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764U - Nfc태그를 이용한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Nfc태그를 이용한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764U
KR20160003764U KR2020150002573U KR20150002573U KR20160003764U KR 20160003764 U KR20160003764 U KR 20160003764U KR 2020150002573 U KR2020150002573 U KR 2020150002573U KR 20150002573 U KR20150002573 U KR 20150002573U KR 20160003764 U KR20160003764 U KR 201600037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kitchen
nfc tag
management system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기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린톤제오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린톤제오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린톤제오닉
Priority to KR2020150002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764U/ko
Publication of KR20160003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7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NFC태그를 이용한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의 싱크대 내외부, 냉장고 등 저장소에 저장된 식품 또는 식품의 보관용기, 포장재에 NFC태그를 부착 또는 삽입함으로써 식품의 구매, 저장, 유통기한 등의 소비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여, 주방 내 식품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의하면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은 식품 보관이력 DB(100), 사용자 단말(120), 관리 웹어플리케이션 서버(110), 보관용기 또는 포장자재에 부착된 NFC 태그(130)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NFC태그(130)는 식품 보관 시스템 서버(110)의 웹페이지 주소를 제공한다. 즉 NFC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20)은 서버(110)의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주방 식품 보관 시스템 DB(100)은 NFC 태그(130)로부터 전달받은 식품정보를 저장한다. 즉 용기별 구매일자, 식품명, 중량, 유통기한, 보관장소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Description

NFC태그를 이용한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House food management system with NFC tag}
본 고안은 NFC태그를 이용한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의 싱크대 내외부, 냉장고 등 저장소에 저장된 식품 또는 식품의 보관용기, 포장재에 NFC태그를 부착 또는 삽입함으로써 식품의 구매, 저장, 유통기한 등의 소비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여, 주방 내 식품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활용방법에 대한 연구가 한창 진행되고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교통카드 등을 통해 사용되었던 무선 주파수 인식기술인 RFID의 일종으로 스마트 기기 사이에 무선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술이며, 단방향과 리더기가 필요한 RFID 태그와는 달리 NFC 태그는 양방향의 정보전달이 가능하여 별도의 리더기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NFC 기능을 통하면 와이파이(Wi-Fi) 없이도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스마트 기기끼리 다양한 무선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기존 블루투스 기능과 비교해 복잡한 설정 단계 없이 원터치로 무선 연결이 가능해 스마트폰과 NFC태그 사이의 정보를 간단히 주고 받을 수 있다.
NFC태그를 통해 물품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제품에 찍힌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계산원의 모습은 사라지게 될 것이다. 구매할 물품을 쇼핑카트에 그대로 둔 채 계산대를 통과하기만 하면 정확한 계산이 되기 때문에 쇼핑객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싱가포르의 온라인 뮤직스토어인 Starhub's에서 진행한 프로모션에서는 음악과 패션을 접목하기 위하여 의류의 Tag에 전자태그를 부착하여 고객이 원하는 의류를 탈의실에서 입었을 때 그 의류스타일에 맞는 음악이 탈의실로 흘러나오게 되어 고객들은 그 옷과 음악의 콜라보에 특별한 감정을 느끼게 하는 특별한 프로모션을 하였다.
가정주부의 입장에서 보면 구매를 위한 편리성은 빠르게 진화하였는데 반해 가정내에서의 구매한 식품의 관리, 효율적 소비, 그리고 이를 통한 합리적 구매의 과정은 너무나 빈약하다.
현재 대부분의 주방에서는 휴일을 빌어 구석구석의 식품들을 확인하고 유통기한이 지난 건 없나? 품목은 어떤 것들이 있나? 다음주는 어떤 식단을 준비하나? 등의 고민을 갖고 가계부에 쓰고 뇌에 되새기며 장을 본다.
가정주부가 구매의 시점부터 주방 내 식품의 현황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구매를 하고, 이와 더불어 식품의 현황과 유통기한, 영양을 고려한다면 합리적인 식단 구성을 쉽게 할 수 있다. 구매한 식품의 보관시도 NFC태그 정보의 입력에 있어 저장위치 저장을 통해 좀 더 쉽게 식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기존에 쓰이던 바코드, 마그네틱 카드는 시간이 갈수록 인식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RFID태그는 리더기가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NFC태그는 이와 같은 걱정을 할 필요가 없으며, 식품의 보관용기, 포장재, 또는 고정끈, 식품자체에 고정 또는 부착, 삽입등의 방식을 통하여 장기간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로 하여금 주방 내 식품의 현황 정보를 수집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수집된 식품의 유통기한정보를 이용하여 식품의 안전한 식생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주방내 식품 현황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구매에서 소비에 이르는 일련의 활동에 있어 효율성과 합리성을 부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주방 식품관리 시스템은 식품종류, 용량, 구매일자, 유통기한, 저장위치 등의 이력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NFC태그가 부착된 보관용기 또는 포장재와 NFC태그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스마트폰(입출력제어수단), 전달된 정보의 효율적인 배치, 전시, 이용이 가능한 웹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출력제어수단은 상기 NFC태그로부터 저장식품의 정보를 획득하는 NFC판독모듈 및 상기 NFC태그와 무선통신을 위한 NFC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주방식품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주방의 냉장고, 찬장, 싱크대, 각종 수납함을 확인하지 않아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 식품현황을 쉽게 확인 가능하므로 주방 식품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즉, 식품의 구매단계부터 보관이력, 소비단계에 이르는 정보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바로 알게 있게 해주는 유비쿼터스형 신기술이다.
사용자의 경우 NFC태그가 구비된 용기 또는 포장자재 등을 이용하여 구매직후의 식품정보를 입력을 하여 수시로 웹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구입한 식품의 명칭, 무게, 유통기한, 보관위치, 구매일시 등의 정보를 실시간 체크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미리 구매한 식품의 유통기한, 중량 등을 제공함으로서 불필요한 식품구매나 식품폐기로 인한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맞벌이 부부나 바쁜 직장인의 경우 가정 내 누구라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효율적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주방 식품 관리시스템을 통하여 유통기한 임박 또는 변질우려 식품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가능해져 위생안전에 있어 장점을 가지고 있다.
주방 식품관리 시스템의 웹어플리케이션 DB 정보를 통해 식품의 구매패턴, 구매시기, 유통기간 경과에 따른 폐기 손실, 영양, 칼로리, 식단정보 공유 등의 정보 활용이 가능하며, 식품 보관 용기의 경우 식품 특성 즉, 항균성이 요구되는 육류전용 보관용기, 신선함이 요구되는 야채 전용용기 등의 특성을 고려한 보관과 아울러 보관용기의 식품 보관 이력과 사용 이력을 통하여 용기의 교체 및 구매시기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식품관리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안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특정 보관 위치의 식품현황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통기한 만료 예정 식품에 대한 안내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더기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NFC태그를 리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고안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NFC태그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13.56MHz 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 통신기술이다. 별도의 핸드헬드형 리더기를 사용할 수 도 있고 NFC 리더기가 내장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 받게 되는데 결재 뿐만 아니라 슈퍼마켓이나 일반 상점에서 물품정보나 정보 전송, 교통, 출입통제, 잠금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주방 식품 관리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은 식품 보관이력 DB(100), 사용자 단말(120), 관리 웹어플리케이션 서버(110), 보관용기 또는 포장자재에 부착된 NFC 태그(130)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NFC태그(130)는 식품 보관 시스템 서버(110)의 웹페이지 주소를 제공한다. 즉 NFC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20)은 서버(110)의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주방 식품 보관 시스템 DB(100)은 NFC 태그(130)로부터 전달받은 식품정보를 저장한다. 즉 용기별 구매일자, 식품명, 중량, 유통기한, 보관장소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하기 표 1은 주방 식품 보관 시스템DB(100)에 정보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물론 상술한 정보 이외의 다른 정보가 주방 식품 보관 시스템 DB(100)에 저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주방 식품 보관 시스템 DB(100)은 식품의 구매에서 보관 소비폐기에 이르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보관용기식별자 입력일시 식품명 중량 유통기한 보관장소 기타
XE03211 05.03.23 오징어
젓갈
300g 20일 냉장실
XE03212 05.03.23 두부
120g 3일 냉장실
XE03213 05.03.24 당면
250g 90일 싱크대 상단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NFC태그의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식품의 정보는 주방 식품 보관 시스템DB(100)에 저장되고, 주방 식품 보관 시스템 서버(110)는 웹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식품현황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저장된 정보를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스마트폰, 핸드헬드, 키오스크 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이외에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은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서버(100)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14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40)은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서버(110)에 운용하는 식품관리 알고리즘을 갱신하거나 필요한 경우 특정 식품에 대한 관리 코드부여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단말(140)은 주방 식품 관리시스템 서버(110)가 제공하는 항목의 형태를 추가하거나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안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식품 관리를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일예로 도 2는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안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의 웹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주방내 식품 현황을 파악하고 현재 보관중인 식품과 구매해야 할 식품리스트를 확인하고 식품구매를 하고 NFC태그 저장용기나 포장자재에 넣어 NFC태그에 식품정보를 입력한다. 이때의 식품정보는 구매일자, 식품명, 중량, 유통기한, 보관위치 등의 정보를 입력하고 사용자에 따라 추가적인 정보입력도 가능하다. 입력된 식품정보는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을 통해 NFC태그에 서버에 저장되어 보관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DB의 자료를 이용, 식단구성, 칼로리 체크, 소비패턴, 식품구매비용 등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보관된 식품들은 소비를 거치며, 잔여 식품과 폐기식품으로 구분되어 2차 소비 또는 폐기된다.
사용자는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주방 내 식품의 현황을 파악하고 구매과 소비를 효율적으로 실행해갈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특정 보관 위치의 식품현황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특정 보관 위치의 식품 현황을 알아보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웹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보관위치를 식품현황를 확인하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동실에는 어떤 식품들이 얼마나 저장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그리고 세부 식품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저장이력정보가 표시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통기한 만료예정 식품에 대한 안내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의 유통기한 알림 설정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일반설정의 경우 3일전 작은 알림창의 형태로 알려주며,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면 유통기한 3일이내의 식품들이 표시되며, 해당 식품의 폐기 또는 소비시 해당식품의 NFC태그에 식품의 폐기 또는 소비 선택을 실행하여 NFC 태그 정보 및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의 정보사항 변경 또는 삭제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품에 부착되어 있는 NFC 태그 리더기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리딩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더기는 사용자 단말, 키오스크, 스마트폰 등으로 구성되며, 리더기를 이용하여 NFC 태그를 리딩한다. 리더기는 NFC 태그에 저장된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서버의 주소를 독출하여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서버로 접속한다.
사용자 단말은 접속한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서버로부터 해당 NFC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식품에 부착되어 있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해당 식품의 정보를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NFC 태그를 이용하여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원거리에서 확인가능한 컬러코드, 스마트 코드, QR코드를 이용하여 품질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의 식품 정보의 개시에 있어 일반적인 웹어플리케이션의 형태 뿐 만 아니라 증강현실, 사물인터넷으로의 개시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DB 110 :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서버
120 : 사용자 단말 130 : NFC 태그
140 : 관리자 단말
22 : NFC 판독모듈 24 : NFC 안테나

Claims (2)

  1. 식품 또는 식품의 보관/포장자재에 부착되는 NFC 전자태그; 및,
    상기 NFC 전자태그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계되어 상기 NFC 전자태그로 정보를 입력하거나 NFC 전자태그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사용자 단말, 식품의 보관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DB, 단말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서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의 개시에 있어 이미지/ 텍스트형태의 웹어플리케이션과 증강현실, 사물인터넷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KR2020150002573U 2015-04-21 2015-04-21 Nfc태그를 이용한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KR201600037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573U KR20160003764U (ko) 2015-04-21 2015-04-21 Nfc태그를 이용한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573U KR20160003764U (ko) 2015-04-21 2015-04-21 Nfc태그를 이용한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764U true KR20160003764U (ko) 2016-11-01

Family

ID=5748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573U KR20160003764U (ko) 2015-04-21 2015-04-21 Nfc태그를 이용한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76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442A (ko) 2016-12-02 2018-06-12 심우준 Nfc스티커를 구비한 팬시상품
WO2020101061A1 (en) * 2018-11-14 2020-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food in refrigerator
WO2021059667A1 (ja) * 2019-09-26 2021-04-0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442A (ko) 2016-12-02 2018-06-12 심우준 Nfc스티커를 구비한 팬시상품
WO2020101061A1 (en) * 2018-11-14 2020-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food in refrigerator
US11506448B2 (en) 2018-11-14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food in refrigerator
WO2021059667A1 (ja) * 2019-09-26 2021-04-0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
JP2021050888A (ja) * 2019-09-26 2021-04-0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63525A1 (en) Techniques For Imaging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And Tracking Objects Therein
US20210049975A1 (en) Wirelessly Powered Electronic Display Apparatuses
US7132926B2 (en) Smart tray system and method for restaurant inventory management
RU2695503C1 (ru) Способ обновления данных соответствия между товарами и местами
US10740814B2 (en) Detector tags to determine perishability of food items
MX2014012309A (es) Metodo para comunicar informacion localizada espacialmente a una terminal movil.
JP2009501987A (ja) Rfidチップ内容情報の読取手及び表示手段を備えた電子ラベル
KR20160003764U (ko) Nfc태그를 이용한 주방 식품 관리 시스템
US20220151404A1 (en) Product management system, product management apparatus, and display zone communication apparatus
US20220156794A1 (en) Product management system, product management apparatus, and tool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8304127A (ja) 食品在庫管理システム
KR20070053510A (ko) Rfid 기술을 이용한 세대 수납관리 시스템
KR100705917B1 (ko) Rfid를 이용한 구매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CN110348926B (zh) 门店系统、展示柜、物品信息展示方法及装置
CN103578019A (zh) 基于esl的差异化价格管理和支付系统及方法
CN112639860B (zh) 使用电子货架标签系统向消费者提供通知的系统和方法
JP2004348445A (ja) 食料品管理システム
Mohanapriy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basket cart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JP2017126872A (ja) 無線表示システム
JP2014085043A (ja) 冷蔵庫収納品管理システム
KR20090010333A (ko) 물품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GB2511485A (en) Method
KR101303848B1 (ko) 냉장고 물품 수납 관리 시스템
CN105989530A (zh) 自动根据食材规划相关菜色的方法及系统
JP2017097594A (ja) 購入支援プログラム、庫内画像サーバおよび購入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