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486U - 생활오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생활오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486U
KR20160003486U KR2020160000436U KR20160000436U KR20160003486U KR 20160003486 U KR20160003486 U KR 20160003486U KR 2020160000436 U KR2020160000436 U KR 2020160000436U KR 20160000436 U KR20160000436 U KR 20160000436U KR 20160003486 U KR20160003486 U KR 201600034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iochemical
aeration
biofiltration
type a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605Y1 (ko
Inventor
이민 지앙
Original Assignee
이민 지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 지앙 filed Critical 이민 지앙
Publication of KR201600034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6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5Combined electrochemical 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0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 B01D24/4621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by nozzles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 material, or by fluids acting in co-current direction with the feed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활오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1차 생화학적 탱크와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1차 생화학적 탱크의 탱크체 하부에는 출수구가 형성되고, 생화학적 탱크체 내의 저부에는 제1 에어레이션관이 설치되어 있고, 여과탱크 내의 하부에는 제2 에어레이션관이 설치되어 있고, 여과탱크 내의 상부에는 여재층이 설치되어 있고, 여과탱크의 여재층 상부의 탱크체 사방 주위에는 집수조가 설치되어 있고, 여과탱크는 집수조와 대응되는 위치의 측벽에는 상부 출수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에어레이션관은 차단망에 지지되도록 장착되며, 차단망 하부의 여과탱크의 탱크체에는 입수구가 설치되어 있고, 여과탱크의 탱크체에는 하부 출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1차 생화학적 탱크의 출수구는 제1 관로를 통해 제1 수동밸브, 오수 분쇄펌프, 유량조절밸브, 유량계와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입수구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장치의 여과탱크는 처리과정에서 유입수가 균일하고, 물의 유동이 안정적이며, 동일한 수질과 동일한 시간을 거쳐 처리된 오수의 수질은 변동폭이 작아, 출수되는 수질의 안정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활오수 처리장치{TREATMENT EQUIPMENT OF DOMESTIC SEWAGE}
본 고안은 오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활오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국 특허 CN02117487.3호는 "생활오수 처리방법 및 장치"를 공개하였는데, 그 방법은 침전여과, 생화학적인 주기 반응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산소 충전 공정을 추가시켜, 혐기성 - 호기성 반응을 다단계 교체운행시키며, 하기의 생활오수 유입; 침전 1차 여과; 1차 생화학적 주기반응; 1차 산소 충전 단계; 2차 생화학적 주기 반응; 2차 산소 충전 단계; 침전; 3차 산소충전; 샘플수 취득; 배수 등 공정단계에 따라 진행된다. 이 방법의 단점은 MBR필터 생화학적 설비의 유지보수 요구가 높아, 설비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 주위환경의 특수성 때문에 수리 작업이 매우 어렵기에 설비의 고장률이 높고 유지보수 작업량이 큰 것이다.
중국 특허 CN201110388417.6호는 "복합형 선박 생활오수 처리방법"을 공개하였는 바, 수집탱크에 수집된 생활오수 중에 사이즈가 큰 고체 물질을 분쇄펌프로 분쇄하는 분쇄단계; 바닷물을 유입시켜 일정한 비율로 오수와 혼합시키는 해수 유입단계; 혼합된 해수와 오수 혼합물을 전기 응집 장치로 유입시켜 전기 응집처리를 진행하는 전기 응집 단계; 오수를 물펌프로 전해조에 유입시켜 전해반응 시킴으로써 오수가 전해조에서 산화되는 동시에 차염소산나트륨을 생성시켜 대장간균을 멸균시키는 전해단계; 전해된 오수를 산화수집탱크에서 추가적으로 산화 및 살균 시키는 동시에 전해 후에 생성된 수소를 배출 시키는 추가 산화 단계; 오수를 중화유닛에 유입시켜 잔류 염소기를 중화시키고, 요구에 부합될 경우 배출펌프로 합격된 오수를 선체 밖으로 배수시키는 중화 단계를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 방법의 단점은 전기응집장치는 상시적으로 청소가 필요하여 작업량이 많고, 수중 슬러지가 깨끗이 처리 되지 않은 것이다. 또한 전해 후의 염소기 잔량이 너무 높아 약제를 투입하여 중화처리하는 과정에서 2차 오염이 발생하며, COD수치를 저감시키기 쉽지 않은 문제점도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점유공간이 작고, 설비 유지보수 업무량이 적어 유지보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설비의 무슬러지화 처리에서 2차오염이 발생되지 않는 생활오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생활오수처리장치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생화학적 탱크와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와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탱크체들 탑부에는 각각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배기구에는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탱크체 탑부의 배기관을 통해 제7 수동밸브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의 탱크체에는 생활오수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의 탱크체 하부에는 출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의 내부에는 1차 생화학적 탱크 액면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 내의 저부에는 제1 에어레이션관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 내의 하부에는 제2 에어레이션관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에어레이션관과 제2 에어레이션관은 에어레이션 송풍팬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 내의 상부에는 여재층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여재층 상부의 주위에는 집수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집수조와 대응되는 위치의 측벽에는 상부 출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에어레이션관은 차단망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단망은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탱크체 내벽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차단망과 여재층 사이의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 내부에는 부유 생물 충전 구체가 충전되어 생화학적 구역이 형성되며,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생화학적 구역에는 가열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차단망 하부의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탱크체에는 하부 입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탱크체에는 하부 입수구보다 낮은 높이에 하부 출수구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의 출수구는 제1 관로를 통해 제1 수동밸브, 오수 분쇄펌프, 유량조절밸브, 유량계와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입수구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1차 생화학적 탱크 액면계는 제어시스템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시스템은 1차 생화학적 탱크 액면계의 액면 정보를 수집하여, 액면 정보에 따라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 내의 액면 높이를 판단하여 오수 분쇄펌프에 온오프 제어정보를 송출한다.
본 고안이 가지는 장점과 유리한 효과는 1차 생화학적 탱크에 에어레이션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였는 바, 이는 오수처리에 있어서 한번의 전처리를 추가하는 효과로, 또한 가스통로를 제어함으로 연속적 에어레이션 모드와 간헐적 에어레이션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여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간헐적 에어레이션 방식은 처리된 오수의 인 함량이 요구에 부합되어야 할 경우 적용되는 것으로, 호기성 균과 혐기성 균이 교차적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부분적으로 암모니아질소와 인을 분해시킬 수 있다. 분쇄펌프로 1차 생화학적 탱크 내부의 큰 물체를 순환 분쇄시킴으로, 오수중에 큰 물체를 분쇄하여 생화학적 처리가 용이하도록 함으로, 시스템의 생화학적 처리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다. 2차 처리 장치는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로, 기능적으로 침전, 생화학적 반응, 여과가 일체화된 처리장치다. 그 유입수는 상기 1차 처리의 분쇄펌프가 제공하는 것으로, 또한 유입수 유량은 유량 제어밸브에 의해 조절제어 되어 유입된다. 때문에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처리과정은 유입수가 균일하고, 물 흐름이 안정적이며, 동일한 수질과 동일한 시간으로 처리된 오염수는 처리후 수질의 파동이 작아, 유출수의 수질 안정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탱크체 내부에는 또한 항온가열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저온환경에서 오수를 항온가열 시킬 수 있기에, 균체들의 번식과 작업하는 온도환경을 최적화 시켜줄 수 있어, 설비의 처리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탱크 저부의 침적물을 역배출 시키고, 여재 분사 세척으로 이물질을 역배출하는 순환처리 방식은, 시스템의 무슬러지화 처리를 구현시킴과 동시에, 유지보수 작업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3차 전해처리는 오수를 소독멸균시키고, 산화 및 탈색시킴으로, 최종 배출수의 수질이 1급 A라는 표준에 부합되게 함과 동시에 그 어떤 화학약품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전반적으로 본 시스템은 운전상 안정적이고 신뢰도가 높으며, 유지보수가 편하고, 운전원가가 낮으며, 2차 오염이 없고, 배출수의 수질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생활오수 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내용, 특징 및 효과를 진일보 설명하고저, 하기와 같이 실시예를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는 바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생활오수 처리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생화학적 탱크(12)와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12)와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탱크체 탑부에는 각각 배기구(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배기구(8)에는 탱크체 탑부의 배기관을 통해 제7 수동밸브(11-7)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12)의 탱크체에는 생활오수유입구(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12)의 탱크체 하부에는 출수구(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12)의 내부에는 1차 생화학적 탱크 액면계(7-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12) 내의 저부와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 내의 하부에는 각각 제1 에어레이션관(13-1)과 제2 에어레이션관(13-2)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에어레이션관(13-1)과 제2 에어레이션관(13-2)은 에어레이션 송풍팬(15)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 내의 상부에는 여재층(40)이 장착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여재층(40)은 여과패널(2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과패널(23)에는 우산형 여과헤드(24)가 장착되어 있고, 여과헤드(24)의 상부에는 여재가 충전되어 있다.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여재층(40) 상부의 주위에는 집수조(3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상기 집수조(37)와 대응되는 위치의 측벽에는 상부 출수구(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에어레이션관(13-2)은 차단망(27)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단망(27)은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탱크체 내벽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차단망(27)과 여재층(40) 사이의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 내부에는 부유 생물 충전 구체(25)가 충전되어 생화학적 구역(26)이 형성되며,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생화학적 구역(26)에는 가열장치(36)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가열장치(36)는 외부 환경온도가 낮을 경우 생화학적 구역(26)을 항온 가열시킴으로, 내부의 미생물을 위한 최적의 생장 및 작업 온도를 유지시켜, 오수처리의 효과를 확보 시킬 수 있다. 차단망(27) 하부의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탱크체에는 하부 입수구(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탱크체에는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 입수구(20-1)보다 낮은 높이에 하부 출수구(10-3)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12)의 출수구(10-1)는 제1 관로를 통해 제1 수동밸브(11-1), 오수 분쇄펌프(14), 유량조절밸브(11-2), 유량계(39)와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입수구(20-1)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1차 생화학적 탱크 액면계(7-1)는 제어시스템(미도시)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시스템은 1차 생화학적 탱크 액면계(7-1)의 액면 정보를 수집하여, 액면 정보에 따라 탱크내의 액면 높이를 판단하여 오수 분쇄펌프(14)에 온오프 제어정보를 송출함에 있어서, 액면 높이가 일정한 수치보다 높을 경우, 제어시스템은 오수 분쇄펌프(14)에 구동신호를 송출 혹은 일정한 수치보다 낮을 경우, 제어시스템은 오수 분쇄펌프(14)에 오프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장치의 생활오수 수원 부분의 처리는 주방 오수(1)를 지방트랩(4)으로 기름과 이물질을 분리한 뒤, 세탁폐수(2), 흑색수(3)를 1차 생화학적 탱크(12)내에 유입되도록 한다.
1차 생화학적 탱크(12) 내부에는 고체 혹은 액체 인공 미생물 균이 들어 있어, 매우 빨리 대량 생물균을 번식시킬 수 있어, 이 생물균들은 생활오수 처리장치의 기동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는 것으로, 에어레이션 송풍팬(15)은 간헐적 혹은 연속적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생물균의 생장번식을 위한 산소를 공급하여, 미생물이 오수를 분해하도록 한다. 1차 생화학적 탱크(12)의 액면계(7-1)는 오수 분쇄펌프(14)를 제어함에 있어서, 수위가 높을 시 오수 분쇄펌프(14)를 구동시켜, 1차 생화학적 탱크(12) 내부의 오수를 분쇄처리 후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 내부에 올려준다. 이때 유입수 유량은 유량 제어밸브로 조절할 수 있기에 조절하여 유입시킨다. 때문에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처리과정에는 유입수가 균일하고, 유동이 안정적이며, 동일한 수질 및 동일한 시간에 처리된 오수는 수질 변동이 적어, 유출수 수질의 안정을 확보할 수 있다.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는 기능적으로 침전, 생화학적 반응, 여과가 일체화된 처리장치로, 1차 생화학적 탱크(12)에 의해 처리된 오수는 오수 분쇄펌프(14)에 의해 상승되어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입수구(20-1)에 유입된다. 오수는 아래로부터 위방향으로 차단망(27)을 거쳐 균일하게 생화학적 구역(26)에 유입된다.
생화학적 구역(26) 내부에는 부유 생물 충전 구체(25)가 충전되어 있으며, 에어레이션 송풍팬(15)은 생화학적 구역에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성균을 배양함에 있어서, 다량의 균체가 부유 생물 충전 구체(25)에 부착되어 오수중의 이물질을 생물학적으로 니트로화시킨다.
오수는 생화학적인 처리를 거친 후,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탱크체 상부의 여과패널(23)까지 상승되는데, 여과패널(23)에는 우산형 여과헤드(24)가 설치되어 있고, 여과헤드(24)의 주위는 여과구역(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 두께의 여재가 충전되어 있어, 처리된 오수중에 이물질을 여과시켜 유출수가 깨끗하도록 확보하는 것이다.
본 장치는 1차 생화학적 탱크(12) 내에 에어레이션 장치를 추가시키고 또한 1차 생화학적 탱크(12) 내의 유출수를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하부에 송출하여, 차단망(27)을 거치도록 함으로, 아래로부터 위방향으로 유동시키면서 생화학적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1차 생화학적 탱크(12)에 에어레이션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오수처리에 있어서 한번의 전처리를 추가하는 효과로, 2차 생화학적 탱크, 즉,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처리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고, 또한 연속적 에어레이션 모드와 간헐적 에어레이션 모드 사이에서 전환 시킬 수 있어, 간헐적 에어레이션 방식은 암모니아질소와 인을 분해시킬 수 있다. 1차 생화학적 탱크(12) 내의 오수는 오수 분쇄펌프(14)에 의해 분쇄된 후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에 유입되는데 이에 함유된 큰 물체는 분쇄가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기에 차단망(27)으로 오수 중에 분쇄가 미흡한 물질을 차단시켜 침전구역에 포획함으로, 처리된 오수의 고체 물질의 함량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여과헤드(24)와 여과구역(22)이 막히는 상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 내부에는 가열기(36)를 추가 장착함으로, 그 내부 온도를 세균의 생장과 작업에 최적화된 온도로 항상 유지시킬 수 있어, 오수 처리 효과를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12)의 탱크체에는 회수구(9)가 설치되어 있고,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하부 출수구(10-3)는 제1 회수관로를 통해 제3 수동밸브(11-3)와, 오수 분쇄펌프(14)의 입구 및 제1 수동밸브(11-1) 사이에 배치된 제1 관로와 순차적으로 상호 연통된다. 그리고 제2 관로의 일단은 오수 분쇄펌프(14)의 출구와 유량조절밸브(11-2) 사이에 배치된 제1 관로와 순차적으로 상호 연통되되, 제2 관로의 타 일단은 제4 수동밸브(11-4) 및 1차 생화학적 탱크(12)의 회수구(9)와 순차적으로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상부 출수구(10-2)는 제6 수동밸브(11-6)가 설치된 제2 회수관로를 통해 1차 생화학적 탱크(12)의 회수구(9)와 상호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1차 생화학적 탱크(12) 내의 오수는 오수 분쇄펌프(14)에 의해 분쇄된 후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에 유입되는데, 이에 함유된 큰 사이즈의 물체들은 분쇄가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기에, 차단망(27)으로 오수중의 분쇄가 미흡한 물질을 여과하여, 1차 생화학적 탱크(12)로 재차 이송하여 분쇄 및 생화학적 처리를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어레이션 송풍팬(15)은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레이션 송풍팬(15)은 송풍팬 관로를 통해 하나의 가스저장탱크(38)와 연통되며, 상기 에어레이션 송풍팬(15)은 1차 생화학적 탱크(12)와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탱크체들 외부에 설치되고, 제1 에어레이션관(13-1)의 흡입구(18-1)와 제2 에어레이션관(13-2)의 흡기구(18-2)는 각자 제1 유량 제어밸브(19-1), 제3 유량 제어밸브(19-3)가 설치된 에어레이션 관로를 통해 함께 가스저장탱크(38)에 연결된다. 여기서 에어레이션 송풍팬(15)은 1차 생화학적 탱크(12) 및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탱크체들 외부에 설치 됨으로 향후의 유지보수에 용이하게 되어 있다. 물론, 실시 예에 따라, 1차 생화학적 탱크(12)와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탱크체들 내부에 각각 침수형 송풍팬(미도시)을 설치 하여, 침수형 송풍팬을 제1 에어레이션관(13-1)과 제2 에어레이션관(13-2)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과헤드(24)와 여과구역(22)의 충전재는 일정기간 경화 후 사용할 경우 막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는 세척공정으로 세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여과패널(23)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세척분사관(2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척분사관(21)의 흡기구(18-3)는 제2 유량 제어밸브(19-2)의 세척연결관을 통해 상기 가스저장탱크(38)와 연결되어 있다. 여재의 세척 프로세스는 제5 수동밸브(11-5)를 오프시키고, 양측통로의 제1 유량 제어밸브(19-1), 제3 유량 제어밸브(19-3)를 오프시킨 후, 제2 유량 제어밸브(19-2)를 온 시켜, 압축공기가 세척분사관(21)을 거쳐 여과재에 분사되어 세척하도록 한다. 다음 송풍팬(15)을 오프시키고, 상부 출수구(10-2)에 연결된 제6 수동밸브(11-6)를 온시키고, 오수 분쇄펌프(14)의 제4 수동밸브(11-4)를 오프시키고, 제7 수동밸브(11-7)을 오프시킨후 오수 분쇄펌프(14)를 온 시켜 여과재에서 세척된 슬러지를 1차 생화학적 탱크(12)로 이송하여 재처리를 진행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탱크체 내측 하부에는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하부 출수구(10-3) 대비 경사지는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큰 사이즈의 이물질은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저부에 침전되게 되는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탱크체 저부에 경사면을 형성시킴으로, 상기 이물질이 하부 출수구(10-3) 부근에 모이도록 한 것이다. 정기적으로 제3 수동밸브(11-3), 제4 수동밸브(11-4)를 온 시켜 슬러지 분쇄펌프의 프로세스를 전환시킬 경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 저부의 침적물들을 1차 생화학적 탱크(12)로 회수시켜 순환처리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의 상부 출수구(10-2)는 제5 수동밸브(11-5)가 장착된 제1 출수관로를 통해 수집조(28)의 상부 입수구(20-2)와 연통되며, 수집조(28) 내부에는 수집조 액면계(7-2)가 설치되어 있고, 수집조(28) 하부의 출수구(10-4)는 제2 출수관로를 통해 물펌프(29), 역지밸브(17-2)와 전해장치(30) 내부의 오수 전해 전극(31)의 입수구와 순차적으로 연통되며, 해수 혹은 염수(33)는 제8 수동밸브(11-8)와 제4 유량 제어밸브(19-4)가 장착된 해수관로를 통해 오수 전해 전극(31)의 입수구에 연통된다. 그리고 오수 전해 전극(31)의 출수구(10-5)는 배출탱크(34)의 하부 입수구(21-3)와 연통되며, 상기 배출탱크(34)의 상부에는 출수구(10-6)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탱크(34)의 하부에는 배출구(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집조(28) 및 배출탱크(34)의 탱크체들에는 각자 배기구(8)가 형성되어 있고, 수집조(28)의 액면계(7-2)는 제어시스템(미도시)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시스템은 수집조(28)의 액면계(7-2)의 액면정보를 수집하여, 액면정보에 따라 수집조(28) 내부 수위의 높이를 판단하고, 물펌프(29)에 온오프 제어정보를 송출한다. 여기서 제어시스템은 액면이 소정 수치보다 높을 경우 물펌프(29)에 구동신호를 송출할 수 있고, 또한 소정 수치보다 낮을 경우 물펌프(29)에 정지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도1에서, 전해장치(30)는 오수 전해 전극(3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해박스(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집조(28) 내의 물을 전해장치(30)의 오수 전해 전극(31)에 공급함과 동시에, 전극의 입수구에 해수나 염수(33)를 투입하여 도전성을 높혀 전해처리한다. 전해처리는 수중에 세균을 살균하고 또한 오수의 색갈을 탈색시키며, COD 수치도 낮출 수 있어, 전해 처리된 물이 1급A의 배출표준에 부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해법은 생화학적 처리된 오수를 진일보 처리하여, 오수 처리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이렇게 배출되는 오수의 오염수치는 생화학적 처리만 진행한 경우 대비 더욱 낮다. 여기서 말하는 전해장치(30)는 해수 또는 염수(33) 중에 함유된 염화나트륨 성분을 이용하여, 전해장치(30) 내에 차염소산나트륨 약물을 형성시켜, 오수를 소독, 산화, 살균함으로, 배출되는 오수가 표준에 부합되로록 확보한다.
그리고 상용되는 폐가스 처리방식에 따라,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12),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16), 수집조(28) 및 배출탱크(34)의 탱크체들의 배기구(8)가 배기덕트에 연통되도록 함으로, 폐가스가 배기구(8)를 거쳐 배기덕트에 모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용되는 탱크체 내부 액체 과량 방지 방법에 따라,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12)의 탱크체에는 오버폴홀(6)이 형성되어 있고, 수집조(28)의 본체에도 오버폴홀(6)이 형성되어 있다.
12: 1차 생화학적 탱크
13-1: 제1 에어레이션관
16: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
13-2: 제2 에어레이션관
28: 수집조
30: 전해장치
34: 배출탱크

Claims (7)

1차 생화학적 탱크와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와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탱크체들 탑부에는 각각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의 상기 탱크체에는 생활오수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의 상기 탱크체 하부에는 출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의 내부에는 1차 생화학적 탱크 액면계가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배기구에는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탱크체 탑부의 배기관을 통해 제7 수동밸브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 내의 저부에는 제1 에어레이션관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 내의 하부에는 제2 에어레이션관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에어레이션관과 상기 제2 에어레이션관은 에어레이션 송풍팬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 내의 상부에는 여재층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여재층 상부의 주위에는 집수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집수조와 대응되는 위치의 측벽에는 상부 출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에어레이션관은 차단망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단망은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탱크체 내벽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차단망과 상기 여재층 사이의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 내부에는 부유 생물 충전 구체가 충전되어 생화학적 구역이 형성되며,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생화학적 구역에는 가열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단망 하부의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탱크체에는 하부 입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탱크체에는 상기 하부 입수구보다 낮은 높이에 하부 출수구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의 출수구는 제1 관로를 통해 제1 수동밸브, 오수 분쇄펌프, 유량조절밸브, 유량계와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하부 입수구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 액면계는 제어시스템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시스템은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 액면계의 액면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액면 정보에 따라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 내의 액면 높이를 판단하여 상기 오수 분쇄펌프에 온오프 제어정보를 송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오수 처리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의 상기 탱크체에는 회수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하부 출수구는 제1 회수관로를 통해 제3 수동밸브와, 상기 오수 분쇄펌프의 입구 및 상기 제1 수동밸브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 관로와 순차적으로 상호 연통되고, 그리고, 제2 관로의 일단은 상기 오수 분쇄펌프의 출구와 상기 유량조절밸브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 관로와 순차적으로 상호 연통되되, 상기 제2 관로의 타 일단은 제4 수동밸브 및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의 상기 회수구와 순차적으로 연통되며,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상부 출수구는 제6 수동밸브가 설치된 제2 회수관로를 통해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의 상기 회수구와 상호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오수 처리장치.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레이션 송풍팬은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레이션 송풍팬은 송풍팬 관로를 통해 하나의 가스저장탱크와 연통되며, 상기 에어레이션 송풍팬은 상기 1차 생화학적 탱크와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탱크체들 외부에 설치되고, 제1 에어레이션관의 흡입구는 제1 유량 제어밸브가 설치된 에어레이션 관로를 통해, 제2 에어레이션관의 흡기구는 제3 유량 제어밸브가 설치된 에어레이션 관로를 통해 함께 상기 가스저장탱크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오수 처리장치.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층은 여과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여과패널에는 우산형 여과헤드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여과헤드의 상부에는 여재가 충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오수 처리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패널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세척분사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척분사관의 흡기구는 제2 유량 제어밸브의 세척연결관을 통해 상기 가스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오수 처리장치.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탱크체 내측 하부에는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하부 출수구 대비 경사지는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오수 처리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유동형 에어레이션 생물여과탱크의 상기 상부 출수구는 제5 수동밸브가 장착된 제1 출수관로를 통해 수집조의 상부 입수구와 연통되며, 상기 수집조 내부에는 수집조 액면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집조 하부의 출수구는 제2 출수관로를 통해 물펌프, 역지밸브와 전해장치 내부의 오수 전해 전극의 입수구와 순차적으로 연통되며, 해수 혹은 염수는 제8 수동밸브와 제4 유량 제어밸브가 장착된 해수관로를 통해 상기 오수 전해 전극의 상기 입수구에 연통되며, 상기 오수 전해 전극의 출수구는 배출탱크의 하부 입수구와 연통되며, 상기 배출탱크의 상부에는 출수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탱크의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집조 및 상기 배출탱크의 탱크체들에는 각자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집조 액면계는 제어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시스템은 상기 수집조 액면계의 액면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액면정보에 따라 상기 수집조 내부 수위의 높이를 판단하고, 물펌프에 온오프 제어정보를 송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오수 처리장치.
KR2020160000436U 2015-03-30 2016-01-26 생활오수 처리장치 KR20048460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20184583.8 2015-03-30
CN201520184583.8U CN204661494U (zh) 2015-03-30 2015-03-30 一种生活污水处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86U true KR20160003486U (ko) 2016-10-10
KR200484605Y1 KR200484605Y1 (ko) 2017-09-28

Family

ID=5413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436U KR200484605Y1 (ko) 2015-03-30 2016-01-26 생활오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04678U (ko)
KR (1) KR200484605Y1 (ko)
CN (1) CN20466149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4252A (zh) * 2020-10-16 2021-01-08 中铁环境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易辨别微孔曝气盘是否损坏的生活污水处理设备
CN112250236A (zh) * 2020-10-10 2021-01-22 天津万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多级处理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5083A (zh) * 2015-12-20 2016-03-23 重庆德蒙特科技发展有限公司 切削液补气装置
CN107601753A (zh) * 2016-07-12 2018-01-19 天津宏晟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降解处理污水的曝气装置
CN107651779A (zh) * 2017-11-07 2018-02-02 广东环境保护工程职业学院 一种污水处理装置及城市污水净化系统
CN108689494A (zh) * 2018-07-13 2018-10-23 北京海斯顿水处理设备有限公司 一种生物膜多级反应设备
CN109081490A (zh) * 2018-08-27 2018-12-25 天津渤化工程有限公司 废水处理设备及方法
CN108918394A (zh) * 2018-09-04 2018-11-30 广州鹏凯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测试填料处理污水性能的实验装置
CN109650562A (zh) * 2019-02-27 2019-04-19 广东金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收集和生物处理装置
CN110482784A (zh) * 2019-08-09 2019-11-22 南京盛航海运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生活污水处理系统
CN112279403B (zh) * 2020-08-25 2023-04-28 郝林泽 一种生活污水前处理装置
CN112573772A (zh) * 2020-12-16 2021-03-30 安徽天健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控制的船舶污水贮存装置
CN112876005A (zh) * 2021-04-21 2021-06-01 广东柏然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船舶污水收集处理装置
CN115594338A (zh) * 2022-09-30 2023-01-13 北京城市排水集团有限责任公司(Cn) 一种户用污水处理系统和方法
CN115572020B (zh) * 2022-11-09 2023-03-07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污水处理中溶解无机碳自动监测装置
CN116002890A (zh) * 2022-12-14 2023-04-25 北京城市排水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户用污水处理系统和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8295A (ja) * 1989-12-20 1994-07-19 Ebara Infilco Co Ltd 有機性汚水の生物処理方法
KR100233565B1 (ko) * 1997-12-12 1999-12-01 박호군 미생물 조정조를 이용한 고효율 생활오수 합병처리장치
KR20020080609A (ko) * 2001-04-16 2002-10-26 주식회사 한라시스템 생활오수 처리장치 및 방법
CN1508082A (zh) * 2002-12-18 2004-06-30 三宝En.Tec株式会社 利用生物过滤介质对废水进行处理的装置和方法
KR20130026715A (ko) * 2011-09-06 2013-03-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오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오수 처리 방법
KR20140075088A (ko) * 2012-12-10 2014-06-19 (주) 가스펠 바이오 생물학적 여과기능을 갖는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8295A (ja) * 1989-12-20 1994-07-19 Ebara Infilco Co Ltd 有機性汚水の生物処理方法
KR100233565B1 (ko) * 1997-12-12 1999-12-01 박호군 미생물 조정조를 이용한 고효율 생활오수 합병처리장치
KR20020080609A (ko) * 2001-04-16 2002-10-26 주식회사 한라시스템 생활오수 처리장치 및 방법
CN1508082A (zh) * 2002-12-18 2004-06-30 三宝En.Tec株式会社 利用生物过滤介质对废水进行处理的装置和方法
KR20130026715A (ko) * 2011-09-06 2013-03-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오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오수 처리 방법
KR20140075088A (ko) * 2012-12-10 2014-06-19 (주) 가스펠 바이오 생물학적 여과기능을 갖는 여과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50236A (zh) * 2020-10-10 2021-01-22 天津万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多级处理设备
CN112250236B (zh) * 2020-10-10 2023-01-20 天津万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多级处理设备
CN112194252A (zh) * 2020-10-16 2021-01-08 中铁环境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易辨别微孔曝气盘是否损坏的生活污水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661494U (zh) 2015-09-23
KR200484605Y1 (ko) 2017-09-28
JP3204678U (ja)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605Y1 (ko) 생활오수 처리장치
CN100447100C (zh) 处理染料废水的生物-电化学组合装置及其方法
CN102139990B (zh) 垃圾渗透液超声波组合废水处理工艺及其处理系统
CN101205109B (zh) 厌氧法处理化纤废水装置
KR101020593B1 (ko) T형 폭기 장치가 구비된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소인 제거 오폐수 처리 방법
CN105731724B (zh) 一种海上平台高盐生活污水处理回用方法
CN101863533A (zh) 内循环多维电催化废水处理装置
KR101226547B1 (ko)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CN101428946A (zh) 一体化生活污水处理工艺与装备
CN102642994A (zh) 高浓度、高色度废水处理工艺
CN102633411B (zh) 一体化中水处理装置
CN205676312U (zh) 一种海上平台高盐生活污水处理回用设备
CN204689832U (zh) 一种舰船生活污水处理及中水回用系统
CN210287055U (zh) 一种生活污水一体化处理装置
CN204162570U (zh) 一种微电解/厌氧/好氧/膜过滤处理装置
CN103979734A (zh) 地埋式生活污水处理系统
CN105693036A (zh) 一种智能污水处理系统
CN201154935Y (zh) 化纤废水处理装置
KR20190118997A (ko) 가축분뇨 및 오폐수 처리 방법 및 장치
CN214261335U (zh) 一种畜禽养殖的电解水消毒系统
CN205773889U (zh) 一种化验室废液处理设备
CN204237658U (zh) 一种洗浴废水净化回用装置
CN201762149U (zh) 内循环多维电催化废水处理装置
CN208038256U (zh) 一种智能mbr一体化生活污水处理设备
KR101081031B1 (ko) 슬러지와 하수 총인 감소 및 축산분뇨 액비화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