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472A -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472A
KR20160003472A KR1020140081954A KR20140081954A KR20160003472A KR 20160003472 A KR20160003472 A KR 20160003472A KR 1020140081954 A KR1020140081954 A KR 1020140081954A KR 20140081954 A KR20140081954 A KR 20140081954A KR 20160003472 A KR20160003472 A KR 20160003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thruster motor
thruster
maintenanc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6696B1 (ko
Inventor
방정훈
이병윤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1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6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3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러스터 룸 안에 설치된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 보수를 위해서 거주구의 상부 데크에 가이드 레일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리프팅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거주구의 하부 데크에 상기 리프팅 유닛에 의해 운반된 상기 스러스터 모터를 안치하기 위한 고정 플랫폼이 연장 형성됨으로써,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보수 작업시 제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 보수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보수 작업시 선원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보수 및 수리 등에 따른 작업 중단 기간을 좀더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시추선의 경쟁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MAINTENANCE SYSTEM OF THRUSTER MOTOR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라이저 및 드릴 파이프를 모두 핸들링할 수 있는 위치로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의 위치를 재조정하는 경우에도, 모노레일 시스템을 구성하여 제 1 스러스터 모터를 원활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는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쉽은 시추선이라고도 하며 해양에서 원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는 장비를 탑재한 선박으로서, 해상 플랫폼의 설치가 불가능한 심해 지역이나 파도가 심한 해상에서 원유나 가스 등의 채취 작업이 가능한 선박이다.
세계 석유 산업계에서 새로운 유전을 찾는 탐사에는 석유 또는 가스층을 심해를 포함하는 환경에서 찾으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해양 굴착을 위한 수심이 깊어지기 때문에, 해면까지 유정 구멍을 연장하는데 필요한 해저설비의 수량이 증가하는 만큼 굴착 작업에 필요한 장비의 크기도 증가하고 있다.
바다에서 석유 또는 가스 자원을 채굴하기 위한 드릴쉽의 작업은 라이저 파이프들을 드릴 플로어(Drill floor)로 수평 이동시킨 다음 데릭(Derrick)을 사용하여 세워서 해저 유정으로 연속하여 내려보내게 된다.
드릴 파이프와 라이저 파이프 등을 핸들링하기 위하여 드립쉽의 데크에는 다수의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들이 설치되는데, 드릴쉽의 선수 측 양 현에는 드릴 파이프를 운반하기 위한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 및 제 2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이 설치된다.
드릴쉽의 선미 측 양 현에는 라이저 파이프를 운반하기 위한 제 3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 및 제 4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 및 제2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 그리고 상기 제 3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 및 제 4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은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한편, 드릴쉽에는 조류 및 풍향, 풍속, 파고에 의하여 선체가 흔들려 위치가 변화되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자기위치 제어장치(Dynamic Positioning Control System)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자기위치 제어장치로는 선체를 일정하게 정박시키기 위한 무어링 시스템(Mooring System)이나 해수 속을 360°회전하면서 추진 및 역추진, 또는 좌우방향의 추진력을 발생하여 선체의 자기위치를 제어하는 전방위 추진기(Azimuth Thruster) 등이 있다.
이러한 자기위치 제어장치 중 하나인 전방위 추진기(이하, 스러스터라 함)는 시추선에 형성된 스러스터 룸에 장착되며, 프로펠러를 포함한 언더워터유닛(Under Water Unit), 리셉터클(Receptacle) 및 스러스터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러스터 모터는 성능 검사를 받도록 규정되어 있고, 고장 시 수리를 위해서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보수(Mainteanace) 작업이 진행된다.
도 1은 종래 드릴쉽의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 배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보수를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포터블 테이블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드립쉽의 선수 측의 양 현에는 드릴 파이프들(1)을 핸들링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10)(20)이 배치되고, 드릴쉽(10)의 선미 측의 양 현에는 라이저 파이프들(2)을 핸들링하기 위한 제 3 및 제 4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30)(40)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10) 및 제 2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20), 그리고 상기 제 3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30) 및 제 4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40)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드릴 파이프(1)와 라이저 파이프(2)를 핸들링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헬리 데크(3)에는 제 1 스러스터(50)의 트러스터 모터(51:도 2 참조)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해치(4)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10)은 드릴 파이프(1)를 핸들링할 뿐만 아니라 제 1 스러스터(50)의 트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작업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드릴쉽에는 수직으로 제 1 스러스터 룸(R)이 형성되고, 그 제 1 스러스터 룸(R) 안에 제 1 스러스터(50)가 설치된다.
제 1 스러스터 모터(51)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10)을 이용하여 스러스터 모터(51)를 상방으로 끌어올리고, B 데크 위에 설치된 별도의 포터블 테이블(60) 위에 제 1 스러스터 모터(51)를 올려놓는다.
상기 포터블 테이블(50)을 드릴쉽의 측면으로 이동시킨 후, 외부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제 1 스러스터 모터(51)를 드릴쉽의 외부 검사 장소로 운반한다.
그러나, 종래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의 배치에서는,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의 작업반경이 미치지 못하여 드릴쉽의 후방 좌현 끝단에 적재된 드릴 파이프의 핸들링이 불가능하고, 종래 제 4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의 배치에서도 제 4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의 작업반경이 미치지 못하여 드릴쉽의 전방 우현 끝단 적재된 라이저 파이프의 핸들링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핸들링 불가능을 해소하기 위하여,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의 아암 길이를 단순히 연장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 아암 간의 간섭 및 충돌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통상 스러스터 룸이 데크 하우스(Deck house)에 의해서 가려져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에 위험성이 따르고 있으며, 별도의 CCTV를 이용해 유지보수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작업 위험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드릴 파이프 및 라이저 파이프의 핸들링 불가능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을 드릴쉽의 선미 측으로 이동 배치하며, 제 4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을 드릴쉽의 선수 측으로 이동 배치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과 제 4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을 각각 드릴 쉽의 선미 측과 선수 측으로 이동 배치함으로써, 드릴쉽의 후방 좌현 끝단에 적재된 드릴 파이프의 핸들링이 가능하고, 드릴쉽의 전방 우현 끝단 적재된 라이저 파이프의 핸들링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 및 제 4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을 선미 측과 선수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보수에 많은 제약이 수반된다.
즉,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의 위치를 선미 측으로 이동 재배치하는 것은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보수 작업시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발생할 수 있다.
한국 공개공보 제10-2009-0032618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주구의 상부 데크에 가이드 레일이 연장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에 리프팅 유닛이 설치되며, 거주구의 하부 데크에 리프팅 유닛에 의해 운반된 스러스터 모터를 안치하기 위한 고정 플랫폼이 연장 형성됨으로써,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보수 작업시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 보수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은 스러스터 룸 안에 설치된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 보수를 위해서 거주구의 상부 데크에 가이드 레일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리프팅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거주구의 하부 데크에 상기 리프팅 유닛에 의해 운반된 상기 스러스터 모터를 안치하기 위한 고정 플랫폼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상부 데크는 상기 거주구의 D 데크와 E 데크 중 어느 하나의 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데크는 상기 거주구의 A 데크와 B 데크 중 어느 하나의 데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선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랫폼에는 라이프 보트의 유지보수를 위한 연결 플랫폼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터 모터를 상기 하부 데크 위에 안치하여 선체의 메인 데크 상부의 공간을 활용하는 구조이다.
상기 고정 플랫폼에는 안착 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안착 홀을 통해서 스러스터 모터를 삽입 고정하고, 테스트를 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랫폼은 공조 벤트 유지보수 영역과, 상기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영역과, 보딩 스테이션/라이프 보트 유지보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 유닛은 호이스트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은 거주구의 상부 데크에 가이드 레일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리프팅 유닛이 설치된 구조에서, 상기 리프팅 유닛이 스러스터 모터를 리프팅하는 단계; 상기 리프팅 유닛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스러스터 모터를 운반하는 단계; 및 상기 거주구의 하부 데크에 형성된 고정 플랫폼 상부에 상기 스러스터 모터를 안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플랫폼 상부에 상기 스러스터 모터를 안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고정 플랫폼에 형성된 안착 홀 안에 상기 스러스터 모터의 일부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랫폼을 통해서 공조 벤트 유지보수, 상기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보딩 스테이션/라이프 보트 유지보수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주구의 상부 데크에 가이드 레일이 연장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에는 리프팅 유닛이 설치되며, 거주구의 하부 데크에 리프팅 유닛에 의해 운반된 스러스터 모터를 안치하기 위한 고정 플랫폼이 연장 형성됨으로써,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보수 작업시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 보수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보수 작업시 선원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헬리 데크 상에 해치가 불필요하며,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보수 및 수리 등에 따른 작업 중단 기간을 좀더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시추선의 경쟁력 및 신뢰성을 향상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드릴쉽의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 배치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보수를 설명하는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포터블 테이블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을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가이드 레일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거주구의 A 데크에 설치된 고정 플랫폼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거주구의 A 데크에 설치된 고정 플랫폼을 보인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플랫폼을 보인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6은 가이드 레일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7은 거주구의 A 데크에 설치된 고정 플랫폼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8은 거주구의 A 데크에 설치된 고정 플랫폼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은 드릴쉽의 선수 측 양 현에 드릴 파이프들(1)을 핸들링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10)(20)이 배치되고, 드릴쉽(10)의 선미 측의 양 현에는 라이저 파이프들(2)을 핸들링하기 위한 제 3 및 제 4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30)(40)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10) 및 제 2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20), 그리고 상기 제 3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30) 및 제 4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40)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드릴 파이프(1)와 라이저 파이프(2)를 핸들링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10)을 드릴쉽의 선미 측으로 이동 배치함으로써, 드릴쉽의 전방 우현 끝단 적재된 라이저 파이프(2)의 핸들링이 가능하며, 제4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40)을 드릴쉽의 선수 측으로 이동 배치함으로써, 드릴쉽의 후방 좌현 끝단에 적재된 드릴 파이프(1)의 핸들링이 가능하다.
선체의 스테이션(station) 유지와 궤도 수정을 위해 선체의 자기 위치 방향 제어에 사용되는 스러스터(50)가 마련되는데, 시추선과 같은 부유식 구조물의 경우 정해진 위치에서 지속적인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DP(Dynamic positioning) System의 장착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DP 시스템으로 채택되고 있는 것의 일 예가 스러스터이며, 본 실시 예에서 스러스터는 아지무스 스러스터(Azimuth thruster) 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스러스터(50)는, 해수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언더워터유닛(53), 그리고 리셉터클(52)과 스러스터 모터(5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러스터(50)의 설치 및 제어방법과 그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10)을 선미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스러스터 모터(51)의 유지보수에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10)의 사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에서는, 스러스터 룸(R) 안에 설치된 스러스터 모터(51)의 유지 보수를 위해서 거주구(5)의 상부 데크에 모노레일 시스템, 즉 가이드 레일(110)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110)에는 리프팅 유닛(111)이 설치되며, 상기 거주구(5)의 하부 데크에는 상기 리프팅 유닛(111)에 의해 운반된 상기 스러스터 모터(51)를 안치하기 위한 고정 플랫폼(120)이 연장 형성된다. 리프팅 유닛(111)으로는 호이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데크는 상기 거주구(5)의 D 데크와 E 데크 중 어느 하나의 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데크는 상기 거주구의 A 데크와 B 데크 중 어느 하나의 데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기 거주구(5)의 E 데크에 가이드 레일(110)이 설치되고, B 데크에 고정 플랫폼(120)이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종래에는 메인 데크 상에 템포러리 파운데이션(60)을 설치하고, 그 템포러리 파운데이션(60) 위에 스러스터 모터(51)를 안착시키므로 메인 데크 상에서의 공간 협소 및 무어링 배치가 쉽지 않고, 템포러리 파운데이션 자체의 무게가 커서 템포러리 파운데이션의 설치가 매우 힘들다.
또한, 템포러리 파운데이션(60)은 스러스터 모터(51)의 유지보수 시에만 잠시 사용되고 유지보수가 끝난 후에는 장기간 보관되어야 하므로 보관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템포러리 파운데이션을 없애고, 그 템포러리 파운데이션 역할을 할 수 있는 고정 플랫폼(120)이 A 데크(또는 B 데크)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리프팅 유닛(111)에 의해 운반된 상기 스러스터 모터(51)를 안치하기 위한 고정 플랫폼(120)이 선체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랫폼(120)이 A 데크(또는 B 데크) 위에 안치되므로 선체의 메인 데크 상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 플랫폼(120)에는 안착 홀(12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안착 홀(121)을 통해서 스러스터 모터(51)의 일부를 삽입 고정하고, 테스트를 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랫폼(120)은 공조 벤트 유지보수 영역(Z 1)과, 상기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영역(Z 2)과, 보딩 스테이션/라이프 보트 유지보수 영역(Z 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플랫폼(120)에는 라이프 보트(B)의 유지보수를 위한 연결 플랫폼(125)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플랫폼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플랫폼에서는, 장비의 유지 보수시 간섭 및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데, 고정 플랫폼(220)의 일부를 힌지부(221)에 의해서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운항시에는 통행용 플랫폼으로 사용하고, 장비 유지 보수시에는 힌지부(221)를 이용하여 고정 플랫폼(220)을 접어두면 장비의 유지 보수시 간섭 및 장애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매우 편리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추선에 설치된 스러스터(50)의 스러스터 모터(51)에 대한 수리가 필요한 경우, 스러스터 모터(51)를 수리하는 수리 선박이 상기 시추선에 인접하게 되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러스터 모터 수리용 해치 모두 개방한다.
그 다음, 상기 리프팅 유닛(111)을 하강하여 상기 스러스터 모터(51)에 연결한 후, 스러스터 모터(51)를 선체로부터 분리하고, 상방으로 리프팅 시킨다.
그 다음, 상기 리프팅 유닛(111)을 이용하여,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선체 폭 방향으로 스러스터 모터(51)를 운반시킨 후, 고정 플랫폼(120) 위에 안치시킨다. 스러스터 모터(51)의 유지보수 작업시, 시추선 및 수리선박에는 무어링 시스템 등 다양한 자기위치 제어장치가 독립적으로 다수 개 운영되기 때문에, 두 선박은 상대거리 및 상대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해당 스러스터 모터(51)를 안전하게 수리선박으로 옮기 후 수리를 한다. 이후, 수리선박에서 해당 스러스터(50)의 스러스터 모터(51)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상기의 역순으로 상기 스러스터 모터(51)를 시추선에 재 설치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도면들과,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은 거주구(5)의 E 데크에 가이드 레일(11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110)에 리프팅 유닛(111)이 설치된 구조에서, 상기 리프팅 유닛(111)이 스러스터 모터(51)를 리프팅하는 단계(S 110); 상기 리프팅 유닛(111)이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스러스터 모터(51)를 운반하는 단계(S 120); 및 상기 거주구(5)의 B 데크에 형성된 고정 플랫폼(120) 상부에 상기 스러스터 모터(51)를 안치하는 단계(S 1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플랫폼(120) 상부에 상기 스러스터 모터(51)를 안치하는 단계(S 130)에서는, 상기 고정 플랫폼(120)에 형성된 안착 홀(121) 안에 상기 스러스터 모터(51)의 일부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랫폼(120)을 통해서 공조 벤트 유지보수, 상기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보딩 스테이션/라이프 보트 유지보수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주구의 상부 데크에 가이드 레일이 연장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에는 리프팅 유닛이 설치되며, 거주구의 하부 데크에 리프팅 유닛에 의해 운반된 스러스터 모터를 안치하기 위한 고정 플랫폼이 연장 형성됨으로써,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보수 작업시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 보수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보수 작업시 선원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헬리데크 상에 해치가 불필요하며,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보수 및 수리 등에 따른 작업 중단 기간을 좀더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시추선의 경쟁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스러스터 모터의 수리를 위한 선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드릴쉽 등의 시추선에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러스터가 설치된 선박이면 탐사선 등 다양한 선박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드릴 파이프
2: 라이저 파이프
5: 거주구
10: 제 1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
20: 제 2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
30: 제 3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
40: 제 4 카고 홀드 데크 크레인
50: 스러스터
51: 스러스터 모터
52: 프로펠러
60: 템포러리 파운데이션
110: 가이드 레일
111: 리프팅 유닛
120: 고정 플랫폼
121: 안착 홀
221: 힌지부
R: 스러스터 룸

Claims (12)

  1. 스러스터 룸 안에 설치된 스러스터 모터의 유지 보수를 위해서 거주구의 상부 데크에 가이드 레일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리프팅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거주구의 하부 데크에 상기 리프팅 유닛에 의해 운반된 상기 스러스터 모터를 안치하기 위한 고정 플랫폼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데크는 상기 거주구의 D 데크와 E 데크 중 어느 하나의 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데크는 상기 거주구의 A 데크와 B 데크 중 어느 하나의 데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선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랫폼에는 라이프 보트의 유지보수를 위한 연결 플랫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터 모터를 상기 하부 데크 위에 안치하여 선체의 메인 데크 상부의 공간을 활용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랫폼에는 안착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랫폼은 공조 벤트 유지보수 영역과, 상기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영역과, 보딩 스테이션/라이프 보트 유지보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착 홀 안에 상기 스러스터 모터의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은 호이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10. 거주구의 상부 데크에 가이드 레일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리프팅 유닛이 설치된 구조에서, 상기 리프팅 유닛이 스러스터 모터를 리프팅하는 단계;
    상기 리프팅 유닛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스러스터 모터를 운반하는 단계; 및
    상기 거주구의 하부 데크에 형성된 고정 플랫폼 상부에 상기 스러스터 모터를 안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랫폼 상부에 상기 스러스터 모터를 안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고정 플랫폼에 형성된 안착 홀 안에 상기 스러스터 모터의 일부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랫폼을 통해서 공조 벤트 유지보수, 상기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보딩 스테이션/라이프 보트 유지보수 작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KR1020140081954A 2014-07-01 2014-07-01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KR101606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954A KR101606696B1 (ko) 2014-07-01 2014-07-01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954A KR101606696B1 (ko) 2014-07-01 2014-07-01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72A true KR20160003472A (ko) 2016-01-11
KR101606696B1 KR101606696B1 (ko) 2016-04-11

Family

ID=5516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954A KR101606696B1 (ko) 2014-07-01 2014-07-01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6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687A (ko) * 2017-11-07 2019-05-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삽입 설치형 셀프 컨테이닝 쓰러스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618A (ko) 2007-09-28 2009-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스러스터 모터의 수리를 위한 선박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618A (ko) 2007-09-28 2009-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스러스터 모터의 수리를 위한 선박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687A (ko) * 2017-11-07 2019-05-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삽입 설치형 셀프 컨테이닝 쓰러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696B1 (ko)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224B2 (en) Shallow/intermediate water multipurpose floating platform for arctic environments
US8689720B2 (en) Offshore equipment deploying and retrieving vessel
US9446825B1 (en) Self-propelled, catamaran-type, dual-application, semisubmersible ship with hydrodynamic hulls and columns
US9227703B2 (en) Buoyant structure for petroleum drill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EP2841334B1 (en) Method for dry-docking a floating unit
EP3810500B1 (en) Method and vessel for deploying heavy objects
KR101290804B1 (ko) 반잠수식 시추선
KR101606696B1 (ko)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EP3243734B1 (en)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US6302049B1 (en) Multi-use vessel
US6367402B1 (en) Multi-use construction vessel
KR101503279B1 (ko)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KR101444150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526365B1 (ko) 선박 및 선박의 배치 방법
Sablok et al. Disconnectable arctic spar
KR20180006110A (ko) 문풀 댐핑장치 및 그 문풀 댐핑장치의 댐핑과 플립의 보관방법
KR20160115537A (ko) Bop 크레인 설치구조 및 그 bop 크레인 설치구조를 구비하는 드릴쉽
KR20220137987A (ko) 라이저 문풀을 포함하는 스프레드 계류 선박
KR101628868B1 (ko) 세미 리그의 리트렉터블 스러스터 시스템
KR101519540B1 (ko)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KR20140111123A (ko) 소규모 도크를 이용한 반 잠수형 시추선 건조 공법
KR20150021302A (ko) 모듈화된 데릭으로 구성되는 범용 시추 시스템
KR20140006635A (ko) 복합식 해상구조물 및 그의 운용방법
US9469384B2 (en) Variable stable drilling barge for shallow water service (inland and offshore)
WO2011028854A1 (en) Tender assisted production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