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258A -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 - Google Patents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258A
KR20160001258A KR1020140079449A KR20140079449A KR20160001258A KR 20160001258 A KR20160001258 A KR 20160001258A KR 1020140079449 A KR1020140079449 A KR 1020140079449A KR 20140079449 A KR20140079449 A KR 20140079449A KR 20160001258 A KR20160001258 A KR 20160001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dividing line
memo
lin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호
Original Assignee
김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호 filed Critical 김기호
Priority to KR1020140079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258A/ko
Publication of KR20160001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5/00Sheets and objec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Means therefor; Album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지의 일부분에 반복적으로 부착과 탈착이 가능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다량의 메모지가 접착면에 의해 연속되게 부착된 것이며, 메모하는 용도 및 정면과 배면에 인쇄면이 형성되어 책의 간지 및 안내서 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게 구성된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본 특허는 중앙에는 메모지를 접을 수 있도록 정면에서 배면으로 돌출되게 눌리게 형성되는 직선 형상의 분할선이 형성된 메모지와; 메모지의 배면 중 분할선과 인접한 부분에는 분할선과 평행하게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면;을 포함하는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로 실현 가능하다.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본 발명에 의한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는 기존의 포스트잇과는 다르게 배면의 중앙에 접착면이 형성되어 있어 책의 간지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중앙의 철취선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포스트잇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접착면과 인접한 곳에 접는선이 형성되어 있어 정면 뿐만이 아닌 배면에도 메모를 할 수 있어, 메모지의 모든면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POST-IT TYPE MEMO PAPER}
본 발명은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지의 일부분에 반복적으로 부착과 탈착이 가능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다량의 메모지가 접착면에 의해 연속되게 부착된 것이며, 메모하는 용도 및 정면과 배면에 인쇄면이 형성되어 책의 간지 및 안내서 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게 구성된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포스트잇은 배면에 탁부착이 용이한 접착제게 도포되고 일정 모양으로 절단된 메모지를 일컫는다. 특히, 포스트잇은 접착면이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서, 여러번 탈부착하여도 접착면의 접착제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더불어, 여러장의 포스트잇은 서로의 접착면에 의해 적층되듯 부착되어 보관되기 때문에 휴대성도 매우 높다.
포스트잇은 클립이나 압핀 또는 테이프의 도움 없이도 어떠한 물체의 표면에도 부착이 가능하다는 장점과, 사용 후 부착된 곳에서 떼어내면 별다른 흔적도 남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가 용이한 포스트잇은 다양한 직종의 사무원부터 학생들까지 광범위한 계층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무용품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포스트잇의 구조를 살펴보면, 보편적인 메모지가 마련되고 메모지의 배면에는 통상 상부와 접하는 면에 띠 형상으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포스트잇의 정면에는 메모를 하고 배면은 사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포스트잇의 사용패턴은 포스트잇이 처음 개발되었을 당시부터 계속되온 것이며, 이는 포스트잇의 구조에서 기인한 사용패턴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포스트잇의 메모지 배면을 사용하려면 메모지를 접어 사용해야만 하는데 면적이 작은 메모지의 경우는 접어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메모지를 잘못 접으면 메모지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포스트잇은 개발된 초기부터 지금까지 큰 변화없이 메모지의 정면에는 메모를 하고, 배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사물에 부착되는 용도로만 사용되어온 것이 현실이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7146호(출원일자 2012. 06. 04) 등록특허 제10-1031223호(출원일자 2009. 02. 11) 등록특허 제10-1091602호(출원일자 2008. 12. 03)
본 발명은 종래의 포스트잇의 사용용도를 넓히기 위한 것으로서, 메모지 및 책의 사이에 끼워지는 인쇄물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정면뿐이 아닌 배면에도 메모가 가능하도록 하여 포스트잇의 사용면을 넓히는 것이 목적이다.
더불어, 메모지의 중앙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일반 용도의 포스트잇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본 특허는 중앙에는 메모지를 접을 수 있도록 정면에서 배면으로 돌출되게 눌리게 형성되는 직선 형상의 분할선이 형성된 메모지와; 메모지의 배면 중 분할선과 인접한 부분에는 분할선과 평행하게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면;을 포함하는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접착면은 메모지의 배면에 형성되되, 분할선과 인접한 양측에 분할선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로도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메모지에는 분할선의 인접한 외부면에 접착면이 형성되고, 접착면과 인접한 외부면에는 분할선과 평행한 접는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잇 타입 메모지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메모지에 형성된 분할선은 메모지를 절개할 수 있게 균일한 간격의 점선모양으로 절개되게 형성된 철취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로 실현 가능하다.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본 발명에 의한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는 기존의 포스트잇과는 다르게 배면의 중앙에 접착면이 형성되어 있어 책의 간지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중앙의 철취선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포스트잇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접착면과 인접한 곳에 접는선이 형성되어 있어 정면 뿐만이 아닌 배면에도 메모를 할 수 있어, 메모지의 모든면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를 절취선을 중심으로 분리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를 책갈피에 꽂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도 8의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가 접철되어 배면이 정면으로 넘겨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를 절취선으로 분리하여 일반 포스트잇으로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1: 이하, 포스트잇이라 함.)는 메모지(10)와 접착면(30)으로 구성된다.
메모지(10)는 일반적인 종이이며, 종이의 모양은 보편적인 형상인 직사각형이나 반드시 직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즉, 원형이나 마름모 등 다양한 형상의 종이가 사용될 수 있다. 단,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모지(10)의 모양은 직사각형인 경우로만 설명한다.
메모지(10)에는 반으로 접을 수 있는 분할선(20)이 형성된다. 분할선(20)은 사용자가 특별히 힘을 들이지 않고도 메모지(10)를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메모지(10)의 정면에서 배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메모지(10)의 배면에는 메모지(10)를 부착시킬 수 있는 접착면(30)이 형성된다. 접착면(30)을 형성시키는 접착제는 일반적인 포스트잇(1)에 사용되는 접착제가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포스트잇(1) 역시 다른 제품들과 동일하게 수회 반복해서 부착과 분리가 가능하다.
단, 본 발명의 접착면(30)은 분할선(20)과 인접한 부분의 메모지(10) 배면에 형성되고, 접착면(30)은 메모지(10)의 배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메모지(10)가 반으로 접힐 수 있게 분할선(20)이 형성되고 분할선(20)의 측면과 인접한 곳에 접착면(30)이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포스트잇(1)은 책의 간지 또는 메모지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책의 간지로 사용될 경우에는 책의 내용을 설명하는 용도 내지는 책의 내용을 부연설명하기 위해 인쇄된 인쇄지를 반으로 접어 책의 사이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메모지(10)는 배면의 중앙에 형성된 접착면(30)에 의해 책(2)의 표지에 부착되어 외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정면과 배면의 모든 면에 인쇄물을 형성시킬 수 있어 메모지(10)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인쇄되지 않은 메모지(10)로 사용될 경우에도 메모지(10)의 정면과 배면을 넘겨가며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포스트잇(1)은 메모지(10)의 중앙에 형성된 분할선(20)과 인접한 양측에 분할선(20)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분할선(20)의 양측에 접착면(30)을 형성시키는 경우 분할선(20)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형성되는 접착면(30)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접착면(30)을 최소화하는 경우에는 책의 인쇄면으로 접착면(30)이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포스트잇의 표면에 인쇄면을 형성시킨 뒤 이를 책에 부착시킬 때 최소한의 면적만을 접착면(30)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인쇄면 또는 메모할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포스트잇(1)의 접착면(30)은 접는선(40)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어 있어, 접는선(40)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접착면(30)은 기존 포스트잇의 접착면의 1/2에 해당한다. 이처럼 폭이 좀은 접착면(30)으로 인해 본 발명의 포스트잇(1)은 책의 간지나 메모지로 사용될 경우 책의 인쇄면을 덮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메모지(10)에 형성된 분할선(20)의 인접한 외부면에는 접착면(30)이 형성되고, 접착면(30)과 인접한 외부면에는 분할선(20)과 평행한 접는선(40)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면(30)의 외부에 접는선(40)이 형성된 경우 메모지(10)는 마치 4페이지의 책이나 노트와 같이 전면과 배면을 자유롭게 넘기면서 사용할 수 있다.
메모지(10)에 인쇄면을 형성시킬 경우에도 전면과 배면에 4페이지에 해당하는 인쇄면을 형성시킬 수 있어, 한정된 면적의 메모지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메모지(10)에 형성된 분할선(20)은 메모지(10)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게 균일한 간격의 점선모양으로 절단된 철취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취선(21)이 형성된 메모지(10)는 사용 목적에 따라 책과 같이 반으로 접어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절취선(21)을 기준으로 메모지(10)를 반으로 접어 사용할 수 있고, 일반 포스트잇 처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절취선(21)을 기준으로 메모지(10)를 반으로 잘라 사용하면 된다.
이때, 메모지(10)의 배면에는 절취선(21)을 중심으로 양측에 접착면(3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취된 양측은 모두 각각 일반 포스트잇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포스트잇(1)을 책(2)의 간지 등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포스트잇(1)의 전면과 배면에 4페이지에 해당하는 면에 인쇄면을 형성시키고, 포스트잇(1)을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책의 해당 페이지에 부착시킨다.
책의 해당 페이지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배면의 접착면(30)이 외부로 노출되게 메모지(10)를 반으로 접고, 접착면(30)이 책(2)의 양측 페이지 사이에 최대한 밀착되게 하여 부착시킨다.
이처럼 부착된 본 발명에 의한 포스트잇(1)은 책(2)의 각 페이지의 인쇄면에는 전혀 간섭되지 않으면서도 4페이지의 인쇄면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분할선(20)의 외부에 접는선(40)이 형성되어 있어 메모지(10)의 각 면을 책장을 넘기듯 넘기면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이성이 더욱 증가한다.
더불어, 정면과 배면에 인쇄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4면을 모두 활용하여 적절한 메모를 할 수도 있다.
도 6과 도7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포스트잇(1)을 일반 포스트잇과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절취선(21)을 이용해 양측으로 분리시켜 사용하면 된다. 절취선(21)에 의해 양측으로 분리된 메모지(1a,1b)는 일반 포스트잇과 동일하게 상단에만 접착면(30)이 형성된 것과 동일한 형상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포스트잇(1)은 절취선(21)에 의해 분리된다 하여도 접착면(30)과 인접한 면에 접는선(40)이 형성되어 있어 메모지(10)의 정면과 배면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대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 특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1: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 10: 메모지
20: 분할선 21: 절취선
30: 접착면 40: 접는선

Claims (4)

  1. 배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메모지에 있어서,
    중앙에는 메모지(10)를 접을 수 있도록 정면에서 배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직선 형상의 분할선(20)이 형성된 메모지(10)와;
    메모지(10)의 배면 중 분할선(20)과 인접한 부분에는 분할선(20)과 평행하게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면(30);을 포함하는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
  2. 제 1항에 있어서,
    접착면(30)은 메모지(10)의 배면에 형성되되, 분할선(20)과 인접한 양측에 분할선(20)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메모지(10)에는 분할선(20)의 인접한 외부면에 접착면(30)이 형성되고, 접착면(30)과 인접한 외부면에는 분할선(20)과 평행한 접는선(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잇 타입 메모지.
  4. 제 3항에 있어서,
    메모지(10)에 형성된 분할선(20)은 메모지(10)를 절개할 수 있게 균일한 간격의 점선모양으로 절개되게 형성된 절취선(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
KR1020140079449A 2014-06-27 2014-06-27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 KR20160001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449A KR20160001258A (ko) 2014-06-27 2014-06-27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449A KR20160001258A (ko) 2014-06-27 2014-06-27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58A true KR20160001258A (ko) 2016-01-06

Family

ID=5516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449A KR20160001258A (ko) 2014-06-27 2014-06-27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25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223B1 (ko) 2009-02-11 2011-04-29 설진영 필기 가능한 스티커
KR101091602B1 (ko) 2008-12-03 2011-12-13 설진영 다면 스티커 및 다면 스티커 제조방법
KR20130007146U (ko) 2012-06-04 2013-12-12 최윤혁 포켓이 형성된 포스트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602B1 (ko) 2008-12-03 2011-12-13 설진영 다면 스티커 및 다면 스티커 제조방법
KR101031223B1 (ko) 2009-02-11 2011-04-29 설진영 필기 가능한 스티커
KR20130007146U (ko) 2012-06-04 2013-12-12 최윤혁 포켓이 형성된 포스트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6964B2 (en) Sticky note pad
KR200476994Y1 (ko) 복수의 속지가 구비된 노트
JP2003341257A (ja) 付箋付きメモ帳
KR200475848Y1 (ko) 포스트잇 유형의 메모 견출지
KR20160001258A (ko) 포스트잇 타입 메모지
JP2008023901A (ja) 書類・冊子類の取付補助具
JP3217181U (ja) 御朱印帳
JP3217551U (ja) ノート型一筆箋
JP5095028B1 (ja) 冊子体
JP6417469B1 (ja) 冊子作製綴具
JP3198447U (ja) メモ帳
JP2007283518A (ja) 付箋紙
JP3198447U7 (ko)
JPH0390393A (ja) 書籍用の付箋セット
KR200483080Y1 (ko) 다단 절첩 액자의 연속 책자
EP2332736A2 (en) Sticky note pad
KR20170002304U (ko) 노트 및 노트의 연결끈 결속방법
JPH10258591A (ja) ルーズリーフ状ノート
JP3171503U (ja) ホワイトボードブック
JP6236302B2 (ja) ノートカレンダー
US20090184509A1 (en) Tabbed label device for home or office organizational tasks
JP4773008B2 (ja)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積層体
JP3041866U (ja) ル−ズリ−フ状ノ−ト
JP3113592U (ja) 付箋紙
JP3176651U (ja) 折り目の目安にするマークを有する便箋等の用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