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006U -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006U
KR20160001006U KR2020140006830U KR20140006830U KR20160001006U KR 20160001006 U KR20160001006 U KR 20160001006U KR 2020140006830 U KR2020140006830 U KR 2020140006830U KR 20140006830 U KR20140006830 U KR 20140006830U KR 20160001006 U KR20160001006 U KR 201600010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ortable device
horizontal portion
support body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745Y1 (ko
Inventor
유일환
Original Assignee
유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일환 filed Critical 유일환
Priority to KR2020140006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4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0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0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휴대용 기기의 배면에 고정되는 브라켓(10), 상기 브라켓(10)에 걸어진 상태로 좌우로 이동가능하며, 손가락이 끼워지는 고리가 양 단부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되는 지지본체(20)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지지본체(20)는 금속 재질의 선형재를 구부림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성이 간단하며 휴대 기기를 떨어뜨릴 염려가 없으며, 휴대 기기의 화면 터치도 자유롭게 된다.

Description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Mobile device finger holder}
본 고안은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기기를 손에 고정시키기 위한 손가락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손가락만으로 핸드폰을 고정시켜 핸드폰의 액정화면을 보거나 핸드폰을 조작할 시에 핸드폰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하는 핸드폰용 손가락 거치대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손가락 거치대는 손가락 두개를 수용할 수 있는 손가락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손가락 거치대의 크기가 커서 휴대하기 불편하며, 형상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KR10-1273260 핸드폰용 손가락 거치대(공개일자 2013.04.09)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한 손으로 휴대폰을 지지하여 휴대폰을 떨어뜨리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형화되고 구성이 단순화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왼손 지지방식, 오른손 지지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휴대용 기기의 배면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걸어진 상태로 좌우로 이동가능하며, 손가락이 끼워지는 고리가 양 단부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되는 지지본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본체는 상기 브라켓에 걸어지는 상부 수평부 및 하부 수평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 수평부의 양단에 손가락이 끼워지는 좌측고리와 우측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수평부의 양단에 손가락이 끼워지는 좌측고리와 우측고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본체는 금속 재질의 선형재를 구부림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는 휴대 기기에 부착되는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상단과 하단이 후방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상부 수평부와 하부 수평부가 걸어지는 걸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손가락 거치대의 형상이 단순화되고 크기가 작아, 제조 단가도 낮출 수 있고, 휴대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 기기를 손으로 견고하게 쥐게 되므로, 휴대 기기를 조작하다가 떨어뜨릴 염려가 없고, 엄지 손가락이 화면을 터치하기에 자유로운 상태가 되므로, 휴대 기기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조작이 쉬운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르면, 왼손 지지방식 또는 오른손 지지방식을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선택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거치대에서 오른손 지지방식일 때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거치대에서 왼손 지지방식일 때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거치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 손가락 거치대는 휴대용 기기의 배면에 고정되는 브라켓(10), 상기 브라켓(10)에 걸어진 상태로 좌우로 이동가능하며 양 단부에 각각 두 개의 고리가 형성되어 손가락이 끼워지는 지지본체(20)를 포함한다.
먼저, 브라켓(10)은 휴대용 기기의 배면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도 1을 기준으로 브라켓(10)의 전면에 양면 테이프와 같은 부착부(11)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지지본체(20)가 걸어지도록 하는 걸이부(13)가 형성된다.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도 1과 같이, 브라켓(1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후방으로 절곡됨으로써 걸이부(13)가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브라켓(1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플라스틱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본체(20)는 상기 브라켓(10)에 걸어진 상태에서 좌우로 일정 거리 이동가능하다. 지지본체(20)는 상기 걸이부(13)에 각각 걸어지는 상부 수평부(22) 및 하부 수평부(26)를 가지며, 상기 상부 수평부(22)의 양단에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좌측고리(23a)와 우측고리(23b)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수평부(26)의 양단에도 손가락이 끼워지는 좌측고리(27a)와 우측고리(27b)가 형성된다.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본체(20)가 금속 재질의 선형재를 구부려 일체로 제작하였다. 먼저 선형재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연장하여 상부 수평부(22)를 만들고, 일단부를 시계방향으로 구부려 좌측고리(23a)를 형성한 다음, 이어서 하방으로 연장한 후 시계방향으로 구부려 하부 좌측고리(27a)를 형성한다. 하부 좌측고리(27a)를 우측 수평으로 연장하여 하부 수평부(26)를 만들고, 우측 단부에서 시계방향으로 구부려 하부 우측 고리부(27b)를 만들고, 그 단부를 상방으로 연장한 다음 시계방향으로 구부려 상부 우측 고리부(23b)를 형성한다. 이어서 좌측방향으로 연장한 단부를 상부 수평부(22)의 시작점과 연결시켜주면, 지지본체(2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본체(20)는 상부 수평부(22)와 하부 수평부(26)가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텐션을 가지므로, 상부 수평부(22)와 하부 수평부(26)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모아준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0)의 걸이부(13) 안쪽에 위치시켜주면, 자체 복원력에 의해 상부 수평부(22)와 하부 수평부(26)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이부(13)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본체(20)가 상기 브라켓(10)에 걸어지면, 상기 지지본체(20)는 좌우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오른손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상기 지지본체(20)를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우측고리(23b,27b)를 휴대 기기의 우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손가락을 우측고리(23b,27b)에 끼워 사용한다. 이러한 사용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왼손 사용자는 도 4와 같이, 상기 지지본체(20)를 왼쪽으로 이동시켜 좌측고리(23a,27a)를 휴대 기기의 좌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손가락을 좌측고리(23a,27a)에 끼워 사용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금속의 선형재를 구부려 상기 지지본체(20)를 만들고, 브라켓(10)도 간단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 거치대의 구성이 간소하고 크기가 작아, 제조 단가도 낮출 수 있고, 휴대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아울러 도 2와 같이, 우측 상부 고리에 둘째 손가락을, 우측 하부 고리에 셋째 손가락을 끼우면, 엄지손가락은 휴대 기기의 화면을 터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자연스럽게 휴대 기기를 손으로 쥐는 형태가 되어, 휴대 기기를 조작하다가 떨어뜨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본체(20)가 브라켓(10)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되므로, 왼손 지지방식 또는 오른손 지지방식을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선택할 수 있어 편리하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브라켓 11: 부착부
13: 걸이부 20: 지지본체
22: 상부 수평부 23a, 27a: 좌측 고리
23b, 27b: 우측 고리 26: 하부 수평부

Claims (4)

  1. 휴대용 기기의 배면에 고정되는 브라켓(10),
    상기 브라켓(10)에 걸어진 상태로 좌우로 이동가능하며, 손가락이 끼워지는 고리가 양 단부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되는 지지본체(20)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20)는 상기 브라켓(10)에 걸어지는 상부 수평부(22) 및 하부 수평부(26)를 가지며,
    상기 상부 수평부(22)의 양단에 손가락이 끼워지는 좌측고리(23a)와 우측고리(23b)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수평부(26)의 양단에 손가락이 끼워지는 좌측고리(27a)와 우측고리(27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20)는 금속 재질의 선형재를 구부림으로써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의 전면에는 휴대 기기에 부착되는 부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0)의 상단과 하단이 후방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상부 수평부(22)와 하부 수평부(26)가 걸어지는 걸이부(1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
KR2020140006830U 2014-09-19 2014-09-19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 KR2004807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830U KR200480745Y1 (ko) 2014-09-19 2014-09-19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830U KR200480745Y1 (ko) 2014-09-19 2014-09-19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06U true KR20160001006U (ko) 2016-03-29
KR200480745Y1 KR200480745Y1 (ko) 2016-07-07

Family

ID=55645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830U KR200480745Y1 (ko) 2014-09-19 2014-09-19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4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754B1 (ko) * 2018-04-25 2018-07-20 채수현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파지 장치
KR101880750B1 (ko) * 2017-12-07 2018-07-20 채수현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파지 장치
KR200488765Y1 (ko) * 2017-12-13 2019-07-04 박경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797A (ko) * 2005-04-28 2006-11-02 (주) 프렉코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JP2012227794A (ja) * 2011-04-21 2012-11-15 Ichiro Nitt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KR101273260B1 (ko) 2011-09-30 2013-06-11 백휘광 핸드폰용 손가락 거치대
KR20140080832A (ko) * 2012-12-20 2014-07-01 김해림 스마트기기용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797A (ko) * 2005-04-28 2006-11-02 (주) 프렉코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JP2012227794A (ja) * 2011-04-21 2012-11-15 Ichiro Nitt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KR101273260B1 (ko) 2011-09-30 2013-06-11 백휘광 핸드폰용 손가락 거치대
KR20140080832A (ko) * 2012-12-20 2014-07-01 김해림 스마트기기용 보호 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750B1 (ko) * 2017-12-07 2018-07-20 채수현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파지 장치
WO2019112267A1 (ko) * 2017-12-07 2019-06-13 채수현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파지 장치
KR200488765Y1 (ko) * 2017-12-13 2019-07-04 박경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880754B1 (ko) * 2018-04-25 2018-07-20 채수현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745Y1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0883A2 (en) Support structure
KR101185358B1 (ko) 거치구를 갖는 손가락 끼움 홀더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80745Y1 (ko) 휴대 기기용 손가락 거치대
KR200462244Y1 (ko) 휴대폰 거치장치
TWM496791U (zh) 可定位之升降支架結構
JP2015087908A (ja) 電子機器用スタンド
KR20140017142A (ko)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KR101346572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JP5229754B2 (ja) 携帯型情報端末用保持台および卓上電話機
KR201500338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KR20170004306U (ko)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
JP6211834B2 (ja) 携帯用電子機器用保持具
KR20140146466A (ko) 시트형 휴대폰 거치대
KR101468111B1 (ko) 필기구 수납도구
CN204350085U (zh) 一种手机保护壳
US1051611A (en) Phone attachment.
KR101359677B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KR20140003190U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JP6562326B1 (ja) 携帯機器保持具
KR20130071039A (ko) 전자기기를 차량 내부에 위치시키는 거치대
JP5965510B1 (ja) カバースタンド及びカバースタンド付き電子機器
KR200455688Y1 (ko)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KR20160131142A (ko) 단말기 거치대
KR20200001343U (ko) 분리형 휴대폰 거치대
JP2014126167A (ja) 物品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4