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134B1 - 십자형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 Google Patents

십자형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134B1
KR101413134B1 KR1020130084874A KR20130084874A KR101413134B1 KR 101413134 B1 KR101413134 B1 KR 101413134B1 KR 1020130084874 A KR1020130084874 A KR 1020130084874A KR 20130084874 A KR20130084874 A KR 20130084874A KR 101413134 B1 KR101413134 B1 KR 101413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r unit
unit structure
coupling
colum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금성
배규웅
이상섭
임석호
홍성엽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84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2Flat foundations without substantial excav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10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 E02D5/12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하단부 기둥의 결합부는 하부에 십자형 연결재가 형성되며, 기초는 십자형 연결재가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가 위치할 곳에 매입공이 미리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매입공의 내부에 십자형 연결재가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삽입하고 매입공의 내부에 충진재를 타설하여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기둥의 결합시켜 기초와 모듈러 유닛구조체간의 완전고정을 구현하여 고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십자형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JOINT SYSTEM OF MODULAR UNIT STRUCTURE AND BASE USING CROSS CONNECTOR}
본 발명은 십자형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모듈러 유닛구조체 기둥의 하단부 저면에 십자형 연결재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미리 기초에 형성된 매입공에 매입하여 결합되도록 하여, 기초와 모듈러 유닛구조체간의 완전고정을 구현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a에는 종래 적층된 모듈러 유닛구조체(2a,2,b,2c)가 기초(1)에 접합된 상태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종래 모듈러 유닛구조체(2a,2,b,2c)는 기둥(3), 보(4,5,7)가 조립되어 사각 박스체 형태로서 하부에는 바닥판(6)이 상기 보(5) 사이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b에는 종래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복수개의 기둥(3)이 모이는 기둥 접합부(3c)를, 기초(1)의 상면에 접합시키는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즉, 보(4)가 연결된 각 기둥(3)의 하단 개구부 내측에 앵커홀이 형성된 기둥감합철물(32b)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기둥감합철물(32b)들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향감합볼록구(83b,4개)가 중간플레이트(85)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중간플레이트(85) 저면에는 상향감합볼록구(83b,4개)와 대향되도록 하향감합볼록구(82a)가 저면에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향감합볼록구(83b), 중간플레이트(85) 및 하향감합볼록구(82a)를 관통하도록 앵커홀(84)이 형성된 중간감합철물(8B)이 형성되고,
상기 기초(1)의 상면에는 하향감합볼록구(82a) 각각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감합볼록구수용홈(33c)이 형성되도록 하되, 앵커볼트(95,4개)가 상향 돌출되도록 설치함으로서,
상기 앵커볼트(95)가 중간감합철물(8B)의 앵커홀(84)과 기둥감합철물(32b)의 앵커홀에 삽입되어 미도시된 지그와 너트에 의하여 기둥감합철물(32b)의 상면에 체결됨으로서,
결국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복수개의 기둥(3)이 기초(1)에 접합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법은 접합구조가 복잡하여 시공이 용이하지 않고, 내부 기둥 접합 시공이 어려워 구조 성능 저하 요인이 되었으며, 기초와 접합 시 시공오차 수렴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앵커볼트(95)에 의하여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복수개의 기둥(3)을 기초(1)에 서로 접합시키는 접합구조는
모듈러 유닛구조체 기둥의 하단부에 연결철물(감합철물들)을 결합하고 연결철물을 기초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직접 결합하는 힌지 구조로서,
이러한 힌지 구조에 의해서는 횡력에 대한 저항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로 4층 이하 2-3층 규모의 건축물에 한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내부 기둥 접합 시공이 어려워 구조성능 저하 요인이 되었으며,
기초와 접합 시 시공오차 수렴에 어려움이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제1997-004052호 "주두주각간 접합 구조 및 주각기초간 접합 구조 및 유닛 건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잡한 연결철물을 결합하지 않고 모듈러 유닛구조체 기둥의 하단부를 미리 기초에 형성된 매입공에 매입하여 결합하도록 하여, 특히 무수축 모르타르(충진재)의 충전이 용이하며, 기초와 모듈러 유닛구조체 간의 완전고정을 구현하여 고층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전체골조의 횡력 저항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엔드플레이트로 인해 인발저항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모듈러 유닛구조체 기둥의 현장조립시공성을 향상시켜 시공오차수렴이 가능하며 공기단축이 가능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최하층의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최하층의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기둥을 지지하는 기초의 접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유닛구조체는 기둥의 하단부가 보 보다 하방으로 연장되어 결합부를 구성하며 상기 결합부는 하부에 십자형 연결재가 형성되되며,
상기 기초는 십자형 연결재가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가 위치할 곳에 매입공이 미리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매입공의 내부에 십자형 연결재가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삽입하고 매입공의 내부에 무수축 모르타르(충진재)를 타설하여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기둥의 결합부를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부는 기둥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수평으로 결합되는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결합부가 복수개로 결합된 상태로 매입공에 삽입되어 매입공에 타설된 충진재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로 결합된 결합부가 기초에 강결되도록 하고, 상기 십자형 연결재는 기둥부에 체결볼트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볼트는 기둥부를 관통하여 십자형 연결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너트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함으로서 전단연결재 기능을 하도록 하는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입공은 표면이 일정한 간격으로 요철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입공에 관이 매입되어 상기 관 내부에 십자형 연결재가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삽입되도록 하는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은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요철을 갖도록 형성된 주름관인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십자형 연결재가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의 저면에는 기둥의 단면보다 큰 크기의 엔드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는 복잡한 연결철물을 결합하지 않고 모듈러 유닛구조체 기둥의 하단부를 미리 기초에 미리 형성된 매입공에 매입하여 결합하도록 하여, 기초와 모듈러 유닛구조체간의 완전고정을 구현하여 고층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전체골조의 횡력저항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인발저항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모듈러 유닛구조체 기둥의 현장조립시공성을 향상시켜 시공오차수렴이 가능하며 공기단축에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둥간 현장용접 배제로 인하여 작업성 개선, 하자발생요인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매입공에 무수축 모르타로 충전이 용이하여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고정의 강성확보에 특히 유리하여 고층형 모듈러 유닛구조체 시공에 유리하다.
도 1a는 종래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시공사시도 및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기둥과 기초의 접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에서 사용되는 엔드플레이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에 있어 충진재가 타설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7d는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와 기초(200)와외 접합 구조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모듈러 유닛구조체(100)는 모듈러 유닛구조체를 다수개 수직 및 수평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최하층의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의 기둥(110)이 기초(200)에 결합(접합)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최하층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의 기둥(110)의 하단부가 기초(200)에 매입되어 고정 지지 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와 기초(200)의 접합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에서 최하층의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최하층의 모듈러 유닛구조체(100)는 기초(200)에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층부의 모듈러 유닛구조체와는 다른 형태를 갖도록 하는데, 기둥(110)의 하단부를 연장한 형상의 결합부(111)가 구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최하층의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의 기둥(110)의 하단부를 보(120)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연장하여 결합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111)를 기초(200)에 매입하여 결합 고정(강결)시키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111)는 기둥(110)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도 되고, 기존 기둥(110)의 하단부에 기둥(110)의 단면과 동일한 각관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켜도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200)에는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의 기둥(110)이 위치하는 부분에 미리 매입공(210)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매입공(210)은 기초(2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 깊이(H)로 천공된 형상을 하도록 구성되어,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의 기둥(110)의 결합부(111)가 안착될 수 있는 비어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매입공(210) 내부의 공간부에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의 기둥(110)의 결합부(111)를 삽입하도록 하고, 매입공(210)의 내부에 도 7과 같이 무수축 모르타르(충진재)(M)를 타설하여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와 기초(200)를 고정 시키는 것이다.
매입공(210)의 내부에는 기둥(110)의 결합부(111)가 삽입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매입공(210)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 장방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듈러 유닛구조체(100)는 한 개만 기초(20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듈러 유닛구조체(100)를 수평으로 결합하여 기초(200)와 결합시키기 때문에, 기초(200)의 매입공(210)에 삽입되는 기둥(110)의 결합부(111)는 복수개(도 4에서는 4개)가 결합된 상태로 매입공(210)에 삽입되고,
또한, 결합부(111)의 매입공(210) 내부에 삽입 시 시공오차를 수렴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도 매입공(210)의 크기는 예컨대 엔드플레이트(140) 단면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것을 사용하게 된다.
이에 도 4에서는 모듈러 유닛구조체(100)가 수평으로 4개가 이웃하여 기둥(110) 4개가 상호 결합된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110)의 결합부(111)는 후술되는 엔드플레이트(130)와 용접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시킬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용접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용접작업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십자형 연결재(150)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십자형 연결재(150)는 서로 직교하여 십자형으로 배치된 십자형 수직판재(152)와 십자형 수직판재(152) 중간을 관통하는 수평판재(153)를 포함하여 상기 수직판재(152)에는 관통홀(151)이 형성되어 있다.
결국 십자형 연결재(150)는 개방형 구조로 형성되어 매입공에 무수축 모르타르(충진재) 충전이 용이하여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와 기초(200)의 완전 고정에 매우 유리한 구조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십자형 연결재(150)는 기둥(110)의 결합부(111)의 하부와 상부가 체결볼트에 의하여 연결되고 저면이 엔드플레이트(130) 상면과 용접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고,
상기 십자형 연결재(150)에 형성된 체결홀(151)과 상기 체결홀(151)에 대응하여 기둥(110)의 결합부(111)에 형성된 체결홀을 서로 연통되도록 한 후 체결볼트로 서로 체결시켜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상기 기둥(110)의 결합부(111) 각각은 구획된 십자형 연결재(150)의 상부에 구분되어 결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둥(110)의 결합부(1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십자형 연결재(150) 저면에는 엔드플레이트(130)를 일체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엔드플레이트(130)는 도 4와 같이 상기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기둥(110)의 하단부에 기둥(110)의 단면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며, 매입공(210)의 지름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로서 기초(200)에 매입되어 기둥(110) 결합부(111) 하단부에 위치한 십자형 연결재(150)와 엔드플레이트(130)로 인하여 인발저항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에 기초와 모듈러 유닛구조체 간의 완전고정을 구현하여 고층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십자형 연결재(150)의 보강효과에 의하여 특히 전체골조의 횡력 저항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인발저항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기둥과 엔드플레이트의 용접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모듈러 유닛구조체 기둥의 현장조립시공성을 향상시켜 시공오차수렴이 가능하며 공기단축이 가능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에서 사용되는 엔드플레이트(13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즉, 엔드플레이트(130)는 원형, 사각형, 마름모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에서 십자형 연결재(150)와 엔드플레이트(130)가 일체로 형성되어 기초(200)의 매입공(210)에 삽입되도록 설치됨을 알 수 있다.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7d는 도 4에 의한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와 기초(200)의 접합부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 연결재(150) 하부에 형성된 기둥(110)의 결합부(111)는 매입공(210)에 삽입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매입공(210)의 저면에 엔드플레이트(130)가 접하도록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매입공(200)에 추후 타설되는 무수축 모르타르(충진재)와 결합되어 인발저항 성능을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입공(210)의 형성 시에 매입공(210)의 표면에 요철(200a)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요철(200a)은 추후 타설되는 무수축 모르타르(충진재)와 결합되어 인발저항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며, 매입공(210)의 저면에 엔드플레이트(130)가 접하도록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십자형 연결재(150)이 하부에 형성된 기둥(110)의 결합부(111)는 매입공(210)에 삽입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매입공(210)의 저면에 엔드플레이트(130)가 접하도록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입공(210) 형성시에 미리 예컨대 관(220)을 매입공(210)에 매입되도록 하여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210)은 중앙부가 통공된 긴 중공관 형상으로 원형, 정방형 또는 장방형 등의 각형 등 다양한 단면을 갖는 관(210)을 사용할 수 있다. 관은 현장여건 및 비용 등을 고려하여 PVC, 스테인레스, 여러 종류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관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십자형 연결재(150)의 하부에 형성된 기둥(110)의 결합부(111)는 매입공(210)에 삽입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매입공(210)의 저면에 엔드플레이트(130)가 접하도록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210)을 주름관(210a)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주름관(210a)의 외주면은 기초(200)에 결합되고 주름관(210a)의 내부는 비어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주름관(210a) 내부의 공간부에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의 기둥(110)의 결합부(111)를 삽입하도록 하고, 주름관(210a)의 내부에 무수축 모르타르(충진재)를 타설하여 모듈러 유닛구조체(100)과 기초(200)를 접합한다. 주름관(210a)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기초(200)에 매입되어야 기둥(110)의 결합부(111)를 삽입할 수 있다.
주름관(210a)은 예컨대 아코디언의 바람통 모양으로 주름을 잡아 만든 관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름으로 인하여 주름관의 외부와 내부에는 각각 홈과 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름관(210a) 외부의 홈과 돌기는 기초(200)와 결합되고, 내부의 홈과 돌기는 추후 타설되는 무수축 모르타르(충진재)와 결합되어 인발저항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십자형 연결재(150)이 하부에 형성된 기둥(110)의 결합부(111)는 매입공(210)에 삽입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매입공(210)의 저면에 엔드플레이트(130)가 접하도록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는 복잡한 연결철물을 결합하지 않고 모듈러 유닛구조체 기둥의 하단부를 미리 기초에 설치된 매입공에 매입하여 결합하도록 하여, 기초와 모듈러 유닛구조체간의 완전고정을 구현하여 고층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전체골조의 횡력저항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기초에 매입되어 구성된 십자형연결재 하부의 엔드플레이트로 인하여 인발저항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모듈러 유닛구조체 기둥의 현장조립시공성을 향상시켜 시공오차수렴이 가능하며 공기단축에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모듈러 유닛구조체
20 : 기초
110 : 기둥 111 : 결합부
120 : 보
130 : 엔드플레이트 150: 십자형 연결재
200 : 매입공
200a : 요철
210 : 관 210a : 주름관

Claims (6)

  1. 최하층의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와 최하층의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의 기둥(110)을 지지하는 기초(200)의 접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유닛구조체(100)는 기둥(110)의 하단부가 보(120)보다 하방으로 연장되어 결합부(111)를 구성하며 상기 결합부(111)의 하부에 십자형 연결재(15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기초(200)는 십자형 연결재(150)가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111)가 위치할 곳에 매입공(210)이 미리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매입공(210)의 내부에 십자형 연결재(150)가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111)를 삽입하고 매입공(210)의 내부에 충진재를 타설하여 모듈러 유닛구조체(100)의 기둥(110)의 결합부(111)를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부(111)는 기둥(110)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수평으로 결합되는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결합부(111)가 복수개로 결합된 상태로 매입공(210)에 삽입되어 매입공(210)에 타설된 충진재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로 결합된 결합부(111)가 기초(200)에 강결되도록 하고,
    상기 십자형 연결재(150)는 기둥부(111)에 체결볼트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볼트는 기둥부를 관통하여 십자형 연결재(15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너트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함으로서 전단연결재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공(210)은 표면이 일정한 간격으로 요철(200a)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공(210)에 관(210)이 매입되어 상기 관 내부에 십자형 연결재(150)가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111)를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관(210)은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요철을 갖도록 형성된 주름관(21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십자형 연결재(150)가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111)의 저면에는 기둥(110)의 단면보다 큰 크기의 엔드플레이트(13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6. 삭제
KR1020130084874A 2013-07-18 2013-07-18 십자형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KR101413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874A KR101413134B1 (ko) 2013-07-18 2013-07-18 십자형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874A KR101413134B1 (ko) 2013-07-18 2013-07-18 십자형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134B1 true KR101413134B1 (ko) 2014-07-01

Family

ID=5174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874A KR101413134B1 (ko) 2013-07-18 2013-07-18 십자형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981A (ko) 2014-12-19 2016-06-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부분 매입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유닛 기둥과 바닥판 기초의 접합부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011A (ja) * 1992-08-05 1994-03-01 Misawa Homes Co Ltd 建築構造物の免震構造
JP2006207118A (ja) * 2005-01-25 2006-08-10 Okumura Corp 建物の基礎構造
KR20110029454A (ko) * 2009-09-15 2011-03-23 엄기형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기둥 하부 기초의 보강 구조
KR101266737B1 (ko) * 2012-09-20 2013-05-28 현대엠코 주식회사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체의 기초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011A (ja) * 1992-08-05 1994-03-01 Misawa Homes Co Ltd 建築構造物の免震構造
JP2006207118A (ja) * 2005-01-25 2006-08-10 Okumura Corp 建物の基礎構造
KR20110029454A (ko) * 2009-09-15 2011-03-23 엄기형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기둥 하부 기초의 보강 구조
KR101266737B1 (ko) * 2012-09-20 2013-05-28 현대엠코 주식회사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체의 기초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981A (ko) 2014-12-19 2016-06-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부분 매입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유닛 기둥과 바닥판 기초의 접합부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851B1 (ko)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80494B1 (ko) 코어벽체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90794B1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연결마구리판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266737B1 (ko)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체의 기초 시공방법
KR101079406B1 (ko) 펜스용 브라켓을 구비한 펜스
KR101835354B1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236592B1 (ko) 유닛모듈라 주택의 철골 구조물 접합 구조
KR101413134B1 (ko) 십자형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KR101443567B1 (ko) 유닛구조체용 보
KR101341176B1 (ko) 해상 지지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JP3762689B2 (ja) 壁枠パネルと床スラブ基礎との結合構造
JP2017082532A (ja) ブレース付き柱架構
KR101413131B1 (ko) 밴드형 관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JP5923287B2 (ja) 柱脚保護構造及び保護カバー
KR102521464B1 (ko) 습식공법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간 수직 접합구조
KR101363795B1 (ko)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접합부 구조
JP5599281B2 (ja) 杭頭接合構造
KR101639252B1 (ko) 부분 매입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의 유닛 기둥과 바닥판 기초의 접합부 시공 방법
KR102093070B1 (ko) 갭레벨 플레이트와 슬리브 앵커캡으로 전단합성 일체화시킨 내부사각 문형 인프레임 내진 보강 방법
KR20150010207A (ko) 매입저면플레이트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JP2018096188A (ja) 免震装置と鋼管柱との接合構造および免震建物
JP2013032690A (ja) 鉄骨柱の柱脚構造
JP5619459B2 (ja) 免震装置用ベースプレートアセンブリの設置構造
AU2010257353B2 (en)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and anchor bolt installation jig
JP5785647B2 (ja) 免震装置用ベースプレートアセンブリ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