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240U -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240U
KR20160001240U KR2020140007266U KR20140007266U KR20160001240U KR 20160001240 U KR20160001240 U KR 20160001240U KR 2020140007266 U KR2020140007266 U KR 2020140007266U KR 20140007266 U KR20140007266 U KR 20140007266U KR 20160001240 U KR20160001240 U KR 201600012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frame
vertical frame
coupl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192Y1 (ko
Inventor
조재춘
Original Assignee
조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춘 filed Critical 조재춘
Priority to KR2020140007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192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2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2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1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외측에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양변기의 상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이폴리기구 및 상기 양변기의 양측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터플라이기구로 구성되는 운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양변기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운동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배변시 순간적인 가압활동을 통한 쾌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HEALTH CARE APPARATUS FOR TOILET}
본 고안은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양변기의 상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이폴리기구 및 상기 양변기의 양측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터플라이기구로 구성되는 운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양변기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운동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배변시 순간적인 가압활동을 통한 쾌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현대인들이 식생활의 서구화 등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변비를 겪고 있다. 변비는 항문과 직장에서 분변이 배출됨에 있어서, 분변을 축적한 상태로 장시간 지속되었을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 직장팽만과 복통,피부발진, 어깨결림 등의 증상이 생기며, 항문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장내 세균의 이상증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대장암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비의 원인에는 대장, 직장 및 항문의 구조적 이상에서 발생하는 기질적 변비와 기능적 이상에서 오는 기능적 변비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기능적 변비의 70%이상이 직장형 변비로 약물이나 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복부 내압을 증가시키는 쪼그려 앉는 자세나, 직장감압을 증가시키는 앉는 자세를 통해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중인 양변기좌석은 사용자의 배변활동시 인체공학적 즉, 해부학적으로 배변활동이 용이하게 설계되어 있지 못하고 단지 양변기 위에 양변기좌석이 수평적으로 얹혀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양변기 좌석을 이용하여 배변활동을 하는 과정을 인체공학적(해부학적)관점에서 살펴 보면, 배변활동자는 양변기 좌석에 착석하여 배변활동을 하게 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엉덩이와 대퇴부가 양변기 좌석과 수평으로 밀착하게 되고 아울러 허리는 자연스럽게 대퇴부와 수직에 가깝게 되게 된다. 이러한 자세는 대퇴부와 엉덩이 주변에 배변 활동자의 중량이 실리게 되고 또한 허리도 대퇴부와 수직에 가깝게 됨에 따라 엉덩이 주변을 상부의 내향으로 직접 압박하여 직장의 통로를 수축시키고 마지막 배변통로를 구부러지게 함으로써 배변활동을 원할 치 못하게 하며 아울러 복부근육도 긴장을 시켜 복부내 장(intestine)의 연동운동도 방해받게 된다. 이는 결국 변비 및 치질등 항문관련 질환을 야기 시킨다.
또한, 자연스런 배변을 위해 하복부에 적절한 힘을 주어야 하지만, 변비시 의학적 대처방안외에 운동부족 등으로 근육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힘을 줄 수 있는 능력에 한계가 있다. 더불어, 최근 IT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발달로 활용도가 높아져 배변시에도 IT기기를 사용하는 일이 많으며, 허리와 고개를 구부린 상태에서 아래를 쳐다보며 사용함에 따라 목과 허리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배변이 이루어져 원활한 배변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잘못된 배변습관으로 항문관련 질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변시 순간적인 가압활동을 통해 쾌변을 유도하고, IT기기나 책 등을 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바른자세를 유지하면서 신체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화장실용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양변기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양변기의 상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이폴리기구 및 상기 양변기의 양측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터플라이기구로 구성되는 운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양변기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운동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배변시 순간적인 가압활동을 통한 쾌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하이폴리바 및 버터플라이패드에 피스톤 로드가 연결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파워컨트롤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파워컨트롤밸브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웨이트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양변기 위측에 설치할 때 설치공간을 줄여 화장실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버터플라이기구에는 IT기기나 책을 거치할 수 있도록 플라이패드에 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을 감싸는 고정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수직으로 소정길이의 랙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양변기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와 수평프레임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켜 수직프레임을 승하강하도록 하는 거리측정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배변시 상기 운동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순간적인 가압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쾌변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웨이트 설정이 용이하며, 화장실 내부에 설치시 설치공간을 줄여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IT기기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접이식 거치대가 구비되어 양변기에 IT기기나 책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목과, 목, 팔 등의 부하를 감소시켜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레임의 승하강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양변기의 외측에 운동기구를 설치하여, 배변시 상기 운동기구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인 가압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쾌변을 유도할 수 있는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양변기(1)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10)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본 고안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화장실의 바닥이나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흡착판 또는 앙카나 칼브럭과 같은 체결구를 통해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브라켓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의 구조나 양변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0)을 천장에 고정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운동기구(20)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이폴리기구(30) 및 버터플라이기구(40)로 이루어진다.
하이폴리기구라 함은 와이어와 풀리 및 웨이트(무게추)를 통해 상하로 왕복운동되는 하이폴리바가 구비되는 운동기구로서, 사용자는 상기 하이폴리바를 양손으로 잡아당기면서 근육 운동을 하게 되고, 하이폴리바에 가한 힘을 풀면 웨이트의 하중으로 인해 하이폴리바가 다시 상승하게 된다.
버터플라이기구는 와이어와 풀리 및 웨이트(무게추)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왕북운동되는 플라이패드가 구비되는 운동기구로서, 사용자는 상기 플라이패드에 팔을 밀착시킨 후 힘을 가해 전방측으로 회동시키면서 근육 운동을 하게 되고, 플라이패드에 가한 힘을 풀면 웨이트의 하중으로 인해 플라이패드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하이폴리기구 및 버터플라이기구는 반복적인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필수적으로 웨이트(무게추)가 구비되어야만 했다. 그런데, 이러한 웨이트를 화장실에 설치하게 되면 내부공간이 협소해져 화장실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웨이트 수를 변경하는 작업이 어려우며, 사용하지 않는 웨이트의 보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더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웨이트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화장실 내부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이폴리바(31) 및 버터플라이패드(41)에 피스톤 로드가 연결되는 실린더(32,42) 및 상기 실린더 내부에 실린더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파워컨트롤밸브(33,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하이폴리기구에 구비되는 실린더(32)는 피스톤 로드가 하이폴리바(31)의 상단 중앙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버터플라이기구에 구비되는 실린더(42)는 피스톤 로드가 플라이패드(32)가 구비되는 회동바(46)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10)과 결합된다.
상기 실린더(32,42)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압식에 비해 설비가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청결한 장점이 있는 공압식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파워컨트롤밸브(33,43)는 상기 각 실린더(32,42)에 장착되어 실린더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본인의 체중이나 조건에 따라 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웨이트를 설정할 수 있는 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에는 설정된 웨이트 값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비될 수 있으며, 세정수의 온도나 시트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비데가 설치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하이폴리기구용 실린더(32) 및 버터플라이기구용 실린더(42)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 및 디스플레이 화면을 추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배변시 IT기기나 책이 양변기 내부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더욱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플라이패드(41)에 거치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버터플라이기구(40)와 힌지결합된다.
본 고안은 상기 거치대(5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IT기기나 책을 거치대에 거치한 후 바른 자세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손목이나, 팔, 목, 허리 등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허리를 세운 상태로 배변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활한 배변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을 화장실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하이폴리기구(30) 및 버터플라이기구(40)가 메인프레임을 통해 승하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메인프레임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1)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을 감싸는 고정프레임(13)이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수직으로 소정길이의 랙(14)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5)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6)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양변기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와 수평프레임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켜 수직프레임을 승하강하도록 하는 거리측정센서(1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1)이 구동모터(17)의 동력을 통해 승하강하도록 구성되는 이유는 사용자가 양변기(1)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신장(앉은 키)에 따라 하이폴리바(31)나 플라이패드(41)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하이폴리기구(30)가 수평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라도 성인의 경우 쉽게 하이폴리바를 잡을 수 있으나, 어린 아이는 앉은 키가 작고 팔이 짧기 때문에 하이폴리바를 잡을 수 없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거리측정센서(17)를 통해 수평프레임(12)과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1)이 자동으로 승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앉은 키에 관계없이 누구나 용이하게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버터플라이기구(40) 또한 상기 회동바(46)과 연결되는 실린더(42)가 상기 수직프레임(11)과 결합되므로 사용자의 신장에 관계없이 가압운동을 통한 쾌변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웨이트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양변기 외측에 설치할 때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화장실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양변기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운동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배변시 순간적인 가압활동을 통한 쾌변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IT기기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접이식 거치대가 구비되어 양변기에 IT기기나 책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목과, 목, 팔 등의 부하를 감소시켜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메인 프레임 20 : 운동기구
30 : 하이폴리기구 40 : 버터플라이기구

Claims (4)

  1. 양변기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양변기의 상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이폴리기구 및 상기 양변기의 양측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터플라이기구로 구성되는 운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양변기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운동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배변시 순간적인 가압활동을 통한 쾌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폴리바 및 버터플라이패드에 피스톤 로드가 연결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파워컨트롤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파워컨트롤밸브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웨이트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양변기 외측에 설치할 때 설치공간을 줄여 화장실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플라이기구에는 IT기기나 책을 거치할 수 있도록 플라이패드에 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을 감싸는 고정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수직으로 소정길이의 랙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양변기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와 수평프레임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켜 수직프레임을 승하강하도록 하는 거리측정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
KR2020140007266U 2014-10-06 2014-10-06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 KR200481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266U KR200481192Y1 (ko) 2014-10-06 2014-10-06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266U KR200481192Y1 (ko) 2014-10-06 2014-10-06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40U true KR20160001240U (ko) 2016-04-15
KR200481192Y1 KR200481192Y1 (ko) 2016-08-26

Family

ID=5579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266U KR200481192Y1 (ko) 2014-10-06 2014-10-06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19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736Y2 (ja) * 1990-07-03 1995-04-05 株式会社コクサイ 多機能トレーニング装置
JP2000160637A (ja) * 1998-11-26 2000-06-13 Toto Ltd 便器装置
KR100869067B1 (ko) * 2007-05-21 2008-11-17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부하 조절이 가능한 전자식 헬스기구
KR200463740Y1 (ko) * 2009-03-13 2012-11-21 (주)맥디자인 실외용 쇼울더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736Y2 (ja) * 1990-07-03 1995-04-05 株式会社コクサイ 多機能トレーニング装置
JP2000160637A (ja) * 1998-11-26 2000-06-13 Toto Ltd 便器装置
KR100869067B1 (ko) * 2007-05-21 2008-11-17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부하 조절이 가능한 전자식 헬스기구
KR200463740Y1 (ko) * 2009-03-13 2012-11-21 (주)맥디자인 실외용 쇼울더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192Y1 (ko) 2016-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74247B (zh) 一种康复训练设备
US11590045B2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synchronized body motions of a user
US7927257B2 (en) Assisted stair training machine and methods of using
CN106659336B (zh) 浴室安全装置
EP2381909B1 (en)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US11089923B2 (en) Advanced hygienic excreta system
CN101069661A (zh) 起立·移动辅助装置
CN205795990U (zh) 一种自助牵引按摩机
CN207745467U (zh) 一种脑血管疾病后康复治疗仪
KR200481192Y1 (ko)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
CN108814850A (zh) 基于医院网络平台的多功能护理床
JP5006458B1 (ja) 足腰の筋力が測定できるリハビリ機、
KR20220014915A (ko) 골반저근 강화장치 및 강화방법
CN207654661U (zh) 一种多功能立式健体测评仪
TWI659734B (zh) 下肢復健裝置及其方法
CN206576811U (zh) 辅助如厕人员坐下和站起的装置
US11583147B2 (en) Advanced hygienic excreta system
CN107951678A (zh) 一种临床神经内科用脑血管病人康复护理装置
KR200313393Y1 (ko) 복근, 요근 및 하지근 등속 운동기구
CN209662181U (zh) 一种肛肠科痔疮病人用坐浴装置
KR101843014B1 (ko) 쾌변 유도 좌변장치
KR101262159B1 (ko) 대요근 운동기구
KR20110114233A (ko)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JP2011217788A (ja) 排便補助機器
WO2009076731A2 (en) Apparatus for exercising the upper limbs of people or patients with diverse physical limi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