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830A - 친환경 주택 - Google Patents

친환경 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830A
KR20160005830A KR1020140084410A KR20140084410A KR20160005830A KR 20160005830 A KR20160005830 A KR 20160005830A KR 1020140084410 A KR1020140084410 A KR 1020140084410A KR 20140084410 A KR20140084410 A KR 20140084410A KR 20160005830 A KR20160005830 A KR 20160005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lighting
house
ceil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979B1 (ko
Inventor
박종혁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4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9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2Translucent ceilings, i.e. permitting both the transmission and diffusion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04D13/0325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provided with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 내부에서 자연상태의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통기성 벽체와 실내온실이 구비되는 친환경 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녹지 또는 도심지 외부의 환경에 위치하는 1층 이상의 주택에 있어서, 지붕의 일부를 형성하며 개폐 가능하고 투명 부재로서 태양광이 투과 가능한 복수개의 천정 창을 포함하는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과,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 아래로 전 층의 바닥이 개방되어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중정부와, 중정부의 사방에 배치되며 중정부와 서로 완전 개방되어 통기되는 주거 공간과, 주거공간의 외벽의 일부를 이루며 복수개의 개폐 가능한 투명 창 또는 문으로 이루어지는 측면 채광 및 통풍 수단을 포함하여, 통풍을 극대화 시킬 수 있고 동절기에는 실내온실효과로 난방비가 절감되며, 하절기 및 춘추절기에는 벽면 전체가 환기에 이용되어 실내 공기가 주위 자연과 동일한 정도로 쾌적하게 되고, 원활한 환기로 별도의 환풍기나 환풍 시스템이 필요없어 비용이 절감되는 친환경 주택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주택{Eco-friendly home}
본 발명은 친환경 주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택 내부에서 자연상태의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천정과 측면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주택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웰빙'이라는 용어로 대표되는 건강, 안락함, 쾌적함의 추구가 의식주 모든 분야에서 목표가 되는 추세이다. 특히 휴식공간인 주택에서 안락함과 쾌적함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전원주택을 짓기도 하고 귀농이나 귀촌을 준비하기도 한다. 이렇게 도심지를 벗어난 환경 속에 주택을 건설할 경우 자연 환경이 최대한으로 이용될 수 있는 주택을 조성하는 것이 웰빙의 실현에서 최대의 관건이 된다.
자연환경의 이용으로 쾌적한 주택이 조성되기 위해서는 통풍과 채광이 주 고려요소가 된다. 난방의 경우는 외기와의 차단이 중요하므로 주택이 위치되는 공간이 도심지든 자연환경이든 적용되는 기술이 달라지진 않게 되지만, 통풍과 채광은 이상적인 전원주택이 실현될 수 있는 고려요소가 되는 것이다.
실내공기의 쾌적함은 효율적인 통풍 구조로 실현될 수 있다. 자연 공간 속의 주택이라도 실내 통풍이 효과적이지 않을 경우 실내 공기는 인체에 해로울 수 있다. 특히 요리나 청소의 경우 통풍이 원활하지 않게 될 때에는 산업 현장의 공해 못지않게 인체에 해로운 미세먼지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계속 공급되지 않으면 실내는 이산화탄소와 각종 먼지에 의하여 끊임없이 공기가 오염되게 된다.
그리고, 채광 또한 쾌적함의 실현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아무리 쾌적한 자연환경에 주택이 위치되더라도 실내 채광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게 될 경우 내부에 습기가 적체되고 이 습기가 실내의 먼지와 함께 세균이 번식될 수 있는 환경으로 작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채광은 실내를 위생적으로 만들어 주며 한편으로는 겨울철 실내 난방이 가능하게 되어 에너지 절감 효과도 있게 된다.
이렇게 통풍과 채광이 극대화 되는 구조의 주택이 되기 위해서는 종래의 벽면 창문만으로는 한계가 있게 된다. 과거 로마시대의 건축에서 쓰이던 주택 중앙의 지붕(30) 없는 공간인 아트리움 구조는 자연 채광과 통풍을 위해서는 탁월한 구조이었다. 하지만, 로마시대에는 채광이 가능하면서도 외부와 차단이 가능하게 되는 창문 기술이 발달하지 못하여 겨울철의 외기를 차단시킬 수 없었다.
하지만 유리와 철강 기술이 발달하면서 주택의 일부 천장과 외벽을 유리로 대체시켜 채광 및 통풍에 이용될 수 있는 구조의 건물들이 19세기부터 다수 출현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주택의 천정에 설치되는 창이 개폐 가능한 창문일 경우에는 주택 내부의 통풍 또는 환기 효율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천정에 창문이 있으면 주택 외부에 바람이 없는 상황에서도 굴뚝효과를 이용하여 주택 내부의 환기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통풍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천정 창문과 유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벽체의 통풍이 중요하게 된다. 벽체를 이용하는 통풍은 벽체에 창문을 설치함으로써 보통 이루어지지만, 전원주택과 같이 외기의 공기를 최대한 주택 내부로 순환시켜서 주택 내부의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유사한 쾌적함을 제공하려면 보다 큰 창문을 설치하거나 벽체 전체가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종래의 전원 주택이나 중정이 마련되는 주택과 달리 집중적인 통풍 구조가 요구된다.
현대 사회에서는 건축기술이 발달하면서 이러한 로마시대의 아트리움을 현대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다양한 종류의 건축에서 발달하여 왔다. 이하에서는 통풍과 채광을 접목시키기 위한 몇 가지 종래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관련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049506호의 '건축물지붕 채광기'가 게시되어 있다.
본 종래기술은 지붕에 일체로 설치되어 자연광으로 실내를 밝게 하는 채광기에 관한 것으로, 내측 벽면이 반사판으로 구성되어 빛이 통과되는 투광로가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빛을 유도시키는 사각뿔 또는 원뿔형 프리즘으로 된 집광부(50)가 형성된 몸체(100)가 지붕재(200)에 설치되며, 반사판(20)과 외부보호판(10) 사이에 환기통로(40)가 형성되고, 외부보호판(10)에 배기공(15)이 형성되어 자연광이 실내에 유도되고 실내 공기가 환기 되는 채광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집광부(50)가 사방을 향하므로 계절 또는 하루중 시간의 변화가 있더라도 그늘이 형성되지 않고, 배기공(15)에 의하여 채광과 함께 환기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환기통로(40)와 유기적으로 작용되어 실내 환기가 극대화 될 수 있는 벽체 구조에 대한 구성은 전혀 언급이 없으며, 특히 하절기에 실내 온도 상승을 막기 위하여 천정의 자연광을 차단시켜 주는 수단을 전혀 보여주지 않는 점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49506(등록일자 : 2011.07.08)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천정과 벽체의 각각의 개폐 수단이 서로 유기적으로 작용되어 최고의 자연 통풍과 채광효과가 실현되는 친환경 주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주택은 녹지 또는 도심지 외부의 환경에 위치하는 1층 이상의 주택에 있어서, 지붕의 일부를 형성하며 개폐 가능하고 투명 부재로서 태양광이 투과 가능한 복수개의 천정 창을 포함하는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과,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 아래로 전 층의 바닥이 개방되어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중정부와, 중정부의 사방에 배치되며 중정부와 서로 완전 개방되어 통기되는 주거 공간과, 주거공간의 외벽의 일부를 이루며 복수개의 개폐 가능한 투명 창 또는 문으로 이루어지는 측면 채광 및 통풍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친환경 주택은 바람직하게는 채광 및 통풍 수단의 하부에 태양광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차양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 수단은 태양광의 투과도가 서로 다른 재질의 복수개의 차양막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차양막은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된다.
한편 친환경 주택은 상기 주택의 최상층의 일부를 이루고, 천정과 외벽은 외기와 직접 연통되는 빗살 벽체로 이루어지는 실내 테라스부를 더 포함하여 외기를 느낄 수 있는 별도의 실내 테라스를 두면서 통풍 및 채광 효과를 더 배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정 창은 지붕보다 더 상부로 돌출되며 돌출되는 부위의 측면 수직 부재는 모두 투명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에 의하여 동절기에는 벽체의 창문이 남향을 향하는 종래 주택보다도 더 많은 태양에너지의 흡수가 가능하게 되어 동절기 난방을 위한 에너지의 절감효과가 크게 된다.
둘째,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과 측면 채광 및 통풍 수단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건물 전체의 환기가 효율적으로 이뤄지게 되어 자연환경과 마찬가지의 쾌적함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셋째, 실내는 그늘이 유지되면서 환기는 효율적으로 일어나게 되므로 하절기에 야외보다 더 서늘한 온도가 유지되어 냉방기에 소모되는 에너지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넷째, 자연 환기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요리 청소등의 기타 활동을 위한 환기가 필요한 경우에도 별도의 환풍기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환풍기 설치 및 작동을 위한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다섯째, 수시로 바람의 방향이 바뀌더라도 바람의 방향에 대응될 수 있도록 적재적소에 통풍구가 조성될 수 있으므로 주위 환경에 대응되는 환기 및 통풍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은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a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주택의 사시도,
도2b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주택의 정면도,
도2c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주택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주택을 개념도로 나타낸 정면도,
도4내지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주택의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과 측면 채광 및 통풍 수단이 유기적으로 작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주택의 전체 구조와 각 구성요소의 배치 관계를 간략하게 살펴보고,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주택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 후,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10)과 측면 채광 및 통풍 수단(30)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실내의 환기 및 통풍이 자연 상태에 거의 근접될 정도로 실현될 수 있는 원리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주택의 전체 구조는 도2a의 사시도와 도2c의 평면도 및 도3의 개념도에 도시되어 있다. 다만 구체적인 형태 및 층수에 대해서는 하나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붕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개구부에 설치되는 개폐 가능한 천정 창(12)을 포함하는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10)과,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10) 아래로 전 층이 개방되며 형성되는 중정부(20)와, 중정부(20)의 사방으로 배치되며 중정부(20)와 복도 또는 개폐가능한 문으로 연결되어 통기되는 주거 공간(60)에서 주거 공간(60)을 외부 공간과 분리시키는 벽 또는 지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루는 차단재로서, 주거 공간(60)을 외부와 통기시키면서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창문 또는 덧문 등의 개폐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측면 개폐 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3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주택은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층수에는 제한은 없다. 지붕의 형태도 중앙에서 나뉘어 지는 사선의 형태로 되어 있으나 지면과 평행한 평면 지붕일 수도 있다.
그리고 지붕의 소정위치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 상부에는 개구부 전체를 밀폐시키면서 개폐 가능한 천정 창(12)이 배치된다. 천정 창(12)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처럼 지붕보다 더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을 취하게 된다. 이 때 돌출되는 부위의 측면도 개폐 가능한 투명 창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통풍과 채광의 두 가지 목적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천정 창(12)은 투명 부재로서 유리일 수도 있고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일 수도 있다. 유리의 경우에는 우박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이 강한 강화유리가 쓰일 수 있다.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1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폐 가능한 천정 창(12)들로 구성되며 이 천정 창(12)들을 지지시키는 지지 프레임이 있을 수 있음은 주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10)에서 천정 창(12)들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은 이미 공지된 여러 가지 방식이 쓰일 수 있으므로 개폐수단에 대한 특별한 한정은 없으며 개폐수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10)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10)의 상면보다도 더 상부로 돌출되는 환기덕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 환기덕트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주택 내부에서 내부의 상하 온도차에 의한 기압차로 자체 환기가 일어 날 수 있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체 환기가 일어날 수 있는 높이는 반드시 다층 주택에서 옥상의 높이일 필요는 없으며 단층 주택이라도 대략 2미터 이상의 높이라면 무방하다.
환기덕트가 설치될 경우 주택 외부에 바람이 없더라도 주택 내부와 외부의 환기가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는 환기덕트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10)을 필요한 높이만큼 지붕보다 상부에 배치시킴으로써 같은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10) 아래의 영역은 도 2c 및 도3에 도시된 중정부(20)가 된다. 중정부(20)는 본 발명의 친환경 주택의 층수에 상관없이 상부 개폐 수단(10)의 저면부터 가장 아래층의 바닥까지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구역이다. 이를 위하여 친환경 주택이 복층일 경우에는 1층 또는 지하층을 제외하고 각 층의 바닥에는 상부 개폐 수단(10)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개폐 수단(10)에 대응되기 위하여 각 층 바닥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반드시 상부 개폐 수단(10)의 크기와 형상에 일치될 필요는 없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각 층의 개구부의 면적이 점차적으로 커질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그 반대로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2c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중정부(20)를 제외한 주택 내부 공간의 나머지 구역은 주거 공간(60)이 된다. 주거 공간이라는 개념으로 분류한다면 중정부(20)도 주거 공간(60)에 포함되지만, 여기에서의 주거 공간(60)은 중정부(20)가 없는 통상의 일반 주택에서 주거가 이루어지는 공간에 해당되는 구역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10)의 하부에는 태양광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차양 수단(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차양 수단(50)은 태양광의 투과도가 서로 다른 재질의 복수개의 차양막(51)으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차양막(51)은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된다.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방법은 여러 가지 있을 수 있으며 도 3에서처럼 단계적으로 풀릴 수 있는 경사 블라인더의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차양 막의 개폐를 조절시키는 수단은 전자 리모콘이 될 수도 있고, 혹은 길게 연결되는 끈의 형태로 재래식 블라인더처럼 조절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는 앞서 설명된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10)와 측면 채광 및 통풍 수단(30)이 서로 유기적으로 작용되어 실내 공기가 외부 자연 공기 상태에 거의 근접될 수 있는 통풍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측면 채광 및 통풍 수단(30)은 각 벽면마다 설치되는 창문과 문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필요에 따라 사방 벽의 어느 곳이든지 개방이 가능하도록 사방 벽의 각 면마다 여러 군데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문의 경우는 벽면 전체가 개방 가능하도록 벽 전체가 복수개의 인접되는 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동절기 보온을 위하여 이중문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각 벽 마다 부분 또는 전체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게 되면 통풍의 양의 조절도 가능하게 되지만, 한편으로는 통풍의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부위의 개방이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개방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통풍 목적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모세관 현상의 원리가 이용됨으로써 상부 채광 및 통풍수단(10)과 측면 채광 및 통풍 수단(30)에 의하여 건물 전체의 통풍이 이뤄지는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에는 모세관 현상의 원리 및 지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바람의 속도가 그래프로 표현되어 있다. 바람은 지면에 가까운 곳에서는 지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그 속도가 느리나, 지면에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바람의 속도는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상부 채광 및 통풍수단(10)의 높이에서는 바람의 속도가 빠르고 1층중에서도 하부측은 바람의 속도가 느리게 된다.
이때 도 4의 (a)의 첫 번째 도면에 표현된 것처럼 바람의 속도가 빠른 부위에는 공기의 압력은 낮으므로 건물 하부의 측면 채광 및 통풍수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 채광 및 통풍수단(10)을 함께 개방시키면 도 4의 (b)에서처럼 압력이 높은 하부의 바람이 실내의 공기를 몰고 압력이 낮은 상부 채광 및 통풍수단(10) 외부를 향하여 불어나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부 채광 및 통풍수단(10)의 개방 정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되면 모세관 현상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실내 환기가 필요한데도 실내 환기에 이용 될 수 있는 외부의 바람이 없는 경우에는 도 5에서처럼 굴뚝 효과가 이용될 수 있다.
굴뚝 효과는 실내의 상부와 하부 공기 온도차가 외부의 같은 높이에서의 공기 온도차 보다 클 경우 실내공기가 굴뚝을 통하여 건물의 상부로 빠져나가게 되는 원리이다. 이때 건물이 단층이더라도 하부의 측면 채광 및 통풍수단(30)에서 바람이 유입되는 부위와 상부 채광 및 통풍수단(10) 사이의 거리(h2-h1)가 대략 2미터 이상이 되면 공기 배출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할 때 실내에서의 h1 높이와 h2 높이에서의 온도차이가 실외에서의 h1 높이와 h2 높이에서의 온도차이보다 크게 되면 비록 실외에서 바람이 불지 않더라도 실내에서는 굴뚝 효과에 의하여 통풍이 이뤄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건물의 벽체를 측면 채광 및 통풍수단(30)으로 조성시킬 경우 수시로 바람의 방향이 바뀌더라도 최대한 맞바람 환기가 발생될 수 있도록 적재적소에서 각 투명 창(31) 또는 문(32)이 개방되도록 하여 통풍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한편 맞바람을 위하여 바람의 방향의 전 후로 측면 채광 및 통풍수단(30)을 개방시켜 통기시킬 경우 바람직하게는 바람의 유입구 보다는 바람의 배출구가 더 크게 되면 바람의 속도와 환기 량이 더 많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채광 및 통풍수단(10)의 효과는 환기 외에 실내 온실의 효과도 있다. 특히 동절기에는 실내의 보온이 중요한데 상부 채광 및 통풍수단(10)에 의하여 실내 공간이 온실과 마찬가지로 태양에너지를 받아들여서 실내 난방에 활용이 됨으로써 정남향을 향하는 일반주택 보다도 태양에너지에 의한 난방효과가 클 수 있게 된다.
이때 다층건물의 경우에는 중정부(20)에 의하여 실내 난방효과가 전 층에 걸쳐서 발생될 수 있다.
참고로, 중정부(20)는 복도 또는 개폐 가능한 문에 의하여 각 층의 주거 공간(34)과 연결되므로 상부 채광 및 통풍수단(10)와 측면 채광 및 통풍수단(30)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실내의 원활한 통풍을 가능케 함과 아울러 중정부(20)에서의 난방 효과가 각 층의 주거 공간(60)에 전달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측면 채광 및 통풍수단(30)에서 필요한 부분이 자유롭게 개방될 수 있기 위해서 앞서 설명된 측면 채광 및 통풍수단(30)의 투명 창(31) 또는 문(32)의 일부 또는 전부는 자동으로 개폐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측면 채광 및 통풍수단(30)에는 그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에 방충망이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이 창문에 설치될 경우 그 창문 면적에 따른 환풍량은 절반으로 감소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의 측면 채광 및 통풍수단(30)처럼 벽면 전체 내지는 벽면의 대부분이 환기에 이용될 수 있게 되면 방충망이 설치되더라도 필요한 환풍량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실내가 관측될 수 있는 경우가 방지되도록 측면 채광 및 통풍수단(30)의 전면이나 후면에는 통기성 커튼이나 베네치아 블라인드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측면 채광 및 통풍수단(3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벽체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각 관통공에는 중공의 봉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측면 채광 및 통풍수단(30)은 각각의 중공의 봉이 하나의 채널을 이루는 다채널 벽체가 되어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주택에서 통풍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다채널 벽체는 특히, 사방 벽이 개방되어 구조적으로 취약하게 될 수 있는 경우에 하중 분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즉 하중이 많이 걸리는 지점에는 중공의 봉이 좀 더 촘촘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각 중공의 봉의 앞 뒤 개구부에는 별도의 단열 마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동절기의 보온 효과 강화를 위하여 중정부(20)의 바닥은 축열성 재질의 양탄자 또는 바닥판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절기의 일조에 의한 실내 온도 상승을 막기 위하여 차양 수단(50)과는 별도로 천정 창(12)은 하절기에는 불투명 창으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굳이 하절기가 아니더라도 특수한 효과 창출을 위하여 천정 창(12)은 필요한 지점에 색채가 가미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7 : 친환경 주택 10 :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
12 : 천정 창 15 : 최 상부 창
20 : 중정부 30 : 측면 채광 및 통풍 수단
31 : 측면 창 32 : 문
40 : 실내 테라스부 50 : 차양 수단
51 : 차양막 60 : 주거 공간

Claims (5)

  1. 녹지 또는 도심지 외부의 환경에 위치하는 1층 이상의 주택에 있어서,
    지붕의 일부를 형성하며 개폐 가능하고 투명 부재로서 태양광이 투과 가능한 복수개의 천정 창을 포함하는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과;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 아래로 전 층의 바닥이 개방되어 상부로부터 채광이 이루어지고 주택 측면에서 유입되는 외기가 상부 채광 및 통풍 수단을 통해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중정부와;
    중정부의 사방에 배치되며 중정부와 서로 완전 개방되어 통기되는 주거 공간과;
    주거공간의 외벽의 일부를 이루며 복수개의 개폐 가능한 투명 창 또는 문으로 이루어지는 측면 채광 및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친환경 주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주택은 채광 및 통풍 수단의 하부에 태양광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차양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주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 수단은 태양광의 투과도가 서로 다른 재질의 복수개의 차양막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차양막은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주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택의 최상층의 일부를 이루고, 천정과 외벽은 외기와 직접 연통되는 빗살 벽체로 이루어지는 실내 테라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주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 창은 지붕보다 더 상부로 돌출되며 돌출되는 부위의 측면 수직 부재는 모두 투명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주택.
KR1020140084410A 2014-07-07 2014-07-07 친환경 주택 KR101589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410A KR101589979B1 (ko) 2014-07-07 2014-07-07 친환경 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410A KR101589979B1 (ko) 2014-07-07 2014-07-07 친환경 주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830A true KR20160005830A (ko) 2016-01-18
KR101589979B1 KR101589979B1 (ko) 2016-02-01

Family

ID=5530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410A KR101589979B1 (ko) 2014-07-07 2014-07-07 친환경 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9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6918A (zh) * 2020-07-15 2020-11-13 河北地质大学 一种新型绿色节能房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6592A (ja) * 1992-04-30 1993-1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採光窓装置
KR20090107593A (ko) * 2008-04-10 2009-10-14 주식회사 리프스토아 차광 조절이 가능한 이중 롤 블라인드
KR101049506B1 (ko) 2009-05-18 2011-07-15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건축물지붕 채광기
JP2012017613A (ja) * 2010-07-08 2012-01-26 Toyota Home Kk 建物
KR20120109031A (ko) * 2011-03-24 2012-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데크하우스 배치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6592A (ja) * 1992-04-30 1993-1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採光窓装置
KR20090107593A (ko) * 2008-04-10 2009-10-14 주식회사 리프스토아 차광 조절이 가능한 이중 롤 블라인드
KR101049506B1 (ko) 2009-05-18 2011-07-15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건축물지붕 채광기
JP2012017613A (ja) * 2010-07-08 2012-01-26 Toyota Home Kk 建物
KR20120109031A (ko) * 2011-03-24 2012-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데크하우스 배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6918A (zh) * 2020-07-15 2020-11-13 河北地质大学 一种新型绿色节能房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979B1 (ko)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817940U (zh) 一种内循环双层幕墙
JP2005105732A (ja) 換気機能付き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物
JP2013177756A (ja) ダブルスキン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空調システム
Hatamipour et al. Passive cooling systems in buildings: some useful experiences from ancient architecture for natural cooling in a hot and humid region
CN103835416A (zh) 一种内循环呼吸式双层幕墙
WO2008028349A1 (fr) Mur-rideau comprenant un espace libre et procédé de construction
KR101650811B1 (ko) 리노베이션 건물의 에너지절약 외피통풍구조
JP4561450B2 (ja) 住宅
KR101589979B1 (ko) 친환경 주택
KR101586109B1 (ko) 하이브리드 윈도우 시스템
KR20100081452A (ko) 발코니부 설치형 이중외피 시스템 및 실내 환경 제어방법
JP3944181B2 (ja) 建物空調システム
JP5520194B2 (ja) 建物群の導風システム
JP2678840B2 (ja) 建築物
KR101265790B1 (ko)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창호
JP5410112B2 (ja) 建物の換気構造
CN204753916U (zh) 一种内循环双层呼吸式节能幕墙
KR20130114967A (ko) 자연환기가 가능한 친환경 건물
KR101424632B1 (ko) 자연채광이 가능한 친환경 건물
Steemers Environmental issues of building design
CN104963435A (zh) 一种内循环双层呼吸式节能幕墙
KR101590723B1 (ko) 수직통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구조
JP2016056533A (ja) 建物
Fosdick et al. Passive solar heating
CN110541663A (zh) 建筑新风营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