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776B1 - 차량용 범퍼 빔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 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776B1
KR102002776B1 KR1020170057059A KR20170057059A KR102002776B1 KR 102002776 B1 KR102002776 B1 KR 102002776B1 KR 1020170057059 A KR1020170057059 A KR 1020170057059A KR 20170057059 A KR20170057059 A KR 20170057059A KR 102002776 B1 KR102002776 B1 KR 102002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beam
nut
vehicle
insertion tube
t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873A (ko
Inventor
이호준
이상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70057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77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1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 B60R2019/182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of light metal, e.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은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빔과, 상기 범퍼 빔의 후방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범퍼 빔을 차체에 고정하는 양측 스태이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은 후면 양측에 각각 장착홀이 형성되며, 전면 일측에 토잉 너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스태이는 사각 단면의 관재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홀에 각각 끼워져 장착하되, 상기 토잉 너트홀에 대응하는 일측 스태이는 내부에 일측면과 연결되는 너트 삽입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너트 삽입관과 연결되는 절개홈이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단을 형성하며, 상기 너트 삽입관에 삽입되면서 상기 절개홈에 끼움단이 끼워져서 접합되는 토잉 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범퍼 빔 유닛{BUMPER BEAM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품수를 줄이고, 결합 강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차량에서의 범퍼는 자동차가 다른 자동차나 고정체와의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전, 후 단부의 소정 부위에 배치되는 완충유닛이다.
이러한 범퍼는 차량의 전, 후방에서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빔의 후방 양측에 스태이가 장착되어 차체 측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는 범퍼 빔 유닛과, 상기 범퍼 빔의 전방에 배치되어 충격력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 그리고 상기 범퍼 빔과 에너지 업소버를 감싸는 범퍼 커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범퍼 빔 유닛은 상기 범퍼 빔의 후방 양측에 스태이가 별도의 플랜지를 통하여 용접되고, 상기 스태이를 통하여 차체 측의 사이드 멤버에 바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차체에 조립되는 범퍼 빔 유닛에서 상기 범퍼 빔은 최근 차량의 경량화 추세에 맞추어 알루미늄 소재로 압출 성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적용하고 있다.
또한, 범퍼 빔 유닛에는 차량의 구난 또는 견인 시, 케이블을 차체에 연결하거나, 트레일러 혹은 캐리어 등을 연결하여 견인하기 위하여 범퍼 빔에 토잉 훅을 선택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토잉 파이프가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토잉 파이프는 상기 범퍼 빔의 양측 중 일측 사이드에 홀을 가공하고, 이 홀에 삽입된 상태로, 용접을 통해 범퍼 빔의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범퍼 빔 유닛에 의하면, 토잉 파이프의 장착 시, 범퍼 빔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토잉 파이프가 돌출됨에 따라서 범퍼 빔과 범퍼 커버 사이의 갭 확보가 어렵고, 설계상의 제약이 발생하며, 보행자 충돌 성능에 불리하다.
또한, 토잉 파이프를 용접할 경우에는 용가재가 토잉 파이프의 내부에 융착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토잉 파이프에 토잉 훅이 용이하게 체결되지 못하는 등의 품질불량을 발생시킨다.
특히, 토잉 파이프의 용접 시, 전주용접에 따른 용접 불량과 용접좌면의 부족에 따른 용접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범퍼 빔 후방에 양측에 장착되는 양측 스태이 중, 일측 스태이 내부에 너트 삽입관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너트 삽입관에 대하여 토잉 너트를 삽입함으로써, 단품수를 줄여 사이클 타임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빔과, 상기 범퍼 빔의 후방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범퍼 빔을 차체에 고정하는 양측 스태이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은 후면 양측에 각각 장착홀이 형성되며, 전면 일측에 토잉 너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스태이는 사각 단면의 관재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홀에 각각 끼워져 장착하되, 상기 토잉 너트홀에 대응하는 일측 스태이는 내부에 일측면과 연결되는 너트 삽입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너트 삽입관과 연결되는 절개홈이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단을 형성하며, 상기 너트 삽입관에 삽입되면서 상기 절개홈에 끼움단이 끼워져서 접합되는 토잉 너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퍼 빔은 사각 단면의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잉 너트홀은 상기 너트 삽입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스태이는 사각 단면의 관재로 이루어져 상기 범퍼 빔의 장착홀에 끼워지는 박스부; 상기 박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박스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원형의 너트 삽입관; 및 상기 박스부의 일측면이 너트 삽입관을 따라 일직선으로 절개되어 직선홈으로 형성되는 절개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 스태이는 사각 단면의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잉 너트는 상기 끼움단과 상기 절개홈 주변이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범퍼 빔 후방 양측에 장착되는 양측 스태이 중, 일측 스태이 내부에 너트 삽입관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너트 삽입관에 대하여 토잉 너트를 삽입함으로써, 단품수를 줄여 사이클 타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너트 삽입관을 스태이에 일체로 형성한 후, 상기 너트 삽입관에 대하여 토잉 너트를 삽입하여 용접함으로써, 용접구간을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토잉 너트에 압력을 가할 시, 상기 스태이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스태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스태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스태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스태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1)은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어 충돌 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범퍼 빔 유닛(1)은 범퍼 빔(10), 양측 스태이(20) 및 토잉 너트(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범퍼 빔(10)은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서 차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범퍼 빔(10)은 알루미늄 압출 성형되어 사각 단면의 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범퍼 빔(10)의 후면 양측에는 각각 장착홀(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홀(13)은 상기 스태이(2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진 홀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범퍼 빔(10)은 전면 일측에 토잉 너트홀(11)이 형성된다.
상기 토잉 너트홀(11)은 토잉 너트(30)가 끼워지는 홀이며, 상기 스태이(20)에 형성되는 너트 삽입관(23)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잉 너트(30)는 차량의 토잉 훅(미도시)이 삽입되며, 상기 토잉 훅은 토잉 너트(30)를 통해 상기 범퍼 빔(10)에 장착된다.
상기 토잉 훅은 상기 범퍼 빔(10)의 전방에서 토잉 너트홀(11)을 통해 끼워진다.
이러한 토잉 훅은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양측 스태이(20)는 상기 범퍼 빔(10)의 후방 양측에 장착되어 장착 플레이트(40)를 통해서 범퍼 빔(10)을 차체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스태이(20)는 알루미늄 압출 성형되어 사각 단면의 관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태이(20)는 상기 범퍼 빔(1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된 장착홀(13)에 각각 끼워져 용접된다.
이러한 스태이(20)는 상기 범퍼 빔(10)의 후면에 형성된 장착홀(13)에 끼워져 상기 장착홀(13)의 둘레를 따라 용접되어 접합될 수 있고, 상기 장착홀(13) 없이 범퍼 빔(10)의 후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스태이(20)의 둘레를 따라 범퍼 빔(10)에 용접되어 접합될 수도 있다.
이때,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양측 스태이(20) 중, 상기 범퍼 빔(10)의 토잉 너트홀(11)에 대응하는 일측 스태이(20)는 박스부(21), 너트 삽입관(23) 및 절개홈(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측 스태이(20)는 사각 단면의 관재로 이루어져 범퍼 빔(10)의 장착홀(13)에 끼워지는 박스부(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일측 스태이(20)는 상기 박스부(21)의 내부에서 상기 박스부(21)의 일측면과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원형의 너트 삽입관(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너트 삽입관(23)은 상기 박스부(21)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일측 스태이(20)는 일측면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너트 삽입관(23)과 연결되는 절개홈(2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절개홈(25)은 상기 박스부(21)의 일측면이 너트 삽입관(23)을 따라 일직선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절개홈(25)은 상기 일측 스태이(20)가 제조될 때, 압출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일측 스태이(20)가 제조된 후, 상기 너트 삽입관(23)과 함께 절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토잉 너트(30)는 토잉 훅이 삽입되는 관이다.
상기 토잉 너트(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단(31)이 형성된다.
상기 토잉 너트(30)는 너트 삽입관(23)에 삽입되면서, 상기 절개홈(25)에 끼움단(31)이 끼워져서 용접 접합(W)된다.
이러한 토잉 너트(30)는 상기 끼움단(31)과 절개홈(25) 주변이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 빔 유닛(1)은 일측 스태이(20) 내부에 너트 삽입관(23)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너트 삽입관(23)에 대하여 토잉 너트(30)를 삽입함으로써, 단품수를 줄이고, 사이클 타임을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범퍼 빔 유닛(1)은 너트 삽입관(23)을 일측 스태이(20)에 일체로 형성하여 토잉 너트(30)를 삽입함으로써, 용접구간을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범퍼 빔 유닛(1)은 토잉 너트(30)에 압력을 가할 시, 상기 스태이(2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범퍼 빔 유닛
10: 범퍼 빔
11: 토잉 너트홀
13: 장착홀
20: 스태이
21: 박스부
23: 너트 삽입관
25: 절개홈
30: 토잉 너트
31: 끼움단
40: 장착 플레이트

Claims (6)

  1.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빔과, 상기 범퍼 빔의 후방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범퍼 빔을 차체에 고정하는 양측 스태이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은 후면 양측에 각각 장착홀이 형성되며, 전면 일측에 토잉 너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스태이는 사각 단면의 관재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홀에 각각 끼워져 장착하되,
    상기 토잉 너트홀에 대응하는 일측 스태이는 사각 단면의 관재로 이루어져 상기 범퍼 빔의 장착홀에 끼워지는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박스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원형의 너트 삽입관과, 상기 박스부의 일측면이 상기 너트 삽입관을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절개되어 직선홈으로 형성되는 절개홈이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단을 형성하며, 상기 너트 삽입관에 삽입되면서 상기 절개홈이 끼움단에 끼워져서 상기 끼움단과 상기 절개홈 주변이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토잉 너트;
    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은
    사각 단면의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 너트홀은 상기 너트 삽입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스태이는 사각 단면의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
  6. 삭제
KR1020170057059A 2017-05-04 2017-05-04 차량용 범퍼 빔 유닛 KR102002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059A KR102002776B1 (ko) 2017-05-04 2017-05-04 차량용 범퍼 빔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059A KR102002776B1 (ko) 2017-05-04 2017-05-04 차량용 범퍼 빔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873A KR20180122873A (ko) 2018-11-14
KR102002776B1 true KR102002776B1 (ko) 2019-07-23

Family

ID=6432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059A KR102002776B1 (ko) 2017-05-04 2017-05-04 차량용 범퍼 빔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7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830B1 (ko) * 2012-12-17 2014-10-2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범퍼빔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830B1 (ko) * 2012-12-17 2014-10-2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범퍼빔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873A (ko) 201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946B1 (ko) 차량용 범퍼빔의 조립방법
JP4243833B2 (ja) サイドメンバとバンパビームとの取り付け構造
US9676416B2 (en) Vehicle body front portion structure and load receiving member
KR102557313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2130351B1 (ko) 차량용 토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빔 유닛
KR102002776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KR20170073137A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456465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JP5840519B2 (ja) バンパー取付構造
KR101617163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453830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220005B1 (ko) 엔진룸 보강 구조
KR101650775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US9440607B1 (en) Energy diverting bumper structures for bumpers and methods of connecting energy diverting bumper structures
KR20160012611A (ko) 차량용 스태이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빔 유닛
KR101932689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KR101399336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KR20220086056A (ko) 전기 자동차의 차체 연결 구조
KR101328396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563174B1 (ko) 차체 조립용 스터드 볼트유닛
KR101338046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808071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20160126736A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KR101286685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399337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