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820A - 차량용 범퍼빔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820A
KR20160001820A KR1020140079244A KR20140079244A KR20160001820A KR 20160001820 A KR20160001820 A KR 20160001820A KR 1020140079244 A KR1020140079244 A KR 1020140079244A KR 20140079244 A KR20140079244 A KR 20140079244A KR 20160001820 A KR20160001820 A KR 20160001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beam
hole
toe
moun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7163B1 (ko
Inventor
노시영
구도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079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1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범퍼빔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은 토잉 훅이 장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범퍼빔과, 상기 범퍼빔의 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장착 플랜지를 통해 상기 범퍼빔을 차체에 연결하는 스태이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토잉 훅은 상기 범퍼빔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상기 관통홀에 일측이 끼워지고, 끼워진 단부가 어느 한 쪽의 회전에 의해 전진되면서 상호 체결되며, 체결과 함께 타측이 각각 상기 범퍼빔의 전방과 후방을 가압하면서 지지되는 장착수단을 통해 장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범퍼빔 유닛{BUMPER BEAM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잉 훅이 연결되는 토잉 파이프가 마운터를 통해 용접부 없이 범퍼빔에 장착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의 범퍼는 자동차가 다른 자동차나 고정체와의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전, 후 단부의 소정 부위에 배치되는 완충유닛이다.
이러한 범퍼는 차량의 전, 후방에서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빔의 후방 양측에 스태이가 장착되어 차체 측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는 범퍼빔 유닛과, 상기 범퍼빔의 전방에 배치되어 충격력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 그리고 상기 범퍼빔과 에너지 업소버를 감싸는 범퍼 커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범퍼빔 유닛은 상기 범퍼빔의 후방 양측에 스태이가 별도의 플랜지를 통하여 용접되고, 상기 스태이를 통하여 차체 측의 사이드 멤버에 바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차체에 조립되는 범퍼빔 유닛에서 상기 범퍼빔은 최근 차량의 경량화 추세에 맞추어 알루미늄 소재로 압출 성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적용하고 있다.
또한, 범퍼빔 유닛에는 차량의 구난 또는 견인 시, 케이블을 차체에 연결하거나, 트레일러 혹은 캐리어 등을 연결하여 견인하기 위하여 범퍼빔에 토잉 훅을 선택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토잉 파이프가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토잉 파이프는 상기 범퍼빔의 양측 중 일측 사이드에 홀을 가공하고, 이 홀에 삽입된 상태로, 용접을 통해 범퍼빔의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범퍼빔 유닛에 의하면, 토잉 파이프의 장착 시, 범퍼빔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서 범퍼빔과 범퍼 커버 사이의 갭 확보가 어렵고, 설계상의 제약이 발생하며, 보행자 충돌 성능에 불리하다.
또한, 토잉 파이프를 용접할 경우에는 용가재가 토잉 파이프의 내부에 융착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토잉 파이프에 토잉 훅이 용이하게 체결되지 못하는 등의 품질불량을 발생시킨다.
특히, 토잉 파이프의 용접 시, 전주용접에 따른 불량과 용접좌면의 부족에 따른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토잉 훅이 마운터와 토잉 파이프로 구성되는 장착수단을 통해 범퍼빔에 장착되도록 된 차량용 범퍼빔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은 토잉 훅이 장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범퍼빔과, 상기 범퍼빔의 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장착 플랜지를 통해 상기 범퍼빔을 차체에 연결하는 스태이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토잉 훅은 상기 범퍼빔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상기 관통홀에 일측이 끼워지고, 끼워진 단부가 어느 한 쪽의 회전에 의해 전진되면서 상호 체결되며, 체결과 함께 타측이 각각 상기 범퍼빔의 전방과 후방을 가압하면서 지지되는 장착수단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범퍼빔의 후방에서 상기 관통홀에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이 상기 범퍼빔의 후측면에 지지되는 마운터; 상기 범퍼빔의 전방에서 일측이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고, 끼워진 단부가 상기 마운터와 체결되며, 타측이 상기 범퍼빔의 전측면에 지지되는 토잉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마운터는 일측이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고,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타측 단부에서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범퍼빔의 후측면과 접하는 제1 플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외측면이 적어도 3면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토잉 파이프는 내부에 상기 토잉 훅이 끼워지며, 일측이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마운터의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의 타측 단부에서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범퍼빔의 전측면과 접하는 제2 플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토잉 파이프의 제2 몸체는 상기 마운터의 암나사부와 결합 시, 결합된 선단이 상기 마운터의 제1 몸체 내부에 위치되도록 그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범퍼빔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기 범퍼빔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마운터의 제1 몸체가 끼워지는 제1 관통홀과, 상기 범퍼빔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하고, 상기 토잉 파이프의 제2 몸체가 끼워지는 제2 관통홀로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마운터의 제1 몸체 외주면과 대응하는 다각형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토잉 훅이 마운터와 토잉 파이프로 구성되는 장착수단을 통해 용접부 없이 범퍼빔에 장착됨에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의 토잉 파이프를 장착시키기 위한 용접작업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용접작업의 삭제를 통해, 용융풀이나 용가재 등이 토잉 파이프의 내부로 흘러 들어가 융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토잉 파이프의 품질불량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용접작업의 삭제를 통해, 토잉 파이프를 범퍼빔의 외부로 돌출 시킬 필요가 없어 보행자와의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범퍼빔의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토잉 파이프가 마운팅 너트를 통해 체결됨에 따라서, 고장이나 불량 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적용된 장착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Ⅲ-Ⅲ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적용된 장착수단의 체결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적용된 장착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Ⅲ-Ⅲ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1)은 토잉 훅(3)이 장착되는 관통홀(5,7)이 형성되는 범퍼빔(B)과, 상기 범퍼빔(B)의 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장착 플랜지(9)를 통해 상기 범퍼빔(B)을 차체에 연결하는 스태이(1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5,7)은 상기 범퍼빔(B)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5)과 범퍼빔(B)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 관통홀(7)로 각각 구분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잉 훅(3), 범퍼빔(B), 및 스태이(11)는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토잉 훅(3)은 장착수단(20)을 통해 상기 범퍼빔(B)에 장착된다. 상가 장착수단(20)은 상기 범퍼빔(B)의 전방과 후방에서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5,7)에 일측이 각각 끼워지고, 끼워진 단부가 어느 한 쪽의 회전에 의해 전진되면서 상호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수단(20)은 상기와 같은 체결과 함께 타측이 각각 상기 범퍼빔(B)의 전방과 후방을 가압하면서 범퍼빔(B)에 지지된다.
이하, 상기한 장착수단(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장착수단(20)은 마운터(21)와 상기 토잉 훅(3)이 끼워지는 토잉 파이프(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운터(21)는 상기 범퍼빔(B)의 후방에서 상기 제1 관통홀(5)에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이 상기 범퍼빔(B)의 후측면(B1)에 지지된다.
이러한 마운터(21)는 제1 몸체(25) 및 제1 플랜지(27)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몸체(25)는 일측이 상기 제1 관통홀(5)에 끼워지고, 내주면에는 암나사부(2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플랜지(27)는 상기 제1 몸체(25)의 타측 단부에서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범퍼빔(B)의 후측면(B1)과 접한다.
이때, 상기 제1 몸체(25)는 외측면이 적어도 3면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상에는 4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를 하였으나 이에 한정을 하는 것은 아니며, 제작에 따라서 6각형 또는 8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토잉 파이프(23)는 상기 범퍼빔(B)의 전방에서 일측이 상기 제2 관통홀(7)에 끼워지고, 끼워진 단부가 상기 마운터(21)와 체결되며, 타측이 상기 범퍼빔(B)의 전측면(B2)에 지지된다.
이러한 토잉 파이프(23)는 제2 몸체(31) 및 제2 플랜지(33)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몸체(31)는 중공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토잉 훅(3)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2 몸체(31)는 일측이 상기 제2 관통홀(7)에 끼워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마운터(21)의 암나사부(29)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35)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플랜지(33)는 상기 제2 몸체(31)의 타측 즉, 상기 제2 관통홀(7)에 끼워진 반대편 단부에서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범퍼빔(B)의 전측면(B2)과 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적용된 장착수단의 체결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이에 의하면, 도 4에서처럼 상기 토잉 파이프(23)는 상기 수나사부(35)를 통해 상기 마운터(21)의 암나사부(29) 측으로 나사결합 되면서 전진 및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플랜지(33)가 상기 범퍼빔(B)의 전측면(B2)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마운터(21)의 제1 플랜지(27)도 상기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범퍼빔(B)의 후측면(B1)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즉, 상기 마운터(21)의 제1 플랜지(27)와 상기 토잉 파이프(23)의 제2 플랜지(33)는 상기 범퍼빔(B)을 사이에 두고 상호 나사 결합됨에 따라서, 각각 범퍼빔(B)의 전측면(B2)과 후측면(B1)을 각각 가압하면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토잉 파이프(23)의 제2 몸체(31)는 상기 마운터(21)의 암나사부(29)와 나사결합 시, 결합된 선단이 상기 마운터(21)의 제1 몸체(25) 내부에 위치되도록 그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토잉 파이프(23)의 제2 몸체(31)는 상기 마운터(21)와 나사결합 시, 결합되는 단부가 상기 마운터(21)의 제1 몸체(25)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운터(21) 및 토잉 파이프(23)가 끼워지는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5,7)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관통홀(5)은 상기 범퍼빔(B)의 후방 즉, 후측면(B1)에 형성되어 상기 마운터(21)의 제1 몸체(25)가 끼워지고, 상기 제2 관통홀(7)은 상기 범퍼빔(B)의 전방 즉, 전측면(B2)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잉 파이프(23)의 제2 몸체(31)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제1 관통홀(5)은 상기 마운터(21)의 제1 몸체(25) 외주면과 대응하는 다각형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토잉 파이프(23)가 회전되면서 마운터(21)와 나사결합 될 때, 상기 제1 관통홀(5)로부터 마운터(21)의 제1 몸체(25)의 회전이 규제되면서 원활하게 나사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잉 파이프(23)에 토잉 훅(3)이 결합될 때에도 상기 마운터(21)에 의해 토잉 파이프(23)의 회전이 규제되면서, 토잉 훅(3)이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1)에 의하면, 범퍼빔(B) 내에서 상기 마운터(21)와 토잉 훅(3)이 결합되는 토잉 파이프(23)가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의 토잉 파이프(23)를 범퍼빔(B)에 장착시키기 위한 용접작업이 삭제될 수 있다.
그리고 토잉 파이프(23)를 장착시키기 위한 용접작업의 삭제를 통해, 용융풀이나 용가재 등이 토잉 파이프(23)의 내부로 흘러 들어가 융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토잉 파이프(23)의 품질불량 발생이 사전에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잉 파이프(23)를 용접시키기 위해 범퍼빔(B)의 외부로 일정부분 돌출 시킬 필요가 없어 보행자와의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범퍼빔(B)의 설계 자유도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토잉 파이프(23)가 상기 마운터(21)를 통해 나사결합으로 범퍼빔(B)에 설치됨에 따라서, 토잉 파이프(23)의 고장이나 불량 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상에 미설명 부호 "40"은 상기 토잉훅(3)이 토잉 파이프(23)에 끼워질 때, 그 끼워지는 단부가 토잉 파이프(23)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규제하는 규제턱(40)임.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차량용 범퍼빔 유닛 3: 토잉 훅
5: 제1 관통홀 7: 제2 관통홀
9: 장착 플랜지 11: 스태이
20: 장착수단 21: 마운터
23: 토잉 파이프 25: 제1 몸체
27: 제1 플랜지 29: 암나사부
31: 제2 몸체 33: 제2 플랜지
35: 수나사부 B: 범퍼빔
B1: 후측면 B2: 전측면
40: 규제턱

Claims (13)

  1. 토잉 훅이 장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범퍼빔과, 상기 범퍼빔의 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장착 플랜지를 통해 상기 범퍼빔을 차체에 연결하는 스태이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토잉 훅은
    상기 범퍼빔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상기 관통홀에 일측이 끼워지고, 끼워진 단부가 어느 한 쪽의 회전에 의해 전진되면서 상호 체결되며, 체결과 함께 타측이 각각 상기 범퍼빔의 전방과 후방을 가압하면서 지지되는 장착수단을 통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범퍼빔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범퍼빔의 후방에서 상기 관통홀에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이 상기 범퍼빔의 후측면에 지지되는 마운터;
    상기 범퍼빔의 전방에서 일측이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고, 끼워진 단부가 상기 마운터와 체결되며, 타측이 상기 범퍼빔의 전측면에 지지되는 토잉 파이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터는
    일측이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고,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타측 단부에서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범퍼빔의 후측면과 접하는 제1 플랜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외측면이 적어도 3면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 파이프는
    내부에 상기 토잉 훅이 끼워지며, 일측이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마운터의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의 타측 단부에서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범퍼빔의 전측면과 접하는 제2 플랜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 파이프의 제2 몸체는
    상기 마운터의 암나사부와 결합 시, 결합된 선단이 상기 마운터의 제1 몸체 내부에 위치되도록 그 길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빔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기 범퍼빔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마운터의 제1 몸체가 끼워지는 제1 관통홀과, 상기 범퍼빔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하고, 상기 토잉 파이프의 제2 몸체가 끼워지는 제2 관통홀로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마운터의 제1 몸체 외주면과 대응하는 다각형의 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8. 토잉 훅이 장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범퍼빔과, 상기 범퍼빔의 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장착 플랜지를 통해 상기 범퍼빔을 차체에 연결하는 스태이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토잉 훅은 상기 범퍼빔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상기 관통홀에 일측이 끼워지고, 끼워진 단부가 어느 한 쪽의 회전에 의해 전진되면서 상호 체결되며, 체결과 함께 타측이 각각 상기 범퍼빔의 전방과 후방을 가압하면서 지지되는 장착수단; 을 통해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범퍼빔의 후방에서 상기 관통홀에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이 상기 범퍼빔의 후측면에 지지되는 마운터; 및
    상기 범퍼빔의 전방에서 일측이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고, 끼워진 단부가 상기 마운터와 체결되며, 타측이 상기 범퍼빔의 전측면에 지지되는 토잉 파이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터는
    일측이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고,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타측 단부에서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범퍼빔의 후측면과 접하는 제1 플랜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외측면이 적어도 3면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 파이프는
    내부에 상기 토잉 훅이 끼워지며, 일측이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마운터의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의 타측 단부에서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범퍼빔의 전측면과 접하는 제2 플랜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 파이프의 제2 몸체는
    상기 마운터의 암나사부와 결합 시, 결합된 선단이 상기 마운터의 제1 몸체 내부에 위치되도록 그 길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빔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기 범퍼빔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마운터의 제1 몸체가 끼워지는 제1 관통홀과, 상기 범퍼빔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하고, 상기 토잉 파이프의 제2 몸체가 끼워지는 제2 관통홀로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마운터의 제1 몸체 외주면과 대응하는 다각형의 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20140079244A 2014-06-26 2014-06-26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617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244A KR101617163B1 (ko) 2014-06-26 2014-06-26 차량용 범퍼빔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244A KR101617163B1 (ko) 2014-06-26 2014-06-26 차량용 범퍼빔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20A true KR20160001820A (ko) 2016-01-07
KR101617163B1 KR101617163B1 (ko) 2016-05-03

Family

ID=5516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244A KR101617163B1 (ko) 2014-06-26 2014-06-26 차량용 범퍼빔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21512B3 (de) 2022-08-25 2023-09-28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raftfahrzeug-Stoßfängeranordn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970B1 (ko) * 2017-03-14 2018-10-1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범퍼빔 유닛
CN109910804A (zh) * 2019-03-29 2019-06-21 浙江众泰汽车制造有限公司 汽车后防撞梁总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2043B2 (ja) 2003-05-19 2008-10-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牽引装置
JP4398720B2 (ja) * 2003-12-26 2010-01-13 ユニプレス株式会社 自動車用着脱式牽引フック取付構造
JP4531422B2 (ja) * 2004-03-26 2010-08-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バンパリィンフォース
KR101073951B1 (ko) 2010-03-03 2011-10-1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토잉 훅 파이프 너트 조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21512B3 (de) 2022-08-25 2023-09-28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raftfahrzeug-Stoßfänger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163B1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0639B2 (ja) 車両のための取付け装置
KR101617163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US20180105213A1 (en) Suspension member
CN104554307A (zh) 动车组车体及其内风挡安装结构
CN106414118A (zh) 具有承受剪力的支撑面的构件连接部
KR101046168B1 (ko) 차량용 토잉 훅 조립체
KR101650775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US8562013B1 (en) Receiver hitch for automotive vehicles
JP2005138663A (ja) 車両前部構造
KR101978236B1 (ko) 프론트 사이드 멤버
KR101908970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685397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KR101563174B1 (ko) 차체 조립용 스터드 볼트유닛
KR20160012611A (ko) 차량용 스태이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빔 유닛
KR101399336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KR101284548B1 (ko) 차량용 토잉 훅 파이프 유닛
CN110843919A (zh) 用于电动汽车的前副车架
CN204506687U (zh) 前组合灯下安装支架
KR102002776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CN203005560U (zh) 翼子板后安装支架
KR101399337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KR101075803B1 (ko) 범퍼 빔 조립용 가이드 핀 유닛
JP2008230604A (ja) 自動車のヘッドランプおよびフロントターンランプの建付構造
KR101286685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JP2005219545A (ja) 自動車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