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523A -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523A
KR20140143523A KR20130065130A KR20130065130A KR20140143523A KR 20140143523 A KR20140143523 A KR 20140143523A KR 20130065130 A KR20130065130 A KR 20130065130A KR 20130065130 A KR20130065130 A KR 20130065130A KR 20140143523 A KR20140143523 A KR 20140143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azimuth
crane
ship
azimuth thr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5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옥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5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3523A/ko
Publication of KR20140143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02Mounting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0Mounting of propulsion plant or unit, e.g. for anti-vibr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20/008Tools, specially adapted for maintenance, mounting, repair, or the like of 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f outboard motors or Z-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01Wires or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하기 위한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지지유닛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지유닛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연결되면 상기 지지유닛이 선박에 지지되도록 크레인이 지지유닛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연결된 지지유닛이 상기 선박에 지지되면 상기 지지유닛으로부터 상기 크레인을 분리한 후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상기 선박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지무스 스터스터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선박을 향해 하강시키면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 작업이 육상에서도 실시될 수 있게 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Description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METHOD FOR INSTALLING AZIMUTH THRUSTER}
본 발명은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선박에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산업화 현상, 공업화 현상에 따라 석유, 천연가스 등의 지구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석유 내지 천연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방안이 다각도로 연구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건 군소의 한계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이 각광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위와 같은 유전을 개발하기 위한 시추설비, 예를 들어 드릴쉽(drillship), 원유 운반선(shuttle tanker), 부유식 원유생산저장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unit; FPSO) 등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해저 시추에는 다른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일정한 지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 리그선이나 고정식 플랫홈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첨단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는 드릴쉽이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사용된다. 위와 같은 드릴쉽은 위치를 자주 옮겨야 하는 작업 조건에 따라 예인선없이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또한, 험한 해상 조건에서 선박의 위치를 일정한 지점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자기위치제어 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을 구비하고 있다. 드릴쉽의 추진 및 자기위치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아지무스 스러스터(azimuth thruster)이다. 일반적으로 아지무스 스러스터는 드릴쉽의 선수 부분에 3기, 선미 부분에 3기 총 6기가 설치된다. 아지무스 스러스터는 360도 회전이 가능한 프로펠러를 구비하여 드릴쉽을 추진, 역추진 또는 회전시키면서 드릴쉽을 추진시키거나 특정한 위치에 위치를 유지하게 한다.
도 1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설치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설치는 해상에서 이루어진다. 해상에서 본선(1)에 인접하게 크레인 바지선(crane barge, 2)을 인접시킨다. 크레인 바지선(2)의 크레인(3)을 이용하여 아지무스 스러스터(4)를 수중으로 강하시킨다. 수중으로 강하된 아지무스 스러스터(4)를 본선(1)의 스틸와이어 로프(5)와 연결한 후, 크레인(3)과 아지무스 스러스터(4)의 연결을 분리한다. 스틸와이어 로프(5)를 이용하여 아지무스 스러스터(4)를 본선(1)에서 아지무스 스러스터(4)가 장착될 위치로 상승시킨다. 상승된 아지무스 스러스터(4)를 본선(1)에 설치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설치 방법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해상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아지무스 스러스터(4)를 스틸와이어 로프(5)와 연결하거나, 크레인(3)과 분리하거나, 본선(1)에 설치하는 공정은 작업자가 잠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설치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 종래기술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설치방법에 따르면, 작업자가 수중에서 아지무스 스러스터(4)의 설치 작업을 수행해야 했다. 작업자가 수중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한정된 공기만으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을 충분히 길게 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중에서 작업자의 움직임은 물의 저항에 따라 느려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설치 작업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다. 이 역시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되었다.
둘째, 종래기술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설치방법에 따르면, 아지무스 스러스터(4)를 수중으로 강하시킨 후에 본선(1)의 하부에 아지무스 스러스터(4)를 설치해야 했다. 이와 같이 수중에서 아지무스 스러스터(4)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아지무스 스러스터(4)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수심을 가진 작업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했다. 충분한 수심을 가진 작업공간은 먼바다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본선(1) 및 크레인 바지선(2)을 먼 바다까지 이동시키는 시간 및 비용이 추가로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종래기술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설치방법에 따르면, 수심이 깊은 곳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였고, 결국은 작업자가 깊은 수심까지 잠수를 한 후 작업을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었다. 작업자가 깊은 수심까지 잠수를 하여 작업을 하는 것은 작업자의 안전에 큰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육상에서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설치할 수 있는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은 선박에 설치하기 위한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지지유닛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지유닛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연결되면, 상기 지지유닛이 선박에 지지되도록 크레인이 지지유닛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연결된 지지유닛이 상기 선박에 지지되면, 상기 지지유닛으로부터 상기 크레인을 분리한 후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상기 선박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선박에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선박에 지지되면, 상기 지지유닛을 상기 선박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선박에 고정되면, 상기 지지유닛으로부터 상기 크레인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유닛으로부터 상기 크레인이 분리되면,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장착위치로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상기 지지유닛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유닛의 와이어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연결한 후에 상기 와이어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상기 장착위치로 하강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와이어를 하강시켜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상기 장착위치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이 상기 지지유닛을 하강시키는 단계는,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상기 선박의 장착홈 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크레인이 상기 지지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상기 장착홈 위에 위치되면, 상기 크레인이 상기 지지유닛을 하강시켜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상기 장착홈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선박을 향해 하강시키면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 작업이 육상에서도 실시될 수 있게 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유닛을 사용하여 크레인이 다른 작업에 신속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여 크레인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켰다.
도 1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들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은 선박에 설치하기 위한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지지유닛(10)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지유닛(10)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연결되면, 상기 지지유닛(10)이 선박(30)에 지지되도록 크레인(20)이 지지유닛(10)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연결된 지지유닛(10)이 상기 선박(30)에 지지되면, 상기 지지유닛(10)으로부터 상기 크레인(20)을 분리한 후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상기 선박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에 따르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상기 선박(30)의 하부에서 상승시켜 설치하지 않고, 상기 크레인(20)을 이용하여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 및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와 연결된 상기 지지유닛(10)을 하강시키면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상기 선박(30)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에 따르면, 상기 크레인(20)을 이용하여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하강시키면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선박(30)의 하부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이동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선박(30)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설치하는 작업이 해상에서 실시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상기 선박(30)과 상기 크레인(20)이 육상, 특히 도크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크레인(20)만을 이용하여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 설치 작업 중 상기 크레인(20)이 계속하여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와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지지할 수 있는 대형 크레인일 수 있다. 이러한 대형 크레인은 크기가 크고 고가이기 때문에 그 개수가 한정적이다. 따라서,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설치되는 선박(30) 외에 다른 선박의 건조 작업에도 사용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크레인(20)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계속하여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에 연결되어야 하면, 상기 크레인(20)을 다른 작업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크레인(20)을 이용해야 하는 다른 작업이 진행될 수 없게 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일단 상기 지지유닛(10)에 연결하고,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연결된 상기 지지유닛(10)을 상기 크레인(20)을 이용하여 상기 선박(30)을 향해 하강시킨다. 상기 지지유닛(10)이 상기 선박(30)을 향해 하강하여 상기 선박(30)에 지지되면,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지지유닛(10) 및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에서 분리되어 다른 작업에 투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크레인(20)이 분리된 후부터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상기 선박에 결합될 때까지는 상기 지지유닛(10)이 상기 크레인(20)을 대신하여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지지하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에 따르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하강하면서 상기 선박(30)에 설치되기 때문에, 아지무스 스러스터(110) 설치 작업이 육상에서 진행될 수 있다. 육상에서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작업자가 산소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물속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보다 작업자의 움직임이 더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설치하는 작업에 드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작업에 드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작업자의 작업 효율 역시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에 따르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 설치 작업이 육상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수중에서 작업을 수행함에 드는 추가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수중에서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필요한 수중 장비, 안전 장비 등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 작업을 해상에서 수행하기 위해 상기 선박(30)을 이동시키기 위한 바지선 등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비용을 절감함에 따라 상기 선박(30)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에 따르면, 작업이 육상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깊은 수심까지 잠수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중에서 작업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에 따르면, 일단 상기 지지유닛(10)이 상기 선박(30)에 지지되면 상기 크레인(20)은 다른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크레인(20)을 다른 작업에 사용함에 따라 상기 크레인(20)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설치되는 상기 선박(30) 외에 다른 선박의 제조도 동시에 끊임없이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크레인(20)이 적절하게 사용됨에 따라 작업장 전체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선박(30)에 설치하기 위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상기 지지유닛(10)에 연결한다.
상기 지지유닛(10)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상기 선박(3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유닛(10)은 상기 선박(30)에 지지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10)은 상기 선박(30)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박(30)의 갑판에 지지 및 고정되기 위한 기둥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10)은 두 개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두 개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의 양 단부는 상기 고정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10)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유닛(10)에는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와 연결되는 와이어(1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1)는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유닛(10)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유닛(10)의 상기 지지부에 상기 와이어(11)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11)에는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11)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연결되면, 상기 와이어(1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연결된 상기 와이어(11)를 상승시키지 않은 상태로 상기 크레인(20)이 상기 지지유닛(10)은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와이어(11)의 길이 때문에 상기 크레인(20)이 상기 지지유닛(10)을 더 높게 상승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다른 크레인 내지 상기 선박(30)과 충돌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보호하고,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쉽게 상기 선박(30)의 갑판보다 높게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와이어(11)를 상승시킨다. 즉, 상기 와이어(11)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상기 크레인(20)의 구동 범위를 최소화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크레인(20)이 상기 지지유닛(10)을 조금만 상승시키더라도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상기 선박(30)의 갑판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유닛(10)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연결되면, 상기 지지유닛(10)이 상기 선박(30)에 지지되도록 상기 크레인(20)이 상기 지지유닛(10)을 하강시킨다. 즉,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직접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연결된 상기 지지유닛(10)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지지유닛(10)이 상기 선박(30)에 지지되면,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지지유닛(10)에서 분리되어 다른 작업에 투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상기 선박(30)의 갑판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유닛(10)을 일단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유닛(10)은 상기 선박(30)에 지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크레인(20)이 상기 지지유닛(10)을 하강시키는 단계가 필요하다.
상기 크레인(20)이 상기 지지유닛(10)을 하강시키는 단계는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상기 선박(30)의 상기 장착홈(31) 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크레인(20)이 상기 지지유닛(10)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상기 장착홈(31) 위에 위치되면, 상기 크레인(20)이 상기 지지유닛(10)을 하강시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상기 장착홈(31)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10)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연결되면, 상기 크레인(20)과 상기 지지유닛(10)을 연결한다.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연결된 상기 지지유닛(10)과 연결된다. 즉, 상기 크레인(20)과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는 상기 지지유닛(10)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연결된 상기 지지유닛(10)을 상승시킨다.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상기 선박(30)의 갑판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유닛(10)을 상승시킨다.
상기 지지유닛(10)이 충분히 상승되면,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상기 선박(30)의 상기 장착홈(31) 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유닛(10)을 이동시킨다. 이렇게 상기 크레인(20)이 상기 지지유닛(10)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지유닛(10)에 별도의 구동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상기 장착홈(31) 위에 위치되면, 상기 크레인(20)이 상기 지지유닛(10)을 하강시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상기 장착홈(31)에 삽입시킨다. 상기 지지유닛(10)의 상기 고정부의 길이는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보통이므로, 상기 지지유닛(10)이 상기 선박(30)에 지지되기 위해서는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의 전부 내지 일부가 상기 장착홈(31)에 삽입될 수 밖에 없다. 다만, 상기 지지유닛(10)의 상기 고정부의 길이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상기 장착홈(31)에 반드시 삽입될 필요는 없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연결된 상기 지지유닛(10)이 상기 선박(30)에 지지되면, 상기 지지유닛(10)으로부터 상기 크레인(20)을 분리한 후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상기 선박(30)에 결합시킨다. 즉, 일단 상기 지지유닛(10)이 상기 선박(30)에 지지되면,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지지유닛(10)과 분리된 후 다른 작업에 사용된다. 상기 크레인(20)이 분리된 후부터는 상기 지지유닛(10)만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지지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연결된 상기 지지유닛(10)이 상기 선박(30)에 지지되면, 상기 지지유닛(10)을 상기 선박(30)에 고정한다. 이 후에는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지지유닛(10)에서 분리되고, 상기 지지유닛(10)만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지지해야 하므로, 상기 지지유닛(10)은 상기 선박(3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지지유닛(10)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선박(30)의 갑판에 고정된다. 결국,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상기 장착홈(31)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유닛(10)은 상기 장착홈(31)에 인접하게 고정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유닛(10)이 상기 선박(30)에 고정되면, 상기 지지유닛(10)으로부터 상기 크레인(20)이 분리된다.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지지유닛(10)에서 분리된 후 자유롭게 다른 작업에 투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크레인(20)의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유닛(10)으로부터 상기 크레인(20)이 분리되면, 상기 지지유닛(10)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상기 장착위치로 하강시킨다.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상기 장착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상기 선박(30)에 설치되는 작업이 진행된다.
상기 지지유닛(10)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상기 장착위치로 하강시키는 것은 상기 와이어(11)를 하강시켜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상기 장착위치로 하강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11)를 하강시킨다는 것은 상기 와이어(11)의 길이는 신장시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가 하강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에 따르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상기 선박(30)의 갑판(32)에서부터 하강시키면서 작업이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설치하는 작업이 육상에서 실시되어도 무방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 다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은 항상 육상에서만 수행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고, 해상에서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에 따르면, 작업 도중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110)를 상기 지지유닛(10)으로만 지지하고, 상기 크레인(20)은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크레인(20)을 다른 작업에 투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지지유닛 11 : 와이어
20 : 크레인
30 : 선박 31 : 장착홈
110 : 아지무스 스러스터

Claims (4)

  1. 선박에 설치하기 위한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지지유닛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지유닛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연결되면, 상기 지지유닛이 선박에 지지되도록 크레인이 지지유닛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연결된 지지유닛이 상기 선박에 지지되면, 상기 지지유닛으로부터 상기 크레인을 분리한 후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상기 선박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지무스 스터스터 설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선박에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선박에 지지되면, 상기 지지유닛을 상기 선박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선박에 고정되면, 상기 지지유닛으로부터 상기 크레인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유닛으로부터 상기 크레인이 분리되면,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장착위치로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상기 지지유닛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유닛의 와이어에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연결한 후에 상기 와이어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상기 장착위치로 하강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와이어를 하강시켜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상기 장착위치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이 상기 지지유닛을 하강시키는 단계는,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상기 선박의 장착홈 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크레인이 상기 지지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상기 장착홈 위에 위치되면, 상기 크레인이 상기 지지유닛을 하강시켜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상기 장착홈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KR20130065130A 2013-06-07 2013-06-07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KR20140143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130A KR20140143523A (ko) 2013-06-07 2013-06-07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130A KR20140143523A (ko) 2013-06-07 2013-06-07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523A true KR20140143523A (ko) 2014-12-17

Family

ID=5267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5130A KR20140143523A (ko) 2013-06-07 2013-06-07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35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246B1 (ko) 문풀 구역의 장비이동을 위한 머티어리얼 핸들링 구조 및 그 머티어리얼 핸들링 구조를 갖는 시추선
KR101503279B1 (ko)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KR20140143523A (ko)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KR20210119793A (ko) 해양 구조물
KR101835287B1 (ko) 이동식 브릿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KR200426887Y1 (ko) 선박의 문풀 유동 억제구조
KR102148044B1 (ko) 해양구조물에 구비되는 잠수정 핸들링 시스템
KR101707517B1 (ko) 비오피 트롤리 설치구조 및 그 비오피 트롤리 설치구조를 갖는 시추 해양구조물
KR20200009675A (ko) 드릴십
KR101526365B1 (ko) 선박 및 선박의 배치 방법
KR101695892B1 (ko) 문풀 내부 유동억제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시추 해양구조물
KR20150068069A (ko) 드릴쉽
KR20180006110A (ko) 문풀 댐핑장치 및 그 문풀 댐핑장치의 댐핑과 플립의 보관방법
KR102629058B1 (ko) 실린더 타입 라이저 텐셔너
KR20160004519U (ko) 해양구조물
KR102477560B1 (ko) 복합 해양구조물
KR20160115537A (ko) Bop 크레인 설치구조 및 그 bop 크레인 설치구조를 구비하는 드릴쉽
KR20160003472A (ko)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KR20140134805A (ko) 드릴쉽
KR20130003914A (ko) 선박용 아지무스 쓰러스터의 육상 설치 방법
KR102107309B1 (ko) 라이저 핸들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시추선
KR101403615B1 (ko) 복수개의 비오피 운용이 가능한 문풀을 가지는 해양 구조물
KR101686231B1 (ko)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KR101519540B1 (ko)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KR101594102B1 (ko) 드릴쉽 및 드릴쉽의 자재 로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