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315U -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315U
KR20160003315U KR2020150001708U KR20150001708U KR20160003315U KR 20160003315 U KR20160003315 U KR 20160003315U KR 2020150001708 U KR2020150001708 U KR 2020150001708U KR 20150001708 U KR20150001708 U KR 20150001708U KR 20160003315 U KR20160003315 U KR 201600033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adapter
piece
head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완
Original Assignee
진성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완 filed Critical 진성완
Priority to KR2020150001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315U/ko
Publication of KR201600033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3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돌출편을 수납할 수 있는 편수납홈에 의해 물분사헤드의 돌출턱측에 탄성적으로 조립되면서 홈삽입편이 헤드홀더의 안착홈에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연성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내주면 일측에 구비되면서 물분사헤드(5)의 돌출편(5-1)을 수납하도록 전광후협(前廣後狹)의 테이퍼진 폭을 갖는 편수납홈(12)과; 상기 편수납홈(12)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1)의 외주면에 구비되면서 헤드홀더(2)의 안착홈(2-1)에 삽입되도록 후협전광(後狹前廣)의 테이퍼진 폭을 갖는 홈삽입편(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부품교체 후에도 물분사헤드의 돌출편과 헤드홀더의 안착홈이 서로 맞지 않는 문제를 간단히 해소할 수 있고, 돌출편과 안착홈의 크기를 맞추기 위해 전체 부품을 교체해야 하는 불합리한 문제를 개산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AN ADAPTER OF FAUCET FOR SINK}
본 고안은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돌출편을 수납할 수 있는 편수납홈에 의해 물분사헤드의 돌출턱측에 탄성적으로 조립되면서 홈삽입편이 헤드홀더의 안착홈에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에 설치되는 수전금구는 설치방식에 따라 벽면으로부터 설치된 급수관에 직접 연결 설치되는 타입이거나, 벽면측의 급수관으로부터 별도의 연결관을 통해 싱크대에 클램프를 설치하고, 클램프로부터 수전 몸체를 연결 설치하는 타입으로 설치된다.
후자의 경우, 싱크대 상부의 심플함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현재에는 싱크대 상면으로 수전금구의 수직 설치되는 타입이 적용되고 있고, 이러한 타입의 수전금구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분사헤드(5)가 수전몸체(1)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헤드홀더(2)에 착탈식으로 연결 설치되어 물분사헤드만을 헤드홀더로부터 소정길이 만큼 급수호스(3)를 인출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분사헤드(5)는 수전몸체(1)의 헤드홀더(2)에 끼워질 때 돌출편(5-1)이 안착홈(2-1)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불필요한 공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돌출편(5-1)과 안착홈(2-1)은 물분사헤드(5)와 헤드홀더(2)에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돌출 및 홈의 크기(폭과 깊이, 모양)가 제조사마다 각기 다르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중 물분사헤드(5) 또는 헤드홀더(2) 등을 교체할 경우 돌출편(5-1)과 안착홈(2-1)이 서로 맞지 않아 전체 부품을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불합리한 문제가 있고, 돌출편(5-1)과 안착홈(2-1)이 파손될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동일한 문제가 발생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4950호 등록실용신안공보(수전금구 구조) 한국 공게특허 제10--2013-0013389호 공개특허공보(싱크대용 수전)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2700호 등록실용신안공보(싱크대용 분사헤드 조립구조)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7141호 등록실용신안공보(싱크대용 물 분사헤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돌출편을 수납할 수 있는 편수납홈에 의해 물분사헤드의 돌출턱측에 탄성적으로 조립되면서 홈삽입편이 헤드홀더의 안착홈에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연성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주면 일측에 구비되면서 물분사헤드의 돌출편을 수납하도록 전광후협(前廣後狹)의 테이퍼진 폭을 갖는 편수납홈과; 상기 편수납홈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구비되면서 헤드홀더의 안착홈에 삽입되도록 후협전광(後狹前廣)의 테이퍼진 폭을 갖는 홈삽입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부품교체 후에도 물분사헤드의 돌출편과 헤드홀더의 안착홈이 서로 맞지 않는 문제를 간단히 해소할 수 있고, 돌출편과 안착홈의 크기를 맞추기 위해 전체 부품을 교체해야 하는 불합리한 문제를 개산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1은 종래에 따른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구조를 예시하는 단면도,
도2는 종래에 따른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구조를 예시하는 요부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의 사용상태를 예시하는 요부구성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 로 설명한다.
본 고안은 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내주면 일측에 구비되면서 물분사헤드(5)의 돌출편(5-1)을 수납하는 편수납홈(12)과, 상기 편수납홈(12)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1)의 외주면에 구비되면서 헤드홀더(2)의 안착홈(2-1)에 삽입되는 홈삽입편(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10)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주면의 편수납홈(12)이 돌출편(5-1)에 삽입되도록 물분사헤드(5)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데, 편수납홈(12)은 돌출편(5-1)이 끼워지는 전방측의 폭이 가장 넓으면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전광후협(前廣後狹)의 테이퍼진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편수납홈(12)은 전광후협(前廣後狹)의 테이퍼진 폭을 이용하여 다양한 폭을 갖는 돌출편(5-1)을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10)에 있어서,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수납홈(12)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1)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홈삽입편(13)은 안착홈(2-1)이 끼워지는 후방측의 폭이 가장 좁으면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후협전광(後狹前廣)의 테이퍼진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물분사헤드(5)가 헤드홀더(2)에 안착될 때, 홈삽입편(13)은 후협전광(後狹前廣)의 테이퍼진 폭을 이용하여 다양한 폭을 갖는 홈삽입편(13)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요컨대,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10)는 물분사헤드(5)의 돌출편(5-1)과 헤드홀더(2)의 안착홈(2-1)이 그 크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광후협(前廣後狹)의 테이퍼진 폭을 갖는 편수납홈(12)에 분사헤드(5)의 돌출편(5-1)을 삽입하도록 분사헤드(5)에 결합한 상태에서 후협전광(後狹前廣)의 테이퍼진 폭을 갖는 홈삽입편(13)을 안착홈(2-1)에 삽입시켜 물분사헤드(5)가 헤드홀더(2)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실질적인 범위는 상술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한 구성에 의해 정해져야 함은 당연하다.
10: 어댑터 11: 몸체 12: 편수납홈 13: 홈삽입편

Claims (1)

  1. 연성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내주면 일측에 구비되면서 물분사헤드(5)의 돌출편(5-1)을 수납하도록 전광후협(前廣後狹)의 테이퍼진 폭을 갖는 편수납홈(12)과;
    상기 편수납홈(12)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1)의 외주면에 구비되면서 헤드홀더(2)의 안착홈(2-1)에 삽입되도록 후협전광(後狹前廣)의 테이퍼진 폭을 갖는 홈삽입편(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
KR2020150001708U 2015-03-18 2015-03-18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 KR201600033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708U KR20160003315U (ko) 2015-03-18 2015-03-18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708U KR20160003315U (ko) 2015-03-18 2015-03-18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15U true KR20160003315U (ko) 2016-09-28

Family

ID=5704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708U KR20160003315U (ko) 2015-03-18 2015-03-18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315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41Y1 (ko) 2001-07-06 2001-12-24 신원테크 (주) 싱크대용 물 분사헤드
KR200292700Y1 (ko) 2002-07-18 2002-10-25 홍군선 싱크대용 분사헤드 조립구조
KR200434950Y1 (ko) 2006-09-29 2006-12-28 송병규 수전금구 구조
KR20130013389A (ko) 2011-07-28 2013-02-06 대림통상 주식회사 싱크대용 수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41Y1 (ko) 2001-07-06 2001-12-24 신원테크 (주) 싱크대용 물 분사헤드
KR200292700Y1 (ko) 2002-07-18 2002-10-25 홍군선 싱크대용 분사헤드 조립구조
KR200434950Y1 (ko) 2006-09-29 2006-12-28 송병규 수전금구 구조
KR20130013389A (ko) 2011-07-28 2013-02-06 대림통상 주식회사 싱크대용 수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42948B2 (en) Spray nozzle
RU2007112938A (ru) Резцедержатель и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для инструмента
JP6436322B2 (ja) 切削インサート固定部材および切削工具
KR101721067B1 (ko) 수전금구
JP5001766B2 (ja) シャワーヘッドの取付け構造
BRPI0917228B1 (pt) Ferramenta de corte
KR20160003315U (ko)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어댑터
JP6136063B2 (ja) 衛生洗浄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トイレ装置
EP3078782A1 (en) Fitting structure between nozzle cap and nozzle main body of bidet
JP2008231888A (ja) 壁付き水栓の固定構造
JP2008291633A (ja) 洋風便器
KR200482672Y1 (ko) 샤워기 호스 연결장치
JP6366965B2 (ja) 取付構造及び取付構造を備える吐水装置
JPS61284445A (ja) インクジエツトプリンタのインクタンク装置
US9359754B2 (en) Mounting assembly for a toilet
JP6537835B2 (ja) 作動油タンク
KR102049956B1 (ko) 샤워수전용 악세사리수용부 결합구조
JP5815461B2 (ja) 固定部材および切削工具
JP3872488B2 (ja) 簡易ビデ
JP6325308B2 (ja) 手洗装置
KR200479727Y1 (ko) 샤워기 거치대
JP6416716B2 (ja) 自動水栓
CN220703233U (zh) 一种液体分配装置
JP6528960B2 (ja) 浴室における機能ユニットの取付け構造
CN221001279U (zh) 下喷头以及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