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549U - 각 파이프형의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각 파이프형의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549U
KR20160003549U KR2020150002152U KR20150002152U KR20160003549U KR 20160003549 U KR20160003549 U KR 20160003549U KR 2020150002152 U KR2020150002152 U KR 2020150002152U KR 20150002152 U KR20150002152 U KR 20150002152U KR 20160003549 U KR20160003549 U KR 201600035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base frame
fastening portion
bracke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764Y1 (ko
Inventor
손창우
Original Assignee
손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창우 filed Critical 손창우
Priority to KR2020150002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76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5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5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7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 파이프형의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조가 간편하여 소재 가격이 비교적 낮으면서도 형상계수가 높아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각 파이프형 보조 베이스프레임을 적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물탱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은, 주 베이스프레임과 교차된 형태를 이루면서 조립식 물탱크의 하부를 지지하는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으로서, 프레임 본체가 인발가공을 통해 대량 생산 가능한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각 파이프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양단부에 접합되어 상기 주 베이스프레임에 볼트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측벽이 단위패널들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물탱크와, 주 베이스프레임과 함께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각 파이프형의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SQUARE PIPE TYPE AUXILIARY BASE FRAME FOR ASSEMBLY TYPE WATER TANK AND ASSEMBLY TYPE WATER TANK SYSTEM WITH THE SAME}
본 고안은 조립식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가 간편하여 소재 가격이 비교적 낮으면서도 형상계수가 높아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각 파이프형의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공동주택 등과 같은 생활용수의 사용이 많은 건물에는 물탱크가 설치된다. 물탱크의 형태는 용량에 따라 원형 물탱크와 각진 형태의 물탱크로 나눠지며, 대부분 용량이 큰 각진 형태의 물탱크가 사용되고 있다. 각진 형태의 물탱크는 일반적으로 조립식 패널에 의해 조립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압을 분산시키기 위해 패널의 표면을 물과 맞닿는 부분은 안으로 들어가게 하고, 외부는 밖으로 튀어 나오게 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물탱크의 용량이 증가할수록 수압이 커지기 때문에, 수압에 의한 물탱크의 변형을 막기 위해 물탱크 내부에는 상판 지지 프레임, 측벽 지지 프레임과 더불어 내부를 가로질러 측벽 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내부 보강부재가 설치되었다.
한편, 물탱크의 하부에서는 기초 콘크리트 위에 다수의 주 베이스프레임이 나란하게 설치되고 그 사이에서 다수의 보조 베이스프레임이 상기 주 베이스프레임과 교차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물탱크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 베이스프레임의 형태는 사시도인 도 1과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인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
Figure utm00001
" 형상의 단면을 갖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양단부에 접합되어 주 베이스프레임과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한 체결판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에 의한 보조 베이스프레임은 하부가 개방된 관계로 형상계수가 높지 않아 수직으로 인가되는 하중에 취약하였고, 평판을 절곡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여야 했기 때문에 치수 정밀도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한국공개실용신안등록 제2012-0089060호에는 "ㄷ"자 형상을 갖는 주 베이스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인가되는 하중에 대해 강성이 매우 취약할 뿐만 아니라, 지진 또는 진동 등에 의해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면서 하부가 개방된 "
Figure utm00002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조 베이스프레임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
Figure utm00003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조 베이스프레임의 경우에도 강도 측면에서는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형상계수가 높지 않고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과 같이 평판을 절곡하여 제조하여야 했기 때문에 치수 정밀도를 확보하기 어렵고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다는 동일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등록 제2012-0089060호(2012.08.09)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가 간편하여 소재 가격이 비교적 낮으면서도 형상계수가 높아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각 파이프형의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은, 프레임 본체가 인발가공을 통해 대량 생산 가능한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각 파이프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양단부에 접합되어 상기 주 베이스프레임에 볼트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판이 형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이 적용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은, 측벽이 단위패널들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를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기초 콘크리트 위에서 주 베이스프레임과 교차하는 전술된 보조 베이스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주 베이스프레임은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으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된 수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면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주 베이스프레임의 수평판이 안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물탱크의 내부에서 서로 대응하여 마주하는 측벽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브래킷과; 상기 물탱크 내부를 가로질러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브래킷에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연결지지대로 이루어진 내부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연결지지대는, 길고 납작한 사각의 바로 구비되며 그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볼트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물탱크의 측벽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체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지지대의 단부는 상기 체결부에 면 접촉된 상태로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중앙부에 이중으로 겹쳐진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하단에서 양편으로 직교하게 연장되어 고정부가 형성된 "
Figure utm00004
"형 단면의 부재이며, 상기 연결지지대는 두 개가 상기 체결부의 외측면 양편에 나란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중앙부에 이격된 공간을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하단에서 양편으로 직교하게 연장되어 고정부가 형성된 "
Figure utm00005
"형 단면의 부재이며, 상기 연결지지대는 두 개가 상기 체결부의 외측면 양편에 나란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중앙부에 이격된 공간을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하단에서 양편으로 직교하게 연장되어 고정부가 형성된 "
Figure utm00006
"형 단면의 부재이고, 상기 브래킷의 체결부에는 연결지지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릿이 더 형성되어 상기 연결지지대의 단부가 상기 슬릿을 관통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체결부의 이격된 공간 내부에서 상기 볼트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연결지지대를 양편에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중앙부에 이격된 공간을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하단에서 양편으로 연장되어 고정부가 형성된 "
Figure utm00007
"형 단면의 부재이고, 상기 브래킷의 체결부에는 연결지지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릿이 더 형성되어 상기 연결지지대의 단부가 상기 슬릿을 관통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체결부의 이격된 공간 내부에서 상기 볼트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연결지지대를 양편에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대는 두 개가 나란히 겹쳐진 상태로 체결되고, 상기 브래킷에 형성된 슬릿은 상기 연결지지대가 볼트에 의해 관통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여유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은 제조가 간편하여 소재 가격이 비교적 낮으면서도 형상계수가 높아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물탱크 시스템의 구축시 전체적인 비용절감과 함께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된 내부 보강부재의 경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우수하면서도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며, 측벽 간 사선보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보조 베이스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참조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를 절단한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이 주 베이스프레임과의 조합을 위하여 부분 변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서 물탱크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서 내부 보강부재가 적용된 참조도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 구비된 내부 보강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서 변형된 형태의 내부 보강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서 다른 형태로 변형된 내부 보강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서 내부 보강부재의 또 다른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를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200)은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각 파이프형의 프레임 본체(210)와 상기 프레임 본체(210)의 양단부에 접합되어 상기 주 베이스프레임에 볼트체결되는 체결판(220)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보조 베이스프레임(200)의 프레임 본체(210)가 개방되지 않은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각 파이프형 부재로 구비되면, 하부가 개방된 전통적인 형태와 비교하여 형상계수가 높으므로 물탱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보다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제조적인 측면에서 보면 판재를 절곡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인발가공을 통해 대량 생산된 각 파이프형의 부재를 필요에 맞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높은 치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대량생산에 적합하여 소재 가격을 대폭 낮출 수 있다는 커다란 장점을 갖는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이 주 베이스프레임과의 조합을 위하여 부분 변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200)은 일단부와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 일부가 제거되어 주 베이스프레임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211)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도 6은 보조 베이스프레임(200)의 일단부와 타단부 모두의 상면에 안착홈(211)이 형성된 경우이며, 도 7은 보조 베이스프레임(200)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하나에만 안착홈(211)이 형성된 경우이다. 차후 설명될 도 8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안착홈(211)이 형성되지 않은 보조 베이스프레임(200)과 혼용하여 주 베이스프레임의 설치상태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다.
계속해서 아래에서는 전술된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200)이 적용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서 물탱크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은 물탱크를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기초 콘크리트 위에서 서로 교차된 형태로 배열된 주 베이스프레임(B1) 및 보조 베이스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술된 바와 같이 제조가 간편하여 소재 가격이 비교적 낮으면서도 형상계수가 높아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각 파이프형의 형태의 보조 베이스프레임(200)을 적용함으로써 물탱크의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는 독특한 형태의 판상형 연결지지대로 이루어진 내부 보강부재가 구비된다. 계속해서 아래에서는 상기 내부 보강부재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서 내부 보강부재가 적용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 구비된 내부 보강부재는 조립식 물탱크 내부를 가로지른 형태로 설치되어 서로 대응하여 마주하는 측벽 간을 연결하여 강도를 보강하면서 주로 수압에 의해 발생하는 조립식 물탱크의 변형을 막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 보강부재는 물탱크의 내부에서 서로 대응하여 마주하는 측벽에 설치되는 두 개 한 쌍의 브래킷(110)과 조립식 물탱크 내부를 가로질러 이들 한 쌍의 브래킷(110)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대(120)를 한 조로 하여 필요에 맞게 다수 설치된다.
이같은 내부 보강부재는 기존의 내부 보강부재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우수하면서도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며,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측벽 간 수평보강만 아니라 사선보강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 구비된 내부 보강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서 내부 보강부재는 조립식 물탱크의 내부에서 서로 대응하여 마주하는 측벽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브래킷(110)과, 상기 조립식 물탱크 내부를 가로질러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브래킷(110)에 볼트(131)와 너트(132)에 의해 체결되는 연결지지대(1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지지대(120)는 길고 납작한 사각의 바로 구비되며 그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관통공(121a)이 형성되어 볼트(131)가 상기 관통공(121a)을 관통한 상태에서 브래킷(110)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브래킷(110)은 조립식 물탱크의 측벽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부(111)와 상기 고정부(111)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체결부(112)로 이루어져서 상기 연결지지대(120)의 단부가 상기 체결부(112)에 면 접촉된 상태로 볼트(131)에 의해 체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브래킷(110)은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데 중앙부에는 이중으로 겹쳐진 체결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12)의 하단에서 양편으로 직교하게 연장되어 고정부(111)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브래킷(110)의 단면은 "
Figure utm00008
"의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110)의 고정부(111)에는 조립식 물탱크 벽체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브래킷과 연결하기 위한 볼트공(111a)이 형성되고, 체결부(112)에는 연결지지대(120)을 체결하기 위한 볼트(131)가 관통하는 통공(112a)이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연결지지대(120)가 기존과 같이 환봉으로 구비되지 않고 길고 납작한 사각의 바로 구비되는 구성을 갖게 되면, 넓은 판재를 절단한 후 일단부와 타단부를 간단히 천공하여 관통공(121a)을 형성하면 마련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환봉을 생산하여 탭핑(tapping) 가공을 해야 했던 방식에 비하면 제조설비나 과정이 단축되고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목할 수 있는 점은 상기 연결지지대(120)가 납작한 판상형으로 형성되면 그 단부에 볼트(131)를 관통시켜 체결할 수 있는 관통공(121a)을 형성시킬 수 있고, 볼트(131)에 의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131)를 회전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까지 회전동작이 가능해진다는 점이다. 이로써, 도 9에 도시된 내부 보강부재 중 조립식 물탱크의 내부에서 상측에 설치된 내부 보강부재와 같이 브래킷(110) 한 쌍의 설치 높이를 달리하는 사선보강도 가능하게 된다는 점이다.
또한, 연결지지대(12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이미 관통공(121a)이 설계치에 따라 정확한 거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라도 지정된 조립식 물탱크의 측벽 위치에 브래킷(110)을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110)에 대하여 연결지지대(120)를 볼트(131)체결하는 것만으로 설계치에 맞는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이같은 브래킷(110) 간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대(120)의 길이는 수압으로 인해 조립식 물탱크의 측벽이 외부로 팽창되었을 때를 감안하여 정확하게 설계치를 반영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느냐가 관건인데 종래기술에 따르면 연결지지대의 단부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현장에서 너트를 사용하여 체결하다보면 상기 연결지지대가 불필요하게 진퇴하면서 브래킷들 사이에서 연결지지대의 연결 길이가 변하여 설계치에 맞게 정확한 시공을 하기가 어려워진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판상형의 연결지지대는 그런 문제없이 초보 작업자라도 쉽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 보강부재는 측벽 간에 어긋나려는 경향을 갖도록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특히 좌우로 어긋나려는 경향을 갖도록 수평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지지대(120)가 브래킷(110)을 면접촉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기존 환봉 형태의 연결지지대와 달리 점접촉에 의한 집중하중이 발생하지 않으며, 도면과 같이 상기 연결지지대(120) 두 개가 상기 브래킷(110)의 체결부(112) 외측면 양편에 나란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연결지지대(120) 여러 개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브래킷(110)에 체결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여 강도보강 측면에서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단지 하나의 볼트(131)와 너트(132), 한 쌍의 와셔(133)만으로 연결지지대(120)를 브래킷(110)에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볼트(131) 및 너트(132)를 사용하여 연결지지대(120)를 체결하는 작업은 브래킷(110)의 외측에서 모두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브래킷(110)은 체결부(112)의 하단에서 이격되지 않고 곧바로 양편으로 연장되는 관계로 틈새 없이 사각의 판재 형상을 이루게 되어 조립식 물탱크의 측벽을 이루는 판재들의 이음부분 특히 판재 4장의 모서리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경우 판재 간 틈새를 메워 실링하는데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상기 내부 보강부재는 환형의 연결지지대(120)로 이루어진 종래기술에 비해 납작한 판상형의 연결지지대(120)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간단해 보이는 구성상의 변화를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대폭적인 개선이 가능해진다고 할 수 있다.
이같은 상기 내부 보강부재는 상기 브래킷(110)을 중심으로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하며 아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서 변형된 형태의 내부 보강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내부 보강부재는 브래킷(110)이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중앙부에 이격된 공간을 갖는 체결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12)의 하단에서 양편으로 직교하게 연장되어 고정부(111)가 형성된 ""형 단면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110)의 체결부(112)가 이격공간을 갖는 역 "U"자형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체결부(112)가 이격공간 없이 서로 접하여 겹쳐진 형태로 이루어졌던 변형 전과 차이가 있으며, 상기 연결지지대(120)는 두 개가 상기 체결부(112)의 외측면 양편에 나란하게 체결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브래킷(110) 체결부(112)의 내측으로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볼트(131)나 너트(132) 중 하나를 위치시켜야 한다는 점과, 하나의 볼트(131) 및 너트(132)만을 사용하여 복수의 연결지지대(120)를 체결하지 못하는 단점으로 인해 변형 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업성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그 외에 설계치에 맞는 정확한 시공, 사선보강 및 강도보강 측면에서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서 다른 형태로 변형된 내부 보강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내부 보강부재는 브래킷(110)이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중앙부에 이격된 공간을 갖는 체결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12)의 하단에서 양편으로 직교하게 연장된 고정부(111)가 형성된 "
Figure utm00009
"형 단면의 부재이고, 상기 브래킷(110)의 체결부(112)에는 연결지지대(1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릿(114)이 더 형성되어 상기 연결지지대(120)의 단부가 상기 슬릿(114)을 관통한 상태에서 볼트(131)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해 한 쌍의 압박부재(135)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압박부재(135) 한 쌍은 상기 체결부(112)의 이격된 공간 내부에서 상기 볼트(131)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연결지지대(120)를 양편에서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압박부재(135)에는 상기 볼트(131)의 관통을 위한 통공(135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지지대(120)는 두 개가 나란히 겹쳐진 상태로 체결되고, 상기 브래킷(110)에 형성된 슬릿(114)은 상기 연결지지대(120)가 볼트(131)에 의해 관통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여유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슬릿(114)이 상기 연결지지대(120)의 폭보다 좀 더 넓게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앞선 구성과 비교하여 브래킷(110)에 연결지지대(120)의 단부를 가로로 눕힌 형태로 삽입할 수 있는 슬릿(114)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으며 단부 양면을 접촉하여 압박하는 압박부재(135) 한 쌍이 더 구비되었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여기서 상기 압박부재(135)는 상기 체결부(112)의 이격공간에 대응하여 사각기둥 형태의 것으로 구비되며 고무 혹은 그에 상응하는 탄성재질의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결지지대(120)를 브래킷(110)에 체결하는 작업이 하나의 볼트(131) 및 너트(132)를 사용하여 간단히 이루어지며 체결작업은 브래킷(110)의 외측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변형 전과 비교하여 연결지지대(120)를 눕혀서 설치하기 때문에 회전방향을 상하방향에서 좌우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과 측벽 간 지지방향은 상대적으로 좌우방향에서 상하방향으로 전환하여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기술적으로 의미가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에서 내부 보강부재의 또 다른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보강부재가 브래킷(110)은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중앙부에 이격된 공간을 갖는 체결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12)의 하단에서 양편으로 직교하게 연장된 고정부(111)가 형성된 "
Figure utm00010
"형 단면의 부재이고, 상기 브래킷(110)의 체결부(112)에는 연결지지대(1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릿(114)이 더 형성되어 상기 연결지지대(120)의 단부가 상기 슬릿(114)을 관통한 상태에서 볼트(131)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브래킷(110)의 체결부(112)가 이격공간을 갖는 역 "V"자형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상기 브래킷(110)의 체결부(112)가 이격공간을 갖는 역 "U"자형으로 이루어진 이전 변형 구성과 차이가 있고 이에 따라 구비되는 한 쌍의 압박부재(135)의 경우에도 역 "V"자형으로 이루어진 체결부(112)에 대응하여 사각기둥의 형태가 아닌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결지지대(120)를 브래킷(110)에 체결하는 작업은 앞선 변형 구성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볼트(131) 및 너트(132)를 사용하여 간단히 이루어지며 체결작업은 브래킷(110)의 외측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같이 변형된 구성에 따르면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연결지지대(120)를 눕혀서 설치하기 때문에 회전방향을 상하방향에서 좌우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과 측벽 간 지지방향은 상대적으로 좌우방향에서 상하방향으로 전환하여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기술적으로 의미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브래킷 111 : 고정부
112 : 체결부 114 : 슬릿
120 : 연결지지대 131 : 볼트
132 : 너트 135 : 압박부재
200 : 보조 베이스프레임 210 : 프레임 본체
211 : 안착홈 220 : 체결판

Claims (10)

  1. 주 베이스프레임과 교차된 형태를 이루면서 조립식 물탱크의 하부를 지지하는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으로서,
    프레임 본체가 인발가공을 통해 대량 생산 가능한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각 파이프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양단부에 접합되어 상기 주 베이스프레임에 볼트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
  2. 측벽이 단위패널들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물탱크와;
    기초 콘크리트 위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주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주 베이스프레임과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1항의 보조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베이스프레임은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으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된 수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면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주 베이스프레임의 수평판이 안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물탱크의 내부에서 서로 대응하여 마주하는 측벽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브래킷과; 상기 물탱크 내부를 가로질러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브래킷에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연결지지대로 이루어진 내부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연결지지대는, 길고 납작한 사각의 바로 구비되며 그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볼트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물탱크의 측벽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체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지지대의 단부는 상기 체결부에 면 접촉된 상태로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중앙부에 이중으로 겹쳐진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하단에서 양편으로 직교하게 연장되어 고정부가 형성된 "
    Figure utm00011
    "형 단면의 부재이며,
    상기 연결지지대는 두 개가 상기 체결부의 외측면 양편에 나란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중앙부에 이격된 공간을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하단에서 양편으로 직교하게 연장되어 고정부가 형성된 "
    Figure utm00012
    "형 단면의 부재이며,
    상기 연결지지대는 두 개가 상기 체결부의 외측면 양편에 나란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중앙부에 이격된 공간을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하단에서 양편으로 직교하게 연장되어 고정부가 형성된 "
    Figure utm00013
    "형 단면의 부재이고,
    상기 브래킷의 체결부에는 연결지지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릿이 더 형성되어 상기 연결지지대의 단부가 상기 슬릿을 관통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체결부의 이격된 공간 내부에서 상기 볼트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연결지지대를 양편에서 압박하는 사각기둥 형태의 압박부재 한 쌍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중앙부에 이격된 공간을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하단에서 양편으로 연장되어 고정부가 형성된 "
    Figure utm00014
    "형 단면의 부재이고,
    상기 브래킷의 체결부에는 연결지지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릿이 더 형성되어 상기 연결지지대의 단부가 상기 슬릿을 관통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체결부의 이격된 공간 내부에서 상기 볼트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연결지지대를 양편에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대는 두 개가 나란히 겹쳐진 상태로 체결되고, 상기 브래킷에 형성된 슬릿은 상기 연결지지대가 볼트에 의해 관통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여유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KR2020150002152U 2015-04-06 2015-04-06 각 파이프형의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KR200481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152U KR200481764Y1 (ko) 2015-04-06 2015-04-06 각 파이프형의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152U KR200481764Y1 (ko) 2015-04-06 2015-04-06 각 파이프형의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549U true KR20160003549U (ko) 2016-10-14
KR200481764Y1 KR200481764Y1 (ko) 2016-11-07

Family

ID=5713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152U KR200481764Y1 (ko) 2015-04-06 2015-04-06 각 파이프형의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7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592B1 (ko) * 2021-01-25 2021-09-10 주식회사 성원하이테크 판상 마감재 설치용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230B1 (ko) * 2020-05-26 2021-12-02 (주)베셀 물탱크용 프레임 고정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4380A (ja) * 2004-11-19 2006-06-08 Asahi Kasei Homes Kk 接続部材及び下地の施工方法
KR101010259B1 (ko) * 2010-01-20 2011-01-24 영광기제주식회사 금속제 조립식 물탱크
KR20120089060A (ko) 2011-02-01 2012-08-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진기능을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
KR101377126B1 (ko) * 2013-11-27 2014-03-25 주식회사 세진에스엠씨 물탱크용 내부 보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4380A (ja) * 2004-11-19 2006-06-08 Asahi Kasei Homes Kk 接続部材及び下地の施工方法
KR101010259B1 (ko) * 2010-01-20 2011-01-24 영광기제주식회사 금속제 조립식 물탱크
KR20120089060A (ko) 2011-02-01 2012-08-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진기능을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
KR101238031B1 (ko) * 2011-02-01 2013-03-04 (주)엔아이씨이 내진기능을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
KR101377126B1 (ko) * 2013-11-27 2014-03-25 주식회사 세진에스엠씨 물탱크용 내부 보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592B1 (ko) * 2021-01-25 2021-09-10 주식회사 성원하이테크 판상 마감재 설치용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764Y1 (ko) 201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8840B2 (ja) 柱梁架構の耐震補強構造
KR101348054B1 (ko) 유닛모듈라 주택의 철골 구조물
KR200481764Y1 (ko) 각 파이프형의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JP4664997B2 (ja) 接合金物を有する建築物
JP6054088B2 (ja) ソーラーカーポート
JP3762689B2 (ja) 壁枠パネルと床スラブ基礎との結合構造
KR200492719Y1 (ko)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기초
JP2010101099A (ja) 柱脚金物
JP6083045B2 (ja) 軽量盛土用側壁の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壁パネル
KR101409796B1 (ko) 유닛구조체용 절곡형 기둥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접합부
JP6170750B2 (ja) ソーラーパネル用架台
KR101980663B1 (ko) 컨테이너용 모듈러 유닛
JP5251933B2 (ja) 接合金物を有する建築物
JP2009030321A (ja) 複合梁と木製柱の接続による門型フレーム
KR200482757Y1 (ko) 판상형 연결지지대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내부 보강부재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KR102115733B1 (ko)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JP6170749B2 (ja) ソーラーパネル用架台
JP2007332752A (ja) 木造建物の補強金物
JP5938275B2 (ja) 耐震部材、耐震部材の取り付け方法
KR101632927B1 (ko) 판넬 조립식 구조물 구축용 연결부재
KR101413131B1 (ko) 밴드형 관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JP3216293U (ja) 組付け部材
KR101413134B1 (ko) 십자형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JP3144233U (ja) 組み立てハウス
JP2011184900A (ja) 建築物の耐震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