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213U -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머신 - Google Patents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213U
KR20160001213U KR2020150006499U KR20150006499U KR20160001213U KR 20160001213 U KR20160001213 U KR 20160001213U KR 2020150006499 U KR2020150006499 U KR 2020150006499U KR 20150006499 U KR20150006499 U KR 20150006499U KR 20160001213 U KR20160001213 U KR 201600012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oling
hot water
extraction tank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 밍 쉬
Original Assignee
치 밍 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3134335A external-priority patent/TWI569760B/zh
Priority claimed from TW104211081U external-priority patent/TWM515357U/zh
Application filed by 치 밍 쉬 filed Critical 치 밍 쉬
Publication of KR201600012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21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7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신선하게-추출된 고온 드링크를 저온 드링크로 즉시 냉각할 수 있으며 저온 드링크를 신속하게 분배할 수 있는 신선-추출된 저온음료 분배 머신은 고온수 공급 모듈, 추출 탱크, 냉각 챔버 및 냉각 챔버에 수용된 냉각 매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모듈을 포함한다. 음료 냉각 조립체는 냉각 챔버에 배치되고 냉각 챔버를 관통하는 음료전달 경로를 가진다. 음료전달 경로의 일 단부는 추출 탱크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는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한 음료공급 개구가 구비된다. 음료 구동모듈은 추출 탱크의 고온 드링크를 구동하여 음료전달 경로를 신속하게 통과하고 냉각 매체와 신속하게 열교환하며 저온 드링크로서 음료공급 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음료전달경로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머신{FRESH-BREWED COL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신성하게-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에 대한 것으로, 이는 즉시 신선하게-추출된 고온 드링크를 저온 드링크로 냉각시키고 신속하게 저온 드링크를 분배할 수 있다. 신선하게 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은 고온수 공급 모듈, 추출 탱크, 냉각 챔버, 냉각코일 튜브 및 음료 구동모듈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흑차(black tea), 녹차, 우유 차 및 커피와 같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저온 드링크들이 추출된 후에 판매된다. 즉, 더운 물이 먼저 차잎, 커피 메이트, 커리 분말 또는 플래버들에 주입된 후에 재료들을 고온 드링크로 추출시킨다. 고온 드링크가 자연적으로 정상 온도 상태로 냉각된 후에, 얼음 큐브들이 드링크에 첨가되어 저온 드링크를 형성한다.
또한, 자주 시장에서 보여진 저온 드링크 머신은 냉동 효과를 가진 내부 저장부를 가진다. 이미 추출된 음료는 저장부로 주입되고 내부에서 보관된다. 음료는 우선 저온 드링크로 냉각되고 이어서 긴 시간 동안 냉각 상태로 유지된다. 저온 드링크를 공급할 때, 저온 드링크는 저장부의 음료공급 개구로부터 휴대 음료 용기 내로 배출되어 제공된다.
상기 종래 저온 드링크 기술에서, 얼음 큐브는 이미 추출된 음료가 냉각된 후에 단지 음료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신에, 저온 드링크 머신의 저장부에 수용된 음료는 저온 드링크 머신에 의하여 장시간 동안 저온 상태로 유지되어 제공되도록 준비된다.
종래의 저온 드링크 기술은 음료가 추출될 수 없고 즉시 냉각되어 공급될 수 없다는 결점을 가진다. 따라서, 장시간의 냉각 공정 동안, 음료는 외부 오염들과 부패에 잘 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음료의 위생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더구나, 안정한 저온으로 공급되는 음료를 유지하기 위하여, 저장조의 음료는 저온 상태로 음료를 유지하기 위하여 냉동 기구에 의하여 연속으로 냉각되고 냉동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 저장조는 대량의 음료 공급 요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이미 추출된 신선한 음료를 비주기적으로 보충되어야 한다.
그러한 상태에서, 저온 상태로 음료를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는 크며 저온 드링크의 공급 온도는 거의 보장될 수 없다. 또한, 얼음 큐브가 음료에 첨가된 후에, 추출된 재료의 비율은 맛에 영향을 미치도록 불가피하게 변경될 것이다. 또한, 음료의 위생은 자주 얼음 큐브의 부적절한 보존에 기인하여 자주 영향을 받는다.
더욱이, 종래의 저온 드링크 머신에서, 저장조에 보관된 음료는 자연적으로 중력 하에 하부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저온 드링크 머신 내측의 저장조와 냉동 모듈은 연속으로 적층되어야 한다. 따라서, 저온 드링크 머신은 가끔 큰 부피를 점유하는 거대한 부피를 가진다. 더욱이, 자연적으로, 음료는 저온 드링크 머신으로부터 거의 신속하게 흘러나올 수 없으므로 저온 드링크의 흐름 속도는 느리고 저온 드링크의 공급 속도는 거의 증대될 수 없다. 특히, 저온 드링크 머신에 보존된 음료의 량이 충분한 경우, 음료가 매우 빠른 속도로 흘러나오거나 음료 흐름이 중단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저온 드링크 머신을 사용하는 것이 아주 불편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신선하게 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신선하게-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에 의하여, 신선하게- 추출된 고온 드링크는 즉시 저온 드링크로 냉각되고 신속하게 배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저온 드링크가 상하기 쉽고 위생이 거의 보장될 수 없는 종래의 저온 드링크 머신의 결점들이 제거된다.
또한, 본 고안은 얼음 큐브가 음료 속에 배치되어 맛에 영향을 미치고, 에너지 소비가 크며, 음료가 불안정한 온도에서 공급되고, 종래의 저온 드링크 머신이거대한 부피를 가져서 큰 공간을 점유하고 음료가 자연적으로 느린 속도로 유출하여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하였던 문제들을 해결한다.
상기 및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신선하게-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은:
머신 본체;
상기 머신 본체에 배치되고, 고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고온수 출구 및 상기 고온수 출구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밸브를 가지는 고온수 공급 모듈;
상기 머신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고온수 출구로부터 배출된 고온수를 수용하도록 작용하며, 한 번에 공급된 고온수의 단위 양을 보유하기 위한 용량을 가진 수용 공간을 가지는 추출 탱크;
상기 머신 본체에 배치된 저온 매체가 충진되는 냉각 챔버;
상기 머신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챔버의 냉각 매체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냉각 챔버에 연결된 냉각 유닛을 가지는 냉각 모듈; 및
냉각 매체와 열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 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음료 냉각 조립체의 일 단부는 상기 추출 탱크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는 외측면으로부터 접근가능한 음료 공급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음료 냉각 조립체와 상기 추출 탱크 사이에 제2 제어밸브가 배치되는 상기 음료냉각 조립체를 구비한다.
상기에 따라, 사용시, 차, 커피분말 또는 플래버와 같은 추출된 재료들이 먼저 추출 탱크 내에 장입된다. 이어서, 고온수 공급 모듈의 고온수가 고온수 출구로부터 직접 배출되어 바로 추출 탱크의 추출된 재료내로 주입된다.
이어서 추출 탱크의 고온 드링크는 음료 냉각 조립체의 음료전달 경로로 직접 안내되고 음료전달 경로를 통과하여 음료공급 개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 기간 동안, 음료 냉각 조립체의 음료전달 경로의 고온 드링크는 냉각 챔버의 냉각 매체와 열 교환하여 저온 드링크를 형성하고, 이는 음료공급 개구로부터 배출되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사용은 아주 편리하다. 또한, 음료구동 모듈은 추출 탱크의 음료를 구동하여 음료전달 경로를 신속하게 통과하여 음료공급 개구를 통해 저온 드링크로서 배출되도록 음료전달 경로 위에 배치된다.
음료 구동 모듈은 추출 탱크의 고온 드링크를 가압적으로 구동하여 음료냉각 조립체의 음료전달 경로를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저온 드링크로서 음료공급 개구로부터 배출시킨다. 그러므로, 음료 구동모듈은 머신 본체를 통한 음료 전달 속도와 음료 배출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고온수 공급모듈, 추출 탱크, 냉각 챔버, 냉각 모듈, 음료 냉각 조립체 및 음료 구동모듈을 적층 상태로 배치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그러므로, 용적은 매우 축소되어 점유 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저온 드링크가 보존되고 상하기 쉬우며 위생이 거의 보장될 수 없는 종래의 저온 드링크 머신의 결점들이 제거된다. 본 고안에서, 추출 탱크의 신선하게-추출된 고온 드링크는 음료냉각 조립체의 음료전달 경로를 통해 통과할 수 있으며 냉각 챔버의 냉각 매체와 신속하게 열 교환하여 신속하게 저온 드링크로 냉각된다.
또한, 추출 탱크는 한 번에 제공하기 위한 단위 량의 음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용 공간을 가진다. 그러므로, 냉동 상태로 저온 드링크를 보존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대신에, 음료는 순간적으로 추출되어 즉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의 위생이 보장되고 음료의 더욱 양호한 신선한 맛을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양적 온도제어와 냉각 경로에 의하여, 음료는 매우 안정된 온도에서 공급될 수 있으며 음료는 아주 안정된 온도에서 공급될 수 있으며 에너지는 절감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음료 구동모듈이 음료냉각 조립체의 음료전달 경로에 배치되도록 구조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추출 탱크가 한 번에 제공하는 단위 량의 음료를 단순히 제공하는 상태에서(종래의 저온 드링크 머신에서 불충분한 양의 보존된 음료의 상태와 같이), 머신 본체에서의 동력에 의하여 단위 량의 음료가 완전히 자동으로 구동되어 제공하도록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음료는 신속하게 배출되어 저온 드링크의 공급을 크게 가속시킬 수 있으며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실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위의 신선하게-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에서, 음료 구동모듈은 펌프일 수 있다. 사용시, 펌프는 추출 탱크의 음료를 구동하여 음료전달 경로를 신속하게 통고할 수 있도록 구동하고 음료공급 개구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대신에, 음료구동 모듈은 음료전달 경로에 배치된 압력스위치 챔버, 압력스위치 챔버에 연통하는 음압 소스 및 압력 스위치 챔버와 연통하는 양압 소스를 포함한다. 음료 전달경로, 음압 소스 및 양압 소스는 각각 제어 밸브를 거쳐 압력스위치 챔버와 연통한다. 제어 밸브는 먼저 순서족으로 개방되고 폐쇄되어 음압 소스를 압력스위치 챔버에 연통시키며 음압소스와 압력스위치 챔버의 연통을 차단하고 추출 탱크가 음료전달 경로를 거쳐 압력스위치 챔버와 연통하도록 한다. 이어서, 제어 밸브는 순서적으로 개폐되어 양압 소스를 압력스위치 챔버에 연통시키고 양압 소스와 압력 스위치 챔버의 연통을 차단하며 음료 전달 경로를 거쳐 압력스위치 챔버를 음료공급 개구와 연통시킨다.
사용시, 압력스위치 챔버는 음료전달 경로를 거쳐 추출 탱크와 연통한다. 동시에, 압력스위치 챔버는 음압 소스의 작동을 통해 음압 흡입력을 생성하여 추출 탱크의 음료를 음료전달 경로를 거쳐 압력스위치 챔버에 공급한다. 이어서, 압력스위치 챔버는 음료전달 경로를 거쳐 음료공급 개구에 연통한다. 동시에, 압력스위치 챔버는 양압 소스의 작동에 기인하여 고압력 추력을 생성시키며 압력 스위치 챔버의 음료를 음료전달 경로와 음료공급 개구를 통해 공급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추출된 재료가 음료 속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거나 또는 음료가 분말 입자, 과일 입자 또는 섬유와 같은 일부의 고체 재료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음료구동 모듈은 음료 속의 고체 입자들이 펌프 블레이드들의 잼을 용이하게 하고 세척하기 어렵게 만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위의 신선하게-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에서, 제어 밸브들은 냉각 챔버의 외벽 위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이 경우, 음료 전달 경로, 압력스위치 챔버, 음압 소스 및 양압 소스는 제어 밸브들에 더욱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 부분들의 장착/해체, 교체 및 보수는 촉진된다.
위의 신선하게-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머신에서, 음압 소스는 압력스위치 챔버와 연통하는 음압 용기와 음압 용기와 연통하는 음압 제조기를 포함한다. 양압 소스는 압력스위치 챔버와 연통하는 양압 용기 및 양압 용기와 연통하는 양압 제조기를 포함한다.
위의 신선하게-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머신에서, 음료전달 경로가 나선 형태의 냉각 코일 튜브일 수 있다. 따라서, 음료 냉각 조립체의 음료전달 경로와 냉각 챔버의 냉각 매체 사이의 열-교환 영역은 증가되어 고온 드링크의 저온 드링크로의 냉각을 촉진하고 냉각 효율을 향상시킨다.
위의 신선하게-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머신에서, 냉각코일 튜브는 코일 형태로 냉각코일 튜브가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코일 튜브로부터 배출된 음료가 충분히 저온이 아닌 경우, 냉각 챔버의 냉각 매체용 냉각 모듈에 의하여 제공된 냉각 온도는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전기를 더욱 소비할 것이다.
대신에, 금속 냉각코일 튜브의 길이는 증가되어 냉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금속냉각코일 튜브의 제조 비용 및 금속 냉각 코일 튜브의 유비또는 보수 비용을 크게 증가시킬 것이다.
또한, 금속 냉각 코일 튜브는 부식이 용이하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의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 및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튜브는 제조 비용을 저하시키며 장착/해체 교체 및 보수를 촉진하기 위하여 냉각코일 튜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위의 신선하게-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머신에서, 고온수 출구에는 추출 탱크로 연장하는 고온수 공급기가 구비된다. 고온수 공급기의 외벽은 고온수를 추출 탱크에 반경방향으로 분무하기 위하여 다수의 물 분무홀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온수 출구로부터 추출 탱크로 고온수가 배출될 때, 고온수는 고온수 공급기의 물 분무홀들로부터 추출 탱크 내부로 반경방향으로 분무되어 추출 탱크의 추출 재료를 균일하게 서로 분리시키고 용해시키도록 주위 물 흐름을 형성한다.
위의 신선하게-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머신에서, 고온수 출구는 고온수를 추출 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고온수 출구의 개/폐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를 거쳐 추출 탱크와 연통한다.
위의 신선하게-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머신에서, 교반기가 추출 탱크에 배치된다. 교반기는 추출 탱크로 연장하는 교반 부재를 가진다. 따라서, 교반기의 교반 부재는 추출 탱크 내에서 신속하게 회전할 수 있으며 추출 탱크의 추출된 재료와 고온수를 균일하게 교반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신선하게-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에서, 고온수 공급 모듈은 고온수 출구에 연결된 고온수 탱크를 포함한다. 고온수 탱크는 사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물을 수용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신선하게-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에서, 냉각 모듈은 냉각 유닛에 연결된 압축기를 포함한다.
냉각 유닛은 냉각 챔버의 전열 외벽에 접촉한다. 압축기는 그의 전열 외벽을 통해 냉각 챔버의 냉각 매체와 열-교환하도록 냉각 유닛 내에서 냉매가 순환하도록 구동하기 위하여 작용한다. 이 경우, 냉각 챔버의 냉각 매체는 냉각될 수 있다.
위의 신선하게-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에서, 가열 링이 추출 탱크의 외벽 둘레에 감겨진다. 이 경우, 추출 탱크의 고온수와 추출 재료는 혼합되어 고온 드링크를 형성하고, 가열 링은 추출 탱크에서 고온 드링크를 연속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고온 드링크에 추출된 재료를 보다 완전히 용해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들을 통해 가장 잘 이해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용도를 보이는 도 1에 따른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으로부터 저온 드링크가 분배된 것을 도시하는 도 3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사시 조립도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사시 분리도이며;
도 7은 또 다른 각도에서 도시된 도 5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5에 따른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일부의 배치 도면이며;
도 9는 도 5에 따른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일부의 또 다른 배치 도면이며;
도 10은 도 5에 따른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일부의 여전히 또 다른 배치 도면이며; 및
도 11은 도 5에 따른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일부의 여전히 또 다른 배치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신선하게-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은 머신 본체(100), 고온수 공급 모듈(200), 추출 탱크(300), 냉각 챔버(400) 및 상부-측면-하부-측면 순서로 머신 본체(100)에 배치된 냉각 모듈(500)을 포함한다. 음료 냉각 조립체(600)는 추가로 머신 본체(100)에 배치된다.
고온수 공급 모듈(200)은 고온수 탱크(210), 고온수 탱크(210)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 부재(220) 및 고온수 탱크(210)의 바닥에 연결된 고온수 출구(230)를 포함한다. 고온수 출구(230)에는 제1 제어밸브(240)가 구비된다. 가열 부재(240)는 간격을 두고 고온수 탱크(210)에 교대로 배치되는 다수의 가열 유닛들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 유닛은 내부에 전기 가열선을 구비한 가열판일 수 있다.
고온수 탱크(210)는 사용될 물을 수용하도록 작용한다. 가열 부재(220)들은 고온수로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고온수는 고온수 출구(230)로부터 배출된다. 가열 부재(220)들은 고온수 탱크(210)에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되므로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하여 가열 효율이 향상된다. 더욱이, 고온수 공급모듈(200)은 여러 물 튜브(260)들을 통해 고온수 탱크(210)에 연결되는 펌핑 모터(250)를 포함한다. 고온수 탱크(210)의 물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펌핑 모터(250)는 고온수 탱크(210)에 물을 보충하기 위하여 고온수 탱크(210)로 물을 펌핑하도록 작용한다.
추출(brewing) 탱크(300)의 상부 부분은 고온수 출구(230)에 일치하는 탱크 개구(310)를 가지며, 추출 탱크(300)는 고온수 출구(23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수를 수용할 수 있다. 추출 탱크(300)는 공급된 단위 양의 고온수를 일시에 보관하기 위한 용량을 가진 수용 공간을 가진다.
필터 컵(700)은 추출 탱크(300)와 고온수 출구(230) 사이에 배치되고 추출 탱크(300) 내에 위치된다. 필터 컵(700)은 추출 탱크(300)의 탱크 개구(310)를 거쳐 고온수 출구(230)에 일치되고 추출 탱크(300) 내에 침지된다. 필터 컵(700)의 상부 부분에는 고온수 출구(230)에 일치하는 컵 개구(710)가 형성된다. 또한, 필터 컵(700)은 다수의 필터링용 구멍(720)(도 4 도시와 같이)들이 형성된 벽을 가진다. 작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터 컵(700)과 고온수 출구(230) 또는 추출 탱크(300) 사이의 거리는 조정가능하다. 이 경우, 침지, 여과 및 세척의 모든 동작들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냉각 챔버(400)가 추출 탱크(300) 바로 아래 위치된다. 냉각 매체는 냉각 챔버(400)에 충진된다. 냉각 매체는 물일 수 있다. 냉각 모듈(500)은 냉각 챔버(400)에 연결된 냉각 유닛(510)과 냉각 유닛(510)에 연결된 압축기(5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각 유닛(510)은 내부에 냉매가 충진된 냉매 튜브일 수 있다. 냉각 유닛(510)은 감기는 형태로 냉각 챔버(400)의 측벽 또는 다수의 측벽들에 접촉한다. 베이스 시트(110)는 냉각 챔버(400) 아래 배치된다. 따라서, 압축기(520)는 냉각 유닛(510)의 냉매를 그 측벽들을 통해 냉각 챔버(400)의 냉각 매체와 열 교환하기 위하여 가압하도록 작용한다. 이 경우, 냉각 챔버(400)의 냉매는 냉각될 수 있다. 예컨대, 냉각 챔버(400)의 물이 빙수로 냉각될 수 있으며 저온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음료 냉각 조립체(600)는 냉각 매체와 열교환하기 위하여 냉각 챔버(400)의 내부를 관통하는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음료 냉각 조립체(600)의 상단부는 추출 탱크(300)의 바닥 부분에 연결된다. 음료 내각 조립체(600)의 바닥 단부에는 외측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음료 공급개구(610)가 구비된다. 추출 탱크(300)와 음료 냉각 조립체(600) 사이에 제2 제어밸브(620)가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냉각 조립체(600)는 냉각 챔버(400) 내에 배치된 냉각 코일 튜브이다. 음료 냉각 조립체(600)의 냉각 코일 튜브는 냉각 챔버(400)를 관통하는 나선 부분 또는 복수의 나선 부분들을 가진다. 이 경우, 음료 냉각 조립체(600)와 냉각 챔버(400)의 냉각 매체(빙수) 사이의 열 교환 영역은 고온 드링크를 저온 드링크로의 냉각을 촉진하고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증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는, 다수의 고온수 출구(230), 다수의 제1 제어밸브(240), 다수의 음료 냉각 조립체(600) 및 다수의 제2 제어밸브(620)들이 구비된다. 제1 및 제2 제어 밸브(240, 620)들은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물 밸브들 또는 전기적인 물 밸브일 수 있다.
상기에 따라, 사용시, 티, 커피 분말 또는 플래버(Flavors)와 같은 추출된 재료가 먼저 필터 컵(700)에 배치된다. 이어서, 제1 제어 밸브(240)가 개방되고, 고온수 공급 모듈(200)의 고온수가 고온수 출구(230)로부터 배출되어 바로 필터 컵(700)의 추출된 재료 위에 부어질 수 있다. 이어서 고온수는 추출된 재료가 고온 드링크로서 추출 탱크(300) 내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추출된 재료는 수동으로 필터 컵(700) 내부로 배치될 수 있다. 대신에, 추출된 재료를 필터 컵(700)으로 자동으로 낙하시키는 장치가 머신 본체(100) 위에 설정될 수 있으므로, 추출된 재료가 필터 컵(700)에 완전 자동으로 배치될 수 있다. 추출된 탱크(300)가 고온 드링크를 완전히 수용할 때, 추출된 재료는 추출 탱크(300)에서 필터 컵(700)에 의하여 고온 드링크에 침지되고, 이로써 추출된 재료는 고온 드링크에 완전히 용해되어 고온 드링크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한다. 이 후에, 제2 제어 밸브(620)는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제어되고 개방되어, 추출 탱크(300)의 고온 드링크가 음료 냉각 조립체(600)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음료 냉각 조립체(600)의 고온 드링크는 냉각 챔버(400)의 냉각 매체(빙수)와 열 교환하고 저온 드링크로 냉각된다. 저온 드링크는 이어서 음료 공급 개구(610)로부터 배출되어 제공된다.
따라서, 신선-추출된 고온 드링크는 음료 냉각 조립체(600)와 냉각 챔버(400)를 통해 신속하게 저온 드링크로 냉각될 수 있으므로, 신선-추출된 저온 드링크는 단시간에 공급되어 음료의 위생을 보장할 수 있다. 더구나, 음료는 매우 안정된 온도로 공급되므로,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컵(700)은 추출 탱크(300) 내에 침지되므로 추출된 재료들은 고온 드링크 내에 침지되어 고온수에서의 추출된 재료의 용해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더욱 양호한 맛이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내부에 전기 가열선을 구비한 코일 히터(320)는 추출 탱크(300)의 외벽 둘레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추출된 재료가 필터 컵(700)에 의하여 추출 탱크(300)의 고온 드링크에 침지될 때, 히터(320)는 고온 드링크에 추출된 재료를 보다 완전히 용해시키기 위하여 추출 탱크(300)의 고온 드링크를 연속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수 싱크(sink)(120)가 환경 위생을 확보하기 위하여 음료공급 개구(610)로부터 누출하는 고온 드링크를 수용하기 위하여 음료공급 개구(610) 아래 머신 본체(100) 위에 배치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5 내지 8을 이제 참조하자.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은 머신 본체(1), 고온수 공급 모듈(2), 추출 탱크(3), 냉각 챔버(4), 냉각 모듈(5), 머신 본체(1) 위에 배치된 음료공급 조립체(6) 및 음료 구동모듈(7)을 포함한다.
고온수 공급 모듈(2)은 고온수가 그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고온수 출구(21)를 가진다. 고온수 공급 모듈(2)은 또한 고온수 출구(21)에 연결된 고온수 탱크(20) 및 고온수 탱크(20)(도 8 도시와 같이)에 배치된 히터(22)를 포함한다. 고온수 탱크(20)는 사용하기 위한 물을 수용하도록 작용한다. 히터(22)는 고온수 탱크(20)의 물을 고온수로 가열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고온수 공급 모듈(2)은 추가로 여러 물 튜브들을 통해 고온수 탱크(20)에 연결된 펌핑 모터(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고온수 탱크(20)의 물이 불충분한 경우, 펌핑 모터는 고온수 탱크(20)에 가열용 물을 보충하기 위하여 물을 고온수 탱크(20)로 압송하도록 작용한다.
추출 탱크(3)는 상부 측면으로 개방가능한 탱크 개구(31)를 가진다. 추출 탱크(3)의 탱크 개구(31)는 제1 물 튜브(11)를 통해 고온수 출구(21)에 연결되며, 이로써 추출 탱크(3)는 고온수 출구(21)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수를 수용할 수 있다.
고온수 탱크(3)는 단위 양의 공급된 음료를 한 번에 보관하기 위한 용량을 가지는 수용 공간을 가진다. 더욱이, 제1 제어 밸브(16)가 제1 물 튜브(11)에 배치된다. 고온수 출구(21)는 제1 제어 밸브(16)를 거쳐 추출 탱크(3)에 연통한다. 제1 제어 밸브(16)는 고온수를 추출 탱크(3)에 공급하기 위하여 고온수 출구(21)의 개/폐 시간을 제어하도록 작용한다.
도 5 내지 8 도시와 같이, 냉각 챔버(4)에 냉각 매체가 충진된다. 냉각 매체는 물 또는 다른 냉각 액체일 수 있다. 냉각 모듈(5)은 냉각 챔버(4)에 연결된 냉각 유닛(51)과 냉각 유닛(51)에 연결된 압축기(5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각 유닛(51)은 냉매가 충진된 냉매 튜브일 수 있다. 냉각 유닛(냉매 튜브)(51)은 감기는 형태로 냉각 챔버(4)의 다수의 전열 외부 측벽들 또는 전열 외부 측벽에 접촉한다. 따라서, 압축기(52)는 그의 전열 외측 벽들을 통해 냉각 챔버(4)에서 냉각 매체와 열교환하기 위하여 냉각 유닛(51)(냉매 튜브) 내에서 순환하도록 냉매를 구동하도록 작용한다. 이 경우, 냉각 챔버(4)의 냉각 매체는 냉각될 수 있다. 예컨대, 냉각 챔버(4)의 물은 빙수로 냉각될 수 있으며 저온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음료 냉각 조립체(6)는 음료 전달 경로(60)로서 냉각 챔버(4) 내부를 관통하는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음료 전달 경로(60)의 음료는 냉각 챔버(4)의 냉각 매체와 열 교환할 수 있다. 음료 전달 경로(60)의 일 단부는 제2 물 튜브(12)를 거쳐 추출 탱크(3)에 연결된다. 음료 전달경로(60)의 다른 단부는 외부 측면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음료 공급개구(61)를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전달 경로(60)는 냉각 챔버(4)에 배치된 냉각 코일 튜브이다. 냉각 코일 튜브는 나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음료 냉각 조립체(6)의 음료전달 경로(60)와 냉각 챔버(4)의 냉각 매체(빙수) 사이의 열-교환 영역은 고온 드링크의 저온 드링크로의 냉각을 가속시키고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증가될 수 있다.
음료 전달 경로(60) 위에는 음료 구동 모듈(7)이 배치되며, 특히 음료공급 개구(61)로부터 머신 본체(1)의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제2 물 튜브(12)와 음료 전달 경로(60)를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추출 탱크(3)의 음료를 가압하기 위하여 추출 탱크(3)와 음료 냉각 조립체(6)(냉각코일 튜브) 사이의 제2 물 튜브(12) 위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고온수 공급 모듈(2), 다수의 추출 탱크(3), 다수의 음료 냉각 조립체(6) 및 다수의 음료 구동 모듈(7)이 구비된다. 고온수 공급 모듈, 추출 탱크, 냉각 챔버(4), 냉각 모듈(5), 음료 냉각 조립체(6) 및 다수의 음료구동 모듈(7)이 동일 평면 위에서 머신 본체(1)의 베이스 시트(10)의 상부 부분 위에 배치된다.
도 8 도시와 같이, 사용시, 티, 커피 메이트, 커피 분말 또는 플래버들과 같은 추출된 재료들은 먼저 탱크 개구(31)를 통해 추출 탱크(3) 내로 배치된다. 이어서, 고온수 공급 모듈(2)의 고온수가 고온수 출구(21)로부터 흘러나와서 제1 물 튜브(11)와 제1 제어 밸브(16)를 거쳐 추출 탱크(3)로 유입한다. 이 때, 고온수가 탱크 개구(31)를 통과해서 아래로 유동하여 추출 탱크(3)의 추출 재료들에 바로 주입된다. 이어서 고온수는 추출된 재료를 용해시켜 고온 드링크를 형성한다.
이어서, 음료 구동모듈(7)은 추출 탱크(3)의 고온 드링크를 구동하여 제2 물 튜브(12)를 통해 음료 냉각 조립체(6)(도 9 내지 11 도시)의 음료 전달 경로(60)로 신속하게 유입하여 음료 전달 경로(60)를 신속하게 통과하여 음료 공급 개구(61)로부터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기간 동안, 음료 냉각 조립체(6)의 음료전달 경로(60)(냉각 코일 튜브)의 고온 드링크는 냉각 챔버(4)의 냉각 매체(물)와 열-교환하고 저온 드링크로 신속히 냉각된다. 이어서 저온 드링크는 음료공급 개구(61)로부터 배출되어 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음료를 매우 신속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매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음료 구동 모듈(7)은 추출 탱크(3)의 고온 드링크를 강력하게 구동하여 음료 냉각 조립체(6)의 음료전달 경로(60)를 신속하게 통과하여 음료공급 개구(61)로부터 저온 드링크로서 배출시킬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음료 구동 모듈(7)은 머신 본체(1)를 관통한 음료의 이동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고온수 공급모듈(2), 추출 탱크(3), 냉각 챔버(4), 냉각 모듈(5), 음료 냉각조립체(6) 및 음료 구동모듈(7)을 적층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신에, 이들 부재들은 동일 평면 위에 위치되어 용적을 크게 최소화하고 머신 본체(1)에 의하여 점유되는 배치 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저온 드링크가 보관되고 용이하게 상하며 위생이 거의 보장될 수 없는 종래 장치의 단점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신선-추출된 고온 드링크를 저온 드링크로 신속하게 냉각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서, 신선-추출된 추출 탱크(3)의 고온 드링크는 음료 냉각 조립체(6)의 음료전달 경로(60)를 통과할 것이며 저온 드링크로 신속하게 냉각하기 위하여 냉각 챔버(4)의 냉각 매체와 신속하게 열-교환할 것이다.
또한, 추출 탱크(3)는 한 번에 제공하기 위하여 단위 양의 음료를 제공하도록 수용 공간을 가진다. 그러므로, 냉각 상태로 저온 드링크를 보관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대신에, 음료는 즉시 제공되도록 순간에 추출될 수 있다.
이로써 일부 저온 큐브(cube)를 사용하지 않고 음료의 위생이 보장될수 있으며 음료의 더욱 양호한 맛이 보장될 수 있다. 더구나, 음료는 매우 안정된 온도로 공급될 수 있으며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음료 구동모듈(7)이 음료 냉각조립체(6)의 음료전달 경로(60)에 배치되도록 구조적으로 고안된다. 따라서, 추출 탱크(3)가 한 번에 제공하는 단위 양의 음료를 간단하게 제공하는 상태에서(종래 장치에서 보관된 음료의 양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머신 본체(1)의 분말은 완전 자동으로 단위 양의 음료가 제공되기 위하여 배출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음료는 신속하게 배출되어 저온 드링크의 공급을 크게 촉진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며 실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치에 따르면, 신선-추출된 고온 드링크는 신속하게 저온 드링크로 냉각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저온 드링크가 상하기 쉬우며 위생이 거의 보장될 수 없는 종래의 저온 음료 분배 머신의 단점들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얼음 큐브가 음료 내에 배치되어 맛에 영향을 미치며, 에너지 소비가 크고, 불안정한 온도에서 음료가 공급되고, 종래의 저온 음료 분배 머신이 큰 공간을 점유하도록 큰 용량을 가지며, 음료가 느린 속도에서 자연스럽게 흘러나가서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던 종래의 저온 음료 머신의 문제들을 해소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구동 모듈(7)은 펌프(물 펌프와 같은)일 수 있다. 사용시, 펌프는 추출 탱크(3)의 음료를 구동하여 음료 전달경로(60)를 신속하게 관통하여 통과하고 음료공급 개구(61)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추출된 재료가 음료에 완전히 용해되거나 또는 음료가 분말 입자, 과일 입자 또는 섬유와 같은 고체 입자들을 함유하지 않는 상태에서, 물 펌프는 음료 구동 모듈(7)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5와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 구동 모듈(7)은 압력스위치 챔버(70)(공압 스위치 챔버와 같은), 음압 소스(71)(음압 공기소스와 같은) 및 양압 소스(74)(고압 공기소스와 같은)를 포함한다. 음압 소스(71)는 제1 압력 튜브(13)를 거쳐 압력스위치 챔버(70)와 연통한다. 양압 소스(74)는 제2 압력 튜브(14)를 거쳐 압력스위치 챔버(70)와 연통한다.
압력스위치 챔버(70)는 매니폴드(15)를 거쳐 추출 탱크(3)와 음료냉각 조립체(6) 사이에서 제2 물 튜브(12)와 연통한다. 압력스위치 챔버(70)는 매니폴드(15)와 제2 물 튜브(12)를 거쳐 음료전달 경로(60) 위에 배치된다. 제2 제어밸브(17)는 제2 물 튜브(12)와 매니폴드(15) 사이에 연결되고, 이로써 음료전달 경로(60)는 제2 제어밸브(17)를 거쳐 압력스위치 챔버(70)와 연통한다. 제3 제어밸브(18)는 제1 압력 튜브(13) 위에 배치되고, 이로써 음압 소스(71)는 제3 제어밸브(18)를 거쳐 압력스위치 챔버(70)와 연통한다. 제4 제어 밸브(19)는 제2 압력 튜브(14) 위에 배치되고, 이로써 양압 소스(74)는 제4 제어 밸브(19)를 거쳐 압력스위치 챔버(70)와 연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음압 소스(71)는 음압 용기(72)(진공 용기와 같은)와, 음압 용기(72)와 연통하는 음압 제조기(73)(진공생성기와 같은)를 포함한다. 음압 용기(72)는 제1 압력 튜브(13)와 제3 제어밸브(18)를 거쳐 압력 스위치 챔버(70)에 연통한다. 음압 제조기(73)는 음압 용기(72)에서 음압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음압 용기(72)의 내부는 음압 흡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양압 소스(74)는 양압 용기(75)(고압 용기와 같은)와, 양압용기(75)에 연통하는 양압 제조기(76)(공기 압축기와 같은)를 포함한다. 양압 용기(75)는 제2 압력 튜브(14)와 제4 제어밸브(19)를 거쳐 압력스위치 챔버(70)에 연통한다. 양압 제조기(76)는 양압 용기(75)의 내부에 양압 매체(고압 공기와 같은)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양압 용기(75)의 내부는 양압 추력(push force)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3 제어밸브(18)는 개방되고, 음압 소스(71)의 음압 용기(72)를 제1 압력 튜브(13)를 거쳐 압력스위치 챔버(70)에 연통시키며, 이로써 압력스위치 챔버(70)는 음압 흡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제어밸브(17)는 개방되어, 추출 탱크(3)를 제2 물 튜브(12)와 매니폴드(15)를 거쳐 압력 스위치 챔버(70)와 연통시키며, 이로써 압력스위치 챔버(70)의 음압 흡입력이 추출 탱크(3)의 고온 드링크를 흡입하여 신속하게 압력스위치 챔버(7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어서, 제3 제어밸브(18)는 닫혀서 제1 압력 튜브(13)를 거쳐 음압 용기(72)와 압력스위치 챔버(70)와의 연통을 차단하고, 이로써 압력스위치 챔버(70)의 음압 흡입력은 해제된다.
동시에, 제2 제어 밸브(17)는 닫혀서 제2 물 튜브(12)와 매니폴드(15)를 거쳐 추출 탱크(3)와 압력스위치 챔버(70)의 연통을 차단하며, 이로써 고온 드링크는 압력스위치 챔버(70)에서 일시 밀봉된다.
도 10과 11 도시와 같이, 이후에, 제4 제어 밸브(19)가 개방되고, 양압 소스(74)의 양압 용기(75)가 제2 압력 튜브(14)를 거쳐 압력스위치 챔버(70)와 연통되고, 이로써 양압 용기(75)의 양압 매체는 압력스위치 챔버(70)로 공급되고 압력스위치 챔버(70)의 내부는 양압 추력을 생성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제어 밸브(17)는 개방되어, 압력스위치 챔버(7)를 매니폴드(15)와 제2 물 튜브(12)를 거쳐 음료 냉각조립체(6)(냉각코일튜브)와 음료공급 개구(61)에 연통시켜서, 압력스위치 챔버(70)의 양압 추력이 압력스위치 챔버(70)의 고온 드링크가 음료 냉각조립체(6)를 통해 음료공급 개구(61)로 신속하게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4 제어밸브(19)가 폐쇄되어 제2 압력 튜브(14)를 거쳐 양압 용기(75)의 압력스위치 챔버(70)와의 연통을 차단하고, 이로써 압력스위치 챔버(70)의 양압 추력이 해제된다. 동시에, 제2 제어밸브(17)는 닫혀져서 매니폴드(15)와 제2 물 튜브(12)를 거쳐 압력스위치 챔버(70)와 음료냉각 조립체(6)의 연통이 차단된다. 따라서, 추출된 재료들이 음료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거나 또는 음료가 분말 입자들, 과일 입자들 또는 섬유를 포함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 펌프가 음료구동 모듈(7)로서 사용되는 경우, 음료의 고체 재료들은 펌프의 블레이드들에 용이하게 붙어서 청소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한 상황 아래, 압력스위치 챔버(70), 음압 소스(71) 및 양압 소스(74)를 포함하는 음료 구동모듈(7)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7 도시와 같이, 수정된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 제어 밸브(16, 17, 18, 19)들은 냉각 챔버(4)의 상부 부분의 외벽 위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본 케이스에서, 음료전달 경로(60), 압력스위치 챔버(70), 음압 소스(71) 및 양압 소스(74)는 제1 물 튜브(11), 제2 물 튜브(12), 제1 압력 튜브(13), 제2 압력 튜브(14) 및 매니폴드(15)를 거쳐 제1, 제2, 제3 및 제4 제어 밸브(16, 17, 18, 19)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더구나, 이들 부재들의 장착/해체, 설치 및 보수가 촉진된다.
여전히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냉각 조립체(6)의 냉각코일 튜브는 코일 형태의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 그리고 바람직하게 실리콘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코일 튜브로부터 배출된 음료가 충분히 저온이 아닐 경우, 냉각 챔버(4)의 냉각 매체용 냉각 모듈(5)에 의하여 제공된 냉각 온도는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전기를 더욱 소비할 것이다. 대신에, 금속 냉각코일 튜브의 길이는 냉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금속 냉각 코일튜브의 제조 비용 및 금속 냉각 코일 튜브의 보수 및 교체 비용을 크게 증가시킬 것이다. 더욱이, 금속 냉각코일 튜브는 용이하게 부식된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위의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가 제조 비용을 저하시키고 장착/해체, 교체 및 보수를 촉진하기 위하여 냉각코일 튜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여전히 또 다른 수정 실시예에서, 고온수 출구(21)에는 추출 탱크(3)로 연장하는 고온수 공급기(8)가 구비된다. 고온수 공급기(8)는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온수 공급기(8)의 외주벽에는 고온수를 추출 탱크(3) 내로 반경방향으로 분무하기 위한 다수의 물분무 홀(81)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온수가 고온수 출구(21)로부터 추출 탱크(3)로 배출될 때, 고온수 공급기(8)의 물 분무홀(81)들로부터 고온수가 추출 탱크(3)로 반경방향으로 분출되어 추출 재료를 추출 탱크(3)에서 균일하게 떨어지게 공급하고 용해시키도록 주위의 물 흐름을 형성한다.
대신에, 교반기(9)는 추출 탱크(3)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교반기(9)는 추출 탱크(3)로 연장하는 교반 부재(91)를 가진다. 따라서, 교반기(9)의 교반 부재(91)는 추출 탱크(3) 내에서 신속하게 회전하여 추출 탱크(3) 내의 추출된 재료 및 고온수를 균일하게 교반하고 혼합할 수 있다.
여전히 또 다른 수정 실시예에서, 히터(32)가 추출 탱크(3)의 외벽 둘레에 감겨진다. 이 경우, 고온수와 추출 탱크(3)의 추출된 재료가 혼합되어 고온 드링크를 형성할 때, 히터(32)는 고온 드링크를 연속으로 가열할 수 있으므로 추출된 재료를 고온 드링크에서 보다 완전하게 용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며, 그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의 많은 수정들이 본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1, 100: 머신 본체 3, 300: 추출 탱크

Claims (26)

  1. 머신 본체;
    상기 머신 본체에 배치되고, 고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고온수 출구 및 상기 고온수 출구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밸브를 가지는 고온수 공급 모듈;
    상기 머신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고온수 출구로부터 배출된 고온수를 수용하도록 작용하며, 한 번에 공급된 고온수의 단위 양을 보유하기 위한 용량을 가진 수용 공간을 가지는 추출 탱크;
    상기 머신 본체에 배치된 저온 매체가 충진되는 냉각 챔버;
    상기 머신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챔버의 냉각 매체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냉각 챔버에 연결된 냉각 유닛을 가지는 냉각 모듈; 및
    냉각 매체와 열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 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음료 냉각 조립체의 일 단부는 상기 추출 탱크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는 외측면으로부터 접근가능한 음료 공급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음료 냉각 조립체와 상기 추출 탱크 사이에 제2 제어밸브가 배치되는 상기 음료냉각 조립체를 구비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료 냉각 조립체는 냉각 매체와 열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 챔버의 내부를 통과하는 음료 전달경로를 구비하며, 상기 음료전달 경로의 일 단부는 상기 추출 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음료 전달 경로의 다른 단부에는 외측으로부터 접근가능한 음료 공급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신선 가열 저온 음료 공급 머신은 추가로 상기 추출 탱크의 음료가 상기 음료전달 경로를 신속하게 관통하여 통과하고 상기 음료 공급 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추출 탱크의 음료를 가압하는 음료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료 구동 모듈은 펌프인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료 구동 모듈은 상기 음료 전달 경로에 배치된 압력스위치 챔버, 상기 압력스위치 챔버와 연통하는 음압 소스 및 상기 압력 스위치챔버에 연통하는 양압 소스를 포함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음료전달 경로에서, 상기 음압 소스는 제3 제어밸브를 통해 상기 압력스위치 챔버에 연통하고 상기 양압 소스는 제4 제어밸브를 통해 상기 압력스위치 챔버에 연통하며, 상기 추출 탱크는 상기 음료전달 경로를 통해 상기 압력스위치 챔버에 연통하고, 상기 압력스위치 챔버는 상기 음료전달 경로를 통해 상기 음료공급 개구에 연통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음압 소스는 상기 압력스위치 챔버에 연통하는 음압 용기와 상기 음압 소스에 연통하는 음압 제조기를 포함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7.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양압 소스는 상기 압력스위치 챔버에 연통하는 양압 용기 및 상기 양압 용기에 연통하는 양압 제조기를 포함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8.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추출탱크와 상기 고온수 출구 사이에 필터 컵이 배치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필터 컵은 상기 추출 탱크에 배치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온수 출구는 상기 추출 탱크 위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 컵은 상기 고온수 출구와 상기 추출 탱크 사이 위치에서 조정가능한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11.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고온수 공급 모듈은 상기 고온수 출구에 연결된 고온수 탱크 및 상기 고온수 탱크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 부재를 포함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온수 공급 모듈은 상기 고온수 출구에 연결된 고온수 탱크 및 상기 고온수 탱크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 부재를 포함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13.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냉각 유닛에 연결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냉각 챔버의 전열 외벽에 접촉하는 상기 냉각 유닛에 연결된 압축기를 포함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15.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음료냉각 조립체는 상기 냉각 챔버에 배치된 냉각 코일 튜브를 가지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16.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음료 냉각 조립체는 상기 냉각 챔버에 배치된 냉각코일 튜브를 포함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냉각코일 튜브는 코일 형태의 플라스틱 튜브로 형성된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냉각코일 튜브는 코일 형태의 플라스틱 튜브로 형성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19.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있어서, 히터가 코일 형태로 상기 추출 탱크 외벽 둘레에 배치된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20. 청구항 8에 있어서, 히터가 코일 형태로 상기 추출 탱크 외벽 둘레에 배치된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21.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있어서, 배수 싱크가 상기 머신 본체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음료공급 개구 아래 위치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22. 청구항 8에 있어서, 배수 싱크가 상기 머신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음료공급 개구 아래 위치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23.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고온수 출구에는 상기 추출 탱크 내부로 연장하는 고온수 공급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온수 공급기는 상기 추출 탱크 내로 고온수를 반경방향으로 분무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물 분무 홀들이 형성된 외벽을 가지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2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온수 출구에는 상기 추출 탱크 내로 연장하는 고온수 공급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온수 공급기는 상기 추출 탱크 내로 고온수를 반경방향으로 분무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수 분무 홀들이 형성된 외벽을 가지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25.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추출 탱크 내로 연장하는 교반 부재를 가지는 교반기가 상기 추출 탱크 위에 배치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26.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추출 탱크 내로 연장하는 교반 부재를 가지는 교반기가 상기 추출 탱크 위에 배치되는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 머신.
KR2020150006499U 2014-10-02 2015-10-02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머신 KR20160001213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3134335 2014-10-02
TW103134335A TWI569760B (zh) 2014-10-02 2014-10-02 Supply of cold drink supply machine
TW104211081U TWM515357U (zh) 2015-07-09 2015-07-09 現沖冷飲供應機
TW104211081 2015-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13U true KR20160001213U (ko) 2016-04-12

Family

ID=5459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499U KR20160001213U (ko) 2014-10-02 2015-10-02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머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095466A1 (ko)
JP (1) JP3201536U (ko)
KR (1) KR20160001213U (ko)
AU (1) AU2015101367A4 (ko)
SG (1) SG10201507972W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17U (ko) * 2019-03-28 2020-10-08 웬-쳉 창 지능형 추출음료 냉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6613B2 (en) * 2016-10-24 2021-08-03 The Vollrath Company, L.L.C. Frozen food product dispensing machine including mixing manifold
GB2566261B (en) * 2017-09-01 2021-09-22 Douwe Egberts Bv Coffee-making Apparatus
GB2584320B (en) * 2019-05-30 2022-12-07 Douwe Egberts Bv Ice-generat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N110200501A (zh) * 2019-06-19 2019-09-06 张文丞 一种饮料加热冷却制造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17U (ko) * 2019-03-28 2020-10-08 웬-쳉 창 지능형 추출음료 냉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95466A1 (en) 2016-04-07
SG10201507972WA (en) 2016-05-30
JP3201536U (ja) 2015-12-10
AU2015101367A4 (en)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1213U (ko) 신선-추출된 저온 음료 분배머신
US10947485B2 (en) Beverage maker
JP6946336B2 (ja) 冷凍ポストミックスディスペンサ
US90665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avored ice making
US11297976B2 (en) Method of forming frozen beverage blocks
US20110023505A1 (en) Refrigeration systems for blended iced beverage machines
JP2019501356A (ja) コールドウェーブアプライアンス
WO2022148481A1 (zh) 独立式冰块或饮料分配电器
US20180177326A1 (en) Flash brewer
EP3001936A1 (en) Fresh-brewed col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JP5227622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US10968420B2 (en) Beverage maker
CN112823265A (zh) 饮料冷冻器
CN113080709B (zh) 冰咖啡和冰果汁的制作系统及冰咖啡的制作方法
KR20160012253A (ko) 냉수공급장치
JPH0614708Y2 (ja) 飲料の保温・保冷装置
WO2013124778A1 (en) Dispenser for refrigerated liquids for human consumption
CN217852455U (zh) 控温底座和饮品机
CN215176240U (zh) 多功能制冰机
KR102581665B1 (ko) 온도 제어를 갖춘 식품 분배기
WO2016058250A1 (zh) 现冲冷饮供应机
KR200355286Y1 (ko) 대용량 냉온수기
KR100535262B1 (ko) 대용량 냉온수기
EP4288949A1 (en) Vending machine for coffee-based beverage
TH12576A3 (th) เครื่องจ่ายเครื่องดื่มเย็นชงส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