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664A -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 - Google Patents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664A
KR20160005664A KR1020150096769A KR20150096769A KR20160005664A KR 20160005664 A KR20160005664 A KR 20160005664A KR 1020150096769 A KR1020150096769 A KR 1020150096769A KR 20150096769 A KR20150096769 A KR 20150096769A KR 20160005664 A KR20160005664 A KR 20160005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eno
pyrimidin
group
amino
meth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태보
윤호종
허우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6000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6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에 관한 것으로서, 급성골수성백혈병의 저해활성과 FLT3 점돌연변이종에 대한 저해활성을 가지고 있는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예방 및 경감에 유용하다.

Description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Targeted Therapeutic Agent of Acute Myeloid Leukemia with Reduced Side Effect}
본 발명은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급성골수성백혈병 (Acute Myeloid Leukemia, AML)은 치명적인 혈액질환 중 하나로, 혈액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분화하면서 끊임없이 증식하는 질병이다. FLT3 (Fms-Like tyrosine receptor kianse-3)는 조혈작용 및 백혈병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로, 대부분의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에게서 과다 발현되어 있다. AML 환자의 약 20∼25% 경우 FLT3 유전자가 FLT3-ITD로 돌연변이화 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연변이는 조기 진단을 어렵게 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이러한 돌연변이 이외에도, 활성화 루프 (activation loop) 혹은 게이트키퍼 (gatekeeper) 부분에 FLT3 점돌연변이가 유발된 사례들이 잇달아 보고되고 있다. 이는 지속적인 FLT3의 자가인산화를 유발하여, 암의 분화 및 증식과 관련된 하위 신호들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AML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개발되어 있는 FLT3를 타겟으로 하는 신약 후보물질로는 PKC412, 소라페닙 (Sorafenib), 퀴자티닙 (Quizartinib) 등이 임상시험에 진입하여 있다. 그러나 상기 후보물질들은 FLT-ITD의 점돌연변이종 (특히 FLT3-ITD-F691L, FLT3-ITD-D835Y 등)에는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한편, FAK (Focal adhesion kinase)은 성장인자 신호전달 체계를 조절해서 세포의 이동, 증식, 생존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정상적인 세포의 경우 FAK를 경유하는 신호전달은 매우 엄격하게 통제되지만, 종양으로 변한 세포의 경우에는 FAK 자체가 과발현 또는 과다활성화 되어 악성종양의 여러 특징들을 야기한다. FAK는 암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침윤 및 이동을 증가시켜 암세포의 전이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FAK는 암세포 사멸을 억제하고 혈관신생 (angiogenesis)를 유발한다고도 보고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47,550호(특허문헌 1)에서 2,7-치환된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을 합성하고, 이들 화합물이 성장 인자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다양한 단백질 키나아제에 대하여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이들 단백질 키나아제에 의해 유발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함을 밝힌 바 있다. 즉,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2,7-치환된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이 ALK, Aurora A, EphA1, FAK, FLT3, Fms, Itk, KDR, Kit, Met, Ret, Src, Syk, Tie2, TrkB 의 다양한 단백질 키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하고, 각종 종양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 유용하다고 기재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47,550호
본 발명자들은 종양 질환 중에서도 치명적이라 할 수 있는 급성골수성백혈병 (AML)의 표적치료, 예방 및 경감에 유효한 화합물을 개발하고자 지속적으로 연구하였다. 급성골수성백혈병 (AML)의 경우 FLT3 점돌연변이종에 의해 유래된 질환으로서, 아직까지 뚜렷한 치료약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급성골수성백혈병 세포주인 Molm14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이외에도 FLT3 점돌연변이종에 대한 저해활성도 동시에 가지는 화합물을 선별하였고, 또한 이렇게 선별된 화합물이 약물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in vivo 실험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급성골수성백혈병의 저해활성과 FLT3 점돌연변이종에 대한 저해활성을 가지고 있는,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예방 및 경감에 유용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7-치환된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는,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예방 및 경감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X1은 질소원자; 또는 -CH-R3 (이때, R3은 수소원자, C1∼C6 알콕시기 또는 몰포리노기이다)를 나타내고,
X2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
R1은 C1∼C6 알콕시기; 또는 N 및 O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가 1 내지 2개 포함된 5각형 또는 6각형의 헤테로고리기, 또는 -C(O)-헤테로고리기 (이때 헤테로고리기는 C1∼C6 알킬, 피페리디닐 및 1-(C1∼C6 알킬)피페리디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다)를 나타내고,
R2는 니트로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NR4R5 (이때 R4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킬설포닐기이다), -COOR6 (이때 R6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다), -CONR7R8 (이때 R7 및 R8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다), 또는 -(CH2)k-OR9 (이때 k는 1 내지 6의 정수이고, R9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카보닐기이다)를 나타내고;
n은 치환기 R2의 치환 개수로서 1 내지 5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급성백혈병 세포인 Molm14에 대한 증식 억제활성을 가지고 있고, FLT3 점돌연변이종으로서 게이트키퍼(gatekeeper) 변이종, D835 변이종 및 ITD 변이종에 대한 억제활성을 가지므로, 급성골수성백혈병의 표적치료, 예방 및 경감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약물 독성이 매우 낮아서 고용량의 투여가 가능하므로, 질환의 치료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약물 부작용을 크게 저감시키면서 급성골수성백혈병을 치료, 예방 또는 경감시키는 효과가 탁월하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7-치환된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는,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예방 및 경감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X1은 질소원자; 또는 -CH-R3 (이때, R3은 수소원자, C1∼C6 알콕시기 또는 몰포리노기이다)를 나타내고,
X2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
R1은 C1∼C6 알콕시기; 또는 N 및 O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가 1 내지 2개 포함된 5각형 또는 6각형의 헤테로고리기, 또는 -C(O)-헤테로고리기 (이때 헤테로고리기는 C1∼C6 알킬, 피페리디닐 및 1-(C1∼C6 알킬)피페리디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다)를 나타내고,
R2는 니트로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NR4R5 (이때 R4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킬설포닐기이다), -COOR6 (이때 R6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다), -CONR7R8 (이때 R7 및 R8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다), 또는 -(CH2)k-OR9 (이때 k는 1 내지 6의 정수이고, R9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카보닐기이다)를 나타내고;
n은 치환기 R2의 치환 개수로서 1 내지 5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 치환기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알킬기'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직쇄상, 분쇄상, 고리상의 탄소사슬을 모두 포함하며, 선호하는 알킬기는 메틸, 에틸기, 노말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싸이클로프로필기, 노말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노말헥실기, 싸이클로헥실기 등이 있다. '알콕시기'는 산소에 연결된 탄소의 알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때 알킬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할로알킬기'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아이오도와 같은 할로겐원자가 1 내지 13개 포함되고,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직쇄상, 분쇄상의 탄소사슬을 모두 포함하며, 선호하는 할로알킬기는 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1,2-디클로로에틸기, 1,1-디클로로에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등이 있다. '헤테로고리기'는 N, O로 구성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 및 탄소원자로 구성되는 싸이클로알킬기로서,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몰포리노, 피롤리디닐, 피라졸리디닐, 트리아졸리디닐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바람직하기로는 다음과 같다: 상기 X1은 -CH-R3 (이때, R3은 수소원자, C1∼C6 알콕시기 또는 몰포리노기이다)를 나타내고; 상기 X2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 상기 R1은 몰포리노기, 4-(C1∼C6 알킬)피페라지닐기, 1-(C1∼C6 알킬피페리딘-4-일)피페라지닐기, 또는 -C(O)-몰포리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R2는 니트로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NR4R5 (이때 R4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킬설포닐기이다), -COOR6 (이때 R6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다), -CONR7R8 (이때 R7 및 R8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다), 또는 -(CH2)k-OR9 (이때 k는 1 내지 6의 정수이고, R9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카보닐기이다)를 나타내고; 상기 n은 치환기 R2의 치환 개수로서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다음과 같다: 상기 X1은 -CH-R3 (이때, R3은 C1∼C6 알콕시기이다)를 나타내고; 상기 X2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 상기 R1은 (C1∼C6 알킬)피페라지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R2는 -NR4R5 (이때 R4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킬설포닐기이다)를 나타내고; 상기 n은 치환기 R2의 치환 개수로서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에틸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조에이트;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조산;
N-시클로프로필-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자미드;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N,N-디메틸벤자미드;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N-(3,4,5-트리메톡시페닐)벤자미드;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올;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질 아세테이트;
N-(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7-(3-니트로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7-(3-아미노페닐)-N-(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N-(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7-(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N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N7-(3,4,5-트리메톡시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7-디아민;
N-메틸-N-(3-(2-((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N-메틸메탄설폰아미드;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N-메틸메탄설폰아미드;
N-(3-(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2-메톡시-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2-이소프로폭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6-(4-에틸피페라진-1-일)-2-이소프로폭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2-이소프로폭시-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2-메톡시-4-(몰폴린-4-카보닐)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6-메톡시-2-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6-몰폴리노피리다진-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염산, 브롬산, 술폰산, 아미도황산, 인산, 질산과 같은 무독성의 무기산, 또는 프로피온산, 숙신산, 글리콜산, 스테아르산, 젖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파라톨루엔설폰산, 메탄설폰산과 같은 무독성의 유기산과 함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산의 염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7-치환된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87,400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하기 반응식 1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7-치환된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의 대표적인 제조방법에 대한 일구현를 예시한 것이다. 하기 반응식 1에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클로로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민 화합물을 원료물질로 사용하여, 유기금속화합물을 이용한 부크왈드 아민화반응 (Buckwald amination)을 통해 본 발명이 목적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7-치환된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을 제조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3
(상기 반응식 1에서, X1, X2, R1, R2 및 n은 각각 상기에서 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1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수행하게 되는 부크왈드 아민화 반응에서는 금속 화합물로서 Pd2(dba)3, Pd(OAc)2, PdCl2(PPh3)2, Pd(PPh3)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리간드로서 Xantphos(Cas number: 161265-03-8), Davephos(Cas number: 213697-53-1), Johnphos(Cas number: 224311-51-7), X-phos(Cas number: 564483-18-7), tert-Butyl Xphos(Cas 564483-19-8)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염기로서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탄산염, 황산염, 인산염, 알콕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K2CO3, CsCO3, Na2CO3, K3PO4, NaOt-Bu, KOt-Bu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세인,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N,N-다이메틸설폭사이드, 2-부탄올, 2-펜탄올 등이 포함되는 통상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50℃ 내지 200℃ 범위이며, 바람직하기로는 80℃ 내지 150℃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급성백혈병 세포 Molm14에 대한 증식 억제활성이 우수하다. 또한, 다양한 단백질 키나아제, 예를 들면 ACK1, ALK, ARK5/NUAK1, CAMK1d, CK2a, CLK1, DAPK1, DRAK1/STK17A, DYPK1/DYRK1A, FAK/PK2, FER, FES/FPS, FLT3, HIPK4, IGF1R, IR, IRR/INSRR, JAK2, LRRK2, MELK, MLCK/MYLK, MLK1/MAP3K9, NEK1, PHKg1, PKCmu/PRKD1, PKN1/PRK1, PLK1, PYK2, ROS/ROS1, RSK3, SIK2, STK16, TNK1, TYK1/LTK, ULK1, ZIPK/DAPK3 에 대한 우수한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FLT3 점돌연변이종으로서 게이트키퍼(gatekeeper) 변이종, D835 변이종 및 ITD 변이종에 대한 억제활성을 나타내고, 약물 독성이 낮아서 약물 부작용없이 급성골수성백혈병을 표적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7-치환된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통상의 무독성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보강제 및 부형제 등을 첨가하여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제제,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트로키제, 액제, 현탁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 또는 비경구투여용 제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부형제로는 감미제, 결합제, 용해제, 용해보조제, 습윤제, 유화제, 등장화제, 흡착제, 붕해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활탁제, 충진제, 방향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락토스,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글라이신, 실리카, 탈크, 스테아린산, 스테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염, 마그네슘 알루미늄 규산염, 녹말, 젤라틴, 트라가칸트 고무, 알지닌산, 소디움 알진산염, 메틸셀룰로오스, 소디움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아가, 물,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오렌지 엣센스, 딸기 엣센스, 바닐라 향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몸무게가 70 kg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01 ∼ 1,000 mg/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제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하기의 실시예, 제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에틸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조에이트
하기와 같이 5 단계의 합성 과정을 통해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1: 6-클로로-2-메톡시-3-니트로피리딘
Figure pat00004
2,6-디클로로-3-니트로피리딘 (100 mg, 0.52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 mL)에 녹인 후, 차례로 메탄올 (0.02 mL, 0.52 mmol) 및 소듐 하이드라이드 (31 mg, 0.78 mmol, 60% dispersion in mineral oil)를 가하였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묽힌 후 물로 반응을 종결시켰다. 유기층을 물/소금물을 이용하여 수차례 씻어준 준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켜 여과 후 농축하였다.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3%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38 mg, 39% yield)을 얻었다. MS m/z : 188.00, 189.98 [M+1].
단계 2: 4-(6-메톡시-5-니트로피리딘-2-일)몰폴린
Figure pat00005
6-클로로-2-메톡시-3-니트로피리딘 (300 mg, 1.59 mmol)을 아세토니트릴 (5.3 mL)에 녹인 후, 몰폴린 (0.17 mL, 1.91 mmol) 및 탄산칼륨 (330 mg, 2.39 mmol)을 가하였다. 이후 상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 혼합용액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켜 여과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을 이용하여 표제화합물을 추출하였다. 얻은 유기층을 물/소금물로 수차례 씻어준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켜 여과 후 농축하였다.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33%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300 mg, 79% yield)을 얻었다. MS m/z : 239.09, 240.18 [M+1].
단계 3: 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아민
Figure pat00006
4-(6-메톡시-5-니트로피리딘-2-일)몰폴린 (300 mg, 1.25 mmol)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에 녹인 후 팔라듐/탄소 (25 mg)을 가한 후, 수소풍선을 이용하여 수소기체를 가압하였다. 상온에서 6 시간 교반 후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켜 여과하고, 별도의 정제 없이 농축하여 표제화합물 (261 mg, 99% yield)을 얻었다. MS m/z : 209.12, 210.12 [M+1].
단계 4: 에틸 4-(2-클로로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조에이트
Figure pat00007
7-브로모-2-클로로티에노[3,2-d]피리미딘 (300 mg, 1.2 mmol)을 다이옥산 (4 mL)에 녹인 후 2.0 N 탄산나트륨 (1.8 mL, 3.6 mmol)과 (4-(에톡시카보닐)페닐)보로닉산 (350 mg, 1.8 mmol)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용액에 질소를 10분 동안 흘려 준 후 Pd2(PPh3)Cl2 (84 mg, 0.12 mmol)과 2-다이-tert-부틸포스피노-3,4,5,6-테트라메틸-2′,4′,6′-트리이소프로필-1,1′-바이페닐 (t-ButylXphos; 51 mg, 0.12 mmol)를 넣어 주었다. 반응 혼합용액을 90 ℃에서 6 시간 교반 후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이 여과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묽힌 뒤 소금물로 닦아 준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20% 에틸아세테이트/헥세인)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299 mg, 78% yield)을 얻었다. MS m/z : 318.02, 319.14 [M+1].
단계 5: 에틸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조에이트
Figure pat00008
에틸 4-(2-클로로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조에이트 (299 mg, 0.939 mmol)를 2-부탄올 (10 mL)에 녹인 후 탄산세슘 (919 mg, 2.82 mmol)과 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아민 (196 mg, 0.93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10분 동안 질소기체를 흘려 준 뒤,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 (Pd2dba3 (86 mg, 0.094 mmol)와 tBuXphos (40 mg, 0.09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 ℃에서 6 시간 교반 후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묽힌 뒤 소금물로 닦아 주었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켜 여과 후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25%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244 mg, 53% yield)을 얻었다. MS m/z : 491.16, 492.18 [M+1].
실시예 2: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조산
Figure pat00009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에틸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조에이트 (67 mg, 0.136 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메탄올/물(5:3:2, 2 mL) 혼합용매에 녹인 후, 수산화리튬(33 mg, 1.36 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6 시간 교반 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묽히고 6 N 염산을 가하여 pH를 2∼3 정도로 조절하였다. 이후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켜 여과 후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표제화합물 (63 mg, 99% yield)을 얻었다. MS m/z : 463.13, 464.21 [M+1].
실시예 3: N-시클로프로필-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자미드
Figure pat00010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조산 (21 mg, 0.045 mmo)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 mL)에 녹인 후, 시클로프로필아민 (0.01 mL, 0.045 mmol), 1-[비스(다이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ATU; 51 mg, 0.135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02 mL, 0.135 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6 시간동안 교반 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묽히고 물로 수차례 추출하여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수층으로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켜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정제를 수행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502.18, 503.27 [M+1].
실시예 4: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N,N-디메틸벤자미드
Figure pat00011
다이메틸아민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490.18, 491.17 [M+1].
실시예 5: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N-(3,4,5-트리메톡시페닐)벤자미드
Figure pat00012
3,4,5-트리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628.21, 629.33 [M+1].
실시예 6: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올
Figure pat00013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에틸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조에이트 (30 mg, 0.06 mmo)를 테트라히드로푸란 (1.2 mL)에 녹이고, 0 ℃로 냉각시킨 후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용액 (2.0 M in 테트라히드로푸란, 0.04 mL, 0.09 mmol)을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켜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정제를 수행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449.15, 450.25 [M+1].
실시예 7: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질 아세테이트
Figure pat00014
상기 실시예 6에서 얻은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올 (27 mg, 0.06 mmo)을 디클로로메탄 (1.2 mL)에 녹인 후, 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0.01 ml, 0.06 mmoL), 트리에틸아민 (0.02 mL, 0.12 mmol)을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 후,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디클로로메탄을 가하여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켜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정제를 수행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491.16, 492.26 [M+1].
실시예 8: N-(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7-(3-니트로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Figure pat00015
3-니트로페닐보로닉산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4 및 단계 5의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464.13, 465.16 [M+1].
실시예 9: 7-(3-아미노페닐)-N-(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Figure pat00016
상기 실시예 8에서 얻은 N-(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7-(3-니트로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9 mg, 0.015 mmol)을 에탄올 (1 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염화주석(Ⅱ) (17 mg, 0.075 mmol)을 가한 후 80 ℃로 가온하여 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이 종결된 것을 확인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묽힌 후 암모니아수와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용액을 씻어주었다. 이후 생긴 고체를 여과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434.15, 436.18 [M+1].
실시예 10: N-(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7-(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Figure pat00017
2-트리플루오로메틸보로닉산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4 및 단계 5의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487.13, 488.18 [M+1].
실시예 11: N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N7-(3,4,5-트리메톡시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7-디아민
Figure pat00018
3,4,5-트리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5의 방법으로 부크왈드 아민화반응 (Buckwald amination)을 2회 연달아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524.18, 525.24 [M+1].
실시예 12 : N-메틸-N-(3-(2-((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하기와 같이 5 단계의 합성 과정을 통해 실시예 12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1 : N-(3-(2-클로로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pat00019
(3-(메틸설폰아미도)페닐)보로닉산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4의 방법으로 스즈키 결합반응을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339.81, 340.52 [M+1].
단계 2 : N-(3-(2-클로로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N-메틸메탄설폰아미드
Figure pat00020
N-(3-(2-클로로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212 mg, 0.624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3 mL)에 녹인 후, 0 ℃에서 소듐 하이드라이드 (38 mg, 60% dispersion in mineral oil, 0.936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10분간 교반한 후, 요오드화메틸 (0.05 mL, 0.749 mmol)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으로 온도를 올려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묽힌 후 물을 천천히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켜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정제를 수행하여 표제화합물(180 mg, 81% yield)을 얻었다. MS m/z : 353.84, 354.62 [M+1].
단계 3 : 1-(1-메틸피페리딘-4-일)-4-(5-니트로피리딘-2-일)피페라진
Figure pat00021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과 1-(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4 : 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아민
Figure pat00022
1-(1-메틸피페리딘-4-일)-4-(5-니트로피리딘-2-일)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5 : N-메틸-N-(3-(2-((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pat00023
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아민과 N-(3-(2-브로모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N-메틸메탄설폰아미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크왈드 아민화 반응을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592.24, 593.93 [M+1].
실시예 13 : N-(3-(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N-메틸메탄설폰아미드
Figure pat00024
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아민과 N-(3-(2-브로모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N-메틸메탄설폰아미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크왈드 아민화 반응을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526.15, 527.54 [M+1].
실시예 14 :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N-메틸메탄설폰아미드
하기와 같이 3 단계의 합성 과정을 통해 실시예 14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1 : 1-에틸-4-(6-메톡시-5-니트로피리딘-2-일)피페라진
Figure pat00025
6-클로로-2-메톡시-3-니트로피리딘과 에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266.14, 267.34 [M+1].
단계 2 : 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아민
Figure pat00026
1-에틸-4-(6-메톡시-5-니트로피리딘-2-일)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236.16, 237.04 [M+1].
단계 3 :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N-메틸메탄설폰아미드
Figure pat00027

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아민과 N-(3-(2-브로모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N-메틸메탄설폰아미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크왈드 아민화 반응을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553.19, 554.74 [M+1].
실시예 15 : N-(3-(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pat00028
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아민과 N-(3-(2-브로모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크왈드 아민화 반응을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512.13, 513.56 [M+1].
실시예 16 :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pat00029
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아민과 N-(3-(2-브로모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크왈드 아민화 반응을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539.18, 540.16 [M+1].
실시예 17 : N-(3-(2-((2-메톡시-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하기와 같이 3 단계의 합성 과정을 통해 실시예 17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1 : 1-(6-메톡시-5-니트로피리딘-2-일)-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
Figure pat00030
6-클로로-2-메톡시-3-니트로피리딘과 1-(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335.20, 336.24 [M+1].
단계 2 : 2-메톡시-6-(4-(1-메틸피페리딘-1-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아민
Figure pat00031
1-(6-메톡시-5-니트로피리딘-2-일)-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305.22, 306.17 [M+1].
단계 3 : N-(3-(2-((2-메톡시-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pat00032
2-메톡시-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아민과 N-(3-(2-브로모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크왈드 아민화 반응을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608.24, 609.33 [M+1].
실시예 18 : N-(3-(2-((2-이소프로폭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하기와 같이 4 단계의 합성 과정을 통해 실시예 18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1: 6-클로로-2-이소프로폭시-3-니트로피리딘
Figure pat00033
2,6-디클로로-3-니트로피리딘과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216.03, 217.18 [M+1].
단계 2: 4-(6-이소프로폭시-5-니트로피리딘-2-일)몰폴린
Figure pat00034
6-클로로-2-이소프로폭시-3-니트로피리딘과 몰폴린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267.12, 268.31 [M+1].
단계 3: 2-이소프로폭시-6-몰폴리노피리딘-3-아민
Figure pat00035
4-(6-이소프로폭시-5-니트로피리딘-2-일)몰폴린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237.15, 238.27 [M+1].
단계 4 : N-(3-(2-((2-이소프로폭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pat00036
2-이소프로폭시-6-몰폴리노피리딘-3-아민과 N-(3-(2-브로모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크왈드 아민화 반응을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540.16, 541.37 [M+1].
실시예 19 : N-(3-(2-((6-(4-에틸피페라진-1-일)-2-이소프로폭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하기와 같이 3 단계의 합성 과정을 통해 실시예 19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1: 1-에틸-4-(6-이소프로폭시-5-니트로피리딘-2-일)피페라진
Figure pat00037
6-클로로-2-이소프로폭시-3-니트로피리딘과 에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294.17, 295.32 [M+1].
단계 2: 6-(4-에틸피페라진-1-일)-2-이소프로폭시피리딘-3-아민
Figure pat00038
1-에틸-4-(6-이소프로폭시-5-니트로피리딘-2-일)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크왈드 아민화 반응을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264.20, 265.13 [M+1].
단계 3 : N-(3-(2-((6-(4-에틸피페라진-1-일)-2-이소프로폭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pat00039
2-이소프로폭시-6-몰폴리노피리딘-3-아민과 N-(3-(2-브로모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크왈드 아민화 반응을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567.21, 568.20 [M+1].
실시예 20 : N-(3-(2-((2-이소프로폭시-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하기와 같이 3 단계의 합성 과정을 통해 실시예 20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1: 1-(6-이소프로폭시-5-니트로피리딘-2-일)-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
Figure pat00040
6-클로로-2-이소프로폭시-3-니트로피리딘과 1-(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363.23, 364.87 [M+1].
단계 2: 2-이소프로폭시-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아민
Figure pat00041
1-(6-이소프로폭시-5-니트로피리딘-2-일)-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333.25, 334.18 [M+1].
단계 3 : N-(3-(2-((2-이소프로폭시-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pat00042
2-이소프로폭시-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아민과 N-(3-(2-브로모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크왈드 아민화 반응을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636.27, 637.35 [M+1].
실시예 21 : N-(3-(2-((2-메톡시-4-(몰폴린-4-카보닐)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하기와 같이 2 단계의 합성 과정을 통해 실시예 21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1 : (4-아미노-3-메톡시페닐)(몰폴리노)메타논
Figure pat00043
4-아미노-3-메톡시벤조산 (1 g, 5.98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30 mL)에 녹인 후, 3-에틸-1-(N,N-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 (EDCI; 2.3 g, 14.95 mmol),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 1.2 g, 8.97 mmol)을 가하고, 뒤이어 몰폴린 (0.54 mL, 6.28 mmol)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3.12 mL, 17.94 mmol)을 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을 이용해 추출하였다. 얻은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켜 여과 후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60%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107 mg, 78% yield)을 얻었다. MS m/z : 236.27, 237.38 [M+1].
단계 2 : N-(3-(2-((2-메톡시-4-(몰폴린-4-카보닐)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pat00044
(4-아미노-3-메톡시페닐)(몰폴리노)메타논과 N-(3-(2-브로모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크왈드 아민화 반응을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539.13, 540.21 [M+1].
실시예 22 : N-(3-(2-((6-메톡시-2-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하기와 같이 4 단계의 합성 과정을 통해 실시예 22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1: 2-클로로-6-메톡시-3-니트로피리딘
Figure pat00045
2,6-디클로로-3-니트로피리딘과 메탄올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188.00, 189.02 [M+1].
단계 2: 4-(6-메톡시-3-니트로피리딘-2-일)몰폴린
Figure pat00046
2-클로로-6-메톡시-3-니트로피리딘과 몰폴린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239.09, 240.18 [M+1].
단계 3: 6-메톡시-2-몰폴리노피리딘-3-아민
Figure pat00047
4-(6-메톡시-3-니트로피리딘-2-일)몰폴린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209.12, 210.32 [M+1].
단계 4 : N-(3-(2-((6-메톡시-2-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pat00048
6-메톡시-2-몰폴리노피리딘-3-아민과 N-(3-(2-브로모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크왈드 아민화 반응을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512.13, 513.64 [M+1].
실시예 23 : N-(3-(2-((6-몰폴리노피리다진-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pat00049
6-몰폴리노피리다진-3-아민과 N-(3-(2-브로모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를 이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크왈드 아민화 반응을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MS m/z : 483.11, 484.21 [M+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제제예 1 : 정제(직접 가압)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4.1 ㎎, 크로스포비돈 USNF 0.8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2 : 정제(습식 조립)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6.0 ㎎과 녹말 4.0 ㎎을 섞었다. 폴리솔베이트 80 0.3 ㎎을 순수한 물에 녹인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다이옥사이드 2.7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과 섞었다.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3 : 분말과 캡슐제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에, 락토스 14.8 ㎎, 폴리비닐 피롤리돈 10.0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와 함께 섞었다.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단단한 No. 5 젤라틴 캡슐에 채웠다.
제제예 4 : 주사제
활성성분으로서 100 mg을 함유시키고, 그 밖에도 만니톨 180 mg, Na2HPO4·12H2O 26 mg 및 증류수 2974 mg를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FAK 키나아제 저해 활성
full sequence FAK 효소는 Cell signaling 회사에서 구매 (품목번호 : 7796)하였다. ULight-poly GT (Perkinelmer #TRF0100-D)와 Eu-anti-phospho-Tyr(PT66) (Perkinelmer #AD0068)와 란스 검출 용액(Lance detection buffer) (Perkinelmer #CR-97-100)은 Perkinelmer 회사에서 구매하였다. 키나아제 용액 (50 mM Tris-HCL pH 7.5, 10 mM MgCl2, 1 mM EGTA, 2 mM DTT, 0.01% Tween-20)에 6 nM로 희석된 FAK 효소(2X)를 흰색 384 옵티플레이트 안에 최종농도 3 nM가 되게 하여 5 μL 넣고, 4X로 만들어진 ULight-poly GT는 최종 농도가 100 nM가 되게 하며 ATP (Sigma #A2383)는 최종 농도가 10 μM 되게 하여 각각 2.5 μL 씩 넣고, 12 단계로 순차적으로 희석된 화합물을 0.5 μL 처리하여 잘 흔들고 6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란스 검출 용액(Lance detection buffer)에 희석된 에틸렌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 최종 농도 40 mM)을 5 μL 넣고 5분 동안 실온에 방치하여 반응을 중단시키고 역시 검출 용액에 희석된 4X Eu-anti-phospho-Tyr(PT66)인 선택적 인산화 항체를 최종 농도 1 uM로 5 μL 넣은 후 실온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자극 파장 320 nm, 방출 파장 665 nm에서 시간에 따른 형광 반향의 에너지 이동(TR-FRET)을 검출할 수 있게 조정한 후 EnVision 멀티라벨 리더로 신호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에는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실시예 16 화합물)를 1 uM 농도로 시료를 처리하였을 때 80%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내는 키나아제의 목록이다.
ACK1 MARK2/PAR-1Ba
ALK MELK
ARK5/NUAK1 MLCK/MYLK
CAMK1d MLK1/MAP3K9
CK2a NEK1
CLK1 PHKg1
DAPK1 PKCmu/PRKD1
DRAK1/STK17A PKD2/PRKD2
DYRK1/DYRK1A PKN1/PRK1
FAK/PTK2 PLK1
FER PYK2
FES/FPS ROS/ROS1
FLT3 RSK3
HIPK4 SIK2
IGF1R STK16
IR TNK1
IRR/INSRR TYK1/LTK
JAK2 ULK1
LRRK2 ZIPK/DAPK3
실험예 2. 급성백혈병 세포주의 증식 억제 활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23에서 합성한 화합물에 대하여 급성백혈병 세포주인 Molm14 (FLT3-ITD mt/FLT3-wt 과발현 세포)의 증식 억제능을 측정하여 산출한 GI50 값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Molm14 증식억제능
(GI50, μM)
 구 분 Molm14 증식억제능
(GI50, μM)
실시예 1 < 1 실시예 13 < 1
실시예 2 < 1 실시예 14 < 1
실시예 3 < 1 실시예 15 < 1
실시예 4 < 1 실시예 16 < 1
실시예 6 < 1 실시예 17 < 1
실시예 7 < 1 실시예 18 < 1
실시예 8 < 1 실시예 19 < 1
실시예 9 < 1 실시예 20 < 1
실시예 10 < 1 실시예 21 < 1
실시예 11 < 1 실시예 22 < 1
실시예 11 < 1 실시예 23 < 1
실시예 12 < 1    
실험예 3. FLT3 돌연변이 저해활성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실시예 16 화합물)에 대하여, FLT3 점 돌연변이종인 게이트키퍼(gatekeeper) 변이종, D835 변이종 및 ITD 변이종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저해능
FLT3-ITD-F691L 게이트키퍼 변이종 저해능, IC50 22 nM
FLT3-D835Y 변이종 저해능, IC50 1.7 nM
FLT3-ITD 변이종 저해능, IC50 1.5 nM
MV4-11 세포 증식억제능, GI50 25.4 nM
Molm14 세포 증식억제능, GI50 18.3 nM
RS4-11 세포 증식억제능, GI50 568 nM
실험예 4. CYPs (cytochrome P450) 저해능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하여 약물 부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대사를 담당하고 있는 간의 CYPs (cytochrome P450) 효소의 활성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4에는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실시예 16 화합물)에 대하여 5종의 CYPs 효소의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 의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CYPs 활성을 전혀 저해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 분 CYP 억제능 (IC50)
1A2 2D6 2C9 2C19 3A4
시험물질 > 10 uM > 10 uM > 10 uM > 10 uM > 10 uM
실험예 5. 대사안정도 (microsomal stability)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실시예 16 화합물)에 대하여 대사안정도 (microsomal stability) 측정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종류 시간 (분) 시험약물 양성대조군(Midazolam) 



0 100.00% 100.00%
5 81.66% 1.20%
10 71.98% 0.39%
15 60.43% 0.27%
30 38.78% -
45 24.17% -
60 16.34% -
T1/2(min) 22.99 NA



인간
0 100.00% 100.00%
5 97.26% 44.33%
10 94.65% 13.81%
15 85.44% 1.33%
30 80.86% -
45 72.44% -
60 68.67% -
T1/2(min) 106.89 NA
실험예 6. in vivo 약물동력학 프로파일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실시예 16 화합물)을 렛트 플라즈마 모델 (Sprague-Dawley rat)에 정맥내 주사 및 경구투여 방식으로 5 mg/kg 투여하였을 때 약물 동력학 프로파일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 분 정맥내 주사 경구투여
t1/2 (hr) 3.73 2.67
Tmax (hr) 0.083 4.00
Cmax (ng/mL) 1224.6 358.6
AUC0-t (ng/min*mL) 4351.84 2353.41
AUC0-∞ (ng/min*mL) 4389.15 2563.62
Vz (L/kg) 9.40 -
CL (L/hr/kg) 1.67 -
MRT0-∞ (hr) 4.82 5.61
F (%) - 58
실험예 7. 유전독성실험(AMES test)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실시예 16 화합물)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S. typhimurium) TA98, TA100 두 균주를 사용하여 유전독성(AMES)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 및 표 8에 나타내었는데,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돌연변이 유발의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돌연변이 콜로니 수
약물
(ug/plate)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TA98
Plate No. Mean SD R*
1 2 3
5000.0 11 9 21 13.667 6.429 0.75
1666.7 24 21 2 15.667 11.930 0.85
555.6 17 7 1 8.333 8.083 0.45
185.2 32 35 16 27.667 10.214 1.51
61.7 30 18 25 24.333 6.028 1.33
20.6 23 16 18 19.000 3.606 1.04
6.9 14 16 12 14.000 2.000 0.76
2.3 20 14 32 22.000 9.165 1.20
0.76 24 18 27 23.000 4.583 1.25
0.25 19 21 17 19.000 2.000 1.04
Blank(PBS) 28 23 21 24.000 3.606 1.31
부형제(DMSO) 16 20 19 18.333 2.082
* R= [각 실험군의 Mean값]/[부형제군의 Mean값]
돌연변이 콜로니 수/플레이트
약물
(ug/plate)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TA100
Plate No. 1 2 3 Mean SD R*
5000.0 87 91 76 84.667 7.767 1.23
1666.7 57 69 66 64.000 6.245 0.93
555.6 76 113 164 117.667 44.185 1.71
185.2 87 65 74 75.333 11.060 1.10
61.7 84 110 77 90.333 17.388 1.32
20.6 92 71 100 87.667 14.978 1.28
6.9 77 95 103 91.667 13.317 1.33
2.3 84 74 102 86.667 14.189 1.26
0.76 71 83 79 77.667 6.110 1.13
0.25 81 77 64 74.000 8.888 1.08
Blank(PBS) 108 140 124 124.000 16.000 1.81
부형제(DMSO) 61 92 53 68.667 20.599
* R= [각 실험군의 Mean값]/[부형제군의 Mean값]
실험예 8. in vivo 독성 실험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실시예 16 화합물)에 대한 독성 확인을 위해서, 쥐 모델에 2주 동안 투여하면서 독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9 및 표 10에 나타내었는데,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고 용량으로 2주 동안 반복 투여하여도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구 분 투여량
(mg/kg)
실험기간
1일 3일 8일 10일 14일
숫쥐 Mean
0
21.88 22.83 26.10 26.25 27.16
SD 0.62 0.73 091 1.01 0.97
암쥐 Mean 22.03 22.03 22.93 23.33 23.93
SD 0.72 0.76 0.80 1.06 1.38
숫쥐 Mean
100
22.08 22.85 25.10 26.28 27.50
SD 0.17 0.47 0.67 0.64 0.56
암쥐 Mean 21.43 22.08 23.33 24.15 24.35
SD 0.69 0.83 0.92 1.18 1.13
숫쥐 Mean
200
22.43 22.80 24.98 26.58 27.78
SD 0.39 0.85 0.46 0.43 0.69
암쥐 Mean 21.83 22.23 23.15 23.85 24.30
SD 0.21 0.22 0.63 0.48 0.60
구분 투여량
(mg/kg)
적혈수
(1012/L)
헤모글로빈
(g/L)
헤마토크릿(%) MCV
(fL)
MCH
(pg)
MCHC
(g/L)
혈소판
(109/L)
망상적혈구
(%)
숫쥐 Mean
0
10.03 149 47.5 47.4 14.8 314 1753 4.19
SD 0.20 4 1.7 1.1 0.2 7 97 0.27
암쥐 Mean 10.52 156 47.1 44.8 14.8 331 1453 3.55
SD 0.43 6 2.3 0.9 0.3 5 609 0.15
숫쥐 Mean
100
9.96 146 46.6 46.8 14.7 314 2007 3.97
SD 0.35 5 1.3 0.3 0.1 3 184 0.23
암쥐 Mean 10.15 149 47.0 46.4 14.7 318 1801 4.23
SD 0.30 3 1.8 1.8 0.2 14 249 0.60
숫쥐 Mean
200
9.97 149 46.5 46.7 14.9 320 2048 4.47
SD 0.29 3 0.4 1.0 0.2 5 174 0.25
암쥐 Mean 10.39 154 47.4 45.7 14.8 325 1667 4.36
SD 0.64 9 2.5 1.4 0.4 4 80 0.94
실험예 9. Engineered Ba/F3 급성백혈병 세포주의 증식 억제 활성
N-메틸-N-(3-(2-((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실시예 12) 및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실시예 16 화합물)에 대하여 Engineered Ba/F3 급성백혈병 세포주 및 정상 Ba/F3 세포의 증식 억제능을 측정하여 산출한 GI50 값은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구분 GI50 (uM)
정상 Ba/F3 TEL-FLT3
Ba/F3
FLT3-ITD
Ba/F3
FLT3-D835Y
Ba/F3
FLT3-D835Y-
TEL
Ba/F3
FLT3-ITD-F691L
Ba/F3
실시예 12 <5 <5 <1 <10 <5 <5
실시예 16 >10 <1 <1 <10 <5 <5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7-치환된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는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예방 및 경감용 약학조성물 :
    [화학식 1]
    Figure pat00050

    상기 화학식 1에서,
    X1은 질소원자; 또는 -CH-R3 (이때, R3은 수소원자, C1∼C6 알콕시기 또는 몰포리노기이다)를 나타내고,
    X2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
    R1은 C1∼C6 알콕시기; 또는 N 및 O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가 1 내지 2개 포함된 5각형 또는 6각형의 헤테로고리기, 또는 -C(O)-헤테로고리기 (이때 헤테로고리기는 C1∼C6 알킬, 피페리디닐 및 1-(C1∼C6 알킬)피페리디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다)를 나타내고,
    R2는 니트로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NR4R5 (이때 R4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킬설포닐기이다), -COOR6 (이때 R6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다), -CONR7R8 (이때 R7 및 R8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다), 또는 -(CH2)k-OR9 (이때 k는 1 내지 6의 정수이고, R9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카보닐기이다)를 나타내고;
    n은 치환기 R2의 치환 개수로서 1 내지 5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1은 -CH-R3 (이때, R3은 수소원자, C1∼C6 알콕시기 또는 몰포리노기이다)를 나타내고;
    상기 X2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
    상기 R1은 몰포리노기, 4-(C1∼C6 알킬)피페라지닐기, 1-(C1∼C6 알킬피페리딘-4-일)피페라지닐기, 또는 -C(O)-몰포리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R2는 니트로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NR4R5 (이때 R4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킬설포닐기이다), -COOR6 (이때 R6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다), -CONR7R8 (이때 R7 및 R8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다), 또는 -(CH2)k-OR9 (이때 k는 1 내지 6의 정수이고, R9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카보닐기이다)를 나타내고;
    상기 n은 치환기 R2의 치환 개수로서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예방 및 경감용 약학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1은 -CH-R3 (이때, R3은 C1∼C6 알콕시기이다)를 나타내고;
    상기 X2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
    상기 R1은 (C1∼C6 알킬)피페라지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R2는 -NR4R5 (이때 R4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킬설포닐기이다)를 나타내고;
    상기 n은 치환기 R2의 치환 개수로서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예방 및 경감용 약학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에틸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조에이트;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조산;
    N-시클로프로필-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자미드;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N,N-디메틸벤자미드;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N-(3,4,5-트리메톡시페닐)벤자미드;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올;
    4-(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벤질 아세테이트;
    N-(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7-(3-니트로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7-(3-아미노페닐)-N-(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N-(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7-(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N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N7-(3,4,5-트리메톡시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7-디아민;
    N-메틸-N-(3-(2-((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N-메틸메탄설폰아미드;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N-메틸메탄설폰아미드;
    N-(3-(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2-메톡시-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2-이소프로폭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6-(4-에틸피페라진-1-일)-2-이소프로폭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2-이소프로폭시-6-(4-(1-메틸피페리딘-4-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2-메톡시-4-(몰폴린-4-카보닐)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6-메톡시-2-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N-(3-(2-((6-몰폴리노피리다진-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는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예방 및 경감용 약학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급성백혈병 세포 Molm14에 대한 증식 억제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예방 및 경감용 약학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게이트키퍼(gatekeeper) 변이종, D835 변이종 및 ITD 변이종으로 이루어지는 FLT3 점돌연변이종에 대한 억제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예방 및 경감용 약학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급성백혈병 세포 Molm14에 대한 증식 억제활성과, 게이트키퍼(gatekeeper) 변이종, D835 변이종 및 ITD 변이종으로 이루어지는 FLT3 점돌연변이종에 대한 억제활성을 동시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예방 및 경감용 약학조성물.
KR1020150096769A 2014-07-07 2015-07-07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 KR201600056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4255 2014-07-07
KR1020140084255 2014-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664A true KR20160005664A (ko) 2016-01-15

Family

ID=5506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769A KR20160005664A (ko) 2014-07-07 2015-07-07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05664A (ko)
WO (1) WO20160069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36171B2 (en) 2016-12-21 2022-02-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uman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for FLT3 and use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87463A4 (en) 2015-04-24 2018-07-11 Guangzhou Maxinovel Pharmaceuticals Co., Ltd. Condensed-ring pyrimidylamino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intermedia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WO2018006921A1 (en) 2016-07-06 2018-01-11 Vestas Wind Systems A/S A wind power plant having a plurality of wind turbine generators and a power plant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2883B2 (ja) * 2006-04-07 2013-10-02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医薬組成物用のmnk1/mnk2阻害活性を有するチエノピリミジン
KR101147550B1 (ko) * 2009-10-22 2012-05-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활성을 가지는 2,7-치환된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
KR101704386B1 (ko) * 2013-06-28 2017-02-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의 T315I-Bcr-Abl 점돌연변이종의 저해 활성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47,550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36171B2 (en) 2016-12-21 2022-02-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uman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for FLT3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6921A1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9105C (en) Kinase inhibitors
KR101965326B1 (ko)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제인 신규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
KR101850282B1 (ko)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제로 유용한 헤테로아릴아민 유도체
EP3496717A1 (en) 4-substituted aminoisoquinoline derivatives
KR101923852B1 (ko) 혈액 뇌관문을 통과할 수 있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RE48974E1 (en) (5,6-dihydro)pyrimido[4,5-E]indolizines
KR101132378B1 (ko) 신경발생을 자극 및 신경 퇴화를 억제하는 방법 및 조성물
TW200835495A (en) Substituted 8-piperidinyl-2-pyridinyl-pyrimido[1,2-a] pyrimidin-6-one and 8-piperidinyl-2-pyrimidinyl-pyrimido[1,2-a] pyrimidin-6-one derivatives
KR20210015730A (ko) 옥소-피리딘 융합고리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160005664A (ko)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
KR101704386B1 (ko)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의 T315I-Bcr-Abl 점돌연변이종의 저해 활성
EP3284746B1 (en) Preparation and use of kinase inhibitor
CN111499613B (zh) N-甲酰胺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用途
KR101048448B1 (ko) 신규 피라졸로[4,3-b]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854117B1 (ko) 1,6-이치환된 인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물 내성 및 부작용이 저감된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KR101897631B1 (ko)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3,4-다이하이드로피리미도[4,5-d]피리미딘-2(1H)-온 골격의 유레아 화합물
KR101818130B1 (ko) 1,3,7-삼치환된 3,4-다이하이드로피리미도[4,5-d]피리미딘-2(1H)-온 유도체가 포함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CA3080623A1 (en) Compound having erk k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use thereof
KR101990739B1 (ko) 혈액 뇌관문을 통과할 수 있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12266B1 (ko) 4-((2-아크릴아미도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카복스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약학적 활용
KR101990738B1 (ko) 혈액 뇌관문을 통과할 수 있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U2010313240B2 (en) Kinase inhib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