장통과 수도조절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출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수도조절밸브에는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펌핑작용으로부터 상기 세정액 저장통으로부터 세정액을 이송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압송시키는 세정액 펌핑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은 일측에 세정액 유입구멍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수도조절밸브와 연결되는 압력플레이트와, 상기 압력플레이트를 탄성지지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도조절밸브의 내부에는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과 연통하여 세정액을 외부로 안내하는 세정액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방향키부재에 대응하여 상보적 결합이 이루어지는 키홈부를 구비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세정액 통로의 토출구측 단부에는 평상시 상기 세정액 통로의 토출구측을 마감하는 상태로 가로막고 있으며, 상기 세정액 펌핑유닛의 작용시 세정액이 분출되는 압력에 의해 개방되고 분출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복원력이 상기 세정액 통로의 내부를 폐쇄시키도록 힌지 개폐운동하는 탄성힌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64580A 2016-12-05 2016-12-05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KR101811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580A KR101811672B1 (ko) 2016-12-05 2016-12-05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580A KR101811672B1 (ko) 2016-12-05 2016-12-05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672B1 true KR101811672B1 (ko) 2018-01-25

Family

ID=6109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580A KR101811672B1 (ko) 2016-12-05 2016-12-05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6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101B1 (ko) 2016-08-01 2016-10-06 이충현 세정액 토출이 가능한 수도꼭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101B1 (ko) 2016-08-01 2016-10-06 이충현 세정액 토출이 가능한 수도꼭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68110A1 (en) Delivery device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EP3158123B1 (en) Detergent feed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KR20170004318U (ko) 수전금구용 이중경로 토출밸브
KR101811672B1 (ko)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KR101663101B1 (ko) 세정액 토출이 가능한 수도꼭지
EP3736386A1 (en) Valve for dual faucet and faucet comprising the valve
JP6740665B2 (ja) 水洗大便器
KR20090120226A (ko) 세면대용 절수밸브
JP2009121205A (ja) シャワーヘッド
US6912741B1 (en) Parabola type aqueduct
JP2001259488A (ja) 吐出装置
WO2017184915A1 (en) Liquid dispenser for a sink faucet
KR20180078387A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수동급수장치
KR101945403B1 (ko)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
KR101489224B1 (ko) 절수형 좌변기
KR200409582Y1 (ko) 수도꼭지
KR900004286Y1 (ko) 세탁기의 액체세제 자동투입장치
KR101635402B1 (ko) 세정액 공급형 수도꼭지
JP7446686B2 (ja) ポンプ式注出具、及びポンプ式注出容器
KR101460445B1 (ko) 감지센서가 구비된 세면대 겸용 소변기
US20230077738A1 (en) Soap dispenser
KR102000232B1 (ko) 양변기
KR200191217Y1 (ko) 수돗물 사용수를 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절수장치
KR102186897B1 (ko) 변기용수배출장치
KR101157213B1 (ko) 수도꼭지 및 수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